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연민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남정희,박현숙 한국간호교육학회 202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6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mpacts of perceived stress and self-compass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nursing students between 11 October and 26 October 2018 from a college in A city. A total of 15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indings show that perceived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73, p<.001). However, self-compas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66,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cluded perceived stress, self-compassion, state of health,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ith perceived stress bei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 (β=-.42), followed by self-compassion (β=.30), which together had an explanatory power of 64.0%. Moreov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ursing college students should search for ways to reduce their perceived stress as well as increase self-compassion with medit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연민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연민,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인은 삶의 질에 대한 64.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각된 스트레스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기연민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와 자기연민 강화가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건강상태와 대학생활 만족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임을 감안할 때,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건강상태와 대학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외 활동 프로그램 등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연민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확대 해석하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추후에는 지역을 확대하고 무작위 표집을 하여 반복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이므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심리적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삶의 질을 확인하는 중재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자기연민이 자신의 삶을 보호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심리적 건강에 도움을 주므로 자기연민을 훈련시키는 자애명상프로그램, 연민훈련 등을 활용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는 추후연구를 제언한다.
조선후기 문인의 明ㆍ淸 서적 수용과 독서의 경향성 試考
남정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8 No.-
이 글은 18세기 후반 조선 지식인 사회에서 나타나는 명ㆍ청 서적에 대한 독서의 모습을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의의 구체성 확보를 위해서 이 시기에 독서인으로서 전형적인 모습을 가진 이덕무의 기록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그가 수용한 서적들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 시기 지식인 독자들은 다양한 공적ㆍ사적인 경로를 통해서 청으로부터 다양한 분야의 서적들을 수용하였다. 이들은 연행을 통해서 서적을 도입하고 동류 집단 내의 장서가를 통한 서적의 교환과 적극적인 전사라는 방법을 거쳐서 새로운 지식에 접근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서적의 수용은 좀더 진전된 학문 방법론에 대한 이해와 지식의 확대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수용된 명ㆍ청의 서적들은 일반적으로 子部와 集部에 속한 것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분량을 차지했고 經部에 해당하는 서적 중에서는 經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청의 서적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조선의 지식인은 전통적인 경서 중심의 읽기와 그것으로부터 벗어난 새로운 책의 섭렵이라는 취향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명ㆍ청 서적의 독서는 문인과 지식인들 사이에서 새로운 지식을 소통시키고 사고의 전환을 이룰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In this paper, I have intended to show a true picture of the reading of Ming and Qing's book in the literati in the late of 18th century. To secure a concrete discussion, the case of Lee Deok Moo as a typical model of intellectual in Chosun was analyzed. The books that had been read by him was listed. The intellectual readers in those times they had accepted books through public and private channels from Qing China. They had introduced Ming and Qing's books in Chosun society from traveling of China and borrowed books from a private libraty among the same class and transcribed those books. It led for them to approach a new knowledge. That kind of accommodating the book brought the magnification of knowledge with the progress of methodology. The growth in the number of Classics introduced from Qing China in those times decreased and Philosophies and Belles Lettres in category increased. The new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appeared and widely were read in intellectual community. In the traditional way of reading the Classics and the Four Books, they began to deviate from strict reading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to pursuit of the pleasure of reading. Consequently, the reading of those books provided a chance that gave them mutual understanding and accomplished the conversion of thinking among the intellectuals.
이긍익 소작 <죽창곡(竹牕曲)>의 특징과 연군의 문맥 고찰
남정희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79
This study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situation of creation for <Jukchanggok> that Lee Geung-ik wrote, and examine the inner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nd the context of Yeongun consciousness. Inferring the context in which the writer produced this work, there is a different point from the usual exile Gasa, and that is, he experienced exile as an accompanying person, not as an exile person. His father Lee Gwang-sa was implicated when his elder uncle Lee Jin-yu, who was already deceased, was again involved in the issue of punishing treason, and had to be exiled from 1755 to 1777 when he (Lee Gwang-sa) died. <Jukchanggok> is based on the Shinjidoisland exile around 1763, when Lee Geung-ik accompanied his father's exile. In the work, the speaker speaks with the voice of a woman and describes the relationship with Nim as fate. In the prologue, he pointed out that the relationship with Nim had not been made, and went into the main discourse, and the earnest desire for Nim's indebtedness continued. And the main semantic framework that creates the structure of this yearning for royal favor (干恩) in the course of the narrative is the trial of the speaker and Nim's indebtedness to overcome i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s poetic sentiment, the sigh of the speaker, which was caused by failing to meet Nim, ultimately turns into satisfaction by Nim's act of giving king's virtue. The reality faced by Lee Geung-ik as an exile accompanying person was relentless and impossible to make a rise socially in the world. Under the existential conditions of such a clumsy clan, the author did not defend the position of his own father, or through it, did not reveal the voice of criticism toward the world. Rather, he emphasized that the simple life of his father's exile life was due to the indebtedness of the wise king, and he hoped for a world in which the virtues of the king would be given to him and his father without discrimination. 이 글에서는 이긍익이 창작한 <죽창곡>을 대상으로 하여 창작의 상황을 재구성하고 작품 내부의 구조적인 특징과 연군의식의 문맥을 고찰해 보았다. 작자가 이 작품을 생산한 맥락을 추론해 보면 일반적인 유배가사와는 다른 지점이 있는데, 그것은 그가 배행자로서 유배를 경험했다는 것이다. 친부인 이광사는 이미 고인이 된 백부 이진유가 다시 역률에 추시되자 연좌되어서 1755년부터 임종 시인 1777년까지 유배형을 치러야 했다. <죽창곡>은 이긍익이 아버지의 유배를 배행했던 1763년 무렵의 신지도 유배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품 속에서 화자는 여성의 목소리로 발화하며 님과의 인연을 운명으로 서술하고 있다. 서사에서는 님과의 인연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지적하고 본사에서는 님의 은혜에 대한 간구가 연속되었다. 서술의 과정에서 이 간은(干恩)의 구조를 만들어내는 주요한 의미적인 틀은 화자의시련과 그것을 극복하게 하는 님의 은혜이다. 화자의 탄식은 결론적으로는 성덕을 베푼 님의 행위에 의해서 충족감으로 바뀐다. 배행자로서이긍익이 마주 한 현실은 냉혹하고 스스로 입신양명의 사회적 출세가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불온한 가문이라는 실존적인 조건 속에서 작자는연좌된 친부의 처지를 옹호하거나 그것을 통해서 세상을 향한 비판의목소리를 드러내지 않았다. 그보다는 오히려 아비가 영위하는 유배생활의 소박한 삶이 성군(聖君)의 은혜 덕분임을 강조하면서 왕의 덕이 자신과 친부에게 차별없이 베풀어지는 세상을 소망했다.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남정희,김성희,강순희,박종윤,최병순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CASE 활동 중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학생-학생, 교사-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인지수준에 따라 교수학습과정 에서의 상호작용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변인통제 문제해결 활동에서 상호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활동을 관찰, 녹음하였고 이를 전사하여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토론의 모든 과정을 주도하는 것은 주로 조 내에서 상대적으로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들이었다.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이 토론을 주도하지 못하는 조의 경우는 문제인식과 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학생들은 문제를 인식할 때 문제가 제시되는 상황에 크게 의존하였다.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에 비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특히 문제상황에서 변인을 잘 찾아내지 못하였고, 원인변인과 결과변인을 잘 구분하지 못하였으며,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변인의 수가 적어 변인통제를 잘 하지 못하였다. 이들은 또한 자신보다 능력이 뛰어난 동료나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였고, 반면에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스스로 또는 자신과 마찬가지로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였다. 조 안에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이 토론을 주도하고 있을 경우에는 조원들 사이의 상호작용만으로도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의 도움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았다. 그러나 조 안에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이 없거나 토론을 주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교사의 개입이 있어야 올바른 문제인식과 문제해결이 이루어졌다. 위의 결과는 CASE와 같이 학생-학생,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집단 토론학습에서, 인지수준이 다양한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이 조 내에서 토론을 이끌도록 조를 구성하고,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들도 적극적인 사고활동을 할 수 있도록 조 구성원들 사이에서 메타인지적 질문이 오고가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verbal interactions occurred during the CASE(Cognitive Acceleration through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has been analyzed regarding with students cognitive level. The subjects were 24 students of 6 groups in a middle school in Korea. Verbal interactions within group discussions during CASE activitie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Also, classroom observation and interview with student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 with higher cognitive level tended to be a group leader. They had strong influences on the group discussions in each step of problem solving. Also, the higher cognitive level students were more active in metacognitive discussion and more often used scientific terms. When their group met difficulties in each stage of problem solving, such as perception of problem and designing experiment, the higher cognitive level students suggested some ideas to help their peers and gave them an explanation of how they worked. Low cognitive level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perception and solving the problem as compared with high cognitive students. It was common during activities for the low cognitive level students to fail to identify variables and to distinguish between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y failed to hold a number of variables at once. However, the metacognitive questions from their peers or teacher were helpful for them to construct the concept of controlling variables. If there is no student who has a high level of thinking in a group, it was necessary to intervene for teacher. A well judged questions from teacher created the cognitive conflict which causes the students to reconstruct their strategy for problem solving and reinforce the control of variables reasoning pattern.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students' cognitive levels are much related to the verbal interaction patterns. This suggests that teacher should consider individual student's cognitive level in organizing groups and intervene to facilitate the environment for metacognitive interaction.
환경하중에 의한 연속철근콘크리트(CRCP) 종방향 철근의 구속정도
남정희,안상혁 한국도로학회 2014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6 No.6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gree of restraint (DOR) of longitudinal steel at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pavement (CRCP) against environmental loadings. METHODS : To measure the longitudinal steel strain, 3-electrical resistance and self-temperature compensation gauges were installed toCRCP test section (thickness = 250mm, steel ratio = 0.7%) and continuously measured 10 min. intervals during 259 days. In order to properlyanalyze the steel strains first, temperature compensation process has been conducted. Secondly, measured steel strains were divided into 12phases with different events such as before paving, during concrete hardening, and after first cracking, etc. RESULTS : Thermal strain rate (TSR) concept is defined as the linear strain variations with temperature changes and restraints rate oflongitudinal steel against environmental loadings (especially thermal loading) with different cases is defined as degree of restraint(DOR). Newconcept of DOR could be indirect indicator of crack width behaviors of CRCP. CONCLUSIONS: Before paving, DOR of longitudinal steel is almost same at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steel (12.44m/m/℃)because of no restraint boundary condition. After concrete pouring, DOR is gradually changed into -1 due to concrete stiffness developing withhydration. After first cracking at crack induced area, values of DOR are around -3~-5. The negative DOR stands for the crack width behaviorinstead of steel strain behavior. During winter season, DOR reached to -5.77 as the highest, but spring this values gradually reduced as -1.7 asthe lowest. Based on this observation, we can presume crack width decreased over time within the time frame of this study. This finding is notconsistent with the current theory on crack width variations over time, so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auses of crack widthreducing. One of the reasons could be related to concrete stress re-distribution and stress relax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