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도시구조변화에 따른 탄소배출모형구축과 성장관리

        남기찬,임업,Hong Sok(Brian) Kim,이제선 한국지역학회 2010 지역연구 Vol.26 No.3

        This study employed the urban dynamic model by application of Alfeld and Graham model to have a sustainable spatial structure. And then this model is developed to observe dynamic changes of carbon emission in response to urban structure and regulation strategies. With growing concer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number of studies explored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urban area. Spatial struc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urban sustainability. Although many concepts were developed for sustainable spatial structure, this study employs system dynamics model to uncover the relationship of urban spatial structure,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e to high-rise and mix use strategy, the land regulation strategy (for housing area) produce less emission volume. Application of system dynamic model and simulation methodologie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further exploitation of related studies.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으로서의 도시구조의 변화에 따른 탄소배출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Alfeld and Graham의 도시동태모형(urban dynamic model)을 활용하여 시스템 다이나믹스 모형을 구축하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도시구조의 변화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지속가능한 공간구조에 대한 논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조의 정책변수로 사용되는 용적율, 혼합율 등의 변화를 통해 에너지소비, 탄소배출량 및 탄소저감량의 동태적 변화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시의 경우 탄소배출의 관점에서 토지면적의 규제(특히 주거면적)를 통한 전략이 용적율 및 혼합율 정책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한 함의점은 도시의 다양한 정책을 시험해 볼 수 있는 탄소배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보다 건전하고 환경친화적인 도시구조를 제안하는데 있어서 큰 의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

        공간구조가 인구성장에 미치는 영향

        남기찬,임업,Hong Sok(Brian) Kim,이제선 한국지역학회 2012 지역연구 Vol.28 No.1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estimate the effect of spatial structure on population growth. In this study, operational definition of spatial structure is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in order to measure the concept of spatial structure, we used the dimensions of concentration and clustering. And we used the spatial econometrics to eliminate the effect about dependence and heterogeneity of space. As a result, The strategy about low level of concentration and clustering is efficient planning strategy for low density area. But, in case of high density area, high level of concentration and clustering is more efficient than low level of those to attract population. Through these results, we can discuss whether the diverse strategies, such as compact city, decentralized concentration city, and generalized dispersed city, are available. And also this study will give the implications about guidelines of physical policy. 본 연구는 인구성장에 미치는 효율적 공간구조의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공간구조를 집중성과 군집성으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의 과정에서는 공간적인 임의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공간계량모형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 전체적으로 낮은 밀도를 갖는 지역에서는 낮은 집중성과 낮은 군집성의 공간구조가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도시 전체적으로 높은 밀도를 갖는 지역에서는 높은 집중성과 높은 군집성의 공간구조가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서구에서 논의되는 압축도시, 일반화된 확산도시 등의 형태가 국내의 도시정책으로써 갖는 함의점을 살펴보고 도시의 거시적인 공간계획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다양한 물리적 계획의 정책적 지침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