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기연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에서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선택하기 보다는 사회적 지위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는 진로를 선택하고, 높은 학력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열된 입시경쟁 속에서 방황하는 청소년들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올바른 진로를 선택하고, 진로목표를 이루어가는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방안으로 셀프리더십을 제시하고자 한다. 셀프리더십은 자신이 가장 즐기며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찾도록 돕고 스스로에게 영향을 주어 선택한 진로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 자체를 즐길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고 이를 교육현장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배경변인(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에 따라 셀프리더십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배경변인(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은 차이가 있는가? 넷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 셀프리더십 수준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437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계수(Cronbach's alpha),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요인분석(factor analysis), T-검정(T-test)과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 던컨의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일반적인 수준을 살펴보면, 셀프리더십은 평균 3.31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은 평균 2.39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을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자기보상이 가장 낮은 반면 자기징계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은 주변인을 통한 진로탐색은 높은 반면 전문기관 및 전문인을 활용한 진로상담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은 성별, 성적, 리더경험유무, 리더십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은 전체적으로 성별, 학년, 리더경험유무, 리더십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변인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면, 내적통제 성향, 정서지능 모두 전체적으로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통제 성향의 청소년은 자기보상과 자기 자신과의 대화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은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적통제 성향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으로 볼 때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의 청소년에 비해 높은 수준의 진로준비행동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전체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영역 중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과 진로준비행동 전체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셀프리더십을 잘 발휘할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었다. 여섯째,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 셀프리더십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각 단계별로 설명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셀프리더십 변인이 추가되었을 때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설명력이 상승되므로 셀프리더십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 모형에 대한 설명력을 검증 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을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았을 때, 자기징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반면 자기보상은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 자신이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으로 행동하여 일이 잘못되었을 때 스스로에게 벌을 주는 자기징계는 강하게 활용하는 반면 자신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인 자기보상은 미흡하다는 것을 나타낸 결과이다. 따라서 청소년 교육 현장에서는 청소년의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고, 일이 잘못되었을 때 실패에 집중하기 보다는 원인을 찾아 교훈을 얻고 새로운 도전을 찾아 동기부여 할 수 있도록 돕는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되는 바이다. 한편, 진로준비행동을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주변인을 통한 진로탐색은 가장 높은 반면 전문기관 및 전문인을 활용한 진로상담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진로지도 및 상담 영역에서 전문적인 진로상담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진로교육과 상담이 필요하다. 둘째, 리더경험과 리더십교육 경험은 셀프리더십 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을 높여줄 수 있는 변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리더십 교육을 통하여 청소년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진로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며 목표를 향해 노력하도록 동기부여 하는 리더십 교육의 효과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으므로 청소년들에게 진로와 연계된 리더십 프로그램이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셋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은 정서지능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 정서지능을 적극 활용하는 교육이 효과적임을 예측할 수 있었고, 정서지능을 적극 활용하여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넷째,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아질수록 진로준비행동을 잘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의 전체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영역 중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셀프리더십이 인지적 변화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행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 결과이다. 따라서 셀프리더십을 적극 활용하여 청소년들이 스스로 결정한 진로목표를 위해 노력하도록 돕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요구하는 바이다. 다섯째,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를 알아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심리학적 변인 외에 셀프리더십 변인을 추가하였을 때, 설명력이 더욱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잠재된 셀프리더십을 개발하고 향상시키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냈다. 앞으로 잠재된 셀프리더십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청소년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진로로 인한 갈등을 감소시키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행복한 청소년들이 늘어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dolescent’s self leadership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pply this to the education sit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60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After that, we used 437 collected questionnaires as a data for the final analysi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 is like below: First, when we look at the general levels of adolescent’s self leadership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elf leadership was shown as average 3.31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as shown as average 2.39. If looking at the self leadership in each subordinate area, the lowest was the self reward and the highest was the self discipline.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exploration through people around was shown high while career counseling with the specialized organizations or professionals was shown as the lowest. Second,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s of the self leadership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adolescent’s social demographic factors, the level of adolescent’s self leadershi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marks, existence of leader experience and existence of leadership education experience.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howed some differences overall according to sex, grade, existence of leader experience and existence of leadership education experience. Third,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s of the self leadership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factors, all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give overall influence on the self leadership. The adolescent with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shown to have influence on every subordinate area besides the self reward and the self conversation,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shown to make meaningful differences for every subordinate areas of the self leadership. Meanwhile, it was shown that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does not give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shown to have meaningful differences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all the subordinate areas. Fourth, overall the group with high levels of the self leadership was shown to display higher level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ompared with the adolescent in the lower levels of group. The overall level of the self leadership was shown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effort behaviors for achieving goals’ among the subordinate area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ifth,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social democratic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elf leadership about the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explanatory power of each level was increased. Especially when the self leadership factor was added, the explanatory power abou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as increased, so it was proved that the self leadership was an important factor which had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explanatory power about the model of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study result.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level of adolescent’s self leadership had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y providing adolescent with the opportunities of education which can develop and improve their potential self leadership, we hope that the number of happy adolescent will be increased when they have less conflict about careers and enjoy the whole process of achieving goals.

      •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창작무용을 통한 정서발달이 인지 조절에 미치는 영향

        남기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nducted a self-written survey of 350 parents of infants who are learning creative dance at kindergartens, daycare centers, and dance academies in Cheongju, North Chungcheong Province,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recognition control by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through infant creative dance recognized by their parents. A total of 300 copies were selected as final effective sample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except for 50 copies that were not retrieved or judged to be unfaithful. Firs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development and cognitive control according to the infant creative dance recognized by parents, emotional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the case of infant creative dance participation period, parental involvement, and parental participation, and cognitive control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in the case of infant creative dance of parental involvement and parental participation. Therefore, cognitive control increases when emotional development is high. Second,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mpact on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on the infant’s involvement in creative dance, the period of the infant’s participation, the frequency of the parent’s participation, and the parents’ participation, which the parents perceive,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creative dance on emotional development, it is able to notice that it h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degree of participation period and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creative dance affect emotional development. Third,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effect on the cognitive control of the infant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eriod, parental involvement, parental participation,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on infant creative dance recognized by parents shows a significant static impact on cognitive control by parental participation, and this result shows that parental participation affects the cognitive control of infants. Fourth,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mpact of emotional development on cognitive control through infant creative dance recognized by parents, it is able to notice that it h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and high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infant creative dance perceived by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control of infan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infant creative dance recognized by par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cognitive control of infants if the sub-varying self-emotional awareness is high. Overall, the study found that infant creative dance programs have a highly positive effects of correlation between infant emotional development and cognitive control, and have differences depending on participation period, parental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frequency factors, and that high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infant creative dance recognized by parents gives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control of infants. Therefore, the creative dance of infants through parental perception affects the creativity on education, emotional development, and cognitive control improvement, indicating the need for systematic infant creative dance education through the positive interaction of children's creative dance and parent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impact of emotional development on cognitive control through infant creative dance, it will have a highly positive impact on the need for infant creative dance.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창작무용을 통한 유아의 정서발달이 인지 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위해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유치원, 어린이집, 무용학원에서 창작무용을 배우고 있는 유아의 부모님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회수되지 않았거나 불성실한 자료로 판단되는 50부는 제외하여 총 300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분석하여 이와 같은 결론은 도출하였다. 첫째,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창작무용 참여 기간, 부모 관여도, 부모 참여도, 참여 빈도는 유아 정서발달에 따른 인지 조절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결과 정서발달의 경우 유아 창작무용 참여 기간, 부모 관여도, 부모 참여도의 경우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지 조절의 경우 유아 창작무용의 부모 관여도, 부모 참여도의 경우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정서발달이 높으면 인지 조절도 높아지는 관계가 나타난다. 둘째,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의 창작무용 참여기간, 부모 관여도, 부모 참여도, 참여빈도에 따른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 창작무용 참여 기간이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참여도가 정서발달에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창작무용 참여 기간과 부모 참여도가 높으면 정서발달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창작무용의 참여 기간, 부모 관여도, 부모 참여도, 참여 빈도에 따른 유아의 인지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 부모 참여도가 인지 조절능력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부모 참여도가 유아의 인지 조절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넷째,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창작무용을 통한 유아의 정서발달이 인지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으며,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창작무용을 통한 정서발달이 높으면 유아의 인지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창작무용을 통한 정서발달 하위변인에 자기 정서 인식이 높으면, 유아의 인지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를 종합해보면 유아 창작무용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발달과 인지 조절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알 수 있고, 참여 기간, 부모 관여도, 부모 참여도, 참여 빈도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창작무용을 통한 정서발달의 하위변인 자기 정서 조절력과 자기 정서 인식이 높으면, 유아의 인지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 인식을 통한 유아들의 창작무용에 대해 교육의 창의성, 정서발달, 인지 조절 향상에 영향이 있으며 유아 창작무용과 부모님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체계적인 유아 창작무용 교육의 필요성을 나타내 주고 있다. 유아 창작무용을 통한 정서발달이 인지 조절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한다면 유아 창작무용에 대한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 경북 지역 계녀가사의 구성과 서술 양상

        남기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계녀가사는 내방가사의 한 갈래로서, 어머니가 시집가는 딸에게, 혹은 어머니와 비슷한 위치의 사람이 딸이나 결혼 전의 여성들에게 시가에 들어가 행해야 하는 규범을 교훈할 목적으로 지어진 가사를 말한다. 본 연구는 경북지역 계녀가사를 대상으로 작품의 구성과 서술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그 향유 양상에 대해서도 검토해 봄으로써, 계녀가사가 지니는 문학사적 의의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계녀가사의 구성이 주로 서사-본사-결사로 이루어지기에 항목별로 나누어서 논의했다. 서사에서는 교화의 대상이 되는 청자를 호명하여 글을 쓰는 목적을 전달하는 방식을 취한다. 본사에서는 시가로 들어가 행해야 되는 행실과 도리에 대해 교화적 관점에서 항목별로 구체화하고 있다. 결사의 경우, 본사에 담긴 교훈을 잊지말고 잘 익힐 것을 당부하는 형식을 통해 계녀가사로서의 성격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전형 계녀가사는 신행 전의 딸에게 주는 것으로 시가에서의 일상에 필요한 교훈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변형 계녀가사의 등장으로 청자의 호명과 교훈의 내용, 전달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변형 계녀가사에서는 작가 자신의 개인사와 관련된 사실들이 중심을 이루기에, 화자와 청자의 관계 설정이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고, 여기에 맞는 서술 방식을 취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작품 내적 변화가 일어났다. 계녀가사는 주로 딸에게만 전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불특정의 여성뿐만 아니라 아이들, 남성까지도 청자로 설정하여 그에 맞는 내용과 구성의 변이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녀가사는 남성의 전유물로만 생각했던 문학의 영역을 여성으로 확대 · 재생산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내방가사의 창작과 경창대회 등의 행사가 경북 지역 사회에서 다채롭게 시행되고 있는 현재의 관점에서 계녀가사의 문학사적 의의는 재점검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Gyenyeogasa is a branch of Naebanggasa, and refers to gasa created for mothers or the persons with similar position to educate the lessons that women should perform in their husband’s home to their daughters or women before marri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Gyenyeogasa by researching the formation of work and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targeting Gyenyeogasa in Gyungbuk region and reviewing the enjoyment aspect. Each item is divided for discussion because Gyenyeogasa consists of introduction - main text – conclusion. The introduction adopts the format of delivering the purpose of writing by naming the listener who is the target of edification. The main text itemizes the behavior and morals that must be performed in husband’s home from a doctrinal perspective. The conclusion evident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Gyenyeogasa through the format asking not to forget and learn the disciplines of the main text. The typical gyenyeogasa refers to the one delivered to daughter before going to husband’s home right after the marriage, and it consists of disciplines needed in daily life at husband’s home, but the advent of modified Gyenyeogasa has brought the change in the type of calling listener, the contents of edification and the method of delivery. The modified Gyenyeogasa is mainly composed of the personal history and the related facts of author, so set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got diverse, and taking the descriptive method which is suitable to this has brought the internal change of various forms. Gyenyeogasa is known to be something delivered to daughter mainly but through this study, not only unspecified women, but also children and men were set as listen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and composition were changed accordingly. Gyenyeogasa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and reproduction of women's literature, which was considered only for men. From the current point of view, where Naebanggasa related events such as the creation and singing competitions are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it seems necessary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Gyenyeogasa in literary history.

      • 초상의 상업적 이용과 침해에 대한 민사책임

        南基然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aditional forms of mass media such as television, newspaper, radio and magazine are no longer utilized. The Internet and other unique ways to have overthrown the conventional forms of advertisement. Due to this type of rapid development of mass media and personal self-authority,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portrait is increasing. This has been a social chaos for a many years. The protection of value and authority that the law and system provides can change depending on the generation we live in and the situation. Therefore, it is not a question as to why the need for protection is being discussed today, when the benefits of authority hasn't even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past. If the rights of portrait is taken into account as personal right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property rights are being emphasized because the limit of the protection by figures of authority. The advertisement may have more impact when a famous entertainer is used as the model or sponsor for a corporation. The power of attraction towards the consumer is there because of the efforts that the famous person has conveyed. As the competitive value of the individual increases, protection has become a necessity. In America, the concept of publicity is well known. This report is mainly focusing on the American theory and the statistic report that has developed and organized a meaning of Publicity. The subjects of publicity are defined as human which includes non-celebrities or celebrities and non-human such as; Organizations, Corporations. The right of publicity protects the individual's name, portraits, voice and person in distinctive role. The main concerns for the right of publicity are their assignment or the inheritance issues and these issues are controlled and enforced differently from each states. For that reason, it's hard to determine the definite restriction or guideline for these issues. Currently in state of U.S, the meaning of publicity isn't used commonly or uniformly, but portrait should be allowed to be freely trade or used commercial purpose if the person with the right has given a permission or consent. Also, that right should be able to inherited or assigned, it should carry a some type of regulation for the terms or periods if consideration is made for profits that are made to only one individual(monopoly). As of a method to resolve this matter, it should be proper to apply a legislature procedure. The special concern and caution should be taken to the right of using portraits for all the advertisement or press, but it seems that the debates regarding to this issue will be increasing massively and this type of infringement will be appearing in variety way during the process of scientific development and rapid transit in this society. Therefore;protecting how and how much regards to an issue of the right of portrait needs to be decided in a way which reflects the time and the conditions of when it occurs. To prepare for this upcoming issue, many cases needs to be studied and debated and it should be maintained and set a basic gudieline for the future usage.

      • 顧菴 李應魯의 山水畵에 관한 硏究

        남기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전통을 기초로 하여 韓國 山水畵의 특징을 마련한 顧菴 李應魯(1904-89)의 山水畵에 관한 硏究이다. 필자는 그의 대표적 山水畵의 특징과 아울러 조형성을 파악하여 韓國畵의 正體性을 정립하는 요소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고암 이응로의 다양한 예술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필자는 旣存의 文獻과 資料를 通하여 韓國 山水畵의 올바른 理念 硏究를 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조형형식을 受容하고, 探究하여 傳統 山水畵가 現代 山水畵에서 어떻게 受容 變遷하게 되었는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어 산수화의 根本的인 精神性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現代的인 표현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민족적인 것과 국제적인 것, 전통성과 현대성,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 분단시대의 정치와 예술 관계 속에서 고암의 족적을 추적하는 것은 한국미술의 실체를 파악 할 수 있는 요소가 있다고 간주된다. 그는 전통 서화계의 거목이었던 海岡 金圭鎭(1868~1933)의 문하에 입문해 예술가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으며, 20대에 화단에 입문해 86세를 일기로 작고하기까지 방대한 작업을 선보였다. 초기(1923~46)에는 스승인 金圭鎭으로부터 습득한 문인화적 취향을 바탕으로 선전에서 입지를 다졌고, 1936년부터는 일본 유학을 통해 서양회화와 사실적 사생을 바탕으로 한 풍경화와 산수화를 그려내며 화풍의 변화를 보여 주었다. 해방이후에는 서예적 필선을 화면에 자유롭게 적용하되 사생을 바탕으로 하였고, 이러한 것은 그의 산수화인「금강산 보덕굴」의 경우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생맥」(圖30)등의 작품으로 이어져 반추상회화로 변화하고 있다. 중기(1945~58)는 도불이전까지로 그의 회화는 초기 전통적 회화 경험위에 서양회화 사조의 영향을 받아 추상회화의 자주적 수용을 하였다. 이시기는 전통적인 발묵 외에 현대적 감각이 가미된 독창성을 가진다. 후기(1959~89)는 도불이후 시기로 描寫的인 선은 없어지고 발묵의 기법을 활용하여 면으로 표현하고 있다. 농묵과 담묵이 서로 만나면서 이루는 번지기의 효과가 극대화 되었다. 그의 필묵법은 활달하고 자유분방한 기개의 필치로 조성되어있다. 또한 일획에 이르는 진필의 運筆이 妙를 이루고 있으며 산수화의 표현 기법도 이와 유사하다. 그리고 고암은 새로운 것을 모색하는 가운데 과거의 양식을 反芻하는 시각으로 자신의 조형어법을 만들어 사의화풍적인 산수화를 이끌어 갔다. 또한 그의 산수 작품은 寫生, 먹의 농담의 변화, 점과 필획의 대조적 구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수묵의 실험정신으로 빚어낸 사의화풍은 고암의 후기 산수화에서 자연스럽게 영향을 주었다. 고암의 산수화는 동양의 전통적인 문인화 기법으로 출발하여 현대적 분위기의 전환을 시도하였으며, 관념적인 전통화단에 새로운 기법과 다양한 시도로 한국 산수화에 접목시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선구자였다. This essay is research for a landscape painting of Lee Eung-No(1904-89) who established the characteristic of a Korean landscape painting based on the tradition. I intended to search for the factors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painting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d molding attribute of his representative landscape painting. To understand various world of art of Goam Lee Eung-No, I performed correct idea-research of a Korean landscape painting through existing literatures and materials. And because of necessity researching how the traditional landscape is accepted and changed in the modern landscape through accepting and investigating the new form of molding. I understood the basic mentality and searched for modern way of expression. And it is regarded as being the factors which can understand the substance of Korean art that we research Goam's tracks in relation between a national thing and international thing,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the oriental things and western things, and politics and art of divided age. He entered into Haegang Kim Gyu-Jin who was a great artist of the traditional painting and calligraphic works community and started a course of artist. And he showed enormous works from entering into the artist world at 20's until deceasing at 86. Goam started as an Oriental painter, went to paris in 1957, experienced a wide range of molding with international view, and reached original and universal stage of art. It is works modernizing the tradition that Goam searched for constant change and pursed consistently. And the spirit and technique of the traditional calligraphy was the source making it possible. His brush and chinese ink method is made up of active and liberal touch of spirit. Also, it is composed of a wonder with strokes of the brush of genuine brush ranging one stroke. Expressing technique of a landscape painting is also like this in change of various works. And Goam developed his own molding technique with a view of ruminating past form among searching for new one. He led a landscape in anti-abstract place prior to anyone else. Also, his landscape works mainly consist of sketching(drawing from nature) the change of lightness or darkness of Chinese ink, and contrastive composition of a point and a stroke. Abstraction made of experiment spirit of India ink influenced the latter landscape of Lee Eung-No naturally. Like this, Goam's attitude of art was very passionate and he spend all his life on consistent passion for works. The characteristic of Goam's landscape began with the traditional painting by a literary artist, tried to of Korean landscape through new technique and various attempt about abstract traditional artist world. In korean art history of 20c, Lee Eung-No is one of much bended but outstanding artists.

      • 복합발전 수·폐수 처리 시설의 공정 개선을 통한 물 사용량 절감

        남기연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복합발전 용수공급공정에서 용수사용량을 절감하고자 원수사용량과 폐수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발전소 용수의 주요 원수로 쓰이는 물은 한강수이며, 원수에 약품투입 및 부유물질 침전시키며, 여과(UF), 삼투(RO, EDI)를 거쳐 최종 순수 저장조에 저장하여 공업용수로 사용한다. 사용 후 용수는 폐수처리장으로 향하며, 물리화학적 처리를 거쳐 난지종합처리장으로 방류된다. 이러한 용수사용량 중 과다 사용하는 원인을 찾기 위해 파레토도로 분석했으며, 응집침전공정과 삼투공정에 주요 문제점을 찾았다. 응집침전공정에서 용수사용량을 절감하는 방법으로 응집침전조로 유입되는 원수의 수온저하로 인한 온도 상승 장치 설치입니다. 온도 상승 장치를 통해 겨울철 원수의 온도 평균 10℃에서 18℃로 증가시켜 침전조 내 원수 중 폐수로 이동되는 원수량을 줄였다. 그리고 응집침전조 굵은 플럭 형성을 위한 최적의 응집 약품량 설정 및 촉매 투입을 실시하였다. 응집 약품량 변경과 촉매 투입 실험을 실시하여 최적플럭 형성하는 조건인 PAC 농도: 20ppm ~ 100ppm, Polymer 농도: 1ppm ~ 3ppm로 설정하여 폐수로 이동하는 원수량을 감소시켰다. 삼투공정 중 용수사용량 절감하는 방법으로 EDI 재활용 폐수 라인 설치 및 유량조절밸브 교체를 통해 폐수재활용 및 용수량 절감하였고, RO 화학세정 배관 신설로 RO 통수량 증가하여 발전용수 및 폐수를 절감하였다. 마지막으로 HRSG 폐수 재이용, 폐수처리 약품변경을 통해 폐수를 절감하였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최종 148,836톤의 발전용수와 128,308톤의 발전폐수를 저감할 수 있었고, 이에 따른 절감금액은 1.6억원으로 판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amount of industrial water used and wastewater generated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used in 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The water used as the main raw water for power plant water is Han River water, and inject chemicals into raw water and precipitate suspended substances, and it is used as industrial water after filtration (UF), osmotic (RO, EDI), and stored in the final pure water reservoir. After use, the water is directed to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discharged to the Nanji comprehensive treatment plant through physicochemical treatment. In order to find the cause of excessive use among these water usage, pareto diagram was analyzed, and major factors were found in the agglomeration sedimentation process and osmosis process. As a way to reduce water consumption in the agglomeration and sedimentation process, a temperature rise device was installed due to a decrease in the water temperature of raw water flowing into the agglomeration precipitation tank. The temperature of raw water was increased from an average of 10°C to 18°C through a temperature raising device to reduce the amount of raw water transferred to waste water among raw water. In addition, a catalyst was added to form a thick flux of the agglomeration precipitation tank. By changing the amount of chemical and adding a catalyst, the optimal conditions PAC concentration: 20 ppm to 100 ppm, polymer concentration: 1 ppm to 3 ppm, and yellow soil were added to reduce the amount of raw water moving to wastewater. As a way to reduce water usage during the osmosis process, the water usage was reduced by changing the movement path of EDI concentrated water, replacing the flow control valve, and establishing a new RO chemical cleaning pipe. Waste water was reduced by reusing HRSG wastewater and changi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drugs. This improvement reduced the final 148,836 tons of power generation water and 128,308 tons of wastewater, resulting in a savings of 161 million won.

      • 한복의 造形的 特性을 응용한 현대의상 개발연구

        남기연 漢城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전통을 재해석하고 조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사회 각 분야에서 활발하다. 패션에서도 한국의 전통미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디자이너들에 의해 시도되고 있고, 이들의 노력으로 많은 패션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21C에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트랜드인 오리엔탈리즘을 표현한 패션상품이 출현(出現) 하고 있지만, 세계시장에서 한국상품은 일본이나 중국의 종속상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복이 기모노라 불리고 차이니즘으로 대별되는 옷으로 인식되고 있는 세계 패션 시장에서 한복이 오리엔탈리즘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는 전통의 미를 기본으로 하며 한복의 조형성에 충실한 디자인 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거의 전통한복에 대한 재인식을 통하여 우리의 위상을 확인하고 한복의 미를 현대에 계승하여 보다 현대적인 패션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전통미의 현대적이고 창조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세계무대에서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알림과 동시에 차별화 될 수 있는 한국적 상품개발에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구체적인 전개방법으로 첫째, 시대 변천에 따른 한복의 종류별 특징을 살펴보았고, 조형가치와 조형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범위는 삼국시대 및 조선시대를 귀족과 서민층으로 계층에 따른 의복문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전통소재와 문양을 이용해 세계시장에 진출하여 국내·외 주목을 받고 있는 디자이너의 작품세계를 비교하여, 한복이미지를 주제로 한 작품의 의의와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한복의 대중화와 상품성 시도라는 의의를 가지고 있는 생활 한복 브랜드의 특성과 소비자들의 기호를 제시하여, 향후 한복이미지를 주제로 한 제품의 상품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이상과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마케팅 환경분석을 통하여 시장 세분화 기준에 의한 표적 시장을 설정하였으며, 각 계층의 소비자의식조사를 실시하여 한복을 기본으로 하는 현대의상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넷째, 이상과 같은 결론에 의거한 한복이미지를 주제로 하여 작품 3점을 디자인하여 실제 제작하였다. 이런 연구과정을 거처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한복의 미적가치는 자연미, 인격미, 벽사미, 전통미 등에 있으며 둘째, 인체를 압박하는 특색을 가지는 서양복식과는 달리 셋째, 한복이 가지는 고유의 선과 간결함은 남·녀·노소는 물론, 장소와 시간을 초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거리낌없는 한복의 형식은 선(禪)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국의 미적가치를 충분히 표현하고 있다. 넷째, 조선시대 귀족계층을 중심으로 파급된 유교문화는 복식에 있어서도 고대 중국의 복식을 모방하는 점도 가지고 있으나, 다섯째, 고려시대의 상감기법에서 보여주고 있는 품위와 은은한 멋은 조선시대에 형성되는 자연미, 곡선미와 어울려 한복디자인의 모티브를 이루고 있다. 여섯째, 한복은 4계절이 뚜렷한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천연소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선과 전체적인 분위기는 자연미와 명상미를 간직한 오리엔리즘의 진수로 보여지고 있다. 일곱째, 현대에 이르러 한복은 한국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로 현대사회에서 일상복이 된 양복과 함께 복식의 이중구조를 이루며 한국인의 복식문화의 중추를 이루고 있다. 이를 통하여 한복은 주변 국가의 복식들과 구별되는 독창적인 양식으로 한민족의 정서와 자긍심을 상징하며 발전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통한복의 올바른 개발방향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In every fields of society, it is a widespread phenomenon to reread traditional cultures and to combine them with new cultures. In fashion area, many fashion designers have made such an effort to seek for the Korean traditional clothing among many emerging fashion brands. Though the Orientalism, the new trend of 21st century in fashion, is popular in the world, Korean fashion is still considered subjective to Japanese and Chinese fashion. Hanbok, which is the korean traditional clothing, is regarded as Gimono of Japan and Chinese fashion in world markets, so it is necessary for us to advertise Hanbok as korean Orientalism. Accordingly, it is urgent to develop the design of korean clothing based on traditional beauty. This study is focused on evaluating the current stage of fashion through reconsidering the traditional clothing of the past and will contribute to modern fashion industry by connecting the current fashion with traditional clothing. This attempt shows a possibility to make modern and creative fashion from old fashions. It not only informs the world of our creative cultural superiority but also produces the korean distinctive clothing. This study follows concrete four developing methods. Firs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bok with the changing of times will redefine the value and the traits of application. The scope of study includes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and Chosun Dynasty. The clothing cultures will be differently classified into aristocracy and the humbler. Second, by being compared by the notable designer home and abroad who entered the world market with traditional materials and shapes, the Hanbok-imaged work will be revaluated. This study will help daily Hanbok-imaged clothing to be commercialized and productive by showing the preference of consumers. Third, the target market is chosen by marketing environmental analysis like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will show a possibility to develop a modern fashion set by Hanbok standard. The consumer researches are used to study the above subjects. Fourth, from the above thesis, I actually designed three pieces of clothing with the theme of Hanbok image. These researches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Hanbok has such beautiful values as natural beauty, personal beauty, magic beauty to expel the harm curses and traditionalism. Second, Hanbok is different from Western clothing which is oppressing the body and has casuality. Third, the unique line and simplicity of Hanbok can appeal the people beyond ages and sexes. The casual shape of Hanbok fully expressed the value of korean beauty, which has Zen in Buddhism as a background thought. Fourth, the aristocracy of Chosun Dynasty dominated by Confucianism followed the ancient Chinese fashion. Fifth, the gracious and booming technique of inlaying pottery of Korea Dynasty became a motif of Hanbok design with natural beauty and the beauty of curved lines of Chosun Dynasty. Sixth, Hanbok used natural materials with the changing seasons of Korea. The line and mood represent the most excellent Orientalism with the natural beauty and the meditative beauty. Seventh, Hanbok has a strong korean image and became a korean peculiar culture. With daily Western clothing, Hanbok came to play a pivotal role in korean clothing cultures. These studies show that Hanbok has a unique trait different from neighbor countries and symbolizes the pride and mood of koreans. Accordingly, this study will summarize the right developing method of traditional Hanbok as followings. First, the modern Hanbok will have to get such basic values as natural beauty, magic beauty to expel the harm curses and personal beauty, which is the inborn characteristics of korean clothing. Second, when the modern Hanbok is designed, it will have to follow the modern fashion and be developed as daily clothing which is necessary in daily lives. Third, the development of design, material, and color will follow with the value and the beauty of current lives. Fourth, Hanbok must be designed with total fashion concept to match with other materials. Fifth, in the world of fashion, Orientalism is apt to be regarded as Chinese and Japanese symbol. To overcome this misunderstanding and misleading phenomenon, we should develop the multi-national commercial at firs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purpose of connecting modern fashion with traditional fashion and differentiating traditional Hanbok from daily western fashion. I hope it will contribute to our future fashion and much more studies will continue with various and concrete methods.

      • 서울 지역 초등학생의 심상도 특성 분석

        남기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가 두 발을 딛고 살아가는 땅, 공간, 지역은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인간에 의해 표상되고 개개인의 다양한 경험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에 주목하는 입장이 사회과 교육에서는 각별하다. 사회과 지리 교육과정 및 수업은 아동과 무관하게 설계되어, 아동 외부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현재 가지고 있는 공간에 대한 표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때 보다 ‘의미 있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아동은 환경 및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인지적인 도식을 형성하며, 이와 함께 공간에 대한 애착과 정서 등 정의적인 감정도 총체적으로 표상한다. 여기서 공간에 대한 인지적 측면의 도식을 ‘공간인지’라고 하며, 공간에 대한 감정 및 정서적인 측면을 ‘토포필리아’라고 하는데, 이 두 과정은 총체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아동이 머릿속에 공간과 환경에 대해 인지적이고 정서적으로 표상하는 지도형태의 총체를 심상도(mental map)라고 한다. 아동의 심상도를 파악하여 교육과정과 수업에 반영하는 것은, 아동에게 의미 있는 학습을 위해 필요할 뿐 아니라 흥미와 능동성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또한, 장소에 의한 정체성 형성과 지리적 사고력 발달을 직․간접적으로 도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초등학생이 가진 지역에 대한 심상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초등학생의 지역 심상도의 형태적, 지시적, 평가적 측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학년별, 성별 지역 심상도의 특성 분석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의 지역 심상도 특성을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여, 분석 및 해석한 내용이 사회과 교육에 환류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 결과, 지역 심상도의 형태적, 지시적, 평가적 측면에서 아동의 서울 지역 표상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태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 집과 학교를 포함한 근린위주로 서울을 표상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고, 외곽이 없는 열린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내부형태는 경관형, 약도형, 산재형, 모자이크형, 연결형이 다양하게 공존하고 있었다. 지시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는, 자연요소보다 인문요소를 중심으로 표상하는 비율이 압도적이었다. 또한 평가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 중립적인 주요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서울을 표상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현재 가진 지역 이미지에 비하여, 외부로 보여 지도록 부여하는 지역 수식을 보다 긍정적으로 하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령별 지역 심상도의 특성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경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형태적 지역 심상도의 표현범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린에서 시 전체로 이행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외곽형태는 열린 미지의 공간에서 닫힌 공간으로 경계가 형성되었다. 내부형태는 정면에서 조망으로, 길 중심에서 지리적 사상 중심으로, 선에서 점, 그리고 면으로 변화하였다. 지시적 지역 심상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총 요소의 출현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상업중심의 인식에서 문화중심의 인식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었고, 행정구역 인지율이 증가하였다. 평가적 지역 심상도의 지역 이미지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중립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로, 지역 수식어는 형태 중심의 수식에서 기능중심의 수식으로 변화하였다. 성별 지역 심상도의 세부적 차이를 보면, 형태적 지역 심상도에서 여학생은 시 일부를 외곽 없이 경관형, 산재형으로, 남학생은 시 전체를 혼합형과 장방형의 외곽을 가진 약도형과 모자이크형으로 표상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시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 1.07개 더 많은 사상을 표상하였다. 평가적 지역 심상도에서는 여학생이 서울에 대해 인문 중심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남학생은 자연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더 많이 표상하였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사회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해 볼 수 있었다. 형태적 지역 심상도에서 근린을 거울로 지역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장소학습과 토포필리아가 사회과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국가 및 세계의 학습은 아동이 현재 가지고 있는 근린 및 고장에 대한 표상을 토대로 연결 및 확대해 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었다. 외곽형태 형성에서 다양한 지도 및 매체의 사용이 중요함과, 아동의 지역 내부 표상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의 삽화 및 지도가 제시되는 것이 필요함도 고찰할 수 있었다. 지시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는, 지역학습에 있어서 인문과 자연의 균형적 표상을 위한 접근이, 평가적 지역 심상도에 있어서는 중립적이고 건조한 성격의 지역만을 다룰 것이 아니라, 건강한 유기체로서 애착을 가지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지역 또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연령별, 성별 지역 표상의 특성 및 경향성을 섬세하게 고려하는 접근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