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 도출: (2) 토양시험종

        남선화,김민진,안윤주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4

        Ecotoxicity data that are used in ecological risk assessments are acquired based on the test conditions presented in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However, 58.5% of native organisms in Korea were assessed using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ative organisms in Korea as test species, in terms of toxicity sensitivity, character of domestic environment, cost reductions, and ecological disturbance. In this study, we used the international taxonomic classification system (Kingdom Animalia, Plantae, Protista). We investigated the habitat (especially, soil) and analyz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and Korean native organisms. In Animalia, 19 classes were derived from the soil environment. In total, 17 and 2 classes were derived from each criterion: ‘not included in standard test methods and identifiable Korean native organisms’ and ‘not included in Korean native organisms in standard test methods and identifiable Korean native organisms’, respectively. At this time, Class Chilopoda and Pauropoda were excluded. We verified the possible list for Korean native organisms (17 classes), based on Korean native species list, toxicity data, distribution, taxonomic, and ecological status. Therefore, we propose 4 Kingdom Animalia (Malacostraca, Diplura, Insecta, and Gastropoda), 9 Kingdom Plantae (Chlorophyceae, Trebouxiophyceae, Andreaeopsida, Bryopsida, Polytrichopsida, Sphagnopsida, Tetraphidopsida, Jungermanniopsida, Marchantiopsida), and 1 Protista (Euglenophyceae), as candidate list of Korean native organisms for soil ecotoxicity testing. 생태위해성평가의 생태독성자료는 국제 표준시험법에 따른 결과를 활용해야하나, 생태독성 국제 표준시험법의 시험종 중 국내 서식종은 58.5%에 해당된다. 독성민감도, 국내 환경특성, 비용 절감, 생태계 교란 방지 등의 측면에서 국내 서식종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 서식종을 이용한 생태독성실험방법 개발 및 표준화 작업은 기초 단계로, 국내 서식종에 대한 심화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을 도출하기 위해, 국제생물분류체계 중 토양 서식 여부, 국제 토양생태독성 표준시험법의 해당 여부, 국내 서식 여부를 중심으로 국내 자생생물 후보를 선별하였으며, 국내 생물종 목록, 독성연구사례 여부, 분포성, 분류학적.생태학적 위치를 바탕으로 국내 자생생물 후보의 특성 현황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토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을 도출하였다. 이동성 동물계에 한해 토양 서식 생물분류군 19개 강을 추출하였으며, 동물계, 식물계, 원생생물계를 대상으로 국제 토양생태독성 표준시험법의 해당 여부를 확인하였고, 표준시험법에 제시되지 않은 생물분류군 17개 강을 우선 선별하였다. 또한 표준시험법에 제시되었으나 국내 자생생물이 포함되지 않은 생물분류군 2개 강을 차선 선별하였다. 단, 해독 기능이 있는 순각강 및 국내 자생생물이 1종 뿐인 소각강, 총 2개 강을 제외하였다. 그리고 국내 생물종 목록, 독성연구사례 여부, 분포성, 분류학적.생태학적 위치를 통해 17개 강 모두 잠재적인 토양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최종적으로 동물계 7개 강(연갑강, 좀붙이강, 곤충강, 원미강, 배각강, 결합강, 복족강), 식물계 9개 강(녹조강, 트레보욱시아강, 검정이끼강, 선태식물강, 솔이끼강, 물이끼강, 네삭치이끼강, 망울이끼강, 우산이끼강), 원생생물계 1개 강(유글레나강)의 총 17개 강을 토양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생태독성평가를 위한 Soil Extracts, Soil Elutriates, Soil Suspensions 추출기법

        남선화,안윤주,Nam, Sun-Hwa,An, Youn-Jo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4 지하수토양환경 Vol.19 No.3

        Soil pollu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serious problem because it causes groundwater pollution through medium contacts. Although concentration of individual chemical could be more easily measured by physico-chemical analysis, it is not easy to consider the bioavailability of edaphic receptors living in soil or groundwater. To measure the toxicity of soil, the soil extracts (soil elutriates or soil suspensions in the other words) are often used due to the difficulties of extracting soil pore water. In this study, we reviewed 15 toxicity test methods found in literature to analyze the detail of each extraction method and to recommend the most frequently used extraction methods. The identified most commonly used extraction methods are as following: The 1 : 4 soil:water ratio, 24 hours shaking time, room temperature, dark, and separation of supernatant using a $0.45{\mu}m$ pore size filter.

      • KCI등재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 도출: (1) 수서시험종

        남선화,김민진,안윤주 대한환경공학회 201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1 No.1

        Ecotoxicity data for ecological risk assessment were obtained according to test conditions presented in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However, only 25.8% of native organisms in Korea were included in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It is needed to consider native organisms in Korea as test species, in terms of toxicity sensitivity, domestic environment media, and economic costs. In this study, we collected taxonomic classification system (Kingdom animalia, plantae, protista), based on Phylum or Division and Class. We investigated the habitat and analyz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national standard test methods and Korean native organisms. As for animalia, 26 of Class was derived from the fresh water as habitat. Eight and three of Class were derived from the each criteria ’not included in standard test methods and identifiable Korean native organisms’ and ’not included in Korean native organisms in standard test methods and identifiable Korean native organisms’. With Korean native species list, taxonomic and ecological status, distribution, toxicity data, we verified the possibility of list for potential Korean native organisms (eleven of Class). This study proposes the candidate list of Korean native organisms to further develope ecotoxicity testing. 생태위해성평가 시 활용하는 정량적인 생태독성자료는 국제적으로 신뢰성 있는 표준시험법에 제시된 세부 실험조건에 따라 수행되어야하나, 국제 생태독성 표준시험법 중 국내 서식종 비율은 단지 25.8%에 불과하다. 국외종 사용 시 생태계 교란 및 경제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국내종의 독성민감도 및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국내 서식종을 활용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 서식종에 대한 기초적인 생태독성실험방법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수준으로, 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 국내 서식종을 고려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서 생태독성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을도출하기 위해, 생물분류체계 내 담수 서식성, 국제적인 수서생태독성 표준시험법의 해당 여부, 국내 서식성을 중심으로국내 자생 생태독성 후보종을 선별하였으며, 국내 생물종 목록, 분류학적·생태학적 위치, 분포성, 독성연구사례 여부를 바탕으로 국내 자생 생태독성 후보종의 특성 현황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수서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잠재적인 국내 자생 생태독성 후보종 목록을 도출하였다. 이동성을 가진 동물계에 한해 담수 서식 생물분류군 26개 강을 추출하였으며, 동물계, 식물계, 원생생물계를 대상으로 국제적인 표준시험법의 수서 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의 해당 여부를 확인하였고, 국제 수서생태독성 표준시험법에 제시되지 않은 생물분류군 8개 강을 우선 선별하였다. 또한 국제 수서 생태독성 표준시험법에 제시되었으나 국내 자생생물이 포함되지 않은 생물분류군 3개 강을 차선 선별하였다. 그리고 국내 생물종 목록, 분류학적·생태학적 위치, 분포성, 독성사례 여부를 통해 11개 강 모두 잠재적인 수서 생태독성시험종으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최종적으로 동물계 6개 강(연갑강, 소악강, 환대강, 이매패강, 와충강, 히드라충강), 식물계 4개 강(윤조강, 물이끼강, 우산이끼강, 양치식물강), 원생생물계 1개 강(유글레나강)의 총 11개 강을 수서 생태독성시험을 위한 국내 자생생물 후보 목록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내 지하수 수질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유럽 지하수 문턱값 비교

        남선화,이우미,정승우,김혜진,김현구,김태승,안윤주,Nam, Sun-Hwa,Lee, Woo-Mi,Jeong, Seung-Woo,Kim, Hye-Jin,Kim, Huyn-Koo,Kim, Tae-Seung,An, Youn-Jo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3

        Korean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were established in 1994, and revised in 2003 and 2010. The substances for which standards have been developed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general pollutants, 4, and specific pollutants, 15. The standards have been applied to household water use, agriculture, aquaculture, and industrial use. However, there is no systematic methodology for either selecting candidate substances or establishing groundwater standards. We investigated various derivation methodologies for groundwater standards us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and 27 member states and compared their methods for determining threshold values. The European Commission presented to their member states groundwater standards for two substances and a list of required substances for derivation of threshold values along with the member states. Interestingly, they first considered national background levels and then considered other criteria for water protection, such as drinking water standards,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and irrigation standards. We suggest that Korean background levels in groundwater should be included in the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These results may be useful in developing a systematic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Korean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 KCI등재

        비규제 농약 관리를 위한 한국, 유럽, 미국의 농약관리체계 비교분석

        남선화,곽진일,김다솜,안윤주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8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1 No.2

        Pesticide residue in the eggs in the market has become a significant problem in Korea. In particular, the detection of fipronil indicated that unregulated pesticide residue can be present in livestock products, including eggs. Institutionally unregulated pesticides are a risk to human health and the ecosystem.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ystem of agricultural pesticide management in Korea,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and discussed the problems of the Korean management system and the possible improvement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we considered three tasks: registration of pesticides, pesticide residue levels in food, and pesticide residue levels in environmental media. The registration of pesticides wa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n Korea; the Directorate-General for Health and Food Safety in the European Commission (EC); and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in the USA. The work regarding pesticide residue levels in food wa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Korea, the Directorate-General for the Health and Food Safety in the EC, and the USEPA and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the USA. The work regarding pesticide residue levels in environmental media wa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the Directorate-General for Environment in the EC, and the USEPA in the USA. Therefore, Korea should review the extension of pesticide residue standards in the environmental media for strengthening the system of management of unregulated agricultural pesticides. 국내외적으로 계란 중 잔류 농약 검출 사례가 보고되었고, 한국에서도 축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중 계란에 대한 기준치가 미제시된 항목인 fipronil 등이 검출되었다. 비규제 농약으로인해 국민건강 위해 및 환경오염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한국, 유럽연합, 미국의 부처 및 산하 협력기관의 담당 법령 및 업무 관련 농약관리체계 비교 분석을 통해 현 시점에서한국의 농약관리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비규제 농약에 관한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 유럽연합, 미국의 농약관리체계비교한 결과, 농약 등록, 식품 중 잔류농약, 환경매체 중 잔류농약으로 크게 나누어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약을 시중유통시키기 위해 농약의 기본정보(이화학성, 독성, 위해성 등)를바탕으로 검토 및 승인 절차를 거치는 농약 등록 부분은 한국의 농림축산식품부, 유럽집행위원회의 보건식품안전국, 미국환경부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안전성을 증대시키기위해 식품 중 잔류농약 기준 설정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부분은 한국의 식품의약품안전처, 유럽집행위원회의 보건식품안전국이 전담하나, 미국은 미국환경부(식품 중 잔류농약농도 설정) 와 식품의약처(식품 및 사료 중 농약 모니터링)가 분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해 환경매체 중 잔류농약 기준 설정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부분은한국, 유럽연합, 미국 모두 환경부, 유럽집행위원회의 환경국, 미국환경부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부처간협의를 통해 농약관리를 제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나, 비규제농약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환경매체 중 잔류농약기준항목의 계열 확대 및 개별항목 신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