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행촉발요인조사서를 통한 소년범 재범 예측 연구 -생존분석을 중심으로-

        노혜선,이수정,장유미 한국경찰연구학회 2018 한국경찰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isk factors predicting the recidivism of juvenile offenders based on a Risk Assessment Tool for Juvenile Offender at Police Investigation and to verify a predictability of the Risk Assessment Tool for Juvenile Offender. The risk factors consisted of subscales of the Risk Assessment Tool as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ere Family Structure, Family Function, School Life, Criminal Record and Environment, Runaway Experience, and Personal Risk Factors. 39 juvenile offenders were researched to evaluate the predictability of the assessment tool. The mean period of observation was about 13 years. Cox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rive results. As a result, family structure and family function were identified to be explanatory risk factors for predicting the recidivism of juvenile offenders. Furthermore, at the end of the follow-up period, a survival rate of high risk juvenile offend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 This suggested that the Risk Assessment Tool for Juvenile Offender could help in decision making of criminal justice system for juvenile offenders. This result supported the previous study that juveniles in broken families were more exposed to the risk of crime, and suggested that evaluators with expertise need to note whether juveniles are neglected when they are asse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predictability of the Risk Assessment Tool for Juvenile Offender and significant risk factors on recidivism by follow-up research for long-term period more than 10 years. It also provides suggestion for a follow-up study and policies based on this result. 본 연구는 비행촉발요인조사서를 바탕으로 소년범의 재범 여부를 장기 추적하여 어떠한 위험요인이 소년범의 재범을 예측하는가를 분석하며, 비행촉발요인조사서의 예측타당성을 규명함에 목적이 있다. 위험요인은 비행촉발요인조사서의 하위 척도인 가족의 구조, 가족의 기능적 역할, 학교생활, 가출경험, 비행전력 및 환경, 개인적 위험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예측타당성 평가를 위해 소년범 39명을 대상으로 평균 약 13년간의 재범 여부를 추적하였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Cox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의 구조와 가족의 기능적 역할이 소년범의 재범을 예측하는 설명력 있는 위험요인으로 밝혀졌다. 재범위험성에 따른 생존분석 결과, 재범위험성이 높은 집단일수록 누적 생존확률이 가장 빠르게 하강하였으며, 가장 마지막 시점에서의 생존확률을 보았을 때 재범위험성이 낮을수록 더 많이 생존함이 발견되어 비행촉발요인조사서가 재범을 예측함에 있어 타당함이 나타났다. 본 결과는 결손가정의 청소년이 범죄의 위험성에 더 많이 노출되어있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였으며, 비행촉발요인조사서 평가시 방임 여부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10년 이상의 장기적 관찰기간을 두고 소년범의 재범을 추적하여 유의한 재범 위험요인과 비행촉발요인조사서의 예측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논의를 토대로 후속 연구 제안과 소년범 재범 예방에 관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형 출소자 대상 낙인척도 타당화

        노혜선,공정식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9 경찰학논총 Vol.14 No.4

        본 연구는 국내 출소자의 낙인인식을 평가하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Philips (2016)가 범죄자의 낙인인식 수준을 여러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측정하고자 제작한 범죄자 낙인인식 척도(Stigma Perceptions Scale)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국내 출소자를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원척도에서 제시한 낙인인식의 영역은 대중낙인인식(perceived public stigma), 대인낙인인식(perceived personal stigma), 자기낙인(self-stigma)으로, 이 3요인 구조가 국내 출소자에게 적합한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원척도 문항에 대해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쳤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받아 문항 내용을 수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출소자 4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한국형 출소자 대상 낙인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에서 제시한 요인 구성과 동일한 3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원척도에서 제시한 하위 척도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대중낙인인식, 대인낙인인식, 자기낙인으로 명명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총 33문항(대중낙인인식 11문항, 대인낙인인식 11문항, 자기낙인 11문항)의 내적 일치도와, 각 하위 척도의 문항-총점 간 상관이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나 본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낙인척도와 주관적 삶의 질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를 분석한 결과, 낙인척도와 주관적 삶의 질 척도 및 회복탄력성 척도가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에 있어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제약-비제약모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인척도와 주관적 삶의 질 척도가 서로 다른 개념을 측정하고, 낙인척도와 회복탄력성 척도 또한 각각 다른 개념을 측정하는 척도임이 나타나 낙인척도의 변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형 출소자 대상 낙인척도가 국내 출소자의 낙인인식 수준을 측정함에 있어서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도구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Released Convicts’ Stigma Scale (K-RCSS) developed by Philips(2016). To verify the scal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igma scale translated into Korean for 402 released convict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hilips’ has the three-factor structures: perceived public stigma, perceived personal stigma, and self-stigma. To validate thi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RCSS was confirmed an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were verif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K-RCSS consisted of three-factor structures same as the original scale which were self-stigma, perceived personal stigma, and perceived public stigma. Second,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33 items(11 items of self-stigma, 11 items of perceived personal stigma, and 11 items of perceived public stigma) and item-total correlation were demonstrated to be significantly high. Lastly,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Scale and the Resilience Scale were applied to verify the convergence validity and the discrimination validity of the K-RCSS. The convergence validity of the K-RCSS was confirmed as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three scales. The Result showed the K-RCSS correlated with each two scales negatively. In addition, discrimination validity of the K-RCSS was attested by comparing nested models with non-nested models with each sca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del fits of non-nested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both results. These demonstrated the discrimination validity of the K-RCS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e K-RCSS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measuring the stigma perception level of the released convicts in Korea.

      • KCI등재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한 게임 캐릭터 능력치 생성 방식

        노혜선,이대웅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4

        게임 캐릭터의 성장은 능력 수치의 가감으로 표현되는데, 이때 능력 요소는 게임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의 능력 요소가 어떻게 정의되고 사용되는지 알아보고, 캐릭터의 생성할 때, 능력 수치를 부여하는 방식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방식은 캐릭터의 성장을 시간이라는 요소와 연결하여 시간의 변화에 맞추어 캐릭터가 적합한능력 수치를 가지고 생성되도록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디자인한다. 시간의 변화에 맞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식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The growth of a game character is represented by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the status value. The status factors are variously defined and used depending on the kind of games. In this paper, we propose how character 's status elements are defined and used. We also propose a method for assigning a status value when generating a character considering growth. This method is designed using genetic algorithms to link the growth of a character with an element of time and to generate a character with the appropriate status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based on time variation.

      • KCI등재

        출소자의 낙인인식과 분노대응의 관계 -회복탄력성과 부적 정서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정현,공정식,노혜선 한국범죄심리학회 2019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ath to anger coping of ex-prisoners who perceive the stigma after released from the prison in a stage for preventing recidivism and community adaptation. To achieve the purpose, it is designed here that the anger coping is separated into the positive and negative coping. Resilience and negative emotion, which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on the prior studies, are investigated to have dual-mediation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s the data collected from research service project in 2018 of the Korean Rehabilitation Ag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tigma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egative coping, but when the negative emotion is included into the research model, its influence is reduced as only remaining the effect of the negative emotion on the negative coping. In addition, it is verified that the stigma affects the negative emotion by sequentially mediating the resilience. Also, the stigma against ex-prisoners has direct effects on the positive coping and the resilience and statistically the indirect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igma and the positive coping. On the other hands,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negative coping and the negative emotion on the positive coping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reduce the negative coping and strengthen the positive coping of ex-prisoners. 본 연구는 출소자의 사회적응과 재범방지를 위한 단계에서, 화가 났을 때 분노대응에 이르는 경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도소 수감생활을 마친 출소자의 낙인인식이 분노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 대응과 부정적 대응으로 구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주요인에 해당하는 회복탄력성과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연구용역사업인 「공단 합동결혼지원 대상자 가족들의 현황 및 실태조사(2018)」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낙인인식이 부정적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적 정서가 부정적 대응에 미치는 경로를 포함하는 경우 그 영향력이 감소되고, 부적 정서가 부정적 대응에 미치는 영향만이 유의미하게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인이 부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출소자의 낙인인식이 회복탄력성과 긍정적 대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으며, 회복탄력성이 낙인인식과 긍정적 대응 간의 관계에서 간접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회복탄력성이 부정적 대응에 미치는 영향과 부적 정서가 긍정적 대응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출소자의 부정적 대응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대응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갑질 특성 연구

        유성희,강선혜,노혜선,이수정 한국교정학회 2018 矯正硏究 Vol.28 No.3

        ‘Gapjil’, an immoral behavior of socially and economically important member of the society, became a major interest in South Korea. Each time a highly placed corporate executive or celebrity commits amoral and illegal act, ‘Gapjil’ is used frequently in the media. In this paper, authors analyze ‘Gapjil’, which is the unique social phenomenon in Korea by comparing two different perspectives; a criminological perspective represented by White-collar crime theory vs. a personality psychological perspective shown by White-collar psychopath theory. Considering that an institution or a person who commits ‘Gapjil’ possesses a prominent position in the society, ‘Gapjil’ corresponds to white-collar crimes that require ‘superior social position’ as one of the core factors. On the other hand,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impulsiveness and rage of ‘Gapjil’ also suggest a possible relationship with white-collar psychopaths. Based on the two perspectives, public’s understanding on ‘Gapjil’ is studied. Big data analysis is used to collect text files from NAVER news and Twitter between 2013 and 2018. Each text files are then analyzed using text-mining technique to list frequency of specific key-words and repeated words. After scrutinizing top 50 words selected from 150 most-frequently used words, the study found that words relevant to social characteristics are used more often than words related to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in describing ‘Gapjil’. Based on the result, public’s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Gapjil’ lean toward on the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one’s position, job, and power. For this result, understanding ‘Gapjil’ with white-collar crime theory sounds more probable. 최근 대한민국에서는 사회·경제적으로 지위가 있는 사람들의 비윤리적 행위인 ‘갑질’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이 비도덕적 행위 혹은 범죄를 저지를 때마다 미디어에 ‘갑질’이라는 용어가 빈도 높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갑질’ 행위를 범죄학적 관점(화이트칼라 범죄이론)과 개인 성격적 관점(화이트칼라 사이코패스이론)으로 비교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갑질’을 범죄학적 관점으로 설명하면 ‘갑질’의 행위자는 대부분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개인 또는 집단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위치가 중요요인인 화이트칼라 범죄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개인 성격적인 관점인 화이트칼라 사이코패스이론을 통해 ‘갑질’을 해석하면 ‘갑질’ 행위자의 사회적 지위를 배제하고 개인의 성격특질인 충동성, 폭발적 분노 등을 ‘갑질’의 원인으로 보아 ‘갑질’ 행위자가 화이트칼라 사이코패스의 성격특질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사용해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네이버 뉴스기사와 소셜미디어의 한 종류인 Twitter 기록의 문자파일을 수집하여 각 파일 안에서 사용된 특정 단어와 중복되어 사용된 단어들의 빈도를 추적하였다. 연차별로 150개의 단어를 선발해 상위 50위까지의 단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특성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개인적 성격특질을 나타내는 단어들보다 많은 수를 보였다. 이를 통해 대중의 ‘갑질’에 대한 인식은 행위자 개인의 성격특성보다 행위자의 직업과 지위 등 사회적 특성에 더 집중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대중들이 ‘갑질’ 사건을 보는 시선은 앞선 두 가지 범죄이론 중 화이트칼라 범죄이론에 더 부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법무보호대상자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현문정,공정식,노혜선,권준성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20 법무보호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silience program for ex-offend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the discussion that resilience is a major factor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ex-offenders. In order to develop a reliable resilience program, it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resilienc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ex-offenders by differentiating them from the general public. In this study, resilience was constructed as factors tha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o the ex-offenders in previous studies. The category of resili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ositive thinking,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hip, and each category was composed to include three components. Based on these factors, the program was propos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the overall resilience level in 8 sessions, and the activities were selected to treat the components of resilience in each session. As a result, the overall level of resilience of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and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level of resilience within the group of the participants, the overall level of resilience,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resilience of the subjec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did not change. These result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silience program, and the program can be used for the social adaptation. 본 연구는 법무보호대상자의 심리요인 중 회복탄력성이 이들의 사회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에 주목하여, 법무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법무보호 대상자를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법무보호대상자 집단 의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을 일반인과 차별화하여 재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법무 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법무보호대상자에게 유의하다고 밝혀진 요인들로 회복탄력성을 구성하였다. 회복탄력성 중범주는 긍정사고, 정서통제, 사회관계로 총 세 범주로 분류되고 각 중범주에는 세 가지의 하위요인이 포함되도록 구성하 였다. 긍정사고에는 자존감, 생활만족도, 자기낙인이 구성되어 있고 정서통제에는 원인분석력, 긍정적 분노대응, 부정적 분노대응이, 사회관계는 소통능력, 공감능 력, 사회적 지지가 구성요인으로 포함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구성안을 제안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 단계를 거쳐 타당성이 검증된 법무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진행하였으며, 각 회기마다 목표한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을 다루도록 활동내용을 선정하였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의 남성 법무보호대상자 중 14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제 운영하였고 중도탈락 자를 제외한 10인의 법무보호대상자를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마찬가지로 경 기지부의 남성 법무보호대상자 중 11인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으 로 구성하여 두 집단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법무보호대상자의 전체 회복탄력성 수준이 참여 하지 않은 법무보호대상자에 비해 증가하였고 정서통제와 사회관계 수준도 유의 하게 증진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 집단의 회복탄력성 변화를 파악한 결과 에서도 프로그램 수료 이전에 비하여 프로그램 수료 이후 전체 회복탄력성 수준 과 정서통제 및 사회관계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법무보호대상자들의 회복탄력성 수준은 모두 변화하 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법무보호대상자의 회복탄 력성 향상에 효과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추후 공단에서 본 프로그램을 법 무보호대상자의 사회적응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 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을 논의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