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질관리지표 선정을 위한 농업용저수지와 수계하천과의 연관성 연구

        노영애 ( Young-ae Noh ),정경은 ( Gyoung-eun Jung ),이인재 ( In-jae Lee ),권현진 ( Hyun-jin Kweon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최근 농업용저수지는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물고기가 폐사, 녹조류 발생이 증가하여 많은 민원을 일으키고 있다. 이런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 악화는 농업용수의 이용 및 확보에 어려움을 주고 있어 효율적인 수질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수질 측정망 대상 농업용 저수지는 COD, TOC, T-N, T-P, SS, 클로로필a 와 같은 항목들을 분석하고, TOC로 호소의 등급이 나누어진다. 이렇게 여러 항목들 중에서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을 대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질관리 핵심지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서 SS와 주위환경조건에 의해 변화가 심한 클로로필a를 제외한 COD, T-N, T-P를 분석하였다. 대상 저수지는 농업용 저수지가 지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수계별로 나누었고, 조사기간은 2011년부터~2015년까지의 연간 평균 데이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업용 저수지를 수계별로 나누어보면 크게 한강 수계, 낙동강 수계, 영산강 수계, 금강 수계, 섬진강 수계 이렇게 5개의 수계로 나눌 수 있으나, 그 중에서 농업용 저수지의 수가 가장 많고 기타 대도시나 산업단지의 영향과 같은 외부 요인을 가장 적게 받을 것으로 생각되는 영산강 수계 102개 저수지와 금강 수계 195개 저수지에 대한 COD, T-N, T-P 데이타를 분석하였다. 더불어서 각각의 농업용 저수지에 직접적으로 유입되거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위 하천들의 COD, T-N, T-P는 환경부 물환경정보 시스템의 자료를 활용해서 분석하였다. 영산강 수계의 농업용 저수지는 5년간 COD 5.3~6.3(mg/L), T-N 1.115~1.410(mg/L), T-P 0.041~0.050(mg/L), 영산강 수계의 하천은 COD 4.5~5.0(mg/L), T-N 2.352~2.696(mg/L), T-P 0.072~0.100(mg/L)를 나타내었다. 농업용 저수지가 하천보다 COD는 28% 높고, T-N은 51%, T-P는 40% 낮았다. 금강 수계의 농업용 저수지는 5년간 COD 5.6~7.6(mg/L), T-N 1.272~1.634(mg/L), T-P 0.045~0.060(mg/L), 금강 수계의 하천은 COD 5.2~5.5(mg/L), T-N 3.097~3.946(mg/L), T-P 0.067~0.127mg/L)를 나타내었다. 농업용 저수지가 하천보다 COD는 23% 높고, T-N은 58%, T-P는 44% 낮았다. 따라서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총질소와 총인은 하천보다 낮은 농도로 변동폭이 작으므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한것으로 보이며, 그에 비해 COD는 농도가 높아 수질 관리를 위한 핵심지표로는 COD가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 환경 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TOC 영향 분석

        정경은 ( Kyeong-eun Jeong ),노영애 ( Young-ae Noh ),김민희 ( Min-hee Kim ),최금선 ( Geum-sun Choi ),권현진 ( Hyun-jin Kweon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생태계의 생물다양성 감소, 토양환경, 수질환경 등의 악화로 물질 순환기능이 저하되고, 이는 장기적으로 농업생산성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는 많은 연구결과들이 도출되고 있다. 농업용저수지의 물환경 변화는 농작물 재배 및 농산물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환경이므로 물환경 변화에 대한 관심과 지속적 연구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2016년부터 기존의 생분해성 물질 위주의 유기물질 관리를 개선 및 보완하고, 난분해성 물질 증가 및 기후변화에 따른 내부생성 유기물질 등 수질환경의 유기물 관리 강화를 위해 TOC를 수질환경기준에 도입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농업용 저수지(955개)에 대하여 2015년부터 2017년(2월~12월)까지의 TOC 수질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월별 평균값으로 산정하였으며, 3년간 수질환경(저수율, 수온, 강수량) 변화와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저수율은 농업기반시설 관리시스템(RIMS)를 이용하였으며, 강수량은 기상청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온, pH, EC는 채수시 현장수질측정장비(Hydrolab DS5: Hach Company,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의 실내분석을 위해 TOC 항목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GE Instrument사 Sievers 900 장비를 이용하였다. 3년간 955개 농업용 저수지의 TOC 특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 TOC 농도가 2015년 3.4±0.5mg/L, 2016년 3.4±0.6 mg/L, 2017년은 3.4±0.6 mg/L으로 년간 TOC 평균과 편차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년간 pH 7.6±0.2로 크게 변화가 없었으며, EC 231±100 μmhos/cm로 년도별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계절별 편차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의 월별 TOC 평균 농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수온, 저수율, 강수량 순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수온은 월별 TOC 평균 농도와 R<sup>2</sup>=0.6368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 수온의 변화에 따라 TOC의 농도가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수율과는 음의 상관관계(R<sup>2</sup>=0.4030)를 보였으며, 높지는 않으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국의 3년간의 월별 강수량과 월별TOC 평균 농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으나(R<sup>2</sup>=0.2608), 강수량으로 인한 저수율, 수온변화 등을 고려할 때 종합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1개월 전 평균 강수량과 월별 TOC 평균 농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상관관계가 다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R<sup>2</sup>=0.4244), 강수량이 수중 TOC 농도에 영향을 주는 데에는 시간이 소요됨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전국의 평균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므로 추가 지역에 따른 강수량, 저수량, 수온에 대한 각 지역의 TOC를 비교·분석한다면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있는 농업용저수지의 수질환경 변화가 TOC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지역에 따른 수질환경 특성을 반영하여 추가적으로 체계적인 조사가 진행된다면 연구결과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 04 포스터 발표 : 수질 환경 분야(PW) ; PW-03 : 호소생활환경기준 수질등급에 대한 SS, Chl-a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인재 ( In Jae Lee ),정경은 ( Gyoung Eun Jung ),최금선 ( Geum Sun Choi ),김선영 ( Sun Young Kim ),노영애 ( Young Ae Noh ),김미옥 ( Mi Ock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현재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는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수질등급 기준을 적용한다. 호소생활환경기준은 Ⅰa등급부터 Ⅵ등급까지 총 7개의 등급이며, 각 등급별로 pH, COD, SS, TOC, Chl-a 등 총 9개의 항목에 대하여 기준 등급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농업용저수지 805개를 대상으로 COD에 따른 호소생활환경기준의 수질등급별 Chl-a의 적정 기준 여부를 분석하였다. Ⅰa등급과 Ⅰb등급은 Ⅰ등급으로 통합하여 조사하였으며, Chl-a 비교를 위해 SS항목을 추가하여 각 등급별 초과여부를 분석하였고, 지역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5개 권역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COD, SS, Chl-a이며,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별 초과율을 살펴보면, 1등급과 5등급에서는 SS가 Chl-a보다 약 1~16% 초과하였으나, 2등급부터 6등급(5등급 제외)까지는 Chl-a가 SS보다 18~55% 의 초과를 보였고, 연도별로 살펴보면, Chl-a의 초과율은 SS보다 2011년에 약 17%, 2012년에 약 27%, 2013년에 약 29%로 높으며 평균적으로는 약 23% 초과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국의 모든 5개 권역에서 Chl-a가 SS보다 19~53% 까지 초과하여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과 연도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을 초과하는 지점의 수가 Chl-a가 SS에 비해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에서 Chl-a가 SS보다 COD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Chl-a는 수온, 수심, 수량과 같은 환경조건과 농업용저수지 주변의 식생과 같은 기타조건의 영향을 SS보다 더 많이 받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농업용저수지의 환경조건이나 저수지 주변의 식생과 같은 기타 조건을 반영하지 않고,Chl-a의 결과값 만으로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을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호소생활환경기준 등급의 Chl-a 항목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