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말레이지아 세랑고지역 부식질토양경지 잡초식생의 정량생태분석

        바키 빈 바카,훼니 옹 ,권용웅,Bakar, Baki Bin,Wong Nyuk Yin, Fenny,Kwon, Yong-Woong 한국잡초학회 1997 Weed&Turfgrass Science Vol.17 No.4

        Collated data from the 1995-1996 floristic surveys of weeds of arable peat in Selangor district were analysed to assess composition and dominance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based on quantitative and dispersion indices. Forty eight weed species belonging to 19 families of which 31 were broad leaves, 10 grasses and 7 sedges were sampled and these ware translated as 77.8 and 15% of the total cover, respectively, The respective important values were 71.11 and 18%. Ten species in the onder of dominance were Fimbristylis acuminata, Murdannia nudiflora, Hedyotis corymbosa, Ageratum conyzoides, Asystasia gangetica, Cleome rutidosperma, Cyperus sphacelatus, Lindernia crustacea, Ludwigia hyssopifolia of spatial distribution based on variance-to-mean ratios, Llouds mean crowding or Lloyds patchiness indices. Other species were either random or regular in their spatial distribution. Differences in species-dominance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may be attributed to inherent variations in patchiness and fecundity schedules of each weed species, crops, cropping patterns and agronomic practices prevailing in the area. 말레이지아 Selangor지역(地域)의 부식질 경지토양(耕地土壤)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경지(耕地)의 잡초식생(雜草植生)을 조사하고 정량적 생태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이 지역(地域) 경지잡초(耕地雜草) 종조성(種組成)은 19과(科)에 속하는 31종(種)의 광엽잡초(廣葉雜草), 10종(種)의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 7종(種)의 사초과(莎草科) 잡초(雜草)로 이루어졌고, 잡초(雜草)의 식생피도(植生被度)에서 각각 77. 8. 15%를 점유하였으며, 이들의 중요도(重要度)는 각각 71, 11, 18%이었다. 2. 이 지역(地域) 경지잡초(耕地雜草)중 10종(種)의 우점종(優點種)은 우점도(優點度) 순위(順位)에서 Fimbristylis acuminata, Murdannia nudiflora, Hedyotis corymbosa, Ageratum conyzoides, Asystasia gangetica, Cleome rutidosperma, Cyperus sphacelatus, Lindernia crustacea, Ludwigia hyssopiflora 및 Ludwigia perennis이었다. 3. 이상과 같은 초종간(草種間) 우점도(優點度) 및 공간분포유형(空間分布類型)의 차이(差異)는 각 초종(草種) 본래(本來)의 종자생산성(鐘子生産性) 및 번식습성(繁殖習性)과 군집성(群集性)의 차이(差異)와 이 지역(地域) 경지(耕地)의 작물종류(作物種類), 작부체계(作付體系) 및 경종방법(耕種方法)과 제초관행(除草慣行)의 차이(差異)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 Quantitative Assessments and Spatial Pattern Analyses of Weed Seed Banks of Arable Peat in Selangor, Malaysia

        바키 빈 바카,권용웅,훼니 옹 ,Bakar, Baki Bin,Kwon, Yong-Woong,Yin, Fenny Wong Nyuk 한국잡초학회 1997 Weed&Turfgrass Science Vol.17 No.3

        말레이지아 Selangor지역(地域)의 부식질 경지토양(耕地土壤)의 토심(土深) 0-25cm에 매립(埋立)되어있는 잡초종자(雜草種子)들의 종류(種類)와 분포특성(分布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였으며, 이를 지상(地上)에 자라고 있는 잡초식생조사결과(雜草植生調査結果)와 관련시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경지토양(耕地土壤)에 매립(埋立)되어 있는 잡초종자(雜草種子)는 14과(科)에 속하는 45종(種)의 잡초(雜草)가 식별되었으며, 그중 24종(種)이 광엽잡초(廣葉雜草)이었고, 화본과(禾本科) 12종(種), 사초과(莎草科) 9종(種)으로 지상(地上)에 자라고 있던 19과(科) 31종(種)과는 다소 달랐다. 2.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는 $8.14{\times}10^7$/ha 토심(土深)25cm 수준이었으며, 초종별(草種別)로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에 큰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에서 광엽잡초(廣葉雜草) 53.2%,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31.2%, 사초과잡초(莎草科雜草) 15.6%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3.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종자수(種子數)ha 토심(土深) 25cm)가 많은 10 순위(順位) 초종(草種)은 Cleome rutidesperma($2.347{\times}10^7$), Heteropogon contortus($5.64{\times}10^6$), Paspalum commersonii(4$4.64{\times}10^6$, Amaranthus gracilis ($3.60{\times}10^6$), Bracharia reptans($3.30{\times}10^6$), Fimbrysylis miliacea($2.64{\times}10^6$), Eleusine indica ($2.32{\times}10^6$, Murdannia nudiflora($2.08{\times}10^6$, Ageratum conyzoides($1.92{\times}10^6$), 및 Mimosa pudica($1.92{\times}10^6$)이었다. 4.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의 토심별(土深別) 분포(分布)는 표토(表土) 0-10cm에 69%, 10-15cm에 17.9%, 15-20cm에 8.6%, 20-25cm에 4.0%로서 표층(表層)에 현저히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5. 토중(土中) 매립종자수면(埋立種子數面)에서의 우점종(優點種)은 지면생육중(地面生育中)의 우점도(優點度)와 달라서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가 제일 많은 C. rutidesperma는 지상(地上)에서 우점도(優點度) 6순위(順位) 이었고 지상(地上)에서 우점도(優點度) 2, 4순위(順位)이었던 M. nudiflora와 A. conyzoides가 매립종자수(埋立種子數)에서 각각 8, 9순위(順位)이었으며 그 밖에는 우점도(優點度) 10순위내(順位內)에서 서로 관련되지 않았다. 6. 매립종자(埋立種子)들의 지리적(地理的) 위치분포(位置分布)에 관하여 분산/평균비(分散)/平均比), Lloyd의 평균군집도(平均群集度), Lloyd의 집중성(集中性) 분석(分析)을 한 결과 평균군집도(平均群集度)가 Cyperus iria 등 5초종(草種)은 1.244수준인데 대하여 Cleome rutidosperma는 9,607.7이었고, 우점도(優點度)는 Aeschynomene indica의 5.1 에서 Bracharia reptans의 188.5까지 초종별(草種別)로 다양한 차이(差異)를 보였다. Collated data from the 1995-1996 field surveys of weed seeds buried in the plough layer of peat soil in Selangor district were analysed to assess species-dominance and spatial pattern of distribution of weed seeds based on selected quantitative indices and index of dispersion. Forty five species within 14 families were recorded of which 24 were broadleaves, 12 grasses and 9 sedges. They comprised ca. 53.2, 31.2 and 15.6%, respectively based on total population counts. Total seed population was ca. $8.14{\times}10^7$ seeds/ha within the fast 25cm soil depth. Wide variabilities in population counts were registered among species ranging from < $7.0{\times}10^4$ seeds/ha for Amaranthus gracilis to ca. $5.64{\times}10^6$ seeds/ha for Heteropogon contortus. Seeds of Cleome rutidesperma was the most abundant(ca. $2.347{\times}10^7$ seeds/ha). Difference in seed population counts may be attributed to inherent variation in fecundity, population fluxes, thei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and the agronomic practices prevailing in the areas of survey. The profile distribution of soil seed banks was skewed within the first 0 - 10cm depth, comprising ca. 69% of the total seed counts. Seed counts in the 10 - 15, 15 - 20 and 20 - 25cm soil profiles were in the order of 17.9, 8.6 and 4.0% of the total populations, respectively. Weed seeds of all species displayed different degree of aggregated pattern of distribution with variance-to-mean ratios of > 1 and Lloyd's mean crowding($m^*$) values from 1.244 for Cyperus iria, Phyllanthus debilis, Phyllanthus urinaria, Scirpus grosses and urinaria lagopodiodes to 9607.7 for Cleome rutidosperma. Lloyd's patch indices(Ip) ranging from 5.1 for Aeschynomene indica to 188.5 for Bracharia reptans were registered. Differences in the VMR, $m^*$ and Ip values among species suggested inter-alia inherent variabilities in their disposal capacity from seed source and different agronomic practices prevailing in the areas survey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