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객체지향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기업간 프로세스의 통합에 관한 실증적 연구

        남지원,김진우 한국경영과학회 1998 經營 科學 Vol.15 No.2

        Recently, as the importance place on the design phase of system development has increased, the use of diagrams to design the overall system before implementing the actual program cods has seen a proportionate increase. This study focuses on the diverse diagrams depicting organizational processes when integrating multiple processes of individual organizations to form an Inter-Organizational System(IOS). In this study, we attempt to identify the critical representation features of process diagrams that enable the effective integration of Inter-Organizational processe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on features of different diagrams to be integrated was tested empirically in a laboratory setting.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integrating the processes of two organizations based upon the given process diagrams. Actual business processes were selected from real world cases and process diagrams were formulated based upon existing object-oriented notation. An analysis of the errors committed by the subjects during the integration process indicated that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iagram features representing the respective organizational processes had a significant impact upon the final integration outcome.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guideline for process diagrams that are crucial to effective Inter-Organizational process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과 일차성 불면증에서 심박동률 변이도 지수의 비교

        남지원,박두흠,유재학,유승호,하지현,Nam, Ji-Won,Park, Doo-Heum,Yu, Jaehak,Ryu, Seung-Ho,Ha, Ji-Hyeon 대한수면의학회 2012 수면·정신생리 Vol.19 No.2

        Objectives: Sleep disorders cause change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which affect cardiovascular system. Primary insomnia (PI) makes acceleration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SNS) tone by sleep deficiency and arousal.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sets off SNS by frequent arousals and hypoxemias during sleep. We aimed to compare the changes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dices induced by insomnia or sleep apnea to analyze for ANS how much to be affected by PI or OSAS. Methods: Total 315 subjects carried out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 PI, mild, moderate and severe OSAS. Severity of OSAS was determined by apnea-hypopnea index (AHI). Then we selected 110 subjects considering age, sex and valance of each group's size [Group 1 : PI (mean age=$41.50{\pm}13.16$ yrs, AHI <5, n=20), Group 2 : mild OSAS (mean age=$43.67{\pm}12.11$ yrs, AHI 5-15, n=30), Group 3 : moderate OSAS (mean age $44.93{\pm}12.38$ yrs, AHI 16-30, n=30), Group 4 : severe OSAS (mean age=$45.87{\pm}12.44$ yrs, AHI >30, n=30)]. Comparison of HRV indices among the four groups was performed with ANCOVA (adjusted for age and body mass index) and Sidak post-hoc test. Results: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V indices between severe OSAS group and the other groups (PI, mild OSAS and moderate OSA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RV indices among PI, mild and moderate OSAS group. In HRV indices of PI and severe OSAS group showing the most prominent difference in the group comparisons, average RR interval were $991.1{\pm}27.1$ and $875.8{\pm}22.0$ ms (p=0.016),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SDNN) was $85.4{\pm}6.6$ and $112.8{\pm}5.4$ ms (p=0.022), SDNN index was $57.5{\pm}5.2$ and $87.6{\pm}4.2$ (p<0.001), total power was $11,893.5{\pm}1,359.9$ and $18,097.0{\pm}1,107.2ms^2$(p=0.008), very low frequency (VLF) was $7,534.8{\pm}1,120.1$ and $11,883.8{\pm}912.0ms^2$ (p=0.035), low frequency (LF) was $2,724.2{\pm}327.8$ and $4,351.6{\pm}266.9ms^2$(p=0.003). Conclusions: VLF and LF which were correlated with SNS tone showed more increased differences between severe OSAS group and PI group than other group comparisons. We could suggest that severe OSAS group was more influential to increased SNS activity than PI group. 목 적: 수면 장애는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유발하여 심혈관계에 영향을 준다. 일차성 불면증(primary insomnia, 이하 PI)은 수면부족 및 각성으로,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은 수면 중 빈번한 각성, 저산소증 등으로 교감신경계 항진을 유발한다. 이에 OSAS와 PI 사이에서 심박동률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이하 HRV) 분석을 통해 자율신경계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임상병력 및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 이하 NPSG)로 선택된 PI와 OSAS 전체 315 명의 대상자 중 OSAS는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에 따라서 경도, 중등도, 중증도 OSAS로 분류하여 PI를 포함하여 4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연령, 성별, 군간 개체수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110명의 대상자가 선택되었고, PI군(평균나이 41.50, 표준편차 13.16, AHI <5, n=20), 경도 OSAS군(평균나이 43.67, 표준편차 12.11, AHI 5~15, n=30), 중등도 OSAS군(평균나이 44.93, 표준편차 12.38, AHI 16~30, n=30), 중증도 OSAS군(평균 나이 45.87, 표준편차 12.44, AHI >30, n=30)의 4개 군으로 나누었다. 이후 NPSG를 통해 얻은 각 군의 HRV 지수 비교를 위하여 연령과 체질량지수(body weight index, BMI)를 공변량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를 실시한 후 사후분석으로 Sidak test를 실시하였다. 결 과: HRV 지수의 비교 결과 PI군과 경도, 중등도의 OSAS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PI군과 중증도 OSAS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군간비교에서 통계적으로 가장 현저한 차이를 보인 PI군과 중증도 OSAS군에서 HRV 지수 중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각각의 값은 다음과 같았다. Average RR interval은 $991.1{\pm}27.1$과 $875.8{\pm}22.0$ ms(p=0.016),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SDNN)은 $85.4{\pm}6.6$과 $112.8{\pm}5.4$ ms(p=0.022), SDNN index는 $57.5{\pm}5.2$과 $87.6{\pm}4.2$(p<0.001), total power는 $11893.5{\pm}1359.9$과 $8097.0{\pm}1107.2ms^2$(p=0.008), very low frequency(VLF)는 $7534.8{\pm}1120.1$과 $11883.8{\pm}912.0ms^2$(p=0.035), low frequency(LF)는 $2724.2{\pm}327.8$과 $4351.6{\pm}266.9ms^2$였다(p=0.00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PI군에 비해 중증도의 OSAS군에서 HRV 지수 중 교감신경계의 영향을 많이 받는 VLF, LF 등이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를 통해 PI에 비해 중증도의 OSAS가 교감신경계 활동증가에 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존 행정학자들의 새로운 학문체계의 담론에 관한 연구: 행정언어연구회 회원들의 현상학적 모멘트를 중심으로

        남지원 한국행정학회 2010 韓國行政學報 Vol.44 No.1

        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LPA members discuss a new science of “phenomenolog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methods are used to identify the progress of members' responses. Results suggest that the members demonstrate three types of responses towards phenomenology, leading to an ontological inquiry into the SLPA's identity as well as that of Public Administration. 이 논문은 최근 행정학계에서 관심을 끄는 “행정언어연구회”라는 일단의 학자들로 구성된 연구모임의,“현상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체계에 관한 담론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행정학자들이 현상학을 어떻게 대면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에 있어서, 연구회의 토론에 참가하여 담론의 방식과 내용을 참관과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행정학자들이 현상학을 직면하는 방식은 크게 3가지로 개념화될수 있었으며, 그 방식에 따라 현상학에 대한 구체적 실천방향이 다르게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행정학자들의 현상학 담론을 통해 기존 행정학 논의의 구조적 특징들이 투영되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기존 행정학의 논의 구조로는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행정현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행정의 위기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현상학적 담론의 역할은 결국 연구회의 정체성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으로 회귀되며, 더 나아가 행정학의 학문적 자기 성찰을 촉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불면증 정도가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에서의 주간졸림 정도에 끼치는 영향

        남지원,신병학,신현실,박민지,Nam, Ji-Won,Shin, Byoung-Hak,Shin, Hyeon-Sil,Park, Minji 대한수면의학회 2015 수면·정신생리 Vol.22 No.1

        목 적 : 폐쇄성 수면무호흡 증후군(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이하 OSAS)의 특징적 임상양상으로 주간졸림이 있다.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가 비례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다. 이러한 이론에는 불면증 정도가 두 변수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본 연구자들은 피츠버그수면질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이하 PSQI) 정도가 주간졸림과 수면무호흡의 심각도의 연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임상병력 및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 이하 NPSG)를 실시하여 OSAS로 진단된 235명의 남자 환자를 선정하였다. 전체 대상군의 수면 및 기분 관련 자가보고척도, 수면다원검사지수, 인구학적 척도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단순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전체 대상군을 PSQI가 5 이하인 A군(n = 75)과 5 초과인 B군(n = 160)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서 제어변수로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 및 벡불안척도(Beck anxiety inventory, 이하 BAI)를 설정하고 엡워스졸림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 이하 ESS)와 다른 척도들 간의 편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A군에서 주간졸림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ESS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대상군에서 단순상관분석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 심각도 지수들인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 ) (r = 0.148, p = 0.023), 무호흡 지수(apnea index, 이하 AI) (r = 0.137, p = 0.036), 저호흡 지수(hypopnea index, 이하 HI) (r = 0.058, p = 0.377), 산소탈포화도지수(oxygen desaturation index, 이하 ODI)(r = 0.149, p = 0.022), 각성 총지수(arousal total index, 이하 ATI) (r = 0.129, p = 0.048) 간에 미약한 상관관계를 보이거나 상관관계가 없었다. A군에서 ESS와 AHI ($r_p=0.313$, p = 0.008), AI ($r_p=0.339$, p = 0.004), ODI ($r_p=0.289$, p = 0.015), ATI ($r_p=0.256$, p = 0.031) 간에 양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B군에서는 ESS와 수면무호흡의 심각도 척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A군에서 다중회귀분석 결과 ESS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AI (t = 2.996, p = 0.004), BAI (t = 2.721, p = 0.008)가 있었다. 결 론 : 주간졸림 정도와 수면무호흡 중증도 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A군에서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OSAS 환자가 호소하는 주간졸음을 평가할 때 불면 증상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Whether daytime sleepiness is proportional to the severity of sleep apnea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insomnia severity affects the association between daytime sleepiness and sleep apnea severity in OSAS. Methods: The present study included 235 male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OSAS based on clinical history and nocturnal polysomnograph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sleep and mood-related self-reported data, polysomnographic data and demographic data of all subjects. Based on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A (n = 75; $PSQI{\leq}5$) and group B (n = 160; PSQI > 5).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and other data in both group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ed the ESS in group A. Resul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weak or non-existent correlations between ESS and apnea severity data such as apnea-hypopnea index (AHI) (r = 0.148, p = 0.023), apnea index (AI) (r = 0.137, p = 0.036), hypopnea index (HI) (r = 0.058, p = 0.377), 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r = 0.149, p = 0.022) and arousal total index (ATI) (r = 0.129, p = 0.048).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SS and apnea severity data such as AHI ($r_p=0.313$, p = 0.008), AI ($r_p=0.339$, p = 0.004), ODI ($r_p=0.289$, p = 0.015) and ATI ($r_p=0.256$, p = 0.031) were observed only in group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I (t = 2.996, p = 0.004) and BAI (t = 2.721, p = 0.008) were associated with ESS in group A.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daytime sleepiness and sleep apnea severity was shown only in group A. This result suggests that associations between daytime sleepiness in OSAS and sleep apnea severity will become prominent when controlling for insomnia-related variables.

      • KCI등재

        Revisiting Institutional Choice in Presidential Campaign Finance- A Hierarchical Linear Model -

        남지원,하세헌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2

        Our model explored how the U.S. presidential candidates’ popularity rates as observational units can be differently explained by citizens’ economic voting and money sources depending on the parties as an experimental unit. The partial effects of these variables were investigated by controlling for individual contributions, super PAC’s donations, consumer sentiment and the levels of ideology from parties. Because of the bipartisan system, it was inevitable to examine the factors in terms of a multi-level approach based on nested structure.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to show how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is used with the nested data in the U.S. presidential candidates with party membership.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xed-effect model, individual contributions as a level-1 predictor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candidates’ popularity rates. Subsequently, the random slope of individual contribution had a different magnitude of effect on the popularity rates depending on the candidates’ party affiliation. Nevertheless, the cross-level interaction between level-1 and level-2 variables did not exist. For a methodological suggestion, the authors took note that stratifying variables at multi-levels is more accurate in analysis than the use of ordinary least squares (OLS) because an HLM analysis can prevent the overestimation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