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녕 영산읍성의 축성의미와 그 구조

        남재우,안성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6

        Based on excavational results, we have researched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Youngsan eupseong in Changnyeong and its structural features. Eupseong, Town Wall, which had been built along the coastal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had aimed to protect coastal area from japanese pirates. Thought Youngsan area weren't coastal area, Young-San eupseong had been constructed in the same purpose. Because Changnyeong disrict had been plundered and attacked by japanese pirates who came along the Nakdong river. In 1477(8th year of king Sungjong's reign, king's court made decision to costruct Town Wall in Youngsan, Yangsan and Milyang. Because king and his court worried that japanese pirates were able to reach and plunder this region along the Nak dong river.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Eupseong is as follows, Location of Youngsan eupseong is same with another Forts and Fortifications in Kyoungnam province after 5th century and Youngchuk sanseong Fortress had been located behind of eupseong. And the Town Wall was constructed between ground and mountainous area. Youngsan eupseong is different from Gohyun Town Wall in Geo-Je Island in terms of layout. Because Youngsan eupseong is becoming narrow towards the mountain area. The construction methods of wall are similar to the other Town Wall of coastal area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we compared Youngsan eupseong with the other Town Walls and Forts of Joseon dynasty. As a results, we found two methods to strengthen the basis of wall. One is using wooden piles and the other is making foundation bed by digging the ground with the L or ㄩ shapes and filling up the pit with rocks. In terms of construction technique of Town Wall of Joseon dynasty, foundation stones had been usually installed on the fundus of walls in the early time. But the technique had been changed and the foundation stones had been disappeared. Stylobate of the Wall had been constructed into two types of shape. One is diagonal shape and the other is horizontal shape. In the Youngsan eupseong, we had found both shapes of stylobate. And the diagonal shape stylobate was a rusult of influence from the Capital Fortress of Hanyang in Joseon dynasty. 창녕의 영산읍성에 대하여 문헌자료와 그간의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축성의 의미와 읍성의 특징과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에 축조된 읍성은 대부분 연해읍성으로서 왜구 방비를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내지에 속하는 영산지역에 읍성이 축조된 것은 영산지역 역시왜구의 침입이나 일본과의 관계가 활발했던 지역이기 때문이었다. 이에 성종 8년(1477) 하삼도의 축성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영산지역이 양산, 밀양 등과 함께 읍성축조의 대상지역으로 선정되었다. 즉 영산지역에 읍성을 축조한 것은 내지라 하더라도 일본인이 낙동강을 따라도달할 수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일본에 대비하기 위한 축성이 필요했던 것이다. 읍성의 특성과 그 구조는 대략 다음과 같다. 영산읍성의 위치는 경남지역이 신라에 의해서 복속된 이 후에 축성된 성곽과 동일하며, 읍성의 배후산성은 영축산성이다. 그리고 형태는 평산성이며, 평면 형태는 전형적인 주형에 해당하는 거제 고현성과 달리 산정상부로 이어지는 부분이 상당히 좁다. 영산읍성 성벽의 축조수법은 조선시대 전기의연해읍성과 유사하지만 지대석 기저부에 부석을 하지 않은 점은 특이하다. 이와 더불어 영산읍성과 조선시대 읍성 및 영진보성을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 이 시기의 성벽 기저부 조성은 크게 말목으로 지정한것과 원지형을 ‘L’자나 ‘ㄩ’자상으로 굴착한 뒤 내부에 할석을 채우는형태, 그리고 이 두가지를 혼용한 것 등으로 다양함을 알 수 있는데, 시기적이나 지역적인 특성은 확인되지 않는다. 조선시대 읍성 및 영진보성의 성벽 기저부는 지대석을 둔 구조이지만 조선후기에는 별도의 지대석을 두지 않고 성벽을 쌓는 방향으로변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벽의 지대석은 사직선과 수평기단으로 나누어지며, 전국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사직선기단에서 수평기단으로 변화한다고 보기 어렵고 한양도성 성벽의 영향일 가능성이높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環境行政 電算化의 發展方向에 關한 硏究

        南載祐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3 大學院硏究論集-東國大學校 大學院 Vol.23 No.-

        Although industrialization in Korea has benefited substantially in terms of the quantity and variety of goods and services, it has also produced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present and near future,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governments and near future,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for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recovery of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solving disputes over pollution among nations, eliminating greenhouse effects, and restoration of the ozon layer. For the resolution of such things, it needs to understand and analyze exactly current environmental situation in terms of anticipating future environment situation, accumulating environmental data, making and simulating alternative policies, choosing alternatives and executing them. There are lots of helpful computer technologies for implementing environmental tasks, such as telemetering systems, databases, softwares and modellings. The governments of developed countries are developing to use those instruments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 and forecast future environmental situation in order to solve their own countries and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Computerization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n Korea has been developed since 1986.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f monitoring air pollution, acid rain, water pollution, seawater pollution and noise pollution as well as computerizing their data. Especially, the MOE had installed telemetering systems between headquaters and air pollution monitering stations. It also computerized their pollution source data files on air, water and waste pollution as well as chemical material listings.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use more intense computer equipment and technologies for effective and scientific environmental management operations beyond the basic equipment and technologies. It needs to develop databases which include pollution source data, environmental monitoring data, meteorological data and other related data, such as population, live stocks, land use,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ies, etc.. It should develop and operate modellings to estimate future environmental situations and should develop softwares for alternative policies. It should also make databases for biological diversity and nature conservation. For formation and execution of environmental policies it needs to us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computer technologies. In addition, it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monitoring net works, such as the Global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to solve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기록으로 본 가야문화의 성격

        남재우 구결학회 2015 구결연구 Vol.34 No.-

        It is not a easy task to understand culture of Gaya and predict boudaries of Gaya culture. It’s because Gaya had been divided into six countries and each Gaya country did not have local ruling system. The culture of Gaya and Silla had become distinguished from the 4th century which was considered as period of the second term of Gaya period. However, since we have yet to know the border of each Gaya country, it is hard to set up the cultural boundary of Gaya. when we consider historical records about Gaya, we are able to predict three things. At first, political boundaries of Gaya could be predictable. Flexibility of this boundary is the second. The third one is about geographical border between Gaya and Silla is the Nakdong-river. And we would consider the region in which could not be belonged to Silla and Baekje among ByunHan region as Gaya.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border between Gaya and BaekJe by historical records about Baekje’s invasion on Gaya region and four cities in Imna. In the late 5th early and 6th century, boundary of Gaya against Baekje was a line between Gaya mountain and Dukyou mountain in north and coastal line from Jin-an to Yu-su in the south. The culture of Gaya could be characterized by openness, regionality, creativeness and localization. From the early state of Gaya, thank to the coastal area, Gaya easily carried our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and Japan by sea route. As intermediary region, accepting advanced culture from China and giving it to Japan, exchanging with Three kingdom in korea, Gaya had flourished their own culture. And each nation in Gaya also created their distinguishable culture. These special cultures were well-reflected on their own earthenwares. In terms of creativeness, Gaya-gum, a musical instrument of Gaya, could be an answer. In these respect, Gaya, known as a federation of small countries, had their own developed culture as much as three kingdoms in korea in that period. 가야에 대한 기록을 근거로 가야문화권과 가야문화 성격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가야는 여러 나라들로 나뉘어 있었고, 가야 각국들이 지방통치체제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가야전기에 해당하는 변한의 문화권을 추정하기 어렵다. 가야후기에 해당하는 4세기대부터 가야와 신라의 문화권이 나눠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가야영역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문화권 설정은 어려운 상황이다. 문헌자료의 검토를 통하여 가야의 영역을 설정할 때 확인되는 것은, 첫째 뚜렷한 경계는 알 수 없지만 정치적인 가야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둘째 가야영역은 유동적이었다. 셋째 확실한 영역 설정보다는 대체적인 윤곽밖에 설정할 수 없는데, 어느 시점에 그 유력한 경계는 낙동강이라는 것이다. 또한 백제와 신라의 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을 가야의 영역으로 추정할 수 있다. 가야와 신라의 경우에는 어느 시기인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낙동강이 경계가 되었다. 가야와 백제의 경우에는 임나4현과 백제의 가야지역 진출에 따라 경계 추정이 가능하다. 5세기 후반 혹은 6세기 전반까지의 백제와 가야의 국경선은 북쪽으로 가야산과 덕유산을 경계로 하고, 진안–임실–순창–곡성–구례–순천–여수반도를 잇는 선으로 볼 수 있다. 가야문화의 성격은 개방성, 지역성, 창의성, 토착성으로 볼 수 있다. 가야는 남해안을 끼고 있었기 때문에 바다를 통하여 중국, 일본과 교류했다. 중국의 선진문화를 받아들이고, 일본에 문화를 전파하였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와 교류하기도 했고, 가야 각국끼리의 교류를 통하여 다양한 문화가 발전할 수 있었다. 가야 각국들은 각국의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기도 했다. 가야의 각국들이 독자적으로 존재했기 때문에 각자의 특성이 드러나는 지역성이 존재했다. 이것은 토기문화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가야금의 제작 등에서 가야사람들의 창의성을 엿볼 수 있었다. 가야도 삼국과 마찬가지로 지역 환경에 따른 토착적 문화가 형성되고 발전하였다.

      • KCI등재

        기록으로 본 고대 창녕지역의 정치적 위상

        남재우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3

        BulsaGuk and BisabeolGuk had been located in ancient Changnyeong. BulsaGuk was established in combination with immigrants who moved south due to the fall of Wimanjosun and indigenes who were based on Bronze culture. BisaboelGuk was one of nations of Gaya as a political group inherited BulsaGuk.. BulsaGuk, one of Jinhan 12 nations, was not incorporated into Silla but developed into BisabeolGuk(Behwagaya) of Gaya. This Development bears testimony to the sound footing of its own. There is no accurate record to find out when Silla destroyed BesaboelGuk. Biji, however, is the name of region and nation designated ancient Changnyeong. The fact that Yisabu attacked Biji in 529 shows Changnyeong was absorbed into Silla before GarakGuk fell into ruin in 532. But It was 555, organized Haju, when Changnyeong was entirely subjugated by Silla. Despite of being subjugated by Silla, Changnyeong had been playing a important role owing to the geopolitical factors. The appearance of 2 Chonju(촌주) who has the second official rank of Whawe(외위) in Silla called Sulgan tells us political and military role of Changnyeong. And the appearance of pottery inscribed with ‘Daekahn’(대간) tells us identity of political force in Gyeosung. From this process of development in ancient Changnyeong, its political status was suprior to the other area. There are two grounds as following: first, Changnyeong was politically and militarily significant place; second, it had distinctive culture. The unique pottery shows the existence of separate political force. 고대 창녕지역은 불사국, 비사벌국이 자리잡고 있었던 곳이었다. 불사국은 위만조선의 멸망에 따른 유이민의 남하와 청동기문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던 토착세력의 결합을 통하여 형성되었다. 비사벌국은 불사국을 계승한 정치집단으로서, 가야의 여러나라 중의 하나였다. 그런데 진한 12국 중의 하나였던 불사국이 신라에 편입되지 않고, 가야의 비사벌국(비화가야)로 발전한 것은 그 자체적이 기반이 확고했던 증거이다. 비사벌국이 신라에게 멸망한 시기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다만 費智, 比只는 고대 창녕지역을 지칭하는 지역명이며 나라이름이다. 따라서 費智가 529년 이사부가 공략한 지역이므로 창녕지역이 신라에 복속된 것은 532년 가락국의 멸망 이전으로 볼 수 있다. 창녕지역이 신라의 지배체제로 완전히 복속된 것은 555년 下州의 설치이다. 신라의 지배체제로 복속되었지만 창녕의 지정학적 입지로 인하여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계속하고 있었다. 창녕순수비에 등장하는 신라의 외위중 두 번째인 述干 관등을 지닌 2명의 촌주가 등장하고, 진흥왕이 40여명의 관료를 모아 창녕비를 건립하고 이듬해 대가야를 공격하고 있는 것은 창녕지역의 정치․군사적 역할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계성고분군에서 출토되는 ‘大干’銘文 토기의 출현은 계성지역 지배세력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것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계성지역도 낙동강 서쪽으로 진출하지 못한 신라로서는 중요한 지역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고대 창녕지역의 발전과정으로 보아 그 정치적 위상은 다른 지역에 비해 우월한 것이었다. 그것을 보여주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녕지역은 정치적 군사적 요충지였다. 둘째, 독특한 창녕지역문화가 자리잡고 있었다. 창녕식토기라고 불리는 독특한 형식의 토기문화는 독자적인 정치세력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