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색광에 의한 제브라피쉬의 안구 변화 및 포도씨 유래 폴리페놀 화합물의 보호 효과

        남상휴,김윤경,김기영,홍현숙,유승영,김응석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

        Purpose: To investigate the oxidative damage and changes of retinas by blue light through zebrafish and to confirm the protective effect of polyphenol on retina cells using grape seed-derived polyphenols. Methods: To induce oxidative damage and changes of the retina by blue light, blue light LED (10,000 Lux, 480 nm) was added to the zebrafish grown in the dark room after pretreating polyphenols derived from grape seed at various concentrations (0, 0.1, 1, 10 μg/mL, respectively) for 4 days. Changes in retinal thickness and numbers of outer nuclear layer nuclei through hematoxylin & eosin staining were evaluated. Results: Photoreceptor layer thickness of blue light exposed group was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e group without blue light (108.1 ± 27.7 μm vs 41.1 ± 17.0 μm). As pretreated polyphenol concentration increased, photoreceptor layer thickness was increased (41.1 ± 17.0, 56.3 ± 18.6, 90.7 ± 23.7, 99.1 ± 23.1 μm, p < 0.05), and damage to outer nuclear layer nuclei was also decreased. Conclusions: Exposure to blue light is an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oxidative stress in the retina. Grape seed-derived polyphenols have been shown to protect photoreceptor cells and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from oxidative stress. This suggests that the antioxidant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may help suppress the progression of retinal disease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such as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목적: 제브라피쉬를 통해 청색광에 의한 망막의 산화적 손상 및 변화를 확인하고 포도씨 유래 폴리페놀을 활용하여 폴리페놀의 망막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제브라피쉬를 다양한 농도의 포도씨 유래 폴리페놀로 전처치한 후(각각, 0, 0.1, 1, 10 μg/mL), 청색광에 의한 망막의산화적 손상 및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청색 발광 다이오드(10,000 Lux, 480 nm)를 4일 동안 처리하였다. 망막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위하여 hematoxylin & eosin 염색으로 광수용체층 및 외핵층의 두께 변화와 외핵층 세포 내 핵 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청색광에 의한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된 제브라피쉬의 경우, 광수용체층 두께가 청색광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얇았다(108.1 ± 27.7 μm vs 41.1 ± 17.0 μm). 폴리페놀의 전처치 농도가 0, 0.1, 1, 10 μg/mL로 높을수록 망막 광수용체층의 두께가두꺼웠고(41.1 ± 17.0, 56.3 ± 18.6, 90.7 ± 23.7, 99.1 ± 23.1 μm, p<0.05), 외핵층 세포 내 핵의 핵 수의 감소량도 적어지는 양상을보였다. 결론: 청색광의 노출은 망막의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며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인 포도씨 유래 폴리페놀은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된 망막에서 광수용체세포와 망막색소상피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폴리페놀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가 나이관련황반변성과 같은 산화스트레스와 연관된 망막질환의 진행 억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양안 눈꺼풀처짐과 안구운동장애를 동반한 형제에서 조기 발병된 눈인두근육퇴행위축병증 2예

        방슬기,남상휴,이진산,박성혜,강민석,김태기,진경현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5

        목적: 만성 진행성 외안근마비병증 의심 하에 경과 관찰 중이던 형제에서, 이후 조기 발병된 눈인두근육퇴행위축병증으로 진단된 2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형제 관계인 15세, 13세 남자 환자가 6년 전부터 지속된 복시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형의 경우 내원 당시 교정시력은 양안 0.6이었으며, 프리즘교대가림검사상 25프리즘디옵터의 외편위를 보였다. 전 방향의 안구운동제한과 함께 양안의 눈꺼풀처짐이 관찰되었으며, 안저검사상 양안 황반부종이 관찰되었다. 동생은 내원 당시 교정시력 좌안 1.0이었고, 프리즘교대가림검사상 45프리즘디옵터의 외편위를 보였다. 형과 마찬가지로 전 방향으로 안구운동제한과 양안 눈꺼풀처짐 소견이 관찰되었다. 두 환자 모두 만성진행성 외안근마비병증 의증으로 진단하고 근생검 및 신경학적 평가를 위해 신경과로 의뢰되었다. 신경과에서 시행한 근생검 결과, 형제 모두 눈인두근육퇴행위축병증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눈꺼풀 및 눈운동제한 증상을 가진 젊은 환자에서, 기존의 전형적 양상이 아닌 조기 발병 눈인두근육퇴행위축병증의 사례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함에 그 의미가 있다. Purpose: To report two cases of early onset 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which were suspected to be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Case summary: Case 1, a 15-year-old male and Case 2, a 13-year-old male brother, visited the clinic with persistent diplopia 6 years prior. The older brother’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0.6 in both eyes and showed an exodeviation of 25 prism diopters. Bilateral ptosis was observed with ocular muscle movement limitations in all directions, and bilateral macular edema was found on fundus examinations. The younger brother had a best-corrected visual acuity of 1.0 in both eyes and showed exodeviation of 45 prism diopters. Bilateral ptosis and ocular muscle movement limitations were also observed. Both patients were suspected to have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and were referred to a neurologist for a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muscle biopsy. The muscle biopsies showed that both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Conclusions: It is important, initially, to report a case of early onset oculopharyngeal muscular dystrophy that has eyelid and eye movement symptoms, but no other typical symptoms.

      • KCI등재

        진행하는 군날개 유사 병변을 동반한 소아 색소건피증

        박종범,남상휴,방슬기,진경현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

        Purpose: We report a case of xeroderma pigmentosum in a pediatric patient with a progressive pterygium-like lesion. Case summary: A 2-year-old girl with photophobia and localized, scattered, small, round brownish macules on skin areas exposed to the sun visited hospital. During follow-up, at the age of 7, she was diagnosed with xeroderma pigmentosum in Japan, and pigmented freckles o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of both eyes were observed. At the age of 11, a possible medial limbal pingueculum and lower lid telangiectasis of the right eye were observed via slit-lamp examination, and one year later, a pterygium- like lesion and gradual fibrovascular tissue growth were found in the same location of the right eye. At the last visit, the progressive pterygium-like lesion and, lower lid telangiectasis of the right eye, and lid pigmentations of both eyes (xeroderma pigmentosum) were observed. The size of pterygium-like lesion continues to increase, but the patient remains under observation because the lesion was too small to remove. Conclusions: We report the first case of xeroderma pigmentosum in a pediatric patient with a progressive pterygium-like lesion that showed age-related degeneration. We suggest that the pterygium-like lesion may reflect the photosensitivity to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tic of xeroderma pigmentosum. 목적: 색소건피증 환아에서 경과 관찰 중 진행하는 군날개 유사 병변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세 여아가 자주 눈을 깜빡거리는 증상과 피부에 발생한 갈색 반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경과 관찰 중 7세 때 일본에서색소건피증으로 확진 받았고, 양안 상하안검의 색소침착이 확인되었다. 11세 때 세극등검사에서 우안 내측 윤부 주변에서 검열반 유사병변과 함께 아래 눈꺼풀 모세혈관확장증이 발견되었으며, 1년 후 같은 위치에서 군날개 유사 병변과 점진적인 섬유혈관조직의 성장이 관찰되었다. 마지막 내원 시, 진행하고 있는 우안 군날개 유사 병변과 아래 눈꺼풀 모세혈관확장증, 양안 상하안검의 색소건피증에의한 색소침착이 관찰되었다. 이전에 비해 우안 군날개 유사 병변의 크기가 증가되었지만,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아 경과 관찰중이다. 결론: 소아 색소건피증 환자에서 연령관련 변성의 특징을 보이며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양상의 군날개 유사 병변이 동반될 수 있음을확인하였다. 군날개 유사 병변이 색소건피증 환자의 특징인 자외선에 대한 광민감도와 연관됨을 제시한다.

      • KCI등재

        토끼 모델에서 인공 각막이식수술의 효능 및 생체 적합성에 대한 단기 임상 성적

        한정엽,선우정혜,오세헌,문수영,남상휴,이훈,김재용,차흥원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0

        목적: 토끼 모델에서 새로운 인공 각막의 효능 및 생체 적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뉴질랜드 흰 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 20마리의 단안에 인공 각막이식수술을 시행하였다. 인공 각막은 직경 8.0 mm (중심 광학부 직경 5.0 mm, 양측 지지부 너비 1.5 mm), 두께 0.5 mm이며 PHEMA, PMMA 그리고 EGDMA로 구성되었다. 이식수술은 2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수술 후 최대 12주까지 매주 경과 관찰하였다. 전안부 사진 촬영,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 및 조직학적분석을 통하여 지지부의 생체적합성 및 조직 주위로의 세포 증식을 조사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포함된 토끼 모델 중 4주와 8주에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 각 2마리씩 희생하였으며, 4마리는 수술 도중의 기술적인문제로 이식 실패하였다. 기술적으로 수술이 성공한 12마리의 12안 중, 6안(50.0%)에서 12주까지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었으며. 중심광학부의 투명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서 지지부에 세포 증식이 일어나 주위 조직에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 6안(50.0%)은 이식수술 후 경과 관찰 도중 인공 각막의 돌출이 발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인공 각막을 이식한 토끼 모델에서 각막신생혈관과 각막중심부 혼탁이 방지되며, 다공성 지지부의 생체 적합성과주위 조직으로의 세포가 증식되면서 조직학적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적 개선및 술기의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장기간의 경과 관찰을 통하여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