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사의 절명시 「꽃」

        도진순(Doh, Jin-soon)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6

        「꽃」은 육사가 일제의 베이징 감옥에서 쓴 생애 마지막 시로 추정된다. 「꽃」에는 어려운 어휘가 거의 없지만, 여전히 제대로 해독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3연 1~2행에 있는 ‘한바다 가운데 용솟음치는 곳’에 있는 ‘꽃성’의 정체가 해명되지 못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바다 가운데 용솟음치는 곳’에 있는 ‘꽃성’이 불교의 이상향인 수미산(須彌山)에 있는 도리천궁(忉利天宮)을 노래한 것이라고 비정하였다. 그리하여 꽃 은 베이징 감옥에서 죽음을 앞둔 육사가 자기보다 먼저 죽어 이미 수미산 도리천궁에 가 있는 혁명 동지들을 회상하면서, 그들에게 바치는 만가(輓歌)이자 그들의 넋을 다시 부르는 초혼가(招魂歌)라 해석하였다. 육사가 베이징 옥중에서 쓴 ‘절명시 3부작’이라 할 수 있는 「나의 뮤-즈」, 「광야」, 「꽃」 등 모두 죽음 및 영원과 관계되는 것이다. 「나의 뮤-즈」가 육사가 자신의 일대기를 시로 쓴 비명(碑銘)이라면, 「광야」는 그의 유언(遺言), 그의 마지막 시 「꽃」은 먼저 간 동지들의 넋을 부르는 초혼가라 할 수 있다. The Flower by Yuk-sa is presumed to be the last poem written at Japanese Prison in Bei-jing before his death. Even though there are hardly any difficult vocabularies, the poem still has not been interpreted perfectly. The primary reason is due to a misinterpre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ne in the third stanza:“At a spurting place in the middle of a vast sea”, and “the castle of flowers.” This study revealed “At a spurting place in the middle of a vast sea”, and “the castle of flowers” is a metaphorical phrase indicating the Trāyastriṃśa palace(忉利天宮) at the top of the Mount Meru(須彌山) in the Buddhist.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e Flower is an elegy to dedicate the souls of dead revolutionary comrades at the Trāyastriṃśa palace in the Mount Meru, as well as an evocation song calling for the souls. These findings indicate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all of the last trilogy by Lee, Yuk-sa and their sharing theme; death and eternity. As My Muse implies the epitaph of Lee, Yuk-sa’s biography written in a form of poem, the Wildness(광야) is a will for his own, while the Flower is an evocation song calling for the souls of his revolutionary comrade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안중근의 ‘근배’ 유묵과 사카이 요시아키 경시

        都珍淳(Jin-soon DOH) 한국근현대사학회 202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4 No.-

        “安重根 謹拜”로 서명된 유묵 중에 “思君千里”로 시작하는 것이 있다. 이‘근배 유묵’의 受贈人은 오랫동안 불명이다가, 2010년 이후 고종 황제라는 주장이 강력히 제기되어 전파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증자가 高宗 황제가 아니라 일본인 경시 사카이 요시아키(境喜明)임을 밝혔다. 사카이는 한국어에 능통하여 뤼순옥중에서 안중근과 ‘말’ 이 통하는 유일한 신문자였다. 1910년 2월 안중근 재판이 시작되면서 사카이는경성으로 돌아갔지만, 이후에도 두 사람은 한시와 유묵으로 서로 소통하였다. 안중근은 사카이에게 <思君千里> 이외에도 <東洋大勢> <丈夫雖死> 등 謹拜 유묵 3점을 선사하였다. 이로 해서 사카이는 안중근의 ‘근배 유묵’을 가장 많이받은 사람이 되었다. 사카이가 받은 근배 유묵 3점 어느 하나도 받는 사람이 제대로 규명되지않았을 뿐만 아니라, ‘근배 유묵’들은 受贈 일본인 이름이 절삭되는 등 훼손당하였다. 이것의 원인과 배경에는 ‘근배’를 매우 높은 사람에게 바치는 것으로 오해하는 무지와, 일본인에게 유묵을 준 것에 대한 애국주의적 거부감이 자리하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훼손은 진실의 왜곡이며, 특정 일본인을 지목하여 유묵으로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 안중근에 정면으로 反하는 행위이다. 근배 유묵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밝혀진 “대한국인 안중근”의 모든 유묵은 일본인에게 써 준것이다. 안중근은 사카이의 권유로 『안응칠 역사』와 『동양평화론』을 집필한 것으로알려지고 있다. 이것은 사카이의 중요한 공헌이다. 그러나 사카이는 명성황후시해사건에 가담하였고 의병을 진압하고 韓國倂合을 찬양하는 문명개화론적 식민주의자여서, 한국의 독립을 강조하는 안중근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이런사카이에게 안중근이 근배 유묵 3점이나 선물했다는 것은 매우 의외이지만, 이것은 외면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사실을 직시해야만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이 지닌 허와 실을 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Among Ahn Jung-geun’s Calligraphies Signed as “謹拜, there is one that starts with “思君千里”. Since 2010, it has been strongly argued that the the recipient of this calligraphy was the Korean Emperor Gojong(高宗).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recipient was not Kojong, but Sakai Yoshiaki(境 喜明), a Japanese police superintendent. In Lushun(旅順) prison, Sakai was the only interrogator who could communicate with Ahn in Korean. After Ahn’s trial began in February 1910, Sakai returned to Gyeongseong(京城), but the two continued to communicate through chinese poems and calligraphies. Ahn presented Sakai three calligraphies(<思君千里>, <東洋大勢>, <丈夫雖死>), with signature of “安重根 謹拜”. Despite receiving the largest number of Ahn’s “謹拜” calligraphies, no disclosure indicated that Sakai was the recipient of any of the three. The cause is deeply related to ignorance and misguided patriotism. Almost without exception, the Japanese recipient written of Ahn’s “謹拜 calligraphies” was damaged. For unknown recipients, recipients were unreasonably assumed as noble Koreans such as Gojong. However, to date, recipients of all the calligraphies of Ahn are Japanese. The recommendation of Ahn Jung-geun to write the Autobiography and The Oriental Peace Theory is attributed to Sakai as his contribution. However, Sakai participated in the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and was a colonialist who emphasized civilization and praised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so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from Ahn, who emphasizes Korea’s independence. It is very surprising that Ahn presented Sakai with three “謹拜” calligraphies, but this fact cannot be ignored. Only when we face these facts will we see the truth of Ahn’s Oriental Peace Theory

      • KCI등재

        육사의 「청포도」 재해석

        도진순(Doh Jin Soon) 역사비평사 2016 역사비평 Vol.- No.114

        The poem “Cheongpodo(green grapes)”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asterpieces of the poet Yi Yuksa and it has been included in the Korean literatur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betraying its celebrity status, the core keywords of this poem, ‘Cheongpodo’ and ‘Cheongpo(靑袍)’, have still not been properly interpreted in its context.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the revolutionary movement for Korea’s independence by Yi Yuksa and Chinese poems by DùFǔ, this study emphasizes five new interpretations of the poem: 1. “Cheongpodo” is connected with Yi Yuksa’sessay, “Yon-in-gi”, both of which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his revolutionary comrade, Yun Seju. 2. The word ‘Cheongpodo(green grapes)’ is likely to be interpreted as unripe grapes, not green grapes – a type of grapes. 3. The word ‘Cheongpo(blue robe)’ was borrowed from the ‘CheongpoBaekma(blue robe and white horse)’ written by the Chinese poet DùFǔ. 4. Yi Yuksatook ‘Cheongpo’ to symbolize revolutionist aspirations instead of its original negative connotation of rebels or traitors from the poem. 5. “Cheongpodo” is a song of an inspiration feast for weary revolutionists.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the poem “Cheongpodo” should be modified as follows: 1. the image of ‘Cheongpo’ should be understood not as the nobility but as struggling revolutionists. 2. Consequently, the connotation of “Cheongpodo(green grapes)” as being fresh and new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특별기고 : 육사의 「절정」-"강철로 된 무지개"와 "Terrible Beauty"

        도진순 ( Jin Soon Doh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이육사의 시 「절정」에서 핵심이 되는 구절은 시의 마지막 구인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이다. 본 연구는 ``강철로 된 무지개``에 대한 그간의 다양한 견해를 살펴보고, 어느 것도 타당하지 않다고 지적하고, 다음 몇 가지를 논증하였다, 첫째, ``강철로 된 무지개``가 일반적인 채색 무지개가 아니라 형가(荊軻)가 진시황(秦始皇)을 암살하려 할 당시 나타났다는 ``백홍관일(白虹貫日)``의 ``흰 무지개``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이러한 ``흰 무지개``는 전통 사회에서 반역과 불길의 징조였지만, 일제 식민지하 독립운동에서는 윤봉길의 경우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의열(義烈) 투쟁의 상징이 되었다. 셋째, 1918년 일본에서 유명한 ``백홍(白虹) 사건``이 있었기 때문에, 이육사는 ``흰 무지개``라는 표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어서 ``강철로 된 무지개``로 표현하였다. 그간 학계의 주류적 견해는 ``강철로 된 무지개``를 예이츠(W. B. Yeats)의 비극적 환의(tragic joy)에서 차용한 비극적 황홀(tragic ecstasy)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죽음과 수난을 초연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의열투쟁을 적극 지지하던 육사와 「절정」의 시세계와는 맞지 않다. 그것은 예이츠가 「1916년 부활절」에서 제국의 끔직한 탄압에 의해 오히려 독립의지가 강화되는 ``끔직한 아름다운(terrible beauty)``과 비견될 수 있다고 본다. The core verse from the poem by Yi Yuksa, "Joel-jeong(climax)" is the last verse, ``winter might be the steel rainbow.`` This study examines various views on the ``steel rainbow`` to indicate invalid views based on following arguments : ① The ``steel rainbow`` is not a typical multi-colored rainbow readers perceive. The phrase is derived from ``white rainbow`` of the ``Baekhong Gwanil(白虹貫日)`` of which appeared when Jingke(荊軻) made an attempt to assassinate the First Qin Emperor(秦始皇). ② Even though this ``white rainbow`` was seen as a premonition of treason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 phrase became a symbol of patriotic struggl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independence movement as one can see with the case of Yun Bong-gil(윤봉길). ③ Since Yi Yuk-sa could not directly use the expression ``white rainbow`` due to the well-known ``Baekhong Incident(日虹事件) of 1918`` in Japan, Yi Yuk-sa expressed the ``white rainbow`` metaphorically as the ``steel rainbow.`` The predominant view of the academia interprets the ``steel rainbow`` as the ``tragic ecstasy`` derived from the ``tragic joy`` which was defined by W. B. Yeats. However, this interpretation of remotely accepting death and suffering is invalid considering the poetic world of Yuk-sa and "Jeol-jeong" strongly endorsing the patriotic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Rather, the ``steel rainbow`` can be comparable to the phrase ``terrible beauty`` from Yates` "Easter 1916." The ``terribly beauty`` portrays the terrible oppression of the British Empire rather strengthened the passion of the Irish independence.

      • KCI등재

        1842년 김대건의 에리곤호 항해와 아편전쟁 : 항해일지와 여정(마닐라, 臺灣, 定海, 吳淞)

        도진순(Doh, Jin-Soon),남지우(Nam, Ji-Woo) 한국교회사연구소 2021 敎會史硏究 Vol.- No.59

        1842년 2월 마카오에서 조선 신학생 김대건이 세실(J.-B. Cécille) 함장의 프랑스 군함 에리곤(Érigone)호에 탑승하였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거의 없으며, 그리하여 기초적인 항해 여정에 대해서도 착오가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에리곤호의 항해 여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항해일지(Campagne dans les mers de l’Inde et de la Chine, à bord de la frégate l’Érigone)를 발견·분석하여 1842년 2~6월 에리곤호의 항로를 구체적으로 추적·정리하였다. 항해일지를 통해 관련되는 김대건의 서한도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었으며, 또한 에리곤 항해와 정박에 대한 그간의 여러 가지 오류를 바로잡을 수 있었다. 김대건의 에리곤호 탑승 기간은 1842년 2월 15일 마카오에서 9월 11일 吳淞까지 7개월 정도에 이른다. 그중에서 항해일수는 26박 27일로 채 1개월이 되지 않은 반면 마닐라, 舟山, 定海, 吳淞에서의 정박 기간은 6개월이나 되었다. 에리곤호가 이처럼 오랜 기간 정박한 원인은 아편전쟁 때문이었다. 1842년 9월 11일 세실의 조선행 거부로 김대건은 吳淞에서 하선하여 그의 고국행은 좌절되었다. 그러나 에리곤호 탑승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는 조선인으로서 처음으로 근대의 상징인 군함에 탑승하였으며, 이를 타고 조선이 天朝로 事大하며 세계의 중심으로 섬기고 있는 중화 문명이 ‘영국 오랑캐(英夷)’에게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는 시대의 대전환을 목도하였다. 이것은 마카오와 필리핀에서 4년여 동안 신학교의 울타리 내에서 배울 수 없는 역사적 광야에서의 경험이었다. 이를 통해 김대건의 心象地理는 남다른 시야를 확보하게 되었을 것이고, 육제적·정신적·영적으로 많이 성숙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As a seminary student from Joseon, Kim Daegeon, the first Korean-born Catholic priest, joined the voyage of the French frigate Erigon commanded by Captain J. B. Cécille on the journey from Macau to Wusong in 1842. The journey was his first attempt to go to Joseon, and was a very important event that influenced his subsequent activities. However, the detailed itinerary of the trip was not known due to the lack of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voyage logbook: Campagne dans les mers de l’Inde et de la Chine, à bord de la frégate l’Érigone, obtained the precise route of the Erigon from February to September of 1842. This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thoroughly review Kim Daegeon’s letter on Erigon’s voyage and amend various errors concerning his voyage on Erigon. Kim Daegeon’s journey on Erigon took nearly seven months. While the anchorage period in Manila, Dinghai, Wusong was six months, the sailing period only took a month. The reason why Erigon anchored for such a long time was due to the Opium War. As Cécille rebuffed to go to Joseon, Kim Daegeon disembarked from Erigon on the 11<SUP>th</SUP> of September 1842 at Wusong. Albeit his primary boarding purpose of returning to the homeland foiled, the meaning of his embarkation is significantly consequential. Kim Daegeon was the first Korean to board a western warship, a symbol of modernity. While aboard, he witnessed a significant power change in the era ; The Chinese civilization, considered to be the most advanced, was overthrown helplessly just by the ‘British barbarian(英夷).’ This historical experience was invaluable to him, a knowledge that could not be attained within the boundaries of a seminary over four years in Macau and the Philippines. Through the experiences, Kim Daegeon greatly broadened his view of the world, and made a sizable progress physically and spiritual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