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소아 청소년에서 비만 및 대사 이상의 유병률

        노한내,김규리,엄지현,김정태,진선미,서지영,한혜원,박화영,윤혜선,안영민,손근찬,Nho, Han-Nae,Kim, Cu-Rie,Uhm, Ji-Hyun,Kim, Jeong-Tae,Jin, Sun-Mi,Seo, Ji-Young,Hahn, Hye-Won,Park, Hwa-Young,Yoon, Hye-Sun,Ahn, Young-Min,Shon, Keun-Ch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2

        목 적: 식생활의 서구화와 운동량의 감소로 우리 나라에서 소아 비만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비만아에서는 고혈압, 이상 지질 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및 당뇨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비만의 유병률 및 비만아에서 동반되는 대사 이상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비만의 정도에 따른 대사 이상의 유병률 변화에 대하여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노원 을지병원에서 학생 건강 검진을 받은 8,880명의 초 중 고등학생의 기록을 분석하였다. 비만의 유병률은 체질량 지수와 비만도로 측정하였으며 비만 및 과체중인 소아 청소년 각각 588명과 488명을 대상으로 AST 수치, ALT 수치, 공복 혈당, 총콜레스테롤을 검사하였다. 각 검사 항목별의 유병률과 비만의 정도에 따른 유병률 변화에 대하여 t-test, ANOVA 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value 0.05 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체질량 지수에 의해서 비만의 유병률은 7.2% 이었으며 남아 7.8%, 여아 6.5%가 비만이었고 과체중의 유병률은 25.0%로 남녀 각각 28.8%, 21.0%였다. 비만도에 의해서는 12.3%의 소아 청소년이 비만이었으며 경도 비만 6.3%, 중등도 비만 5.0%, 고도 비만 1.0% 이었고 남아와 여아 각각 15.0%, 9.4%가 비만하였다. 고콜레스테롤혈증, AST 수치 상승, ALT 수치 상승, 고혈압의 유병률은 비만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나(p<0.05) 공복 혈당 상승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ALT 수치 상승의 유병률은 17.7%로 ALT 정상군보다 ALT 상승군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24.7%, 19.1%), 고혈압(11.0%, 9.9%), 공복 혈당 상승(2.0%, 5.2%)의 유병률이 높았다(p<0.05). 결 론: 소아 비만의 상당수에서 대사 이상이 동반되며 이로 인하여 성인에서처럼 제2형 당뇨,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아에서 비만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고콜레스테롤혈증, 간 효소치 상승, 고혈압의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 소아 비만이 성인 비만으로 이행할 확률이 높음을 생각하면 소아 청소년 시기에 비만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 관리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하겠다. Purpose: Childhood obesity can be complicated by hypertension, hyperlipidemi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metabolic complication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the degree of obesity. Methods: We analyzed the records of 8,880 students who received student health examinations between May 2006 and October 2008 at the Eulji General Hospital.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evaluated by the body mass index and obesity index. A total of 1,076 obese students had blood tests. We analyze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Result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the overall prevalence of obesity was 7.2% (7.8% of male and 6.5% of female students). Based on the obesity index, 12.3% of students (mild: 6.3%, moderate: 5.0%, and severe: 1.0%) were obese. The prevalence of hypercholesterolemia, ALT elevation, and hypertension were increased as a function of the degree of obesity (p<0.05), but hyperglycemi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298). The overall prevalence of ALT elevation was 17.7% (mild obese group, 10.4%; moderate obese group, 20.5%; and severe obese group, 46.8%). The prevalence of hypercholesterolemia, hypertension, and hyperglycemi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levated ALT group (24.7%, 42.6%, and 5.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normal ALT group (11.1%, 29.8%, and 2.0%, respectively; p<0.05). Conclusion: Hypercholesterolemia, liver function test abnormalities, and hypertension were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obesity. We should focus our attention on managing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to prevent metabolic complications.

      • KCI등재

        한국 소아청소년에서 로마 Ⅲ 기준을 이용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진단: QPGS (Questionnaire on Pediatric Gastrointestinal Symptoms)의 유용성

        김동순,노한내,김규리,이희우,윤지현,엄지현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2

        목 적: 저자들은 한국 소아청소년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는 데 로마 Ⅲ 기준을 기초로 한 소아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이 유용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로마 Ⅲ 기준을 이용하여 소아 청소년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유병률을 살펴보았다. 방 법: 소아 소화기 전문의의 문진과 신체검진을 통한 진단과 소아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을 기초로 한 진단의 일치 정도를 비교하였다. 138명의 환자와 그들의 보호자들이 설문지를 완성해주었다. 진단의 일치도는 카파(Kappa) 값을 구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소아 소화기 전문의의 진단에서 유병률은 기능성 소화불량(39.1%), 과민성 장 증후군(38.4%), 기능성 복통(18.8%) 순이었다. 설문을 기초로 한 진단에서는 과민성 장 증후군 (39.1%), 기능성 소화불량(29.7%), 기능성 복통(21.7%) 순이었다. 진단 일치도는 높았으며 (κ=0.72, p=0.00), 진단이 일치되지 않은 경우는 대부분 대변 형태 및 대변 횟수에 관한 항목에서의 차이 때문이었다. 결 론: 소아 청소년 기능성 위장관 질환 진단의 선별검사로서 로마 III 기준을 기초로 한 소아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은 비교적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우리나라처럼 짧은 시간에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환경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We diagnosed pediatric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Rome Ⅲ criteria and investigated the clinical validity of QPGS-Rome Ⅲ. Methods: Diagnosis based on QPGS was compared with the physician’s diagnosis based on Rome Ⅲ criteria. One hundred and thirty eight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mpleted the QPGS. Agreement rates were measured using Kappa method. Results: In physician’s diagnoses, the most prevalent disorders were functional dyspepsia (39.1%), irritable bowel syndrome (38.4%),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18.8%). Among QPGS based diagnoses, the most prevalent disorders were irritable bowel syndrome (39.1%), functional dyspepsia (29.7%),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21.7%). The agreement rate was substantial (κ=0.72, p=0.00). Diagnostic disagreements probably resulted from different patient responses to bowel movement form and bowel frequency. Conclusion: Functional dyspepsia,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were the most common disorders by Rome Ⅲ criteria in the Korean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The agreement rate between physician’s diagnoses and QPGS based diagnoses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QPGS-Rome Ⅲ in Korean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QPGS seems to be useful in diagnosis of patien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by Rome Ⅲ criteria.

      • SCOPUSKCI등재

        한국 소아청소년에서 로마 III 기준을 이용한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진단: QPGS (Questionnaire on Pediatric Gastrointestinal Symptoms)의 유용성

        김동순,노한내,김규리,이희우,윤지현,엄지현,Kim, Dong-Soon,Nho, Han-Nae,Kim, Cu-Rie,Lee, Hee-Woo,Yoon, Ji-Hyun,Uhm, Ji-Hyu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2 No.2

        목 적: 저자들은 한국 소아청소년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을 진단하는 데 로마 III 기준을 기초로 한 소아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이 유용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로마 III 기준을 이용하여 소아 청소년의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유병률을 살펴보았다. 방 법: 소아 소화기 전문의의 문진과 신체검진을 통한 진단과 소아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을 기초로 한 진단의 일치 정도를 비교하였다. 138명의 환자와 그들의 보호자들이 설문지를 완성해주었다. 진단의 일치도는 카파(Kappa) 값을 구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소아 소화기 전문의의 진단에서 유병률은 기능성 소화불량(39.1%), 과민성 장 증후군(38.4%), 기능성 복통(18.8%) 순이었다. 설문을 기초로 한 진단에서는 과민성 장 증후군 (39.1%), 기능성 소화불량(29.7%), 기능성 복통(21.7%) 순이었다. 진단 일치도는 높았으며 (${\kappa}$=0.72, p=0.00), 진단이 일치되지 않은 경우는 대부분 대변 형태 및 대변 횟수에 관한 항목에서의 차이 때문이었다. 결 론: 소아 청소년 기능성 위장관 질환 진단의 선별 검사로서 로마 III 기준을 기초로 한 소아 기능성 위장관 증상에 관한 설문(QPGS)은 비교적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우리나라처럼 짧은 시간에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환경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We diagnosed pediatric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Rome III criteria and investigated the clinical validity of QPGS-Rome III. Methods: Diagnosis based on QPGS was compared with the physician's diagnosis based on Rome III criteria. One hundred and thirty eight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mpleted the QPGS. Agreement rates were measured using Kappa method. Results: In physician's diagnoses, the most prevalent disorders were functional dyspepsia (39.1%), irritable bowel syndrome (38.4%),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18.8%). Among QPGS based diagnoses, the most prevalent disorders were irritable bowel syndrome (39.1%), functional dyspepsia (29.7%),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21.7%). The agreement rate was substantial (${\kappa}$=0.72, p=0.00). Diagnostic disagreements probably resulted from different patient responses to bowel movement form and bowel frequency. Conclusion: Functional dyspepsia,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were the most common disorders by Rome III criteria in the Korean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The agreement rate between physician's diagnoses and QPGS based diagnoses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QPGS-Rome III in Korean pediatric and adolescent patients. QPGS seems to be useful in diagnosis of patien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by Rome III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