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당(溪堂) 류주목(柳疇睦)의 『전례유집(全禮類輯)』과 예설 교류

        남재주 ( Nam Jae-ju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1

        溪堂 柳疇睦은 경상북도 尙州에서 활동하면서 退溪學派의 西厓學統을 계승한 학자이다. 그는 300여 명이 넘는 제자를 배출하였고 학술 진흥, 특히 禮學 분야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그가 편찬한 『全禮類輯』은 家禮와 邦禮를 전체적으로 아우른 禮書로, 조선시대 예학 저술 가운데 가장 방대하고 면밀한 것 중의 하나로 꼽힌다. 이는 官撰이 아니라 한 개인의 학문적 열정으로 편찬한 私撰 ‘예설 종합서’로 그의 사후에 제자들과 지역 유림의 협조로 최종 정리되었다. 그가 가례뿐만 아니라 방례까지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결과물을 제출할 수 있었던 것은 西厓 柳成龍과 洛波 柳厚祚 등으로 이어져 家學전통으로 자리매김한 ‘世臣之義’의 가르침을 출처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던 데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한편, 류주목의 제자로서 近畿南人 性齋 許傳의 제자 명단에 함께 수록된 인물이 20명에 이를 정도로 많다. 특히 『전례유집』에 수록된 ‘師服’ 조목은 영남남인 東巖 柳長源의 『常變通攷』 자료를 기초로 하여 편찬하였는데, 류주목의 제자이자 허전의 제자인 克齋 盧佖淵의 아들 小訥 盧相稷이 「師服考」라는 저술에서 이들 자료를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경상북도 상주 중심의 류주목 제자와 경상남도 중심의 허전 제자 간에 학술적으로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Ryu Ju-mok was a scholar who succeeded Seoae Studies(西厓學) among the Toegye School(退溪學派) and was active in Sangju(尙州) Gyeongsangbuk-do(慶尙北道). He produced more than 300 disciples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promotion of Yehak(禮學). In particular, he compiled the 『JeonRyeYooJip(全禮類輯)』 by incorporating the custom of the family and the rites of the country, and this book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extensive and detailed among the Joseon Dynasty's ritual books. The reason he was able to make excellent results by studying the rites of the family and the state is because the teachings of Sesinjiui(世臣之義)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traditional theory of the family from Ryu Seong-ryong(柳成龍) and Ryu Hu-jo(柳厚祚). By the way, among the disciples of Ryu-jumok there are 20 people whose names were recorded on the list of Heo Jeon(許傳)'s disciples, Noh Pil-yeon(盧佖淵) was one of them. And Noh-Pilyeon's son Noh Sang-jik(盧相稷) wrote Sabokgo(師服考) which inherited theory of 『JeonRyeYooJip』's Sabok(師服). Based on the fact that the theory of 『JeonRyeYooJip』's Sabok began with 『SangbyeonTonggo(常變通攷)』, we can see that there was active academic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ciples of Ryu ju-mok in Sangju Gyeongsangbuk-do and Heo jeon in Gyeongsangnam-do(慶尙南道).

      • KCI등재

        『한강선생사례문답휘류(寒岡先生四禮問答彙類)』의 편찬과 의의

        남재주 ( Jae Ju Na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본고는 17세기 조선을 대표하는 禮學者이자 영남지역 禮學派의 거두인 寒岡 鄭逑(1543~1620)의 禮問答을 수록한 『寒岡先生四禮問答彙類』의 편찬 과정, 체재와 내용, 특징과 의의 등을 살펴본 것이다. 이 책은 한강의 문집인 『寒岡集』에 수록된 예문답을 위주로 채록하고 기타 자료에 산견되는 한강의 예문답까지 아울러서 冠婚喪祭의 四禮 체계로 정리하였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첫째, 『한강집』에 수록된 四禮 관련 문답을 추출하여 편찬하였기 때문에 사례에 대한 한강의 예설 관점을 집중적이고 일목요연하게 조망할 수 있다. 둘째, 관혼상제의 순서에 따라 세부 목차를 설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예문답을 배치하여 예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빈번하게 부딪치게 되는 疑禮 또는 變禮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 준거를 제시함으로써 후인들의 예 실천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셋째, 관혼상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方喪, 雜儀, 祠典 및 補遺까지 아우르고 있어 한강이 家禮뿐만 아니라 鄕禮와 邦禮까지 예학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여 조선조 예학의 틀을 정립함과 동시에 예학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던 면모까지 살펴볼 수 있다. 넷째, ``彙類`` 형식의 예서 편찬을 통해 조선후기 영남지역 예학이 類聚·辨證·折衷의 학문 풍토 속에서 배태 발전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Master Hangang`s Inquiries about and Answers to Four Ceremonial Manners Grouped into Similar Categories: its compilation process, system,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This book includes inquiries about and answers to manners by Gu Jeong(1543~1620) whose pen name was Hangang. He was an exceptional scholar studying ceremonial manner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and also a leading master of studying ceremonial manners of the Yeongnam area. This compiled book focuses on the inquiries about and answers to manners included in the Hangang Collection of Writings by Hangang, along with his inquiries about and answers to ceremonial manners found in other books, organizing the systems of the four ceremonial manners about coming of age, weddings, funerals, and ancestral memorial services. The book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e following. First, the book selected and compiled the inquiries about and answers to the four ceremonial manners found in Hangang Collection of Writings, showing Gu Jeong`s view on those manners intensively and clearly. Second, the book made it easy for descendants to practice ceremonial manners. It established detailed content lists in the order of the four ceremonial manners, put down inquiries about and answers to ceremonial manner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rituals, and presented concrete criteria on which to settle confusing or incidental manners confronting people in the course of practicing various rituals. Third, the book includes manners of national funerals, many other minor rituals, and a supplementary appendix in addition to the four ceremonial manners. This reveals that Hangang extended the range of studying manners to village and national rituals beyond family ceremonies, established the frame of studying manners of the Joseon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prepared a turning point for studying manners. Fourth, the book was compiled in the way of grouping similar categories, which shows that studying manners in the Yeongnam area was developed in the academic atmosphere of grouping similar contents, and dialectically analyzing and compromising them.

      • KCI등재

        退溪의 折衷的 論禮 관점

        남재주(Nam Jae-ju)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1 동양한문학연구 Vol.33 No.-

        Whoever seeks for and fulfills courtesy is willing to get rid of obstacles that go beyond all reason. Also, he or she makes an effort to gain the best true courtesy prepared with a merciful mind, a manner an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There are several ways to gain the best true courtesy. Zhu-xi Family Courtesy and Institution of the Time or Custom of the Time can be applied. However, using only one method can not result in the best true courtesy. Toegye focused on the custom which was being widely processed by people at that time. He also discarded partial factors of impoliteness, over-politeness and disrespect, improved dissatisfying factors, encouraged the positive factors and tried to settle the noblemen’s improved custom of courtesy. In the process, he considered not only old courtesy or Zhu-xi family Courtesy but also Institution of the Time or Custom of the Time. They were the only measures to improve the custom of Joseon. The study point of Toegye courtesy is to draw a compromise from circumstances and given conditions at that time through investigation of those measures. This Toegye courtesy is to succeed to Conforming to the Times of the spirit of courtesy of Confucius and Zhu-xi. 예를 강구하고 실천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치에 맞지 않거나 이치에 장애되는 것들을 제거하는 동시에 人情과 禮文을 모두 만족하는 최선의 正禮를 획득하고자 한다. 정례에 도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古禮나 『주자가례』를 가져올 수도 있겠고 時王之制나 時俗之禮를 적용할 수도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로 고정되지 않으며 고정될 수도 없다. 退溪 李滉(1501∼1570)은 정례를 획득하기 위해서 당시 사람들이 널리 통행하는 현재 진행형의 풍속에 주안점을 두고서, 일부 無禮 非禮 過禮 缺禮의 요소는 제거하거나 개선하는 한편, 건전한 요소는 권장하면서 사대부의 예속을 개량 정착시키려고 하였다. 이를 이루어가는 과정에서 그의 뇌리에 가장 큰 위치를 점하고 있던 것은 고례나 『주자가례』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시왕지제나 시속지례도 아니었다. 그것들은 ‘조선의 풍속’을 개량 순화하기 위해서 가져온 수단이자 도구에 지나지 않았다. 이러한 수단과 도구들을 면밀하게 검토하면서도 당시의 상황과 여건에 합치되는 절충점을 도출하는 것이 퇴계 예학의 핵심이었다. 이는 孔子와 朱子의 ‘從時’라는 ‘예정신’을 계승한 것이었다. 그들의 ‘뜻’을 스승으로 삼았지 ‘條文’을 스승으로 삼은 것은 아니었다.

      • KCI등재후보

        사미헌(四未軒) 장복추가(張福樞家) 예학(禮學)의 가학(家學) 원류(源流)

        남재주 ( Jae Ju Na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4

        본고는 19세가 이후의 예학이 `一家之禮`의 정립을 위해 가문마다 자신의 선조 중 예학 연구에 두각을 드러낸 인물을 전면에 내세워서 지금까지 행해오던 禮制를 하나의 家法으로 확립하여 저술하는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四未軒 張福樞의 『家禮補疑』에 거론된 인용서목과 선유성씨 중 사미헌가의 인물을 중심으로 예설 경향을 검토하였다. 그라고 사미헌 이후에 와서 어떤 인물에 의해 예학이 家學으로 전해졌는가를 살폈다. 가학으로 계승되는 일가지례의 예서들은 가본적으로 『가례』의 명문 규정을 따르면서도, 『가례』에서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선조의 설과 時俗禮 그리고 집안에서 행해지는 가례 등을 접목시켜 체계화시키고 있다. 특히 사미헌 가문에서는 여헌 장현광의 예설이 논의의 중심에 있는데, 후손들은 여헌의 설을 대체적으로 尊信하면서도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일정 부분 변용을 가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일가지례의 정립은 예학, 더 나아가서는 조선 문화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이들이 체면을 유지하고 정체성을 찾으려는 의도가 깊이 깔려 있다고 하겠다. Since 19th century the study on the traditional rites [禮學] will speak that there is in triangular position of `the family rite rules [一家之禮]`. Standing person who exposes prominence in ceremonis study among own ancestors by pedigree on the whole and establish from courtesy to etiquette of pedigree. Examined the rules of propriety tendency with Samihun domestic person as the central figure among book and elder confucianist that are quoted first to Samihun Jang-Bokchu`s 『Gayebouh(家禮補疑)』 to examine this. And studied by a person after Samihun ceremonis was conveyed the family studies. Although books about the family rite rules that are inherited to the family studies follow 『Garye』 substantive enactment basically they are grafting together etiquette of an ancestor`s an opinion and customs of the age and the family rite rules about parts that were not presented definitely in 『Garye』. Specially, Yeoheon Jang-hyeonwang`s rules of propriety are in the midst of discussion in Samihun pedigree. Descendants try to change partially according to a flow of time respecting Yeoheon`s opinion in general. This family rite rules` thesis is a study on the traditional rites, an example that shows various sides of culture in Joseon era. But, there was an intention behind the story which finds identity as well as keeps prestige.

      • KCI등재

        심원당(心遠堂) 이육(李堉)의 생애와 예학사상(禮學思想)

        남재주 ( Jae Ju Na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8

        본고는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에 걸쳐 경상도 星州 지역에서 활동한 心遠堂 李堉(1572∼1637)의 생애와 禮學思想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육은 성주를 대표하는 학자인 金宇옹과 鄭逑의 문하에 출입하여 두 스승의 학통을 충실히 계승하고, 스승을 통하여 李滉과 曺植의 학문과 기상을 섭렵하였다. 김우옹 문하에서는 五賢에 꼽힐 정도로 두각을 드러내었고, 정구 문하에서는 30년 동안 수학하며 禮學과 心學을 깊이 공부하였다. 그리고 그는 김우옹과 정구를 통해 전수받은 학문을 제자들에게 전수하여 성주 지역 학맥의 전승 과정에 가교 역할을 하였다. 이육은 정구의 예학 성과를 계승하여 조선조 예학의 전개 과정에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정구가 다양한 예설을 제안하고 많은 예서를 편찬하여 17세기 영남지역 예학의 종장으로 추앙받았으므로 그의 문인들은 스승에게 질의 하거나 서신을 보내 의문점을 해결하고 예학적 소양을 축적하여 갔다. 이육이 제기한 喪禮와 祭禮 問目은 예학 논의가 전국적으로 활발해지던 시점에 나온 것으로, 變禮에 대한 관심은 물론 그에 대한 절충안을 마련하고자 했던 당시의 예학사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biography of Yuk Yi(李堉, 1572~1637) with the pseudonym of Simwondang(心遠堂) and his thoughts of ritual manners. He was active in the area of Seongju(星州) from the late 16th century through the early 17th century. Yuk Yi was taught by two excellent masters in the area of Seongju: one was Uong Kim(金宇옹), and the other was Gu Jeong(鄭逑). He inherited the academic trends of the two masters, and acquired the learning spirit of Hwang Yi(李滉) and Sik Jo(曺植). He was so outstanding when taught by Uong Kim that he was among the top five of Kim``s disciples. When led by Gu Jeong for 30 years, he was committed to studying ritual manners and practical ethics. Then he taught his students what he inherited from his two masters. He formed the bridge between his masters and his students when he inherited the academic course in the area of Seongju. Yuk Yi inherited Gu Jeong``s results for studying ritual manners and contributed considerably to developing ritual manners in the Joseon Dynasty. Gu Jeong presented so many various theories of ritual manners and compiled so many books of ritual manners that he was admired as a master of ritual manners in the area of Yeongnam(嶺南) in the 17th century. As a result, his students asked questions of their master, or sent letters to him to solve problems, thus accumulating knowledge of ritual manners. Yuk Yi also suggested diverse manners related to village rituals, funerals, and memorial services and posed inquiry items or titles. It was the time when there were lively discussions about ritual manners across the nation. His suggestions of these diverse manners are meaningful as they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academic tendencies of the time and to take interest in manners of incidental events and to prepare compromise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