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고전소설의 결연징표 비교 연구 - 유형별 서사구조와 변별성을 중심으로-

        노보윤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0 No.-

        This study focuses on narratives of token of match in Korean-Chinese classic novels. This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token of match in Korean classic novels. There are common tokens of match in Korean-Chinese classic Novels. First, token of match work in presentation of relationship, confirmation of relationship, and marriage. Secondly, these works also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token of match such as birth, dream and exchange types. However, absolute value and solidarity(sense of unity) are characteristics unique to Korean classc novels. And it makes differences in narrative conflict and the closing of the novel between them. Compared to Chinese classic novels, token of match in Korean-Chinese classic novels is Especially absolute in terms of values. This stands out in two ways. First, token of match works only for marriage in Korean classic novels. Even though it's a very precious thing, no one else covets because It works only for match. Secondly, token of match have solidarity(sense of unity) only for one match and persons concerned in Korean classic novels. In conclusion, we can now understand how important the token of match is in Korean-Chinese classic novels and expect more following studies on the theme. 본고는 한중 고전소설에 나타난 결연징표의 비교를 통해 한국 고전소설에서 결연징표가 지니는 의미를 보다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중 고전소설에서 결연징표가 결연의 제시, 확인, 완성에 작용한다는 점, 결연징표의 유형이 천부형, 몽중제시형, 현세교환형으로 나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양국 소설은 결연징표가 지니는 절대성과 결속성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그것은 곧 갈등과 결말 처리 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이처럼 한국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결연징표는 중국 고전소설과 대비한 결과 그 가치와 기능 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첫째, 결연징표가 결연의 징표로만 작용한다. 결연징표는 누구나 갖고 싶어 하는 보배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이가 탐을 낼 수 없는 절대적 존재감을 지닌다. 이는 결연징표를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가 인물마다 다르게 드러나는 중국과 대조적이다. 둘째, 한국의 결연징표는 하나의 인연, 인물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결속성을 갖는다. 이는 결연징표가 인연, 인물과 별개로 분리되어 작용할 수 있다고 믿는 중국 고전소설과 큰 차이가 있다. 결국 한국 고전소설에서의 결연징표는 중국 고전소설과 달리 결연 서사 및 작품 전체에 깊게 관여함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한국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결연징표에 대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고전소설 결연징표의 현대적 변용 연구 - K-drama를 중심으로-

        노보윤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6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and succession of the “token of a match” in K-dramas. It is a common and key element in Korean classic novels. While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 form of K-dramas, their essence has not changed. The essence of the token of a match is decided fate. This idea has remained in the unconscious minds of the Korean people in the form of fate, as it appears in K-dramas, and it is the token of a match that becomes the proof of fate. In K-dramas, men and women confirm inevitability and fate by symbolizing them with the tokens, and the destiny love represented by these tokens has an irreplaceable and absolute value.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oken of a match and the ideas and rituals contained therein are the same for the Korean people regardless of the passage of time. If we recognize in our own mind the need to preserve our uniqueness, it will be a great force for K-culture to develop in a desirable direction and our content can stand out in the world. 이 논문은 남녀의 인연을 이루는 매개체로써 고전소설의 주요 소재로 활용된 ‘결연징표’가 현대 한국의 대표적인 대중 서사인 K-drama를 통해 어떻게 변형되면서 계승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K-drama의 결연징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그 형태와 서사적 맥락에 다소의 변화가 나타난다. 하지만 고전소설에서부터 이어져 온 ‘결연징표’ 화소의 본질은 천정인연을 바탕으로 한 필연론이다. 이런 사상은 우리 민족의 무의식 속에서 이어져 내려왔다. 그리고 그것은 K-drama에서 ‘운명’이란 말로 등장하고, 그 운명의 증거가 되는 것이 바로 ‘결연징표’이다. K-drama의 애정 서사에서도 주인공 남녀는 결연징표로 인해 운명임을 확인하고, 이에 따르는 그들의 사랑 또한 대체불가한 절대성을 갖는다. 이를 통해 ‘결연징표’와 그에 담긴 사상과 의식은 시대가 흘러도 우리 민족에게 동일하게 계승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 문화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더 빛날 수 있는 방법은 가장 우리다운 것의 발현에 있음을 인식하고, 우리가 갖고 있는 이러한 고유성을 알고 살린다면 K-culture가 방향성을 가지고 발전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