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헌각과 문헌각서목의 분석 -숙종조의 문화적 배경을통한 한국본 서고의 연구-

        남권희,Nam Kwon-Heui 한국문헌정보학회 198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11 No.-

        This is an analytical study on Munheongak (文獻閣) and it's catalogue. The major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get a recognition of Munheongak under the culture of Sukjong (肅宗) period in Korean library history. Most of early studies made on such a category have been concentrated on Jiphyunjeon (集賢殿), Hongmungwan (弘文館), Kyujanggak(奎章閣) and their backgrounds. In this study, the author has invest gated Kungwolji (宮闕志), Munheongakseomg (文獻閣書目) and other materials related to this subject.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unheongak was established by king Sukjong in the 26th year of his reign. According to some records of Kungkwolji, the reason of establishment of the library was to arrange the collection in the Sango (相庫) consisted of various kinds of materials. In case of books, most of them turned out to be Korean books. 2. Munheongak was sited to the estern side of Kyunghyundang (景賢堂), which was located on the Kyungdeokgung (慶德宮). After Youngjo (英祖) the place was called Kyungheuigung (慶熙宮) so as to avoid the name of the precedent king. But these days, both the buildings are not to be found. 3. After its establishment, the library could not play the role as a library because of the then political situation and sectionalism. During the period of the revival of the learning from Youngjo till Jeongjo(正祖) the function of the library was in a stagnant state. Kyujanggak played the part in its place. 4. Referring to the collection management, the Munheongakseomog is equipped with 101 titles, 2,525 volumes, which are arranged by means of the traditional Chinese classification system. 5. The classification scheme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hinese classification system which might divide all subjects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Confucian classics division, Historical documents division, Master's division, and Collection of literature division. Some illustrations reveal that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directly influenced by Seogoseomg (書庫書目) : the influence reflected in the classes for the translated literature and writings, poems, genealogy about kings, etc. But some subdivisions such as a class of Annals, Historical Epcerpts were omitted in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did not strike the balance in the system in terms of the present theory of classification. Most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s were also influenced by Seogoseomog but some elements were partly omitted. 6. The special feature of the collection building is the absence of books in Collection of literature division except only three kinds of books in examining the Munheongakseomog. Since this is rather a comprehensive study for such aspects as historical backround, catalogue, and cultural environment of Munheongak and its related record, it is advised that further and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made.

      • KCI등재

        刊經都監 간행 法藏의 『大乘起信論疏』 敎藏本의 서지적 분석

        남권희(Nam, Kwon-Heu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4

        이 연구는 조선시대 刊經都監에서 1461년에 간행하였던 『⼤乘起信論』에 대한 法藏의 주석서인 『⼤乘起信論疏』 3권에 대하여 서지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刊經都監 간행의 法藏疏인 『⼤乘起信論疏』는 3권 3책이나 원래 한 책에서 분리된 것이며 세조 당시의 지질인 고정지와 인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각 권 말미의 서사자 기록은 모두 兵曹 출신으로 상권은 ⾟福聃, 중권은 朴儁, 하권은 李濬가 나누어 썼고 서체는 유사하지만 개별글자에서는 각권 마다 異體字가 사용되어 각자의 특징을 보인다. 하권 말에 수록된 교감자는 관리인 盧思愼, 소요사의 海超, 흥덕사의 雪峻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같은 시기인 『⾦剛錍顯性錄』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 책의 본문을 疏와 義記를 대조하여 교감해본 결과 通假字, 誤字, 脫字, 衍文, 倒置의 현상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었고 이는 저본의 전승된 판본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수록범위는 고려 13세기 목판본 義記와 비교해본 결과 형식적으로는 각각 3권이나 중권, 하권의 수록범위가 달라져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처음 소개되는 法藏의 『⼤乘起信論疏』 3권은 의천 敎藏總錄에도 수록된 것으로 비록 조선시대 15세기의 판본이지만 고려 교장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고려 시기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권과 중, 하권의 저자 사항이 달라져 있고 내용 중의 異字가 많지만 교감자가 제시된 점으로 미루어 필사시의 오류보다는 유통된 저본의 채택상의 차이 등 여러 측면의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bibliographically explores 『Dashengqixinlunshu (⼤乘起信論疏)』, a commentary annotated by a Buddhist monk named Fazang. As a widely-recognized basic scripture in the East Asian Buddhism community, the commentary was written based on 『Dashengqixinlun (⼤乘起信論)』, which includes core ideological positions of Mahayana Buddhism and comprehensive literature of various Buddhism doctrines. The subject scripture is a woodblock edition printed in GanGyeongDoGam (刊經都監)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世祖)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is revealed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is study. The scripture consists of three books in three volumes and the specific period of publication indicates as 1461 in woodblock edition. The very last parts of each book records the names of transcribers as follows: the first volume was recorded by Shin Bok-dam, the second volume with Park Jun and the third volume with Lee Jun. In the last part of the book, there are records of Noh Sa-shin, a manager in charge of review of the book from the central government, Hae Cho, a Chief Buddhist monk at Soyo Temple and Seol Jun, a abbot at Heungdeok Temple. This edition has been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presumed to have been included in the ‘Gyojang (敎藏)’ of Goryeo. Later in Joseon Dynasty, it is assumed that the edition was recarved based on the edition of Goryeo in GanGyeongDoGam.

      • 목판과 활자 인쇄를 통해본 전통시대 지식과 정보의 소통

        남권희(Nam, Kwon-Heui)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6 No.1

        목판은 문인, 학자들의 관심사나 문학적 성과물, 교유 인물과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생성되는 기록물을 정리하여 수록한 것이다. 7세기 종교적인 목적으로 판각을 시작하여 교육 및 지식의 집적과 전파의 수단이 되었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교육, 교화, 통치 수단등으로 다량 유통되어 지식인들은 물론 대중들에게도 지식, 정보의 소통 매체로 이용되었다. 그리고 금속활자 인쇄는 초기 단계인 고려시대 13세기부터 조선후기까지 국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정보생산과 지식 유통의 일방향적인 형태였지만 점차 지방과 사찰, 개인에까지 활용되기도 하였으며 주로 신속성, 다양성, 출판이란 목적과 부합되는 측면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의 기술과 전통을 이어 받아 국초부터 역대의 왕들이 활자의 주조를 통한 서적의 생산과 보급 즉 지식의 소통에 노력한 결과 여러 종류의 금속활자들이 다양한 목적아래 만들어졌다. 이러한 국왕의 높은 관심과 정부차원의 노력으로 간행된 출판물들은 당시 부족한 학술자료를 사대부나 학자들에게 제공하여 인재의 양성을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국가의 안정적인 기반을 다지고자 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왕과 백성의 소통에서 활자출판의 역할이라는 것은 중앙에서는 국왕의 정책적 의지를 금속활자로 먼저 책을 찍어낸 후에 필요한 지방으로 보내어 목판으로 새겨 인출하고 배포해야 할 개인, 관청, 지역 등에 나누어 국가의 시책을 널리 알게 하고 국민과 소통하게 하였다. Woodblocks are the media which record the product of scholars and their interests. They also contain literary creation or recor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the contemporaries. Woodblock printing has begun in 7th Century. People aim for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education and knowledge by means of woodblocks. In Chosun dynasty, woodblocks were also used as communication media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educational or reformational purpose not to mention of ruling purpose. Besides, in the early stage of metal type printing, from Koryo Dynasty 13th century to the late Chosun Dynasty, it was spearheaded by national government for production of in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Since then, type printing had been used widely in local provinces, temples and even by individuals. Also, it had advanced mostly in respect of speed, diversity and publication, and these features are coincide with the purpose of type prin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kings of the period followed the technique and tradition Koryo Dynasty by concentration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ooks through type founding. As a result various, metal type had been created for diverse purpose in the Chosun period. The publications issued with the effort by the government and the king were offered to the nobility and scholars of the time. So it encouraged fostering the talented people and contributed to consolidating the stable foundation of new Dynasty. On the other side, what type-publishing does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king and his people was letting people widely know the national policies so that they could interact on each other. To do that, central government printed the political will first, and sent provinces in need of it the printing. Next, they carved the words in wooden type and printed it out, then finally the printed works were distributed among individuals, government offices and local areas.

      • KCI등재후보

        류관(柳觀), 신극경(辛克敬), 정진(鄭津), 조선(朝鮮), 개국원종공신록권(開國原從工臣錄券) 연구

        남권희 ( Kwon Heui Na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嶺南學 Vol.0 No.15

        This study aimed at the testimonial records which were presented to Ryu, Kwan(柳觀), Jung, Jin(鄭津) and Shin, Kuk-Kyung (辛克敬). They were not open to public or the academic world to the present. Among them the testimonial given at Jung, Jin(鄭津) was printed in metal-type called HeeHyunDang(希顯堂) metal-type. Also the testimonial of Shin, Kuk-Kyung(辛克敬) is not a real document but a record in other book which means a secondary material reproduced. Anyway this study investigated all the testimonials with a point of view in overall introduction, every details of transmission and the relationship of each material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stimonial of Ryu, Kwan(柳觀) is recorded in his collection of works, and also there are the number of his houses and families in 1420, letter of appointment in 1414 so forth. This records are important in that they presents interrelative facts of the documents in the early period of eho-sun Dynasty. 2. The testimonial of Shin, Kuk-Kyung(辛克敬) is made for separate use in 17th century, and it has a importance in rarity of relevent records. Especially in comparison of genealogical record and testimonial of Shin(辛) clan, Shin, Kuk-Kyung(辛克敬) was nominated a meritorious retainer and his 3 brothers were the same. Also his intimate relatives were participated quite a few in the nomination, it requires more in-depth study to the point of Shin(辛) clan`s governmental appointment and their influence on the community. 3. The testimonial of Jung, Jin(鄭津) is already known in other materials or in previous study, but the record presented in this study was reproduced materials to secondary documents in carefully. It is required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original document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國史編纂委員會) and the research testimonial. Through the bibliographical analysis, though the records were not a original material, it can be widely used in discovery of secondary materials, and we should pullout all the efforts in comparative, analytic and critical study for more progression in relevent fields. 이 연구는 朝鮮 開國原從工臣錄券들 중 아직 학계에 발표되지 않은 柳寬, 辛克敬에게 사급된 錄券에 대한 것이다. 연구 대상자료 중 柳寬의 녹권은 조선 후기에 활자본으로 간행된 것이며 辛克敬의 녹권도 원본이 아닌 2차 자료로 필사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朝鮮의 開國과 관련하여 태조 이성계를 도운 공로가 많은 선하들에 대하여 그 공에 따라 錄券과 賞典을 내릴 때 사급된 공신녹권 3종에 대한 자료소개와 전래경위, 각 자료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柳觀의 자료는 그의 문집에 수록된 것으로 錄券과 더불어 1420년의 戶口, 1414년의 祿牌 등 조선 전기의 관련된 문서를 보여주는 중요한 기록이다. 둘째, 辛克敬의 功臣錄券은 별도로 작성된 것이지만 필사된 사가가 17세기정도 추정되고 전하는 관련 기록이 없으므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족보와 녹권의 당시 辛氏들을 비교하면 신극경의 4형제가 공신으로 책봉되고 가까운 一族들이 많이 참여되어 있으므로 향후 辛氏 門閥의 官界進出과 당시의 영향력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鄭津의 녹권은 이미 여러 자료나 선행연구를 통하여 알려져 있으나 연구 대상본은 아직 소개되지 않은 별도의 2차 자료로 원전을 충실하게 精寫한 것이다. 원본이 소재가 알려지지 않은 현재 국사편찬위원회의 필사본과 비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서지적 분석을 통하여 비록 원본자료는 아니지만 開國原從功臣錄券 중 2종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종은 비교의 자료로 추가할 수 있었다. 앞으로 자료 활용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원본 자료의 확인과 더불어 2차 자료의 발굴 비교 분석 비판 등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상도(慶尙道) 안음현(安陰縣)의 『정묘십일월일각항도중기(丁卯十一月日各項都重記)』분석(分析): 지방관아(地方官衙)의 기록물(記錄物)을 중심으로

        南權熙 ( Kwon Heui Na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 嶺南學 Vol.0 No.21

        이 글은 <丁卯十一月日 各項都重記> 필사본 1책에 대하여 관련지역과 작성기관, 해당시기의 수령에 대하여 서지적으로 조사, 분석하고 수록된 내용과 기술방법 등을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자료는 1687년 경상도 安陰縣에서 柳世賓이 현감을 지낼 때 작성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현존하는 지방 관아에서 작성된 중기중에서 비교적 빠른 시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의 특징으로는 ``紙筒文書``항에 기록된 千字文順 단위의 정리는 等內別로 재임기간에 처리된 문서에 대한 목록으로 추정되며 수록된 문서중 相訟文이 가장 많고 지역과 소송자, 간단한 소송내용이 밝혀져 있다. 문서들이 관련된 지역으로는 安陰이 자장 많고 인근의 거창과 함양을 포함하여 경상도 일부지역과 남원 등의 호남지역 거주자와 관련된 문건까지 포함되어 있다. This study dealt with the transcribed book ``Jeungmyosibilwolil Gahangdojoonggi(丁卯十一月日 各項都重記)`` in a bibliographical point of view. We tried to analyse the related area of the book, the establishing organization and the governor of the county so forth. It is estimated that this material is made in 1687 during the period of governor Yoo se-bin(柳世賓) at Ahnueum county(安陰縣) in Kyungsang provinces. It is also regarded as one of the oldest materials by local government. A distinguished feature of this material is the item arranged by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in the category of Jitong(紙筒) document. It is estimated to the list of disposed document in the governor Yoo. The document is mainly ralated with judicial procedure, litigators and litigation contents of the area. The places involved in the document is mostly Ahnueim county(安陰縣), neighboring Geuchang(居昌) and Hamyang(咸陽). In addition the document of Namwon(南原) habitant in Jeunla Provinces were also included to the book.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장서각 소장 불교 典籍文化財의 書誌 연구

        남권희(Nam, Kwon-heui)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장서각 Vol.0 No.29

        이 글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불교문헌 중 문화재로 지정된 자료 7종을 대상으로 하여 서지적 고찰을 연구한 것이다. 7종의 대상 문헌 중 5종은 고려시대 목판 간행본이며 2종은 조선시대의 간행본으로 언해본과 한글 口訣本이다. 이 중에 한글 구결본인 『圓覺經』은 금속활자 乙酉字로 찍은 판본이다. 7종을 대상으로 형태서지적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華嚴經疏』는 중국에서 수입된 목판에서 인출한 책으로 국내에 전본은 많지만 일관된 집서는 없으며 장서각본과 같은 帙에서 흩어진 책들이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둘째, 『藥師經』은 의천의 교장판들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다. 셋째, 『梵網經』은 본문 중에 고려시대 때 이 책을 보면서 달았던 구결이 기록되어 있다. 넷째, 『直指』는 청주의 흥덕사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한 다음 해인 1378년에 여주의 취암사에서 간행된 책이다. 다섯째, 『大佛頂?羅尼』는 五大眞言의 일부분으로 고려 말경에 간행되었는데, 이 책은 완전본이 아니라 책의 한 부분을 독립하여 제본한 것이다. 여섯째, 조선시대에 간행된 언해본 『楞嚴經』은 간경도감에서 다시 목판으로 간행한 것으로 내용과 판각, 인쇄상태가 양호하다. 일곱째, 한글 구결본 『圓覺經』은 세조가 직접 구결을 달고 을유자로 간행한만큼 수준 높은 판본이라 할 수 있다. 장서각 소장 불경들은 책의 편찬과 전래 등 다양한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고려 중기로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는 佛敎史 및 書誌史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t with 7 kinds of buddhist books in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y were designated as national cultural asset. Among 7 kinds of literature, 5 kinds were published in Goryeo dynasty, 2 were in Joseon period which have Korean annotation and Kugyol. The book has Kugyoul is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 was printed Yeolyoo (乙酉) metal type. Analysis of 7 books in the point of physical bibliography are like these ; 1. Whauemgyungso (華嚴經疏) is the book which was printed with the woodblocks that have been carried from China to our country. Therefore many copies remain in various institutions of Korea to the present. But they are mainly missing volume like the edition in Jangseogak Archives. 2. The Scripture of the Bhaisajyagura Budda (藥師經) was in similar shape and format that of various Buddhist books compiled by monk Euichun (義天; 1055~1101). 3. The Brahmajala Sutra (梵網經) has some marks that were written by the people who have read the book at that time, that is called ‘Kugyo l(口訣)’ 4. Jikji (直指) in Jangseogak Archives engraved in 1378 of Goryeo dynasty was the edition of Chiam temple (鷲巖寺版) at Yeoju (驪州) in Gyunggi provinces. 5. Daebuljungdharani (大佛頂?羅尼) was published in late Goryeo which also was a part of Odaejinun (五大眞言), but the Dharani was boun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book. 6. The Hangeul edition of The Surangamasutra (楞嚴經) in Joseon period was in good shape which was re-engraved at Gangyungdogam (刊經都監). 7. The Kugyol in the edition of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 was written by King Seojo personally, so it is estimated in top value at the present. Resultingly, Buddhist literature in Jangseogak archives was regard important materials which let us know about various background and knowledge in Buddhism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