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연극 연출기법 연구를 위한 김명화 작 <첼로와 케첩> 연출

        노연정 경성대학교 예술종합대학원 연극영화학과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1. 공연개요 작품명: 김명화 작 <첼로와 케첩> 공연일시: 2019년 4월 29일 pm 7:30 장소: 신세계안과 5층 문화나눔터(서면) 연출: 노연정 배우: 이슬기, 김다운 첼리스트: 이지수 조명: 서성환 2. 작가와 작품 작가 김명화는 1997년 희곡작가로 데뷔 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새들은 횡단보도로 건너지 않는다.」,「오이디푸스-그것은 인간」,「돌날」이 있다.2007년 제10회 여석기 연극평론가상을 수상 했으며, 「침향」으로 제1회 차범석 희곡상을 받았다. 김명화 작가의 작품 중 <첼로와 케첩>은 2001년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채승훈 연출로 초연되었다. 등장인물은 남자와 여자, 2인극이며 시대배경은 현대다. 도시의 아파트 실내공간으로 남자와 여자의 기억 속에서는 하나지만, 공간은 분리된다. 김명화 작가는 희곡을 써 나가며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캐릭터와 대사라고 말하고 있다. <첼로와 케첩> 작품도 관객에게 전달하고 감동을 줄 수 있는 것은 플롯이 아닌 캐릭터와 대사다. 남자와 여자의 캐릭터가 대사를 통해 희곡의 실질적인 묘사를 이끌어 낸다. 대사로 작품과 관련된 정보도 알려주고 상황도 묘사하며 중심사상이 될 만한 철학도 알려준다. 인물의 성격을 알려주는 것도 대사고, 대사의 특성이 리듬감을 만들고 정서와 극적 장면을 만들어 낸다. 대사들을 합치면 장면이 되고 그것들을 배치한 것이 이 작품의 플롯이다. 남녀의 일상에서 기억의 파편들이 고양되면서 퍼즐을 맞추듯 같은 시간을 회상하며 극은 진행된다.

      • Landon Ronald 의 연가곡 〈A Cycle of Life〉에 관한 연구

        노연정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랜던 로날드(Landon Ronald,1873-1938)의 연가곡 「A Cycle ofLife(인생의 주기)」에 대한 연구이다. 랜던 로날드는 20세기 영국의 음악가로 작곡가뿐만 아니라 지휘자, 피아니스트, 음악비평가 등 다양한 활동을 한 음악가이다. 이 곡의 배경인 영국가곡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20세기의 영국 연가곡 중 본 저자가 연주를 했던 곡이기도 한 로날드의 「A Cycle of Life」의 분석을 통해서 곡의 우수성과 특징을 연구하는 것이다.

      • 탄천의 계절별 최적 환경생태유량 분석

        노연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후변화의 가속화와 댐과 같은 인공 구조물로 인해 하천의 수질 및 흐름이 위협받으면서 하천 환경 개선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하천 생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에게 적합한 서식지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강 본류로 유입되는 지류 하천 중에서 수생태계 건강성 등급이 낮은 지점인 탄천 하류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환경생태유량은 탄천의 대표 어종인 Zacco platypus를 대상으로 제작된 가중 가용면적(Weighted Useable Area, WUA)과 유량 관계 곡선으로부터 산정하였다. 하천 생태 기능을 보존하는 데 필요한 유량을 평가하는 것에는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USGS)에서 개발한 1차원 모델인 PHABSIM(Pysical HABitat SIMulation)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PHABSIM은 어류에 대한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물리적 서식처 모형으로 가중 가용면적과 유량의 관계 곡선을 산출하여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탄천의 계절별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고자 PHABSIM을 이용하였으며, PHABSIM의 입력자료 구축을 위하여 1차원 흐름해석 프로그램인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s River Analysis System(HEC-RAS)을 이용하였다. 탄천 하류에서 현장 조사를 통해 확인된 우점종인 Zacco platypus를 탄천의 대표 어종으로 선정하였으며, 2012년부터 2021년까지 탄천의 유량을 각 계절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연도별 그리고 계절별 Zacco platypus의 최대 가중 가용면적과 최적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10년 동안의 유량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된 계절별 최적 환경생태유량은 봄, 여름, 가을, 겨울에서 각각 10.2 m3/sec, 10.3 m3/sec, 10.3 m3/sec, 10.2 m3/sec로 모의 되었다. 또한, 각 계절에 따라 적절한 환경생태 유량 범위를 산정하고자 가중 가용면적―유량 관계 곡선과 회귀식을 이용하여 가중 가용면적의 백분율 값에 따른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10년 동안 각 환경생태유량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값을 환경생태유량 범위의 최솟값으로 하여 계절별 환경생태유량 범위를 선정하였다. 계절에 따른 적절한 Zacco platypus의 가중 가용면적 범위는 봄, 여름, 가을, 겨울별로 각각 WUA 90∼100%, WUA 95∼100%, WUA 75∼10%, WUA 75∼10%이었으며, 이에 따른 10년 평균 계절별 환경생태유량 범위는 봄 7.02∼10.2 m3/sec, 여름 8.07∼10.3 m3/sec, 가을 5.67∼10.2 m3/sec, 겨울 5.74∼10.3 m3/sec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연도별, 계절별 환경생태유량 범위와 탄천의 실측 유량을 비교하였다. 이때 환경생태유량 범위 이상으로 유량이 확보된 날은 계절별 전체 일수에서 여름이 55.0%, 가을 92.0%, 겨울 67.0%로 나타났다. 여름, 가을, 겨울에서 계절별 환경생태유량 충족 일수가 50.0% 이상으로 분석된 것과는 반대로 봄은 41.0%로 나타났다. 이는 Zacco platypus의 계절별 환경생태유량 범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날이 봄철의 절반 이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계절 중 특히 봄철일 때 탄천의 유량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산정된 계절에 따른 탄천의 환경생태유량 범위가 향후 하천의 복구 또는 환경생태유량 유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as the quality and flow of rivers are threatened due to the acceleration of climate change and man-made structures such as dams, the problem of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has emerged socially. In order to maintain the ecological function of rivers, it is necessary to secure suitable habitats for fish living in riv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lower reaches of the Tan River, a point with a low level of aquatic ecosystem health among tributary streams flowing into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The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rate was calculated from the weighted usable area(WUA) and flow rate relationship curves designed for Zacco platypus, a representative fish species in Tan River. PHABSIM (Pysical HABitat SIMulation), a one-dimensional model developed by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USGS), is generally used to evaluate the flow rate required to preserve river ecological functions. PHABSIM is a physical habitat model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rate and habitat availability for fish, and enables the calculation of the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rate by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curve between the weighted available area and flow rate. n this study, PHABSIM was used to calculate the seasonal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rate of Tan River, and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s River Analysis System(HEC-RAS), a one-dimensional flow analysis program, was used to construct the input data of PHABSIM. Zacco platypus, a dominant species identified through field surveys in the lower reaches of Tan River,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fish species of Tan River. Then, from 2012 to 2021, the flow rate of Tan River was analyzed according to each season. And using this, the maximum weighted usable area and optimal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rate of Zacco platypus by year and season were calculated. The seasonal optimal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rate calculated using 10-year flow analysis data was calculated as 10.21 m3/sec, 10.27 m3/sec, 10.27 m3/sec, and 10.24 m3/sec, respectively, in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In addition, in order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range of ecological flow rate according to each season,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low rate according to the percentage value of the weighted available area was calculated using the weighted usable area-flow relationship curve and the regression equation. In addition, the range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low rates for each season was selected by setting the value with the smallest standard deviation of each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low rate as the minimum value of the range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low rates for 10 years. The weighted usable area range of seasonally appropriate Zacco platypus was 90-100% WUA, 95-100% WUA, 75-10% WUA, and 75-10% WUA by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respectively. The 10-year average seasonal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range was calculated as 7.02 to 10.21 m3/sec in spring, 8.07 to 10.27 m3/sec in summer, 5.67 to 10.2 m3/sec in fall, and 5.74 to 10.24 m3/sec in winter. The annual and seasona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low ranges calculat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flow rates of Tan River. Of the total number of days by season, the percentage of days where the flow rate exceeded the range of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rate was 55% in summer, 92% in fall, and 67% in winter. Contrary to the analysis that the number of days to satisfy the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by season in summer, autumn and winter was more than 50%, in spring it was 41%. This means that more than half of the days in spring do not meet the range of seasonal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of Zacco platypu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flow rate of Tan River during the four seasons, especially in spring. It is judged that the range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low of Tan River according to the season calcula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river recovery or maintenance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low in the future.

      • Klopfer의 과학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제6차 및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2·3학년 과학교과서 분석 : 동일한 내용의 화학 단원에 대하여

        노연정 淑明女子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과정 개편의 전후를 비교하는데 있어 중학교 과학교과서를 학년 대 학년으로 비교 분석하는 데에는 근원적인 오류가 숨어 있다. 중학교 교육과정을 6차에서 7차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학년 간에 많은 단원들의 이동이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학년 대 학년으로 비교분석을 하면 서로 다른 교과내용들에 대해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게 되는 오류를 낳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학교 2·3학년 과학교과서에서 학년에 상관없이 동일한 단원들만 수합하여 단원 대 단원을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에는 과학적 탐구과정에 관한 세부적인 교육목표 분류체계를 갖추고 있는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6차 및 7차 교육과정의 학습목표를 비교분석하고, 6차와 7차 과학교과서의 학습목표, 탐구 및 문제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단원들 간에 비교분석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과의 교육목표는 Klopfer의 과학 교육목표 분류체계 중에서 G.0(조작적 정의) 범주를 제외한 모든 목표 범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6차 교육과정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과서의 <학습목표>와 <탐구·문제> 영역 전체에 대해 분석한 결과, A.0(지식과 이해), B.0∼E.0(과학적 탐구과정) 범주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양은 6차는 90.9%∼94.8%, 7차는 93.1%∼97.4%로 6차와 7차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상대적으로 나머지 범주인 F.0(과학적 지식과 방법의 적용), G.0(조작적 기능), H.0(과학적 태도와 흥미), I.0(지향) 범주의 구성 비율이 6차 7차 모두에서 낮았다. 이것을 <학습목표>와 <탐구·문제>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목표> 영역은 대부분 A.0(지식과 이해) 범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양은 6차 88.5%∼100.0%, 7차는 82.8%∼89.2%의 범위를 가지고 있었다. <학습목표>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로 분석된 F.0(과학 지식과 방법의 적용), G.0(조작적 기능), H.0(과학적 태도와 흥미), I.0(지향) 범주는 주로 <탐구·문제> 영역에 구성되어 있었다. 각 범주별 로 6차 7차 교육과정의 단원 대 단원 비교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6차와 7차 교육과정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6차와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학년 대 학년 비교를 했을 경우, 유의한 차이를 갖는 것으로 (7차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나온 과거의 분석결과들은 서로 다른 내용을 비교한 데서 비롯된 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학년에 상관없이 동일한 내용의 단원 대 단원 비교를 한 경우, 적어도 Klopfer 분류체계에 의한 범주별 비중은 6차와 7차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가 서로 대동소이한 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comparing the science curriculum before and after its revision, there is a fundamental error hidden in comparing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the same school year. It is because many units were moved across the school years in the transition from the 6th to 7th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if the textbooks of the same school year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t is comparing partially different contents. In order to minimize this error, the present study analyzed 2nd? and 3rd?year science textbooks of middle school by comparing unit?to?unit regardless of school year. In the analysis, we used Klopfer’s education goal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classify detailed education goal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Using this system, the learning goals of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units of the same learning goals, inquiries and problems in science textbooks under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in middle school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cluded all the goal categories in Klopfer’s education goal classification system except G.0 (operational definition), and they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under the 6th National Curriculum. When <Learning Goals> and <Inquiries·Problems> of the textbooks were analyzed, categories A.0 (knowledge and comprehension) and B.0~E.0 (scientific inquiry process) occupied the largest part, 90.9%~94.8% in the 6th Curriculum and 93.1%~97.3% in the 7th Curriculum withou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percentages of other categories such as F.0 (application of a scientific knowledge and methods), G.0 (Manual skills), H.0 (scientific attitudes and interests) and I.0 (orientation) were relatively low in both the 6th and 7th Curriculum. When analysis was made separately for <Learning Goals> and <Inquiries·Problems>, <Learning Goals> was mostly composed of category A.0 (knowledge and comprehension), and its percentage was 88.5%~100.0% in the 6th Curriculum and 82.8%~89.3% in the 7th Curriculum. Categories with a relatively low percentage in <Learning Goals> such as F.0 (application of a scientific knowledge and methods), G.0 (Manual skill), H.0 (scientific attitudes and interests) and I.0 (orientation) were mainly included in < Inquiries·Problems>. When the units in the 6th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eir corresponding units in the 7th Curriculum for each categor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분석

        노연정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장애유아를 교육하는데 필요한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교사변인(근무지역, 연령, 전공, 경력, 연수)에 따른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교사변인(근무지역, 연령, 전공, 경력, 연수)에 따른 유아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1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설문지의 문항은 총 35문항이며,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에 관한 기본사항 13문항,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조사 8문항,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조사 14문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서 문항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교사변인(근무지역, 연령, 전공, 경력, 연수)에 따라 카이검증(χ2)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변인(근무지역, 연령, 전공, 경력, 연수)에 따른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유아통합교육과 유아통합교육 연수는 필요하며, 연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연수를 받고자 하는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변인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유아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유아통합교육 연수의 필요성(연수의 필요 이유, 연수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은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변인(근무지역, 연령, 전공, 경력, 연수)에 따른 유아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에 대해 살펴보면 연수 주제나 내용, 연수 방법 등에서는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내용으로 연수가 이루어지기를 원하는 경향이 높으며, 이를 위해 관련 기관이 연수를 주관하기를 요구하였다. 또 별도의 시간을 마련하여 연수를 참석하기 보다는 일과시간에 진행되기를 원했고, 실제로 연수를 참석할 수 있도록 연수 기간 중 연수 비용과 대체교사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교사변인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연수시간 중 전공에 따라, 연수 주체기관은 연령, 전공에 따라, 연수유형은, 근무지역, 연령, 경력에 따라, 연수 방법은 근무지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절기놀이를 통한 유아의 영성형성 교육 : 대강절과 성탄절을 중심으로

        노연정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본 논문은 놀이에 대한 이론과 유아의 발달을 살펴보며, 여러학자들의 유아영성 이론과 몬테소리 교육학파의 놀이를 통한 유아영성교육을 살펴보았다. 또한 절기에 대한 이해와 함께 절기놀이를 통한 유아의 영성형성 프로그램에는 어떤 활동이 있는지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각 장별로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놀이에 대한 정의와 놀이가 유아발달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다루었다. 놀이의 정의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다양하며, 놀이는 인간의 존재 특히 유아에게 있어서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행위의 원천이며, 인간 전체의 문화, 종교, 교육의 영역에서 제외될 수 없는 영역이다. 유아는 끊임없는 호기심을 가지고 감각기관과 신체적 움직임을 통해 주변 환경을 탐색하며, 유아는 놀면서 성장하고 발달한다. 또한 놀이는 유아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절대적인 것으로서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로빈슨, 코울즈, 헤이와 나이를 통해 유아의 영성에 대한 이론과 교육모델을 살펴보았고, 몬테소리 학파를 중심으로 놀이를 통한 유아영성교육에 대해 깊이있게 알아보았다. 어린이는 그 나름대로의 영적경험이 일어나고 있으며 영적인 존재라는 것을 발견한 학자들의 연구에 따라 교육방향을 설정해보면, 어린이들의 영적 경험을 인정하고 독려하여 종교적 체험이 일어나도록 도와야 하며, 인지적 교육이 아닌 감탄과 경이를 불러일으키는 영성적 교육이 되어야 하며, 어린이가 자연스럽게 신앙을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종교적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몬테소리, 까발레티, 베리만 등 몬테소리 교육학파의 교육내용은 공동체와 관계영역을 포함하는 유아의 영성과 상상적 접근을 통한 하나님과의 만남이며,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지식전달 위주가 아닌 유아 내면의 잠재적 가능성과 능동성, 창조성을 일깨우는 과학적 방법, 예배, 교리교육, 종교적 언어, 놀이를 통한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베리만은 놀이의 인지적 차원에서 ‘상상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가들리 플레이를 제시함으로써 유아가 하나님과의 놀기에 더욱 자발적 기쁨으로 하나님의 더 큰 사랑에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 Ⅳ장에서는 유대인의 절기와 교회력에 따른 기독교인의 절기를 살펴보며 절기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았다. 유대인의 절기에는 유월절, 무교절, 초실절, 칠칠절, 나팔절, 속죄일, 초막절이 있으며, 하나님에 의해서,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방법으로 지키도록 하나님께서 만드신 것이다. 여기에는 기본적으로 기념일 또는 축제의 날을 의미하기도 하고, 각각의 절기에 놀이적 요소를 포함한 교육이 있다. 오늘날 기독교인들은 교회력에 따른 절기, 즉 대강절과 성탄절, 주현절, 사순절과 부활절, 오순절, 추수감사절이 있으며, 각 절기교육에는 놀이적 요소를 찾아볼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절기놀이를 통한 유아 영성형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는데, 그 목적으로는 예전과 성서이야기를 통해 하나님을 경험하고 자기정체성을 알게 하는 것과 절기놀이를 통해 유아가 즐거움을 느끼고 내면이 치유되고 영성이 형성되게 하는 것, 신앙공동체로서의 가정의 소중함을 알고 유아의 영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역할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곱가지 절기중에 대강절과 성탄절의 5주간 프로그램을 제시하되, 교회에서의 영성형성교육과 놀이, 가정과 연계하여 부모님과 함께 할 수 있는 놀이를 제안하였다.

      • 자활기업 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중심으로

        노연정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한 자활기업의 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2000년 10월부터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상의 자활사업은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이 스스로 자활 할 수 있도록 안정된 일자리를 제공하고 자활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자활사업을 통한 ‘복지-고용’의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근로능력이 있는 빈곤층들이 자활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하지만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틀 안에서 조건부수급자 위주로 제한적으로 운영되어, 근로빈곤층의 증가추세에 신축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고 빈곤탈출효과도 낮은 편이다. 이에 정부는 ‘자활기업’을 통해 빈곤층 및 저소득층의 창업을 통한 빈곤탈출을 목표로 사업을 운영하였다. 자활기업은 자활사업 가운데 양적으로는 그다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업은 아니지만 노동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사회적 계층이 안정된 일자리를 확보하여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사회적 일자리 중에 하나이고, 우리나라 노동 시장의 현실을 감안 할 때 불가피한 대안이라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전지역의 성공한 자활기업의 사례연구를 통해 자활기업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제도 및 지원체계 상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며, 자활기업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Structure-based drug-design on human oncogenic histone methyltransferases NSD1, NSD2 and NSD3 Structure-function studies on fission yeast Set7 and Set10 : 인간 종양 유발성 히스톤 메틸기전이 효소 NSD1, NSD2, NSD3의 구조 기반 저해제 개발 분열 효모의 Set7과 Set10 의

        노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히스톤 조작에 의해 후생적으로 변화된 히스톤 잔기는 크로마틴 구조에 변화를 일으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또한, 히스톤 코드로 불리는 변화된 히스톤 잔기, 히스톤 조작 효소 그리고 크로마틴 구조 사이의 상호 간의 작용에 의해, 변화된 히스톤 잔기는 또 다른 히스톤 잔기에 영향을 주어 변화를 유도하거나 억제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히스톤 조작은 유전자 발현뿐만 아니라 DNA 복제, 감수분열, 배우자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히스톤 조작 효소의 돌연변이, 과발현과 같은 비정상적 후생 유전적 변화는 당뇨, 암, 신경 질환 등 여러 질환의 발병과 관련이 있어, 후생 유전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관련된 질병에 대한 이해와 질병 치료의 방법을 제시해 줄 것이다. 이를 위해, 히스톤 조작 방법 중 하나인 히스톤 메틸화와 이를 일으키는 히스톤 메틸기 전이 효소에 관해 연구하였다. 첫 번째로, 인간의 히스톤 메틸 전이 효소 중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난소암과 같은 종양 세포에서 과 발현되는 종양 유발 단백질인 NSD2의 저해제를 연구하였다. 저해제 개발을 위하여, 우선 밝혀지지 않은 NSD2의 구조를 Homology modeling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이를 기반으로 후보 물질 TI-2-69를 기존 NSD2 저해제로 알려진 BIX-01294와 LEM-14를 결합 에너지, 결합 구조, 화합물의 분자량, PSA, 수소 결합 공여자와 수용자 수, logP 값, IC50 값 등 여러 파라미터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중, 가장 좋은 효과를 보인 TI-2-69를 NSD2 구조 기반을 두어 유도체들을 만들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같은 방식으로 분석한 유도체들은 TI-2-69보다 물에 더 높은 용해도를 보이고 증가된 결합에너지를 보였다. 두 번째로, 히스톤 코드 연구를 위해 복잡한 인간의 히스톤 메틸 전이 효소를 대신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한 진핵생물체인 분열 효모에 있는 13개의 히스톤 메틸 전이 효소 중 Set7과 Set10 구조 기능적 연구를 하였다. 타깃이 밝혀져 있지 않았던 Set7의 타깃이 H3K37인 것을 MALDI-TOF로 분석하였고, 추가적인 in vitro와 in vivo 실험을 통해 H3K37을 메틸화하는 효소는 Set7이며, H3K37 메틸화 효소의 존재를 최초로 밝혀 내었다. 더 나아가 Set7과 Set10을 단백질을 생산하여 이를 결정화 하였고 각각 1.96 A과 2.75 A 의 높은 분해능을 가진 X-선 회절 패턴을 얻었다. Epigenetics are post translational chromatin modifications that influence gene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the alteration of chromatin structure independent of the DNA sequence. The interaction between modified histone residues, histone modifier and chromatin dynamic states, known as ‘histone code’, is able to affect activation or repression of other histone modifications. Through those dynamic epigenetic mechanisms, histone modification is known to play critical roles in various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carcinogenesis, gametogenesis, cell reprogramming, and aging. Abnormal states of histone modifications are associated with several diseases including neurological disorders, inflammation, diabetes, cancers, amongst others. However, the biology and pathways of histone methylation aren’t fully understood. Elucidating the extent of histone modification and the regulation of histone methylation will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the molecular mechanisms of carcinogenesis and prognosis and shed some light into the design of the next generation of smart anti-cancer drugs. Owing to these reasons, I studied histone methylation by histone methyltransferases, as this is one the key family epigenetic modifiers. Firstly, in this study, I studied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the oncogenic protein NSD2. Overexpression of NSD2 was reported in multiple myeloma, leukemia, overran cancer, and etc. Therefore, NSD2 is becoming an attractive drug-target for chemotherapy. The unsolved NSD2 structure was approximated by homology modeling in order to support a structure-based design of NSD2 inhibitors.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PSA, affinity energy, binding poses, MW, hydrogen donor, and receptor, log P values and IC50 were considered to compare hit molecules, TI-2-69, with known NSD2 inhibitors, BIX-01294 and LEM-14. Derivatives of TI-2-69 were designed based on the NSD2 structure and derivatives with increased solubility and improved docking-affinity energy. Secondly, in order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histone methylation and chromatin structure regulation, we us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S.pombe), as an optimal and simple eukaryotic model organism that is closely related to human in terms of proteomics conserved between human and S. pombe. Out of the 13 set domain containing proteins in S.pombe, I studied the structure-function of Set7 predicted HMTase and Set10 ribosomal methyltransferase. Our biochemical approach identified Set7 as a new HMTase in S. pombe. Interestingly, Set7 was found to methylate histone H3 lysine 37 (H3K37), which is a novel histone mark in eukaryotes. More interestingly, we successfully crystalized useful Set7 holo crystals and Set10 crystals and obtained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as 1.96 Å and 2.75 Å resolutions, respectively. This data brings novel insights into the biochemistry of histone methylation.

      •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과정의 수학영역 산출물의 분석

        노연정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dapting to the highly-advanced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fostering excellent talent capable of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may be the area of interest of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today. To walk in step with the foregoing, our country realizes the importance of gifted education and is carrying out gifted education in various organizations. One of which is a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y and this study carried out a research by establishing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 for looking into the subject of research and contents of mentorship program which is being implemented by each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y and its connectivity with curriculum. Research Problem. This study extracts content of the mathematics subject related to this study and investigates connectivity between mathematical knowledge extracted and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by analyzing contents of research thes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introduced in the collection of theses of the meeting for education in mentorship program of science gifted center of national universities for year 2012.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connectivity between related mathematical knowledge extracted from theses and curriculum, contents other than curriculum is occupying a considerable portion.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olving research problems by themselve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motivation for research will get higher when students select a subject and research by themselve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pand the methods of selecting a subject.

      • 古樂譜 太平歌와 現行 太平歌의 旋律 비교연구

        노 연정 慶北大學校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agok Hyeon'geumbo (歌曲玄琴譜), Samjuk geumbo (三竹琴譜), Hyeon'geum oeum tongron (玄琴五音通論), Bangsan hanssi geumbo (芳山韓氏琴譜), present dates and music no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aepyeongga in old manuscripts and present Taepyeongga, to compare each melody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below : First, an oral sound in music notation is used the same in each manu scripts, but an oral sound in documentary records didn't have so many kind and the meaning were simple as we go ahead of the times. By the way as we go back of the times, an oral sound has been chang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songs and letters, simplified characters, abbreviations, signs about the performing technique of that score were found instead of oral sounds where it is needed to show concretely. The sign of rhythm appeared differently each. Hyeon'geum oeum tongron (玄琴五音通論) has no records, Samjukgeumbo (三竹琴譜) has a simple classification of bow side(궁편) and drumstick side(채편), and Bangsan hanssi geumbo (芳山韓氏琴譜), Gagok Hyeon'geumbo (歌曲玄琴譜) has a diverse way to use bow side(궁편) and drumstick side(채편) in a various signs. The form of recording bow side(궁편) and drumstick side(채편) has become various. Secon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to figure out whether there's similarity between Taepyeongga recorded in Hyeon'geum oeum tongron (玄琴五音通論), Bangsan hanssi geumbo (芳山韓氏琴譜),Gagok Hyeon'geumbo (歌曲玄琴譜) and current Taepyeongga. It has been found out that it is the same as current one through annotations, the title of the musical composition, the records of words of songs. It bases on that all the titles of music composition are the same as Taepyeongga in Hyeon'geum oeum tongron (玄琴五音通論), Bangsan hanssi geumbo (芳山韓氏琴譜), Gagok Hyeon'geumbo (歌曲玄琴譜), women and men sing a song by turns and sing together this tune, the last song and a class of Isakdaeyeop in Bangsan hanssi geumbo (芳山韓氏琴譜), a geomun'go, six stringed Korean ziter, plays 'iryeodo', eleven times of the first movement and 'Taepyeongseongdae' is sung in the next times. Third, the melody of Taepyeongga in old manuscripts has the same basic structural melody. It is progressed not only octave but also high or low by major four degrees, major five degrees, minor seven degree s in pitch. Decorative melody differs and the number of decorative melody has increased as it comes to a present time. Complex melody turns even simple in some part. And distinguished melody appeared as a varied form at the first part of the movement or in the middle. Finally, Samjuk geumbo which includes melody of Kyemyeon Isakdaeyeop has less decorative sound than present and has hardly similar sound compared with a geomun'go manuscript in old manuscripts which recorded Taepyeongga. Hyeon'gum oeum tongron performed by melody of Kyemyeon Dugeo has become similar with current one partially. Bangsan hanssi geumbo (芳山韓氏琴譜) performed with the melody of Sosakdaeyeop is nearly similar with Hyeon'geum oeum tongron (玄琴五音通論) and has the same or similar melody with Hyeon'geum oeum tongron (玄琴五音通論). Though Gagok Hyeon'geumbo (歌曲玄琴譜) has an original melody in part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ovement, and lots of melody the same as Bangsan hanssi geumbo (芳山韓氏琴譜),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current melody is the highest. Therefore, Taepyeongga has been changed into a music of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by borrowing or varying Kyemyeon Isakdaeyeop and Kyemyeon Dug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