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도승이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n society. The character education is important in order to overcome the negative side effects of the society and to produce the future human resources. The author suggest that character education could help the economy of the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by raising social capital, as well as overcome people's psychological suffering caused by the rapid industrialization. For successful character education, the definitions of the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need to be clear, specific and include the values of current society. Chi et al. (2013) have suggested the construct of character and it is composed of 3 areas and 7 sub-components. Three areas of character are 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The morality includes honesty/justice, responsibility, and ethics. The sociality includes caring/service and empathy. The emotionality includes positive self-understanding and self-reg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 educatio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부작용 극복과 미래사회 인재 양성을 위해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먼저, 인성의 다양한 개념들을 소개하고 현대사회에 맞게 인성의 개념이 어떻게 발달하였는지를 설명하고 선진국에서 실시하는 인성교육의 실태를 소개하였다. 인성교육을 학교폭력 등 현대사회의 부작용을 해결하는 측면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사회적 자본의 확충과 미래 인재의 양성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현대 한국사회에 적절한 인성의 구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지은림, 도승이, 이윤선(2013)의 인성구인 3개 영역(도덕성, 사회성, 정서성) 7개 하위 요소(정직/정의, 책임, 윤리, 배려/봉사, 공감, 긍정적 자기이해, 자기조절)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실천방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협동학습에서 학생들의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도승이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ud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Data sources included the interviews from 8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Open, axial coding result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1) the condi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that are positively and negatively perceived by students, 2) the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3) the consequences from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cooperative learning situation. Additionally, making jokes during discussion, developing closeness among students, and students' expectation of the instructors' help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강조한 협동학습 상황에서 대학생의 과제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가 어떻게 학생의 사고 및 동기의 과정과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를 긍정적 과정과 부정적 과정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자 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근거이론 분석법을 사용하여 개방코딩과 축 코딩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과제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 관점에서 긍정적, 부정적 협동학습의 조건 과 협동학습 과정과 그 결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협동학습 과정에서는 조원이나 본인이 이해 가 잘 안될 때, 의견 대립 시 합의도달 과정으로 구분하고, 협동학습의 결과에서는 과제적 요소 와 사회적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학생들이 협동학습 상황에서 경험하는 인지적, 정의적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의 제안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공대 남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여자 공대생의 전공수업 및 진로관련 심리적 요인 예측변인 탐구

        도승이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psychological factors and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predicts the adjustment to the class,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es, the career aspirations, and the career self-efficacy of male and female engineering students.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competence was the most predictable factor for both male and female engineering students. Also, the female students' perceived stereotypical responses from the professors during the class and the male colleagues during the group activities were important predictors on their career related variables. The small number of the role models in the engineering school environments for female engineering students were also the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the satisfactions of the class and the adjustment to the class.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wa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남녀 공과대학생의 학업에 대한 심리내적요인과 환경지각요인이 이들의 전공 및 진로 관련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심리 내적변인, 즉 유능성지각, 자율성지각, 사회적 기술, 스트레스 대처기술과 환경지각 변인 즉, 교수자 성역할기대, 학생 성역할기대, 역할모델의 유무, 소속감, 전공수업관련 요인인 전공 만족도, 수업적응과 진로관련 요인인 진로포부,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상호관련성이 있는지, 그리고 전공수업과 진로관련 요인을 심리내적변인과 환경지각변인이 어떻게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공과대학 학생 956명(남학생 638명, 여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과대학의 남녀 학생 모두 교수자 성역할기대와 학생 성역할기대가 다른 변인들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남녀 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전공수업 적응을 예측하는데 개인의 심리 내적변인에서는 유능감지각, 자율성지각의 동기적 변인이 중요한 변인이었으며, 유능감지각, 교수자 성역할기대 변인이 남녀 학생의 진로포부와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이었다. 역할모델의 유무는 남학생의 전공 및 진로관련 변인만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여성의 진출이 증가하고 있는 공과대학에서의 성차연구와 여학생의 심리적 기제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차세대영재기업인의 생애단계별 성장발달 경로의 종단적 탐색

        도승이,성은현,한주연,한윤영,정유선,박춘성 한국영재교육학회 2019 영재와 영재교육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validate the potential growth of developmental paths by longitudinal. In this research, participants were 13 students from first term to third term, who have finished the courses for gifted entrepreneur of next generation at KAIST and POSTEC institutes. And the same participants were tracked to empirically validate the potential growth of development path done by Yu(2015) by investigating how they are divided in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open coding and axis coding procedures proposed by Corbin & Strauss (2008). As a result, three types of potential growth of developmental path of the gifted entrepreneur of next generation in Yu’s research in 2015, which are ‘early venture,’ studying-venture,’ ’job-venture,’ were divided into 4 types, which are ‘venture,’ ‘venture-job,’ ‘studying,’ ‘job.’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사교육 의존도에 따른 학업우수 중학생의 특성 분석 -국어․영어․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도승이,김성식,김현철,손수경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pendency of private-tutoring. The variables are the time and cost of private tutoring,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support of education, perceived classroom activities, perceived teachers' knowledge and passion, teacher efficacy), and the individual student variables(time to study,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cognitive strategies, and test stress). For this purpose, cluster analysis, ANOVA, and Scheffé post-hoc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ree to five clustered were develop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dependency on private tutoring, that is the highest in time and cost of private tutoring, does not guarantee the highest scores. Moreover, students’ self-efficacy, intrinsic motivation, cognitive strategies, parental support of education, perceived classroom activities, perceived teachers' knowledge and passion are important factors because students with high level of these variables showed high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dependency on private tut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표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별 상위 30%의 학업우수 중학생을 대상으로 사교육 의존도에 따른 학생 개인외적 변인(사회경제적 배경, 부모 교육지원, 지각된 교사의 수업활동, 지각된 교사의 지식 및 열정, 교사효능감, 지역)과 학생 개인내적 변인(과목별 개인공부시간, 자기효능감, 내재동기, 인지조절전략, 시험스트레스)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집분석, 분산분석,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고, 국어, 영어, 수학 과목에 대해 각 학년별로 4-5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분석 결과, 사교육에 의존이 가장 높은 군집, 즉 사교육에 시간과 비용을 가장 많이 쓰는 학생 집단의 성적이 높기는 하였으나 반드시 성적이 가장 높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과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사교육 의존이 매우 높거나 두 번째 또는 평균 수준이지만 성적이 더 우수한 학생 군집의 특징은 개인 내적변인인 자기효능감, 내재동기, 인지조절전략의 수준이 높았고, 외적변인인 부모교육지원이 높았고, 교사의 수업활동과 열정 및 지식을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다. 이 결과는 사교육 요소만으로 중학생의 학업성취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학생의 개인 외적·내적 변인들도 중요한 결정요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후속연구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중학생 학업성취도에 대한사교육 및 자기조절학습의 효과 분석

        도승이,김성식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level variables as well as individual level variables, which together can change the effect of private-tutoring. For this purpose, 3-level hierarchical growth modeling to the longitudinal data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private tutoring has a strong relationship with initial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 bu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achievement during the middle school year.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student’s achievement, but not much effect in school level. Third, the schools with high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partly decrease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 achievement. Fourth, the effect of the private education for each subject (Korean, English, Mathematics) has not shown, except for the expences spent on Mathematics. However, all the self-regulated strategies on students’ level have shown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three subjects and those on school level have shown par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might only be psychological phenomenon, and imply that self-regulated learning — self efficacy, cognitive strategies, efforts — should be considered as key elements in a policy for reducement of private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의 효과를 분석하고 그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주순 변인과 학교수준 특성 변인을 탐색하였다. 사교육의 경우 사교육 참여, 사교육 시간, 사교육 비용 변인으로 나누어 알아보았고, 자기조절학습 변인은 인지전략, 자기효능감, 노력 변인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3-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사용하여 중학생 학업성취의 출발시점과 3년간 향상도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교육 참여 정도는 출발 시점의 학업성취 수준과 어느 정도 관련성을 보였지만, 그 이후 성적의 향상도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은 학생 수준의 학업성취에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학교 수준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여 주었다. 셋째, 학교 수준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은 사교육 효과를 부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목별 성취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는 수학 성적에 대한 사교육 비용의 효과를 제외하고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과목별성취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의 효과는 학생 수준에서 1학년 초기 성적과 성적 향상에 대해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학교 수준의 자기조절학습 변인 역시 부분적으로 학성성취에 대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을 기반으로 학생들이 인지전략, 자기효능감, 노력 등 자기조절학습에서 높은 수준을 보일 때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가 경감될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