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상루기(百祥樓記)>의 곡문(曲文)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

        雷挺(LEI TI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2

        본고에서는 정상현(鄭尙玄)이 창작한 한문 희곡 <백상루기(百祥樓記)>의 곡문(曲文)(노래가사)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동시에 이런 형식적 특징이 형성된 이유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지금까지 <백상루기>에 관한 연구는 주로 작자 규명, 체재 분석, 언어표현상의 특징, 김성탄(金聖嘆) 비평본(批評本) <서상기(西廂記)>와의 비교, 평비(評批)의 특징, 인물형상, 성(性)담론 등의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작품의 곡문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백상루기> 곡문에 나타난 형식적 특징을 분석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백상루기>에 나타난 곡패(曲牌)를 정리하여, 각각 북곡(北曲)이나 남곡(南曲)에 속하는지를 구분한다. 그리하여 중국 북곡에 속하는 곡패들이 많았음을 확인하였다. 나머지의 다른 곡패들 중에서 일부분의 이름은 중국 희곡 곡패의 이름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희곡 각 折의 마무리를 뜻하는 곡패인 【잠살미(賺煞尾)】, 【살미(煞尾)】, 【미(尾)】는 원잡극(元雜劇) 투곡(套曲)의 마무리 부분이고, 套曲에서의 제일 중요한 표시이기 때문에 더욱 <백상루기>의 음악은 중국 북곡에 따라 창작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백상루기>에 나타난 곡패와 김성탄 비평본 <서상기>에 나타난 곡패를 비교하였다. <백상루기>와 <서상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곡문은 중국 희곡 곡패의 정격(正格)에 안 맞고, 물론 구수(句數)나 매구(每句)의 글자 수에도 큰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백상루기> 【금초엽(金蕉葉)】의 곡문은 [선려(仙呂)]【점강순(點絳脣)】의 정격과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 외에도 <서상기>의 곡문과 <서상기>에서 사용되지 않고 북곡 곡패에서 찾을 수 있는 곡패인 【쌍원앙(雙鴛鴦)】에 관한 곡패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백상루기>에서 친자(襯字)도 거의 안 보인다. 그러므로 <백상루기> 곡패에 관한 곡문들을 통해 작가가 중국 희곡에서 사용하는 곡패에 대한 이해, 사용함 등에서 중국 희곡의 곡문을 창작하는 방법과 많이 다르다고 알 수 있다. 이러한 북곡 형식에 안 맞는 <백상루기> 곡문의 특성은 김성탄 비평본 <서상기>뿐만 아니라 명· 청 전기의 문체를 수용하면서 새로운 문체를 모색하려고 시도한 흔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lyrics) of Beaksangrugi, an opera written in Chinese by Jung Sanghyun, and to verify the reason why such writing formal characteristics were formed. The studies on Beaksangrugi so far focused on writer investigation, format analysis,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expressions, comparison with Jin, Shengtan s critique Seosanggi, characteristics of the critique, character images, sexual discourse and etc. However, there hasn t been any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 gokmun of the work.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 of Beaksangrugi,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okpaes of Beaksangrugi were classified, to see whether they belong to Bukgok or Namgok.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gokpaes belonged to Bukgok of China, and some names of the remaining gokpaes were similar to those of Chinese opera gokpae. Also, the gokpaes 【Zhuanshawei(賺煞尾)】, 【Shawei(煞尾)】 and 【Wei(尾)】 which indicate the end of each act of the opera were the ending part of Yuan opera music and are also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whole set of music, so the music of Baeksangrugi was highly likely to be made according to Bokgok of China. Second, the gokpeas appeared in Beaksangrugi and Jin, Shengtan s critique Seosanggi were compared. Gokmun which commonly appeared in both Beaksangrugi and Seosanggi didn t correspond to the tandard format of Chinese opera gokpae, and surely the number of sentences and the number of letters in each sentence had a lot of differences. Also, the gokmun of Beaksangrugi 【Jinjiaoye(金蕉葉)】 showed almost the same pattern of [Xianlv(仙呂)]【Dianjiangchun(點絳脣)】. Furthermore, gokpae related to 【Shuangyuanyang(雙鴛鴦)】, which can be found in Bukgok gokpae but didn t used in Seosanggi Gokmun and Seosanggi,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was also found that gokmun of Beaksangrugi didn t correspond to the standard format of Chinese opera gokpae, and surely the number of sentences and the number of letters in each sentence had a lot of differences,and also Chenzi(襯字) was almost not found in Beaksangrugi.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Gokmun of Beakssangruji gokpae that the Beaksangrugi author s understanding and the using of Chinese opera gokpae had many differences from the writing way of Chinese opera gokmun. Such formal characteristics in gokmun of Beaksangrugi, which doesn t correspond to the standard format, is evidences of attempts to seek a new style while adopting literary styles of Ming and early Qing Dynasty, in addition to Jin, Shengtan s critique Seosanggi.

      • KCI등재

        『북상기(北廂記)』의 곡문(曲文)에 나타난 글쓰기 특징 -김성탄 비평본 『서상기(西廂記)』와 『도화선(桃花扇)』의 비교를 중심으로-

        雷挺 ( LEI TING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5

        본고에는 『북상기』의 曲文(노래가사)에 나타난 형식 특징을 고찰하고, 동시에 그 특징이 형성된 이유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北廂記』는 19세기에 창작된 한문 희곡이다. 지금까지 『북상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창작 시기, 체재 분석, 주제, 인물, 욕망,性담론, 음악, 창작의식 등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북상기』작품의 曲文을 고찰한 연구가 아직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북상기』 곡문에 나타난 글쓰기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먼저 중국 희곡의 특유한 특징인 ‘.字’를 중심으로 『북상기』와 『西廂記』, 『桃花扇』을 각각 비교하면서 친자의 有無를 고찰하였다. 『서상기』는 元雜劇으로 친자가 많고, 『도화선』은 명`청 전기로 친자가 약간 적은 편이다. 한편 『북상기』에는 친자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게 된 배경으로는 『북상기』가 독서물로서 창작된 목적성이 강하게 띄고 있는 점에서 기인한듯하다. 아울러 명`청 전기의 영향도 작용한 듯하다. 다음으로 詞라는 문학 양식을 통해, 『북상기』의 곡문 형식을 고찰하고 비교하였다. 詞는 모두 片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대부분이 上下 兩片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상기』의 곡문도 역시 사와 같이 上下 양편으로 되어 있다. 그 중에 중국 詞의 격식과 운율을 가끔 무시해 지은 곡문이 있었다. 이러한 점은 중국 詞 문학 양식이 조선에 들어와 변용된 것에서 어느 정도 영향관계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조선문인들이 중국 詞·曲 문학에 대해 능통했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북상기』는 희곡작품이면서도 사대부의 독서물로서의 전아한 취향을 고려하여 변용한 글쓰기 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동상기』등의 여타 한국한문희곡과 비교해 보았을 때, 뚜렷이 변별되는 지점이다. 아울러 『북상기』가 명·청전기의 문체를 수용하면서 새로운 문체를 모색하려고 시도하려 한 흔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okmun(lyrics) in Buksanggi and identify the reasons why these characteristics are embodied. Buksanggi is a Chinese drama written in Korea in the 19th century.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conducted on Buksanggi, however, with focus on the date of writing, system analysis, themes, figures, desires, discourse on sex, music, and creative consciousness, etc.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dentified in Gokmunof Buksanggi.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or reviewed the presence of Chinja while comparing Buksanggi, Seosanggi and Dohwasoen with focus on Chinja which is peculiar to Chienese dramas. Seosanggi, poetic drama of the Yuan Dynasty, has a lot of Chinja whereas Dohawswon, drama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hasless Chinja. Meanwhile, Chinja almost does not appear in Buksanggi. It was deemed that Buksanggi was written since it functioned as a reading material, as well as being influenced by the dramas of the Ming and Qing Chuan Qi. Second, the author reviewed the structure of Gokmun of Buksanggi through the form of literature called Sa. Sa mostly consist of 2 Pyeons-the first Pyeon and the second Pyeon. Likewise, the lyrics of Buksanggi also consists of 2 Pyeons-the first Pyeon and the second Pyeon. Of them, some Gokmunignored the formality and rhymes of Chinese Sa, implying this serves as the background to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a literature form in the Chosun Dynasty. At the same time it explained why the literary circle of the Chosun Dynasty was proficient in Chinese Sa. Gok literature. Buksanggi is a drama, yet shows the transformed form of writing considering the graceful taste as the reading materials for the gentry society. These characteristics become distinct when compared with the Korean dramas in Chinese letters such as Dongsanggi. Furthermore, Buksanggi shows a hint that it attempted to seek new writing style when accommodating the writing style of the dramas in the Ming and Qing Chuan Qi.

      • KCI등재

        现代汉语状位新兴程度副词“巨、爆、超”的主观性量性分析

        진의낙,뢰정 중국어문연구회 2023 中國語文論叢 Vol.- No.112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culture, Chinese adverbs in the semi-closed category have appeared a number of new members, such as “ju hao kan(巨好看)”, “bao hao chi(爆好吃)”, “chao ke ai(超可爱)” and so on. They have been around for nearly 2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nd their use has been solidified—and the meaning of Adverb of Degree “Chao(超)” has also been included in the Modern Chinese Dictionary (7th edition). This paper introduces a subjective recognition system for Chinese adverbs designed by Chen Zhenyu⋅Wang Mengying⋅Chen Zhenning(2019). Based on the actual corpus, the subjective index of adverbs “Ju(巨), Bao(爆), Chao(超)” is calculated. The subjective index of adverbial “Ju(巨), Bao(爆), Chao(超)” is ranked from low to high, and the non-free index is ranked from low to high, and the subjective index of adverbial “Ju(巨), Bao(爆), Chao(超)” i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adverbs. Compared with the other two words, “Chao(超)” is the closest to the conventional adverb in subjectivity index and illiberal index, which is used frequently, grammatically and wearily. Considering the special cases in the actual use of language, i.e., “with but not obvious features”, the “0.5” mark has been added to the mark of feature presence or absence. In a word, the subjective quantitative analysis of adverbial adverbs “big, explosive and super” is helpful to reveal the inner differences of adverbs based on subjective semantic analysis.

      • KCI등재

        자극 유형에 따른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의 음향적 특성 연구

        장봉춘,주문현,뢰정,송수화,주롱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에 의해 산출된 한국어 어두 파열음의 음향적 특성을 분 석하였다. 이를 위해 산출실험을 실행하였으며 실험 환경은 두 가지로 하였다. 하나는 주어진 자료를 보고 읽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주어진 실험 자극을 듣고 따라 읽는 것이다. 나아가 두 실험에서 산출된 어두 파열음이 어떠한 차이를 갖는지 VOT와 후행 모음의 F0를 통해 관 찰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고읽기 실험에서 산출된 VOT는 평음-경음-격음의 삼 중 대립을 잘 나타내고, 후행 모음의 F0도 평음-경음/격음의 대립을 잘 보였다. 그러나 따라 읽기 실험에서 산출된 VOT와 후행 모음 F0는 평음과 격음 사이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관찰 되지 않았다. 이는 한국어 평음의 지각적 특성이 한국어 산출에 오류를 유발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조음 방법을 중심으로 한 발음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기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word-initial stops produced by students majoring in Korean in China. To address the goal, pronunciation assessments were performed, and the assessments consisted of two parts. One was to look at and read the material given, and the other was to listen to and repeat the experiment stimulation given. Moreover, how the word-initial stops produced at the two experiments differed was observed with the VOT and following vowel F0.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The VOT produced at the experiment of looking at and reading the material given, the three-way (lenis-fortis-aspirated) phoneme distinction was well observed, and the following vowel F0, too, revealed lenis-fortis/aspirated phoneme distinction well. In the VOT produced at the experiment of listening and repeating, difference between the lenis and aspirated phonemes was not observed. This implies that the auditory perceptual features of Korean word-initial lenis phonemes do not influence Korean pronunciation negatively, and also, it stresses the importance of pronunciation education focused on the manner of articul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