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EBS 방송콘텐츠에 대한 내용분석: 개인의 생애단계와 평생교육 영역별 학습주제에 의한 분류를 중심으로

        노경란 ( Kyung Ran Roh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평생교육 관점에서 EBS 방송콘텐츠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EBS 방송 콘텐츠의 내용 특성을 이해하고 평생교육에의 기여 관점에서 EBS 방송콘텐츠의 주제 선정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4월 한 달 동안 송출된 EBS 방송콘텐츠에 대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법에 근거한 EBS의 기능을 중심으로 방송콘텐츠의 구성 특성을 보면 학교교육 보완 목적의 방송콘텐츠와 평생교육 관련 방송콘텐츠가 양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관련 방송콘텐츠에 대한 세부 내용분석 결과, 생애단계의 측면에서 보면 EBS가 성인보다 유아 및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방송콘텐츠의 제작·편성에 높은 비중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주제의 측면에서 보면 인문교양 관련 방송콘텐츠의 비중이 높고 특히 외국어 능력향상 목적의 학습주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BS의 다채널·다매체화에 따라 채널 및 매체별 명확한 기능분화의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에의 기여 관점에서 EBS 방송콘텐츠의 주제 선정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broadcasting contents of the Korean Education Broadcasting System(hereafter EBS) with the lifelong educational view and to suggest implications to decide topics as broadcasting contents for improving lifelong educational function of EBS. EBS` broadcasting contents which were aired for one month(April of 2013)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wo functional contents were well balanced in terms of quantity between the complementary function for school education and the facilitative one for lifelong education. Secondly, EBS organized more broadcasting contents for youth and children than that for adults. Also the quantitative ratio of broadcasting contents related to humanities including foreign language skills was the highest in terms of topics. Lastly, each channel/media had a clear differentiated function according to diversification of channels/media.

      • KCI등재

        청년층 진로장애 인식 분석에 기초한 평생학습적 대안 탐색 연구

        노경란(Roh, Kyung Ran),변정현(Pyun, Chong Hy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1

        최근 청년층의 실업문제는 지속적으로 누적되고 있고 이들의 삶의 문제 해결과 개선을 위한 평생학습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잠재적 요구도 계속해서 증폭되고 있다. 이 연구는 삶의 중심축이 학교에서 일터로 이동하는 청년기라는 삶의 여정 속에서, 학교를 떠났으나 취업에 실패하였거나 아예 시도를 포기한 청년층이 청년기라는 특정 시기에 진로개발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과 연 무엇이며 어떠한 평생학습 관련 지원이 필요한가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이들이 지니는 개인적 특성과 취약 유형에 따라 진로개발 관련 학습요구, 즉 직업세계로의 이행 과정에서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어려움의 내용과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에 주목하고, 평생학습 영역에서 고려해야 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미취업상태의 청년층(만15-29세) 669명의 진로장애 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 성별(남성>여성), 교육수준(고학력자>저학력자), 거주지역 크기(대도시>중소 도시), 미취업 기간(장>단) 등과 같은 청년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진로개발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의 종류와 정도에 차이가 드러났다. 또한 저학력집단, 미취업장기화집단, 니트족 등의 취약 유형에 따라서도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어려움의 종류와 정도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진로개발과정에서 구직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청년들에게 평생학습 영역에서 어떠한 학습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ifference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of vulnerable youth who has weakness of employability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reer-relational vulnerable pattern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e collected 669 coding data of unemployed youth between year 15 and 29 who answered a questionnaire by on and off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es showed that vulnerable youth who has weakness of employability perceived career barriers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unemployed period, size of residence, and their vulnerable patterns. These findings provide that the tailored career development support model should be suggested for them instead of applying career decision-making pyramid model for youth on the average. Second, support programs and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satisfy their needs respectively, even though their vulnerable status seems to be similar. Third, support programs which are offered in order to develop their employability such as internship programs need to be considered and investigated thoroughly their effectiveness before applying to vulnerable youth.

      • KCI등재

        평생학습 영역에서의 시민사회단체와 정부 협력 특성 연구 - 일본 NPO와 공공부문의 협력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노경란(Roh Kyung-Ra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평생학습 영역에서 시민사회단체와 정부가 협력하는 일본의 실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생학습 영역에서 일본 시민사회단체의 활동 및 역할, 정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자료를 수합하여 분석하였다. 일본 평생학습 영역에서 시민사회단체와 정부가 협력하고 있는 현황과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일본 평생학습 영역에서 NPO와 정부와의 협력은 이미 상당히 보편적인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다. 둘째, 두 주체가 협력할 수 있는 법적ㆍ정책적 기반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협력 내용과 주체간 역할 정의가 이루어져있다. 셋째, 구체적 실천 사례에 대한 협력 관계 유형을 분석한 결과 Gidron 외(1992)의 이론에 근거하여 본다면 평생학습 영역에서 두 주체간의 관계는 이원형과 협동형의 성격을 동시에 나타냈다. 한편 Coston(1998)의 관계 유형에서 본다면 용역형, 제3자정부형, 협력형 등이 일본의 관계 유형을 표현하는데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협력 관계 형성의 실천적 특정으로는 ① NPO와 정부의 자연스러운 협력 기반 조성, ② 명목적 수준이 아닌 실제적 협력 내용과 역할 규명, ③ 지역을 거점으로 한 협력, ④ 사안에 따른 관계 유형 형성 등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 through analyzing Japan case cooperating between civil organization(NPO) and governm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ere are efforts to understand activities and roles of Japan NPOs, to analyze the relation patterns of NPOs and Japan government.<BR>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s as below. First, It is not rare to make cooperation between NPOs and government in Japan lifelong learning context. Second, There are legal and political bases to boost cooperation between them and they have concrete outputs to clarify each role and to be done, Third, According to Gidron"s theory, Japan"s relation pattern is considered as a dual type or a collaborative type. On the other hand basis on Coston"s theory, it could be thought a contracting type, a third-party government type, or a cooperative type. Fourth, Japan"s practical cases show us that ① the importance of natural cooperation infrastructure between civil organization and government, ② the necessity of applicable ways to reality, ③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local difference, ④ the flexiblity of building relationship patterns between civil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according to context.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특성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교 진로교육과 진로사교육을 중심으로

        노경란(Roh, Kyungran),허선주(Hur, Sunj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 형태를 학교교육과 사교육으로 구분하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참여특성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2019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고등학생용)’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등학생의 성별 특성, 재학 중인 학교의 규모와 소재지가 진로개발역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진로교육에 참여시, 양적으로만 다수의 진로활동에 참여하기보다 만족할 수 있는 진로활동과 진로체험에 참여할수록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에서 제공되는 진로교육에 추가로 외부 기관을 활용하여 진로사교육에 참여하면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사교육 참여시, 양적으로만 다수의 진로활동에 참여하기보다 만족할 수 있는 진로활동과 진로체험에 참여할수록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career education on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focusing on school education sector and private education sector. To achieve this purpose, KRIVET’s The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Panel in 2019(for high school students) was us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gender, school size, location of school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regardless o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in career education. Secondly, not more quantity of participation but more satisfied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ei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s higher in school education sector. Thirdly, the participation in private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o school career education enhances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Lastly, in private education sector also, not more quantity of participation but more satisfied with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ei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is hig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다층모형에 의한 학교 진로교육 환경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참여 다양성,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경란(Kyung-ran Roh),허선주(Sun-Joo Hur)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진로교육 환경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참여의 다양성,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2018 진로 교육 현황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학교의 진로교육환경을 물적환경, 교사환경, 교육과정환경으로 구조화하고, 진로개발역량과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학생의 참여 다양성 그리고 만족도로 구성하여 학교 수준과 학생 수준의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물적환경 중 학교 규모가 클수록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이 높고, 학교 진로교육에 다양하게 참여하였으며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환경 중 진로전담교사의 성별이 여성일 때, 교직경력이 짧지만 진로전담교사로서의 경력은 길수록,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육과정환경 중 창의적 체험활동 내 진로활동의 비율이 높고, 진로체험 활동의 총 운영 횟수가 많을 때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이 높고, 학교 진로교육에 다양하게 참여하였으며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만족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진로교육과 관련하여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divers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environment using multilevel models. This study used data from KRIVET’s The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Panel from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rger the school size in a physical environment,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diverse participation of school career education, and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ly, when the gender of the career teacher is female, the longer the experience as a career teacher even thought the teaching experience is short,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Finally, when the ratio of career activities in creative experience subject is high and the total number of career activities is large and diverse,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high. Additionally, thei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career education appeared to be hig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regarding middle schools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 KCI등재후보

        빈곤 가정 청소년의 가정적,개인적 특성과 주관적 인식 특성이 진로장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빈곤 가정 청소년의 진로개발을 위한 평생교육영역에서의 지원 활성화 관점-

        노경란 ( Kyung Ran Roh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연구논총 Vol.32 No.2

        본 연구는 빈곤 가정 청소년의 가정적, 개인적, 주관적 인식 특성에 따른 진로장벽인식 수준의 차이와 이러한 특성이 진로장벽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평생교육의 영역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빈곤 가정 청소년(1,234명)의 진로장벽 인식 조사 응답 결과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의 학력, 부모의 경제적 능력 유무, 부모와의 동거 여부 등의 가정적 특성, 청소년의 성별, 학령수준, 학업 성적 수준 등의 개인적 특성, 그리고 부모와의 관계, 부모의 관심, 현재 생활에 대한 만족 등의 주관적 인식 특성에 따라 빈곤 가정청소년이 진로장벽을 인식하는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각 특성 요인이 진로장벽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관적 인식 특성의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영역에서 빈곤 가정 청소년 대상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때의 시사점과 나아가서 이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의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of perceiving career barriers of teenagers in low-income families according to their family trai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ir subjective perception. The results of analyses(respondents=1,234) show that teenagers in low-income families perceive career barrier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family traits(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hether their parents have economic ability or not, and whether they live with their parents or not), individual characteristics(gender, school record),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environ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parents` concerns. Second, their subjective perception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their experience of career barrier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cusing on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teenagers in low-income families as well as their parents should be planed and operated in lifelong education area.

      • KCI등재

        평생교육과 복지측면에서의 평생학습계좌제 조명: 학습비 지원 논의를 중심으로

        노경란(Roh Kyung-R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2

        이 연구는 평생교육과 복지 간의 개념적 관계 탐색을 토대로 평생학습계좌제의 학습비 지원 주장을 타당성과 현실가능성 측면에서 타진해 보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평생교육(학습)과 복지와의 관계를 다룬 선행연구, 정책 자료, 국내·외 유사 정책프로그램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첫째, 평생교육은 인간다운 삶의 조건, 즉 복지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평생교육 자체가 인간다운 삶의 조건이자 권리이다. 둘째, 평생학습계좌제가 국민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법적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평생학습계좌제의 학습비 지원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중복 회피 전략, 정책고객 기반 정책개발 등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possible justification and realistic possibility for the government funding in order to enhance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in the Korean lifelong learning account system by contemplating the relation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welfare. To accomplish this purpose, literatures on the relation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welfare, domestic and foreign policy documents, and statistical data were review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lifelong education is not the means to accomplish welfare but the human right as a goal of welfare which should pursue. Secondly, the legal definition of The Korean lifelong learning account system in the Lifelong Education Act should be amended to guarantee the learning right. Lastly, strategic approaches are needed to realize the government funding for enhancing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such as an avoid duplication strategy, policy customer centered justification, and so forth.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정착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습활동 특성과 학습에 대한 주관적 인식 분석

        노경란(Roh, Kyung Ran),전연숙(Jeon, Youn Suk) 한국평생교육학회 2017 평생교육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습환경, 학습의 장벽과 촉진 요인, 학습에 대한 이들의 주관적 인식 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12명의 북한이탈주민이 쓴 자전적 기술서를 연구 자료로 하여 계속비교법(Glaser & Strauss, 1967)으로 분석하였고,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Strauss & Corbin, 1996)을 적용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 코딩 과정을 통해 주요 현상을 중심으로 한 범주 간 인과관계를 밝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남한 정착과정 중 북한이탈주민은 교육의 장에서 심리적으로 불편하고 위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은 학습과정에서 남한사람과 다른 학습장벽에 직면하고 있고, 스스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 스스로 남한 정착과정에서 학습을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북한 이탈주민은 문화적 다수자인 남한사람이 창출한 학습문화 내에서 학습을 전개하고 있고 이 연구 에서는 이 연구에서 밝힌 주된 현상으로부터 ‘사회적 자본의 빈곤으로 인한 학습활동에서의 낮은 주도적 성향’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긍정적 학습경험 전개를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learning activities and subjective perception to learning of North Korean defectors (hereafter, defectors) under the settlement process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planned and the collected data from 12 autobiographies written by defectors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defectors felt uncomfortable and were intimidated as a learner at the process of learning and education. Second, defectors faced several learning barrier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ones experienced by ordinary South Koreans. Third, defectors considered leaning and education as one of key success factors for a successful settlement. And last, defectors experienced uncertainty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this learning attribute was explained with a new terminology, ‘the low initiative in the learning activities on account of the deficiency of social capital’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support for defectors.

      • KCI등재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공연기획자 양성과정 이수생의 초기 경력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노경란(Kyung Ran Roh)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7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의 진출 분야 확장과 새로운 직업 진입 도전 사례로서 여성새로 일하기센터 공연기획자 양성과정을 이수한 후 공연예술 기획직에 신규 진입한 경력단절여성의 초기 경력 형성 과정에 대하여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직업훈련 이수 후 공연예술 기획직에 진입한 16명의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고 근거이론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력단절여성이 공연예술 기획직에서 초기 경력형성 과정에 대한 126개의 개념을 도출하고 이를 18개의 상위범주와 62개의 하위범주로 범주화하였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주관적 경력성공 인식 경향이 중심현상으로 도출하고 이를 둘러싼 개념의 범주 간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이 공연예술 기획직이라는 새로운 직업 분야로 진출하고자 할 때 관련 전문기관에서의 직업훈련을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실제 직업준비를 위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직업에 도전하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qualitatively the initial career developing process of career interrupted women who try to find new job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planned and the collected data from 16 informants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MWDI1]. Results showed that first, 126 concepts, 62 constructs, and 18 categories were drawn through open coding[MWDI2]. Second, the category which career interrupted women consider more important subjective referents rather than objective ones regarding career success was analyzed as a core phenomenon and relationships among categories were depicted as an axial coding [MWDI3]paradigm. Fourth, vocational training had a derivative meaning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career development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