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현황과 향후 과제

        노선옥 ( Roh Seon-ok ),우이구 ( Woo Yi-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4

        연구목적: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과 그 추진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방향을 발견한다. 연구방법: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지원과 관련하여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정부의 정책 중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계획, 교육정보화 기본계획,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장애인종합발전 5개년계획 등 5종을 선정하여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내용을 분석하였다. 정책 수행 현황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정보화 백서, 국립특수교육원 사업계획 및 사업운영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은 2011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후 2014년까지는 주로 국립특수교육원을 중심으로 장애학생의 스마트러닝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사업이 주로 추진되었으며 현재는 국립특수교육원의 콘텐츠 개발 및 감각장애학생의 지원 강화, 시도교육청의 기기 보급, 스마트교실 설치, 교사 역량 강화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강화되거나 확대되어야 할 과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론: 장애학생들의 스마트러닝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의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스마트교실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생 1인 1기기는 물론 인터넷 회선의 확보 및 장애학생을 위한 통신장비 이용료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스마트러닝을 위한 특수교육 영역의 콘텐츠의 개발을 확대하고 강화하여야 한다. 특히 표준화된 콘텐츠의 개발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개발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한편 교과 이외의 활동에 대한 콘텐츠의 개발 역시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육 교육자들은 보다 적극적인 입장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수-학습방법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추진 전략의 마련 및 지원 노력을 필요로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asks to achieve for smart learning suppor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study, five policies and three kinds of result reports were to choose and analyze. Results: The policies are knuckling down to from 2011 up to now.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was centered around those policies propulsion from 2011 to 2014 to perform basic researches, to develop contents, to improve web-accessability and to manage the advisory panel. After 2015, the offices of education are taken an active parts in the support. Despite their efforts, more tasks to achieve are still remaining. Conclusion: First, physical environment constructing for activated smart learning will be need by smart devices support to the teacher and smart class establishment. Second, in case the contents for smart learning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be developed, the standards for applying the universal learning design will be prepared. Third,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widen and strengthening for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the efforts to improving competency of teachers will be needed for successful smart learning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