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주택정책의 성과평가 : 시대별 목표달성도 평가를 중심으로

        남동희 建國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글초록:정부 주택정책의 목표는 "모든 국민이 쾌적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본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택에 관한 정책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어서 이 정책들을 총괄해서 평가하기가 어렵게 되어있다.총괄평가를 위한 개념의 틀을 마련하기 위해 잡다한 주택정책들을 유형별로 구분할 필요가 있고, 또 각각의 주택정책이 시행된 시기를 구분해서 그 정책들이 시기별로 달성하고자 한 구체적인 하위목표들을 식별해내는 것이 필요하다.평가를 통해 전혀 예기치 못했던 정책적 결과나 주택시장의 뜻하지 않은 변동, 정부 정책수립자들이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를 찾아내는 것도 이 연구의 중요한 과제다.본 연구를 위한 기본설계는 우리나라 주택정책이 태동하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가 이뤄진 최근까지 주택정책들이 정책목표를 달성한 정도를 개략 평가하는 방식을 취했다. 사후검증설계를 적용한 총괄평가라고 할 수 있다. 주택정책의 목표가 워낙 모호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먼저 인위적인 구분과 가정, 판단을 해놓고 평가에 임했다.먼저, 주택과 관련된 모든 정책을 4가지 범주로 구분했다. ①개발·공급자(Provider)적인 정책 ②지원·촉진자(Enabler)적인 정책 ③법적·제도적 개입 ④금융·재정적 개입. 여기서 개발·공급자는 정부가 택지개발이나 주택공급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의미하고 지원·촉진자는 인프라구축이나 구조적인 변화를 통해 주택공급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주택정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로 인간다운 삶과 공정성, 효율성, 경제안정 등의 상위목표 아래 ①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②도시빈빈지역의 상태 개선 ③저소득층에 대한 주거지원 ④주택선택의 편의성 ⑤민간자본 유치 ⑥주택건설기술의 고도화 ⑦손쉬운 주택자금 조달 ⑧주택가격안정 ⑨전반적인 경제안정 ⑩원활한 신규주택 공급 등 10개 하위목표를 설정했다.시기구분은 ①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되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이전까지, ②1980년대 전반기, ③200만 호 주택건설을 추진했던 1980년대 후반기, ④신경제 5개년 계획을 추진했던 1990년대 전반기, 그리고 ⑤외환위기 이후로 5시기를 구분해서 다루기로 한다. 최근의 상황을 추가하기는 했으나 시기적으로 완결성이 미비하고, 현재진행형이라는 한계 때문에 완전한 평가는 유보했다 영문초록: In order to provide a framework for conducting a summative evaluation, there is a need to sort the various kinds of housing policies by its type and to identify the detailed subordinate goals that each policy tried to achieve for each period, after dividing each of the housing policy by the period when it was implemented.Another important task of this study is to find, through this evaluation, the outcome that was not expected by the government policy-makers, the totally unexpected outcome of the policy and the unexpected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The basic design used for this study is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outline of the level of achievements of the housing policies' targets from the 1960's when the housing policy first began in Korea to the period when the selling price of the apartments were liberalized recently. It can be called a summative evaluation that has applied the post verification design.As the goal of the housing policy is so vague and diverse,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after making the artificial classification, assumption and judgment.First of all, all of the policies related to the housing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① Policies as a developer provider, ② Policies as a supporter enabler, ③ Legal institutional intervention, and ④ Banking public financing intervention. The developer provider in this case means the direct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s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building sites or the supply of houses, while the supporter enabler means the indirect support of supplying housing through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or structural changes.The higher goals that are pursued through the housing policy are decent life, impartiality, efficiency and economic stability, etc. Under these goals, 10 subordinate targets were set, which are; ① creation of pleasant living environments, ② improvement of the status of urban slum areas, ③ housing support for the lower income people, ④ convenience in selection of houses, ⑤ enticement of private sector's capital, ⑥ advanced technology in constructing houses, ⑦ easy furnishing of housing capital, ⑧ stabilization of house prices, ⑨ overall stabilization of the economy, and ⑩ smooth supply of new houses, etc. The categorization of the period was divided as follows: ① from 1960's when the full-scale industrialization began to prior to the 1980's, ② first half of the 1980's, ③ the second half of the 1980's when the drive for constructing 2 million houses took place, ④ the first half of the 1990's when the five-year for new economy plan took place, and ⑤ after the foreign currency crisis. Although the recent situation was added, a full evaluation was reserved, as the period has not come to an end and due to the limit that it is still an ongoing process. As for the background for the creation of the housing policies by period, the overall situation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housing problems and demand for houses, and the social background during the implementation were examin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policy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was conducted in relation with the social changes in the low-income, mid-income and high-income area. The evaluation process was conducted in a manner that would allow for the objective assessment to take place by letting the experts conduct the evaluation after providing the evaluation determinant that assesse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housing policy goals by each type of policy. Prior to the 1960's, the government constructed and provided the public houses directly as a provider. Since the 1960's the government created the fundaments for the policy as an enabler by legal institutional intervention into the market. It drove a policy as a stronger enabler from the 1970's through the early half of the 1980's. The government became a stronger provider in the second half of the 1980's when it promoted the construction of 2 million hous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1990's, the government returned to being an enabler by loosening up various restrictions. Such changes in the role of the government was not a simple change but could be observed as a development into an elaborate policy that is more refined and adaptable to the situation after undergoing an evolution process of the polic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basic evaluation, the housing policies up to now had the following problems.First, the government that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policies did not have an accurate conceptual framework of what kind of consequences that the housing policies or the development of houses according to such polices would create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 서울 P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남동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담당교사의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학생 및 학부모의 요구를 담아 지역실정과 학교 현장에 맞게 방과후학교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개선점을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정책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은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 방과후학교 운영 현황과 운영의 실태는 P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계획과 보고서, 방과후학교 관련 가정통신문과 안내문, 사교육비 절감효과 등을 분석하였으며 P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을 담당하는 교사의 인식분석을 위해 방과후학교 업무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포커스 인터뷰에 사용된 질문 내용은 KEDI 변종임이 연구 수행한 ‘2009년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 조사 및 성과 분석 연구’에서 사용한 방과후학교 중장기 발전 방향 수립을 위한 델파이 1·2차 조사지와 선행연구(장민, 2009)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참고로 선정하여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조적 질문지를 만들어서 계획된 절차에 따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얻어진 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 2개의 주제(theme)가 도출되었다. (1)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방과후학교 업무담당 교사의 긍정적인식, (2)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방과후학교 업무담당 교사의 부정적 인식. 본 연구 결과가 현장에 주는 시사점,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방과후학교 업무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가 정규 수업을 보완하는 다양한 교육경험을 사교육기관에 비해 저렴하게 제공하여 예체능 실기능력 향상과 개별 아동의 요구에 수응하는 특기신장 및 다인수 학급에서는 실시하기 어려운 맞춤식 개별학습이 필요한 학습부진아와 학습 영재아를 대상으로 학교의 교육기능을 보완하고, 저소득 층 자녀와 다문화 가정 등의 교육 소외계층 아동과 방과후에 부모를 대신하여 돌봄이 필요한 맞벌이 가정의 아이들의 육아와 교육문제를 해결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확대에 따른 가정의 교육기능과 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책임감 약화, 방과후학교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적 ․제도적 정비 미흡, 방과후학교 업무담당 교사의 업무과중 및 보상체제의 부족 등에 관한 문제점이 개선되고 보완되어야 방과후학교가 활성화되고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서울 지역의 P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이루졌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국의 초등학교로 일반화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앞으로의 연구는 방과후학교 업무를 직접 담당하는 교사에 의한 연구가 질적방법에 의한 연구가 필요하며, 방과후학교의 운영은 방과후학교 업무 담당교사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구의 대상도 학교장과 행정실장, 방과후학교 지도강사 등 더욱 다양화 하고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재 시행하고 있는 방과후학교 문제점과 해결책은 방과후학교에 관련된 모든 이들의 의사소통에 있기 때문이다.

      • 고층건물 수직·수평 요소기반 설계초기단계 골조공사비 예측모델

        남동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에서 고층 건물에 수요가 늘어나면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공사비 관련 연구나 현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연면적 기준의 공사비 산정은 건물의 높이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가를 설명하지 못한다. 특히, 설계초기단계 공사비 산정은 공동주택에 비해 고층건물인 경우 실적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 공사비를 예측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 산정시 오차율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고층건물은 공사비 규모가 크고 어느 건설사업보다 공사비 리스크가 높다는 점에서 면밀하고도 철저한 공사비 관리가 필요하다. 공사비 관리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세부적인 요소를 설정하고 분석하여 예산을 수립하고 설계 진행 단계별로 공사비의 추적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차기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초기단계 골조공사비 예측시 오차범위를 줄이고, 설계단계별 추적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고층건물의 골조공사비를 대상으로 수직․수평 요소(Element)를 기반으로 한 설계초기단계 골조공사비 예측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높이에 따른 비용중심의 공사비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골조공사비에 대하여 높이에 따른 비용과 물량기반의 공사비를 연구하였다. 비용 기반의 골조공사비는 높이와의 관계에서 1차의 회귀식이 도출되었고, 건물의 높이가 상승할수록 해당 면적당 골조공사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량 기반의 골조공사비 연구에서는 주요 자재 물량과 높이, 연면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연면적 및 높이와 상관관계가 부족한 항목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골조공사비를 예측하기 위한 물량중심의 연면적 활용은 부적합하며, 연면적기반 물량 중심의 골조공사비 산정을 위해서는 요소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조공사비의 구성요소(Component)를 요소(Element), 자재(Material), 설계요인(Factor)롤 구분하였다. 요소는 위치와 관계없이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건물의 주요부분으로 본 논문에서는 수직․수평을 요소로 정의하고 요소에 따른 관계계수를 도출하였다. 주요 계수는 형상 계수, 거푸집-콘크리트의 관계계수, 철근비이며, 각각의 주요계수들은 수직계수와 수평계수로 구분되고 수직계수는 높이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도출된 관계계수를 이용하여 물량 산출이 가능한 골조공사비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사례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수직·수평 요소에 의한 골조공사비 예측모델은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발주자의 요구사항반영, 기타요인에 의한 설계변경 등의 추적 관리가 가능하고, 향후 제시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축척하고 활용함으로써 골조 물량 및 골조공사비의 대비 오차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로는 데이터를 추가하여 이상치를 제거하여 관계계수를 도출하고, 고강도 재료 사용에 따른 견적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 주요어 : 골조공사비, 고층건물, 수직․수평 요소, 관계계수, 예측모델 As high-raised buildings are increased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e studies related with tall building are briskly conducted. However, the predicted method of construction cost per GFA(Gloss Floor Area) couldn't include the recognized theme that the cost of construction per square meter increases as building hight rises. Because the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of high-raised building at early design stage is conducted in lack of the examined data, the predicted method must be the more accurate to reduce the margin of error. The high-raised building is important to manage the risk of the construction cost with respect to cost efficiency. In terms with elemental cos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lement is defined at early design stage and tracking system is needed to control construction cost according to the process of design stage based on the ele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at development of structural cost estimation model based on key element of high-raised building at early design stage in order to reduce the margin of error and keep track of the cost. The 1st research conducted regarding the cost and height has establish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which is represented by linear expression. The 2nd research conducted regarding the quantity of material, height and GFA couldn't explain relationship with the above mentioned component.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lement in order to suggest the cost model based on the quantity of material. In this study, the component of structural constriction cost is classfied as the member of framework(Element), material, design factor. Elements are defined as major parts of the building which always perform the same function, the element is defined as vertical and horizontal in this study. The research elicits of the coefficient for the relation between material through the proposed element. The major are a formwork coefficient through a type of slab and shape of floor, a coefficient between formwork, concrete and rebar ratio. The suggested cost estimation model is made of above mentioned coefficients and examined unit rate and was verified by examination projects. I hope that this research paper can contribute to making the cost model more effective and satisfactory to concerned in construction or budget department and manage keeping track of the cost. Therefore, more continuous research has to be performed to make reliable cost based on over 50 examined data. Key words : Structural cost, High-rised Building, Vertical and Horizontal Element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pirobifluorene based blue light-emitting polymers with various device structures

        남동희 부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 device performance of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s) has been achieved since the first electroluminescence (EL) prototype was reported by Cambridge group in 1990. After nearby two decades of development, LEDs derived from -conjugated polymers have now reached the stage of commercialization, as small-sized flat-panel displays.1 This progress has been achieved through persistent efforts, both in the design of new EL polymer materials and improv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device physics. Among the -conjugated polymers, it was reported that poly(p-phenylene- vinylenes) (PPVs),2 polythiophenes (PThs),3 poly(9,9-dialkylfluorenes) (PFs),4 and their derivatives have been widely used as the most powerful candidate materials for the application of PLEDs. However, the design and synthesis of thermally stable new emissive and charge transport polymers are needed for improving their device performance and durability. PFs containing two planrized benzene rings per monomeric unit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chemical and thermal stability, high photoluminescence (PL) quantum efficiency, and easy of property tuning by copolymerization with various comonomers. The most serious drawbacks of PFs tend to form chain aggregation or keto-defect for long wavelength emission on heating or applying current during device fabrication or operation.5 Our strategy to solve these problems, we introduced fluorene substituents into the carbon 9-position of fluorene main chain to achieve the spiro-segment. In the spiro-segment, the bifluorenes were orthogonally arranged and the resulting polymer chains were twisted at an angle of 90o at each spiro-center.6 This structural feature would be expected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interchain interactions and prevent the close packing of the polymer chains. In addition, the spiro-annulated segment would be expected to enhance the rigidity of the polymer backbone, leading to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Tg values and thermal stability. Moreover, the tetrahedral bonding carbon at the center connects conjugated moieties via σ-bonded network, which serves as a spacer and conjugated interrupt, thus effectively controlling the conjugation length of the polymers. Due to the advantages of spirobifluorene derivatives, we introduced the homopolymer and copolymers based on alkoxy substituted spirobifluorene via Suzuki polymerization.7 Unlike PPV and related materials, LED devices with fluorene based polymers in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appear to have electrons as the majority carrier especially with Ca cathode and their performance is markedly improved when modified with an appropriate polymeric hole transporting moiety8. W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homopolymer and copolymers based on alkoxy-substituted spirobifluorene and triphenylamine derivatives with different ratio for using as blue light emitting polymers. Triphenylamine derivatives in the copolymers worked for making hole injection easier from PEDOT:PSS to emitting layer by lowing HOMO level of emitting layer than homopolymer. Blue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based on the structure of ITO/PEDOT/polymer/LiF/Ca/Al showed good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opolymer ratio. The maximum luminance of 9960 cd/m2 was observed at a driving voltage of 14 V and color coordinate in CIE chromaticity was (0.16, 0.15). Another our research efforts into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demonstrate that inserting a thin conjugated polymer interlayer between PEDOT:PSS and an emissive semiconductor prevents the excitons quenching at the PEDOT:PSS interface and also makes hole injection easy, increasing the device efficiency better, resulting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evice efficiency of PLEDs.9 So we introduced two types of interlayer to increase the device efficiency without changing the color coordinator chromaticity by using crosslinking methode.10,11 The first one is based on blending, which is blending a conjugated polymer, poly(9,9-dioctylfluorene-co-bis-N,N´-(4-methoxylphenyl)-bis-N,N´-phenylbenzidine), and a compound containing crosslinking moiety, N,N´-di(4-(6-(3-ethyloxetan-3-yl-methoxy))hexyloxyphenyl) N,N´diphenylbenzidine. The other one is based on the conjugated polymer, (3´,6´-bis(3,7dimethyloctyloxy)-9,9´-spirobifluoren-2,7-diyl-co-(4-(6-(3-ethyloxtan-3-ylmethoxy))hexyloxyphenyl)bisphenylamine-4´,4´diyl, which has crosslinking moiety on the polymer backbone as side branch. When both kinds of interlayers were applied in devices consisted of ITO/PEDOT /interlayer/polymer/LiF/Ca/Al. The device showed dramatically increased the device efficiency and EL color was only slightly changed according to the voltage change.9,11,12

      • 최근 10년간(2008~2017)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분포와 사회-경제학적, 물리적인 변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남동희 서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수를 출산율, 소득 등의 사회­경제학적인 변수와 거리 등의 물리적인 변수로 나누어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과 변수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학적 조사를 통해 소아치과 진료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의료정보시스템(Order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하여 내원환자수를 주거지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지난 10년간 내원횟수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였다. 사회-경제학적 변수 중 서울시 25개 자치구 월평균 소득은 통계청을, 각 자치구의 인구수는 서울특별시 정보기획관이 제공하는 서울서베이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변수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내원환자수 및 내원비율의 변화, 거리에 따른 내원환자수 및 내원비율의 변화, 소득에 따른 내원환자수 및 내원비율의 변화 등 3가지의 가설을 세웠고 필요시 통계학적으로 검정하였다.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국 내원환자수는 지난 10년간 15.7% 증가하였고, 서울의 경우 내원환자수의 추세는 비교적 일정하였으며, 경기도와 인천의 경우 지난 10년간 각각 45.6%, 102.0% 증가하였다. 0∽14세 전국 인구수는 지난 10년간 20.3% 감소하였고, 서울, 경기도, 인천의 경우 27.6%, 14.0%, 17.0% 감소하였다. 인구수에 따른 전국 내원비율은 지난 10년간 46.8% 증가하였고, 서울, 경기도, 인천의 경우 41.6%, 67.1%, 122.1% 증가하였다. 주거지로부터 병원 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내원환자수와 내원비율은 감소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다(p<0.05). 단, 거리가 멀어질수록 소아외과치료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한편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가구별 월 소득이 증가한다고 해서 내원환자수와 내원비율이 증가한다고는 통계적 유의성을 갖고 말할 수 없다(p>0.0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pediatric dentist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SNUDH) changes in time according to socio-economic factors, including a birth rate and an income, and a physical factor, a distance. Also, it looks at how three factors are correlated to each oth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tell the current situation of pediatric dentistry and its future.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three hypotheses were made and statistic evidences were provided when necessary. The hypotheses are how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patients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distance and income respectively. The data of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pediatric dentistry of SNUDH based on their residential area was collected from SNUDH Order Communication System, and multiple visits within 10 years were counted as a single visit. Also, the average income data of 25 districts in Seoul was collected from Statistics Korea. Lastly, the population data of each district was collected from Seoul Information Communication Plaza. The research reviewed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SNUDH pediatric dentistry in the last 10 years from 2008 to 2017. The result showed a 15.7%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nationwide, 45.6% increase in Gyeonggi, 102.0% increase in Incheon and steady number of patients in Seoul. The population aged 0-14 decreased nation-wide by 20.3%, Seoul 27.5%, Gyeonggi 14.0%, and Incheon 17.0% in the last ten years. The proportions of patients to the population in creased by 46.8% nationwide in the last ten years. Seoul, Gyeonggi, Incheon shows a increase of 41.6%, 67.1%, 122.1% respectively. The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live in Seoul decreased when they lived farther away from the hospital,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Yet the ratio of surgical treatment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income and their visit to the hospital both proportionally and numerically(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