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체부자유학교 방과 후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남미자,조길호,Nam, Mi-Ja,Cho, Kil-H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2 No.5

        본 논문의 목적은 지체부자유학교 방과 후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보호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지체부자유 학생을 위한 조직적이고 구체적인 방과 후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true state of administration about after-school programs of disability schools, study the requests of the children' protectors, and support the basic materials to find the systematic and concrete after-school programs of disability schools.

      • KCI등재

        '반응 속도' 단원의 학습 내용에 적합한 탐구 실험의 제안 : 묽은 염산과 마그네슘 리본의 반응을 중심으로

        남미자,윤희숙,정대홍,채희권,Nam, Mi-Ja,Yoon, Hee-Sook,Jeong, Dae-Hong,Chae, Hee K. 대한화학회 2009 대한화학회지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과 ‘화학 II’의 ‘반응 속도의 측정’ 단원에서의 주된 학습 내용 을 분석하고, 학습 내용에 적절한 개선된 탐구 실험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습 내용의 분석을 위해 고등학 교 ‘과학’ 11종, ‘화학 II’ 8종의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11종을 분석하고,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와 교사들이 ‘시간에 따라 반응 속도가 점점 느려진다’는 개념을 학습 내용으로 제시 또 는 인식하고 있으나,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의 내용은 ‘시간에 따른 반응 속도의 감소’를 설명하기 에 부적절한 경우가 있었다. 학습 내용에 적절한 탐구 활동을 제안하기 위해 개선된 조건에서 염산과 마 그네슘의 반응 실험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실험 결과를 이론적으로 예측한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시간 에 따른 반응 속도의 감소’를 설명하기에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선된 탐구 활동은 교과 서의 화학 반응 속도에 대한 개념을 보다 정확히 기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learning contents on the measurement of reaction rate which is introduced in the high school ‘science’ and ‘chemistry II’ textbooks, and to revise the experiment appropriate to the learning contents. We examined 11 kinds of ‘science’ textbooks, 8 kinds of ‘chemistry II’ textbooks and 11 kinds of teacher’s manuals used in Korea and additionally surveyed teachers’ opinions on this subject. Most of textbook and teacher’s manuals described that ‘the reaction rate generally decreases through the time’, teachers’ conception also agreed with it. But most of experimental activities in the textbooks were inadequate to explain the concept that the reaction rate generally decreases with time. We analyzed the reasons and revised the experimental condition to solve this disagreement between the description in textbooks and an experimental result. Then we compared improved experimental result and theoretical prediction data. The improved experiment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describe the conception of chemical reaction rate in the textbook more clearly.

      • KCI등재
      • KCI등재

        근 위축 증후 학생 보호자의 의식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남미자,조길호,Nam, Mi-Ja,Cho, Kil-H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1 No.6

        본 논문의 목적은 근 위축 증후 학생을 가진 보호자의 자녀에 대한 의식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보호자 의식의 전체적 경향을 파악하고, 그와 같은 의식과 자아존중감이 보호자의 성별, 연령, 학력, 가계 월 소득, 자녀학년, 자녀의 신체능력, 근 위축 증후 인식경과 및 부모의 종교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보호자 의식 신장에 따른 정서적 인지적 측면의 성장과 발달을 꾀하여 보호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y questionnaire method the guardian's mental attitudes and self-esteem toward their children with muscular dystrophy according to the sex, the age, the academic background, the family budget monthly income, the children's grade, the body ability, the muscular dystrophy recognition lapse, and religion. The guardian's mental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with muscular dystrophy regarding the consultation hope, the basic recognition, the child custody, the personnel relationship and the childcare, the view of the future are very closely connected with each category and they are various from the whole categor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청소년 정치참여의 의미와 학교교육의 방향

        남미자(Nam, Mi-Ja),장아름(Jang, Ah-Reum)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2005년 이후 약 15년 만에 만 18세로 선거권 연령이 하향된 제도변화에 주목하여 청소년 정치참여 관련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청소년 활동가, 비청소년 활동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청소년 정치참여의 의미와 학교교육 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 정치참여는 ‘현존하는 시민(being citizen)’으로서의 정체성을 천부적으로 가진 권리주체임을 자각하는 과정이었으며, 선천적ㆍ후천적 조건의 차이로 인해 사회적 논의의 장에서 소외되고 있는 청소년의 시민권 문제를 성찰하는 과정이었다. 즉 정치는 비단 국회에서 일어나는 활동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삶 그 자체이기에, 사회 전체가 일상민주주의를 체험하고 학습하는 공간으로 변모해야 한다는 점을 환기시킨다. 따라서 만 18세 선거권 연령 하향 결정에 따라 촉발될 교육현장에서의 정치교육 방향은 단순히 선거 절차나 방법 등에 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특정 교과목의 학습내용으로 제공하는 형태를 지향하지 않는다. 오히려 교육과정, 교육환경 등 교육체제 전반에 대한 체계적 설계를 요청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은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 과정이 민주적인지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사회불평등에 대한 책임의식을 내면화하여 ‘현존하는 시민(being citizen)’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실질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performed interviews with youth, youth activists, and non-adolescent activists who are participating in activities related to youth politics, and discussed the meaning of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Research has confirmed that youth political participation was a process of self-awareness that they were innate rights holders with their identity as being citizens . In other words, politics does not only mean activities taking place in the National Assembly, but it is life itself, so not only the school scene but also the entire society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space to experience and learn daily democracy. In the end, the direction of political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which will be triggered by the decision to lower the age of the 18-year-old electoral district, does not simply aim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knowledge of election procedures or methods and provide them with the learning content of a particular subject. We ask for a systematic design of the entire educational system, such as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everyday lives of citizens. This will allow adolescents to develop practical capabilities to live as present citizens by critically thinking whether the authoritative distribution process of social values is democratic and internalizing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ocial inequality.

      • KCI등재

        교사들의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본 배움중심수업의 특징과 의미

        남미자 ( Mi Ja Nam ),길현주 ( Hyun Joo Ghil ),오춘옥 ( Chun Ock Oh ),노시구 ( Si Ku Ro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배움중심수업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배움중심수업의 특징과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경기도 교육청에서는 학교혁신의 방향으로 수업혁신을 꼽았고, 수업혁신의 청사진을 배움중심수업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그러나 배움중심수업은 특정한 수업 방법이나 일정한 매뉴얼을 가진 수업이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교사들이 배움중심 수업을 개념적으로 또는 실천적으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움중심수업을 실천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교사 39명의 반성적 글쓰기 자료, 수업관찰, 초점집단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배움중심수업의 특징과 의미를 드러내었다. 배움중심수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움중심수업 실천교사들은 교실을 역동적 공간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나 교사의 수업 의도와 설계 그대로 학생들이 배움을 경험하지 않고 있으며, 학생들은 자신들의 방식대로 배움을 스스로 만들어가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수업에서 교과서나 학습 내용을 가르치기 앞서 관계성에 주목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배움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학생과 학생간의 신뢰와 협력의 관계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사들은 수업에서 이러한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 수업 밖에서 교사와 교사 간의 신뢰와 협력을 경험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즉 수업 내의 관계성은 수업 밖의 관계성에 기반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셋째, 배움중심수업 실천 교사들은 배움이 수업 시간에 하는 학습 활동으로 끝나지 않고, 학생들의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삶으로 이어지길 바라고 있었다. 배움중심수업에서의 배움은 교과서에 갇혀있지 않고 학생들의 구체적인 삶과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새롭게 탄생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성찰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도 함께 성장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 학부모, 학생들이 배움중심수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특히 수업혁신과 관련한 실천적 실마리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ture and meaning of Learning Oriented Class through teachers` reflective writing.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ush forward to reform class for school reform and the key point of reforming class is the Learning Oriented Class. But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practicing Learning Oriented Class because it is not the method of teaching or manual. This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study, adopting reflective writing, on 39 teachers at prim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following have appeared as key findings. First, the teacher recognized classroom as dynamic space of unpredictability. Second, teachers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confidenti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must be preceded to students` learning. The such confidenti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outside class. Third, teachers recognized learning not activities in a classroom but activities in students` daily life. Therefore learning is not tied up knowledge of school subject, but newly borned as connecting students` life. Also teachers are growing by introspecting their life. Through this study teachers can find the clue to improve their class and we expect that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Learning Oriented Class.

      • KCI등재

        웹툰에 드러난 남성 동성사회성(homosociality) 양상 : 박태준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남미자(Nam, Mi-Ja),박성태(Park, Seong-Tae),임세원(Lim, Sewo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1

        이 연구는 박태준의 네이버 연재 웹툰 싸움독학 (2019.11.15~현재)과 한남동 케이하우스 (2018.12.6~2019.10.31.)에 나타난 남성 동성사회성이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남성 청소년의 백래시와 반페미니즘 정서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남성 청소년에게 영향력 있는 웹툰 분석은 향후 남성 청소년을 이해하는 데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두 작품의 분석을 통해 확인한 남성동성사회성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의 성장은 ‘아직’ 남자가 아닌 자들이 ‘진짜’ 남성들에게 인정받고, 둘째, 인기 있는 여성을 소유하여 성적 주체가 되며, 셋째, 이 과정에서 호모포비아와 여성혐오를 동반하는 것으로 의미화 된다. 이것이 남성의 성장이라고 인식할 때 청소년들은 지속적으로 자신을, 그리고 여성을 혐오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젠더 교육과 연구의 지형의 변화와 확장을 제안한다. 여성 청소년뿐 아니라 남성 청소년 역시 하나의 젠더 범주로 묶일 수 없는 다층적이고 교차적이기 때문에, 젠더 연구와 교육에서 여성과 남성의 이분법적 시각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male homosociality is revealed in the webtoons written by Park, Tae-joon. Amid the recent spread of backlash and anti-feminist sentiment among male adolescents, webtoon analysis that is influential to male adolescents will be meaningful data for understanding male adolescents in the future. The male homosocial aspect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wo work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wth of men is recognized by not yet men, and secondly, they become sexual subjects by owning popular women, and thirdly, it is meant to be accompanied by homophobia and misogyny in the process. When recognizing that this ismale growth, adolescents have no choice but to constantly hate themselves and wome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changes and expansion of the topography of gender education and research. Since not only female adolescents but also male adolescents are multi-layered and cross-sectional that cannot be grouped into one gender category, it is necessary to deviate from the dichotomy perspective of women and men in gender research and education.

      • KCI우수등재

        코로나19로 촉발된 원격수업에 대한 소고

        남미자(Nam, Mi-Ja)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8

        올해 초 코로나19로 인해 초중고는 물론 대학의 개학이 연기되었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원격수업으로 수업을 시작했다. 이후 초중고 학교급에서도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등교 개학을 미루고 온라인으로 먼저 개학을 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미래교육으로의 대전환으로 원격수업을 꼽았고, 원격교육 활성화를 교육 영역에서의 뉴딜 과제로 삼았다. 그러나 원격교육은 교육 방법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본고에서는 교육의 속성, 본질적으로 시대를 앞설 수 없는 교육이 어쩌다 미래와 만나게 되었는지, 원격교육이라는 방법에 치중하면서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그래서 교육은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실제로 비대면 원격교육은 코로나19 감염 상황에 의해 우연히 시작되었으며, 전면화 역시 코로나19의 감염 확대와 무관하지 않다. 아무런 준비 없이 시작되었으므로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비대면 원격교육을 미래교육의 핵심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미래교육으로서 비대면 원격교육이 강조되는 맥락은 개별 학생의 자율과 선택을 통한 개별화 교육의 가능성이다. 그러나 교육계에서 학생중심의 맥락에서 쓰이는 자율과 선택이라는 용어는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 기원은 1995년 5·31교육개혁에서부터다. 그때부터 교육정책은 자율과 선택이라는 신자유주의적 기조를 유지해 왔다.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를 토대로 한 한국의 공교육은 능력주의와 조우하면서 개별 학생의 자율과 선택에 의한 결과를 개인의 능력으로 환원했다. 심지어 진보교육 진영에서도 교육을 통한 능력의 향상이 가능하다고 믿고 능력주의를 정의로운 것으로, 교육을 계층 이동의 수단으로 여겼다. 그런 과정 속에서 결과적으로 공교육은 공적 기능을 상실했고 지배 권력을 강화하는 도구로 전락했다. 더 늦기 전에 공교육의 본래적 의미를 묻고 교육 자체에 목적을 두려는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 공교육의 본래적 의미란 결국 존재를 위한 교육이고, 그것은 곧 각각의 존재들이 공생이라는 감각과 윤리를 바탕으로 ‘함께 좋은 삶’의 방향으로 자신의 삶을 전환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Earlier this year, the Corona 19 delayed the opening of universities as well a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Most universities started classes by remote classes. Since then, the Corona 19 has been prolong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delaying the start of school and starting school online first. Deputy Prime Minister and Education Minister Yoo Eun-hye cited remote classes as a major shift to future education in line with the era of th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ade the revitalization of remote education a new deal task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remote education is just one of the methods of education. In this high school, we focus on the nature of education, how education that is inherently timeless, meets the future, and what we miss while focusing on the method of remote education. I looked at where it was, and so where education should be headed. In fact,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was started by accident by corona 19 infection situation, and full-scaleization is also independent of the spread of corona 19 infection. It started without any preparation, so there was no choice but to be confused at the front-line training site. Nevertheless,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pursue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as the core of future education. The context in which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future education is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ization education through individual students’ autonomy and choice. But the term autonomy and choice, which is used in a student-centered context in education, is rooted in neo-liberalistic ideology. We have it, and its origin began in 1995 with the May 31 Education Reform. Since then, education policy has maintained its neo-liberalistic stance of autonomy and choice. Korea’s public education, based on neo-liberalistic ideology, has returned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ents’ autonomy and choice to their individual abilities while encountering them. Even the progressive education camp believed that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ir ability through education, and regarded education as a means of class mobility. In such a process, as a result, public education lost its public function and degenerated into a tool to strengthen its ruling power. Before it’s too late, we should begin an effort to ask the original meaning of public education and to aim at it itself. The original meaning of public education is education for existence after all, which means the process of each being turning their own lives into a “good life together” based on the sense and ethics of symbiosis.

      • KCI등재

        지역기반 미래학교 모델 탐색: 여주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남미자(Nam, Mi-Ja),박진아(Park, Jin-A),김환희(Kim, Hwanhee)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2

        이 연구는 미래학교의 구체적인 모델과 이에 대한 실현가능성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미래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체제와 학교시스템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학생들이 무 엇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에 대한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구상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의 다양한 실험과 상상의 플랫폼으로서 가능성을 지닌 중심에 서 벗어난 여주라는 지역에 주목하였으며, 먼 미래의 가상의 학교가 아니라 적용 가능 한 새로운 형태의 미래학교 모델을 탐색하였다. 우선 지역기반 미래학교의 방향성 도출을 위해 여주 및 미래학교 관련 문헌 자료를 분석하고, 여주 지역의 교육환경, 문화예술자원, 사회·지리적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여주교육지원청 담당자 및 지역사회 구성원들과의 협 의회와 미래학교 관련 전문가 자문을 통해 구체적인 지역기반 미래학교의 모델을 구상 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학교교육의 틀과 제도를 깰 수 있는 실험적 사례로서 특정 지역의 맥락을 반영한 미래학교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는 이 연구가 지 역기반 미래학교의 실험적 구상이 지역의 재생과 학교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의 미 있는 시작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담론 수준에 머물러 있는 미래학교 논 의를 구체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k for specific models of future school. To do this, we focused our attention on Yeoju, a marginalized area with possibilities of a laboratory and imaginary platform for school education. That’s why it is possible to school reform responding future society when we reflect critical on the current school system and plan concrete on what students should learn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has explored new type of model for future school that could be applied at present. First, we have analyzed the literature data related to Yeoju and future schools to derive the direction of the local based future studies, and the data on education environment, culture, arts, and social and geographical contexts were collected in Yeoju area through local surveys. And we have constructed the regional model of the future school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staff of the National Office of Education for Yeoju and its community members by consulting with experts on future schoo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 a realistic model for future schools that reflects the context of specific areas as an experimental example. The study could be a meaningful start in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local regeneration and school education. It will also help expand future school discussions that remain at the level of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