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정부지원 R&D의 중소기업 기술 및 고용 성과에 대한 연구

        노용환,홍성철,Noh, Yong-Hwan,Hong, Sung Cheol 기술경영경제학회 201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4 No.2

        본 연구는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사업에 대한 효과를 개별 사업체 수준자료를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2010년도 정부 R&D 지원 사업에 참여한 업체의 기술성과, 민간 R&D 유인효과, 고용효과를 사업체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R&D 투자(규모 및 건수)는 국내 특허 등록 실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외 특허 등록 실적은 자산규모가 큰 사업체일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부투자 연구사업 주관업체의 기술성과는 공동 위탁 참여업체에 비해 오히려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정부의 R&D 정책은 민간 R&D 인센티브와 보완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정부 R&D 투자 1% 증가는 사업 종료 후 민간업체의 R&D 지출을 비탄력적으로(0.193~0.245%)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의 R&D 지원이 참여기업의 고용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R&D 지원의 고용에 대한 성과가 기업규모 및 기술수준별로 차이를 보임에 따라 정부의 R&D 정책에 있어 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paper used individual establishment level data to estimate the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We analyzed, on the establishment level, the degree of technical advancement, strength of private R&D incentives, and the effect on employment levels of firms which participated in the 2010 government R&D support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ze and frequency of government investment in the R&D of SMEs were bo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patent registrations.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amount of patent registra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ize of the establishments, but the average level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for the firms running the resear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level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for the firms merely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Second, the government's R&D policy was found to be complementary to private R&D incentives, and a 1% increase in government R&D investment resulted in an inelastic increase (0.193~0.245%) of the firms' post-program R&D spending. Third, we found that R&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contributed to an increase of employment by the participating firms. Additionally, we found that the impact of R&D support on job creation varied for the firm size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governments to take into consideration each type of small business, when setting R&D policies.

      • KCI등재후보

        정책자금 이용기업의 선정과 정책자금의 사적,사회적 성과에 관한 연구

        노용환 ( Yong Hwan Noh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7 No.1

        We examine two policy questions: (i) which SMEs are participating in and are accepted for a policy loan program?; (ii) what are the private and social returns of policy loans for the approved firms? To correct probable selection bias arising from using only firms accepted for a policy loan program, Heckman-type of a selection model is estimated by using large sample financial statement data collected. Our adoption equation shows that the government authority is conservative when approving policy loan beneficiary. It is likely to approve firms with more experienced firms and higher net profits, while smaller in assets. However, the lender as a benevolent social planner does not significantly approve SMEs in financial difficulty associated with low liquidity and high debt ratio. After controlling for characteristics of approved SMEs, we figured out that policy loans do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net profits and sales for SMEs. But the effect of policy loans on the employment is not prompt. We also found that public financial support for SMEs are mor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sales and net profits of bigger and experienced business than the smaller and younger companies. Whereas, although it is not prompt with the investment, the employment effect is larger for the younger companies and SMEs on its early development stage. The general belief that policy loans help attract liquidity of SMEs and thereby improve their private and social returns should be corrected. We suggest that government policy measures are not necessarily to be conservative, but should be very specific to correct corresponding types of market failures.

      • KCI등재
      • KCI등재

        한계소비성향 추정을 통한 이전지출의 소비효과 분석

        노용환 ( Noh Yong-hwa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2

        이 연구는 가계에 대한 정부 이전지출의 소득계층별 소비 창출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생산활동과 가계 부문의 소득과 지출을 동시에 고려한 사회계정행렬의 명목소득승수를 구하고, 가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소득분위별 한계소비성향을 추정하였으며, 시나리오 접근법을 통해 이전지출 분배방식에 따라 창출된 소득이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코로나 19 1차 긴급재난지원금과 동일한 방식의 소비효과는 재원조달 부담을 감안할 때 이전지출액의 19.2%로 나타났다. 둘째, 가계의 평균소비 성향과 한계소비성향은 소득이 낮은 계층일수록 더 크게 추정되었으며, 한계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 지원을 강화하는 이전지출 방식이 생산활동부문에서 발생하는 재원조달 부담을 줄이면서도 소득과 소비 증가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계층별 소득분배를 개선하는 합리적인 정책 선택이다. 셋째, 금융자산은 소비에 있어 ‘부의효과’(wealth effect)로 작용하며, 가계부채가 당기 소비의 제약요인이 아니라 자금조달을 통해 소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가계부문의 누락과 ‘헬리콥터식’ 정부지출을 가정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투입-산출 분석을 대체할 수 있는 소비효과 분석방법론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esents the mechanism of how consumption is generated by the government transfer to households. The nominal income multiplier of the social account matrix was obtained that took into account both production activities and household sectors. Also, the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for each income class was estimated using Korean household survey data. Through a scenario approach, the effect of incom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method of government transfer to household consumption was analyzed. First, the consumption effect of the same method as the first COVID-19 relief stimulus checks for all Korean households was estimated at 19.2% of the government transfer. Second, households' average propensity and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were estimated to be larger for the lower income class; and the rational government transfer to improve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income is to strengthen support for the low-income class associated with higher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Third, it is estimated that financial assets act as a wealth effect on consumption, and household debt plays a role in promoting consumption through financing rather than a limiting factor for current consumption.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e present research can be found in that it presents a methodology analyzing consumption effect while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input-output analysis that assumes the omission of the household sector and helicopter-style government expenditure.

      • KCI등재

        복지정책의 소득흐름에 관한 고찰: 사회계정행렬 승수분해 및 구조경로분석

        노용환 ( Noh Yong Hwa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3

        복지는 `공짜 점심`이라는 식의 주장은 복지라는 정책적 결정이 기회비용의 관점에서 정부의 재정건전성을 저해하고 경제성장에 있어서도 부정적이라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10년도 우리나라의 `사회계정행렬`(social accounting matrix)의 작성과 `승수분해` 및 `구조경로분석`을 통해 복지정책이 어떻게 국민경제 각 부문의 소득증가를 유발하고 또한 계층별 소득분배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준다. 첫째, 저소득 가계에 대한 정부의 직접이전지출은 소득불균형을 개선시키나, 생산의 관점에서 볼 때 기회비용을 수반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보건의료·사회복지 부문에 대한 외생적 주입이 창출하는 모든 기본 파급경로는 대부분 가계 소득으로 전달되기 이전에 요소간 부가가치의 분배를 통해 요소수요 (노동 및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가계소득의 중요 수입원인 임금문제의 해결 없이 보건사회복지 부문에 대한 투자만으로는 분배 및 총량 측면 모두에서 가계소득의 개선이 어려울 것임을 의미한다. 셋째, 보건의료·사회복지 부문에의 투자가 다른 생산활동부문에 대한 투자에 비해 가계소득을 더 많이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부문에 대한 투자는 다른 경제활동부문에 비해 가계소득 재분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지는 공짜 점심이 아니다. 우리가 관심을 두어야 하는 것은 복지지출이 소득불균형 해소에 제대로 기여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The argument that “social welfare is a free lunch” implies that welfare damages fiscal sustainability of government and hinders economic growth. Using a `social accounting matrix` (SAM) associated with the fixed-price multiplier decomposition and structural path analysis, we figured out the effects of welfare policy on the income and redistribution. First, it is shown that the direct government transfer to the low-income households does improve income inequality, while the investment of same amount of money to the production activities produces more income. That is, in terms of production activities, there is an opportunity cost in transfers to the low-income households. Second, if the injection occurs in social welfare sectors as production activities, elementary paths originating with that activity would affect factor demand before the influence is transmitted to the households.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primary income associated with wage, when improving household income. Third, the investment on production sectors such as health and medical services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creases more household income and, at the same time, improves income redistribution, relative to the investment on other production sectors. Social welfare is “not” a free lunch. We should focus our concern on whether the welfare expenditure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 KCI등재

        고용장려금사업의 사중손실 효과 추정

        노용환(Yong-Hwan Noh) 한국경제연구학회 2017 한국경제연구 Vol.35 No.3

        평균적인 OECD 국가에 비해 우리나라는 취업취약계층의 고용정책에 있어 질보다는 양, 고용창출보다는 고용유지에 많은 자원을 배분하고 있는 국가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 고용안정사업의 ‘사중손실’(deadweight loss)을 제외한 ‘순정책 개입 효과’는 ‘고용촉진지원금사업’이 9.24%, ‘고용유지지원사업’의 경우는 6.34%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일자리 사업의 사중손실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개인별 일자리 이행행렬(transition matrix)을 구성하였는데, 남자보다는 여자가, 젊은 층보다는 나이가 많을수록 일자리사업의 반복 참여가 많으며, 특히 40~50대 여성의 일자리사업 반복 참여가 다른 연령층 및 남성에 비해 많았다. 그러나 일자리사업 참여자 중 재취업 성공 비율이 28%에 불과하며, 그나마 재취업자의 고용유지 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경우는 27.5%에 불과하다. 또한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종 간 이동이 크지 않고, 재취업에 성공하기까지의 평균 소요일수도 일자리사업 종료 이후 157일로 나타났다. 취업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정책의 사중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존 근로자의 고용유지보다는 고용촉진에 상대적으로 많은 자원배분이 이루어져야 하며, 사업대상 업체 선정 시 한계기업의 선별 제거를 통해 고용 창출과 유지의 제고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정부의 일자리사업은 정책홍보, 수요자 조사, 상담을 통해 수혜자의 사업접근성 제고를 유도함으로써 실질적 고용 증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The net policy intervention effect of the employment stabilization program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only 9.24% for the employment promotion support program and 6.34% for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In order to clarify the causes of deadweight loss of active labor market policy, a transition matrix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nts was constructed. It was observed that repeat participation was more common for the older rather than younger, and for the female rather than males. In particular, women in their 40s and 50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an other age groups and men. However, only 28% of respondents were successful in reemployment, and only 27.5% of those with more than one year of employment remain. In addition, the average number of participants’ industry transition was insignificant, and the average number of days until successful reemployment was 157 day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In order to secure the employment of the employment-vulnerable groups, it is necessary to allocat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resources to employment promotion rather than maintaining the employment of existing workers, and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enhancement of job creation and maintenance through screening marginal firms. In addition, the government’s employment policy for the employment-vulnerable groups should be designed based on policy promotion, survey, and consulting, so that the actual employment rate can be increased by encouraging beneficiary’s access to the policy.

      • KCI등재후보

        논문 : 녹색기술금융의 역할과 경제적 성과 분석

        노용환 ( Yong Hwan Noh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1 금융지식연구 Vol.9 No.2

        녹색성장기업은 기술의 외부경제 효과는 크지만 사업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 시장기능에 의한 자금조달이 원활하지 못하여 금융시장 실패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정부는 담보나 재무상태보다는 기술우위 경쟁력을 확보한 유망 녹색기업에 대한 투자재원의 안정적 조달을 위해 녹색금융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기술 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와 이들 기업의 재무자료를 연계하여 녹색금융이 고용창출, 기술력, 영업경쟁력 등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색기술금융지원의 고용증가 효과가 투자를 통한 간접경로를 통해 재무등급보다는 기술우위가 높은 성장기 기업에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특허건수 증가 등 기술지원성과도 가시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업의 실질적인 기술경쟁력과 영업경쟁력은 단기에 시현되지 않았다. 향후 녹색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성장단계에 따라 차별화될 필요가 있다. 사업 초기에 시장기능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은 공적금융이 나서서 도와주되 성숙기에 들어선 기업의 경우 녹색금융같은 정책금융보다는 자본시장을 활용하여 장기·위험자본의 조달이 용이하도록 하는 금융수단과 체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Green growth policy intends to achieve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by resolving environment problem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fossil fuel. However, commercial banks have difficulty in serving green industries because green technology is uncertain about their success in the near future. Although green growth firms have positive technological externality in our economy, financial market failure seems to be inevitable because it is expected that commercial banks depend their lending decisions on the firms` collateral rather than credits associated with promising projects. Therefore, green finance has been devised to support green growth firm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green finance sponsored by the public sectors affected performance of beneficiaries. The estimation results using 1,852 Korean SMEs show that, other things being equal, green finance has significantly positive employment-increasing effects on SMEs. The positive employment effect is stronger for the green firms in their growth phase. However, we failed to show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green firms in the short-run green finance. We suggest that support for the green firms needs 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firms` growth stages. While public green finance is essential for the firms in their early growth stages, equity financing seems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e firms in their matured stage.

      • KCI등재
      • KCI등재

        R&D 지원수단의 정책적 선택

        노용환(Yong-Hwan Noh) 한국경제연구학회 2016 한국경제연구 Vol.34 No.4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정부주도의 목적사업’ 수행에 적합한 ‘재정지출’(subsidy)과 ‘시장기능 활성화’를 통한 광범위한 보조금 지급이 가능한 ‘조세지출’(tax credit)이라는 정책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관점에서 현행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R&D 지원정책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지원수단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2004~2013년 기간 중 우리나라의 R&D 기업은 평균적으로 소규모화가 이루어졌으며, IT산업의 R&D 기업 비율이 20.4%에서 44%로 증가했다. 또한 낮은 기초연구비중과 높은 제품혁신 비율 등 연구개발비의 단계별 구성 비율(기초-응용-개발)과 용도별 구성 비율(제품혁신-공정혁신) 추이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한편, 정부의 R&D 정책수단은 정부와 시장이라는 경제주체 주에서 누가 연구 과제를 선정 · 수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가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조세지출 방식의 R&D 지원은 시장친화적이며, 행정비용의 절약이라는 장점을 가지나 효율적 예산과정의 통제를 받지 않는 정책수단이므로 주기적 점검과 평가로 투명한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둘째, 재정지출을 통한 지원은 부처별 ‘예산이기주의식’ 관점에서 벗어나야 하며, 전문성과 선별능력의 강화를 수반해야 한다. 셋째, 단기 사업화가 어려운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나 공공성이 높은 연구개발 투자 및 사회적으로 시급성을 요하는 분야는 ‘직접적인 재정지출’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넷째, 정부의 사업능력이 부족하다면 ‘어설픈 개입’(재정지출)보다는 ‘시장의 자발적 선택’(조세지출)을 통해 R&D 투자를 유인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연구투자 단계에 집중되어 있는 R&D 조세감면 수단을 창업 및 기술이전단계의 지원으로 유연하게 운용할 필요가 있다. 연구원 인건비에 집중된 현행 조세지출(전체 R&D 조세지출의 99%)도 설비투자에 대한 지원으로 확대하여 실질적인 R&D 투자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개편이 필요하다. To resolve the market failure associated with a R&D underinvestment problem, two types of government intervention can be introduced. One is the ’financial supports’ (or subsidy) having purpose of business led by government; the other is ‘tax benefits’ (or tax credit) reducing tax for the encouragement of voluntary R&D activiti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D supports of Korean government and private R&D investment, and derives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choosing the R&D policies. We find that, for the past 10 years between 2004 and 2013, R&D companies became smaller and the ratio of R&D companies of IT industry has been increased from 20.4 % to 44.4 %.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roportion on each R&D stage and purpose, which includes low ratio of fundamental research and high ratio of product innovation.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about the R&D supports. First, the R&D tax reduction is a market-friendly policy that can also achieve low administrative expenses and comprehensive beneficiaries. However, it is required to have regular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as tax subsidy is not controled by the efficient budget process. Second, for the government R&D expenditure, it requires the responsibility and high standard in the perspectives of the expertise. Third, with the government’s direct investment on R&D, it is possible to have a selective support on the business with high social benefi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hoose a R&D expenditure policy, for the basic research and public R&Ds. Forth, if the government officials cannot manage the R&D projects, it is recommended to choose the R&D tax expenditure policy. In this case, however, we should consider the limitation of a current policy, i. e., the support on business investment stage is accounted for 99% of records of the entire R&D tax reduction, but the support on start-up or technological transfer stage is limi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