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문(論文) : 개화기(開化期) 한문(漢文) 및 한문(漢文) 교육(敎育)에 대한 인식(認識) 일고(一考)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3 No.-

        본고는 개화기의 한문 및 한문 교육에 대한 견해들을 주로 살피고자 한다. 개화기 무렵의 한문과 한문 교육에 대한 논의는 매우 치열했고 활발했다. 개항은 중세의 정치 사회적 질서에 변화를 요구하였다. 아울러 어문 정책과 교육의 변화도 요구하였다. 단적으로 그간 공식적으로 유일한 종교였던 유교가 약화되었다. 지배적 문체였던 순한문체에 대한 심각한 회의가 일어났으며 곧바로 한문체 사용을 부정하는 주장이 거세게 등장했다. 그러나 한문을 옹호하고 사수하려는 움직임 또한 여전히 강했다. 한문이야말로 성현의 도를 담고 있는 글이라는 한문 숭배적 시각이 엄존하였다. 한문 폐지론과 한문 옹호론 사이에서 이 둘을 절충하는 견해가 발생했다. 즉 국문 사용이 당연한 것이긴 하지만 상황과 전통을 고려하여 국문과 한문을 함께 사용하자는 것이다. 이 주장이 가장 힘을 얻어 대세를 이루었다. 한문 교육의 목적은 다양하게 나뉘었다. 성현의 도를 담고 있는 글이 곧 한문이므로 마땅히 성현의 도를 배우고 익히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학습해야 한다는 전통적 주장이 여전히 존재하였지만 그 힘은 갈수록 약해졌다. 한문의 시대적 소임이 다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와중이라 한문 교육의 목적을 전통의 계승, 일본·중국 등 동양의 한자문화권과의 교류에 두기도 하고 또 원활한 어문생활을 위해 한문 교육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새로운 지식들을 소개하기 위해 한문을 교육해야 한다는 입장도 눈에 띤다. 한문 교육의 목적이 어떠하냐에 따라 한문 교육의 내용도 달라졌다. 경전과 사서를 발췌한 것도 있고 순전히 우리나라 작가의 글들만을 교과서 내용으로 삼은 것도 있으며 새로운 지식을 한문으로 소개하는 책도 있다. 한문 및 한문 교육에 대한 논의가 점차 가열되기 시작할 무렵 일본은 한국을 강제로 병합하였다. 그 결과 한문 및 한문 교육에 대한 논쟁의 자발적이고 합리적인 귀결을 맺지 못하였다. 그 대신 일본의 침략 정책의 일환으로 어문 정책과 교육이 좌우되면서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This survey is to examine various understandings of Chinese writing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in enlightening period, from the period of Opening ports to Japanese annexation(1896-1910). Dispute of Chinese writing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was fierce to be those days in enlightening period. Opening ports forced the authorities to chang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In addition, changes of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For example, Confucianism have dwindled alarmingly. The usage of Chinese style, as a dominated style, touched a storm of criticism. Many of them were not advocating unique Chinese style. On the other hand, advocating only Chinese style said Chinese was true character, including the teachings of the sages. For or against launched eclectic opinions about Chinese writing style. That is Gukhanmunhonyong,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These styles were most valid. The aims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was multi-dimension. First of all, Chinese should take lessons because Chinese writing was made up of the teachings of the sages. Also Koreans, most parts, derived from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s. Still more, Chinese writing was one of the universal characters in East Asia. Contents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consisted of traditional scriptures and the Four Books of Ancient China. These advocators were dim. New textbooks published. But new trials denied because of repression of the Residency-General in Japan. As a session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be suitable for after elementary school. On disputing Chinese writing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Joseon were annexed by the Japan. As a result, disputing about them didn`t draw natural and rational conclusion. Instead under Japan aggressive policy,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went forward un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선교사 기일[James Scarth Gale]의 한문 교과서 집필 배경과 교과서의 특징

        남궁원(Namgung W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5 No.-

        奇一[J. S. Gale]은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이다. 그는 1888년 12월 15일에 조선에 도착하여 선교 활동을 시작하면서 한국의 언어와 문자 및 교육 등에 깊은 관심을 갖고 많은 저술 활동을 하였다. 한국의 현실 정황과 학문적 전통으로 보아 한문 학습이 필수불가결한 것임을 알게 된 기일은 한문 교육에도 주의를 쏟았다. 그러나 기일은 기록 수단에 불과한 한문 그 자체가 숭배의 대상이 되는 상황을 납득하기 어려웠으며, 결국 한문이 숭배 받는 이유가 한문과 유교가 동일체로 인식되기 때문임을 간파하였다. 궁극적 목적인 기독교 선교를 위해서는 유교의 약화 또는 배제가 필요했고, 한문과 유교를 한꺼번에 둘 다 버릴 수 없었으므로, 마침내 한문과 유교의 분리를 도모하게 된 것이다. 이런 배경 하에 탄생한 한문과 교과서가『유몽천자』시리즈이다. 아울러 한국의 전통 교육이 한문을 학습하되 중국의 인물, 역사, 작품등에 치우쳐 있는 상황을 개선하고자 하여 『유몽속편』을 기획하고 한국의인물, 작품만을 교과서에 담았다. 또한 낱낱의 한자 학습을 강조하여 정확한 읽기를 강조하였다. 『유몽천자』는 시리즈로 기획하여 권차별로 단계를 높여가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제1권은 한자어 중심, 제2권은 한자어, 한문, 제3권은 한문 중심이다.『유몽속편』은 선인들의 한문 작품을 그대로 실은 것이다.『유몽천자』의 내용은 다양하다. 서양 문물 소개가 중심인 반면, 중국의 전통 작품이나 유교 경전은 배제되어 있다. 본격적인 단원 학습에 앞서 신습 한자를 익히게 배치한 것이라든지 책의 말미에 자전을 둔 것은 한자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도였다. 기일의 한문 교육은 ‘한문’을 가르치는 것이긴 하지만 전통 교육 방식과 내용은 모두 부정하는 것이었다. 오늘날 한문 교과서에서 유교 경전이 매우 미약한 분량으로 들어있고, 우리나라의 글들이 중국의 글보다 더 많은 점, 그리고 단원 구성시 한자 소개를 본문과 병행하여 제시하는 등 형식적인 면에서 기일의『유몽천자』는 한문 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바꾸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J. S. Gale was a missionary who came from Canada. In 1888, he left for Joseon to preach gospel. He was fully taken up literary work concerning Joseon"s culture, education and language.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s, he also paid attention to Chinese education because Chinese learning was essential in those days. Yet he didn"t understand that Joseon"s situation of making an idol of Chinese classics. he carried out separ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Confucianism. Korean Reader: the thousand character series published with fulfilling above these aims. To improve a biased view concentrating on figure, history, and literature of China mostly, issued Korean Reader: Number Ⅳ too. Korean Reader: Number Ⅳ listed figure and literature of Joseon only. He emphasized right read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Korean Reader: the thousand character series was made in series. This series leveled up step by step. The first volume contained Chinese characters. The second mixed Chinese character with Chinese writings. The last also covered Chinese writing. It put an Chinese writings of foregoer in a Korean Reader: Number Ⅳ. Korean Reader: the thousand character series contained a wide variety. To the exclusion of traditional Chinese writings and the Confucianism scriptures, it was based on western cultures. Before starting learning units, it was placed now Chinese characters to practice ahead. Furthermore dictionary at the end of the book. Regarding Chinese education, he taught Chinese writings by not a traditional style and contents of education but a new form and contents. Thus what is important is groping direction of Chinese education about contents and forms in Chinese writings.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 시험의 성격과 평가 방향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한문교육논집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heck over the trait and the direc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hinese tests ate not only academic test concerning chinese subject but also have in common with SAT II in U.S.A. In addition, Chinese tests play roles i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norm-referenced test. I think chinese tests also should follow the content and level of chinese on n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Thus the trait of chinese test also should be to evaluat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s. The objectives of chinese test should focus on abilities to read and write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to obtain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s. Two 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test objectives follows such as content areas, behavior areas. Content areas were divided section as reading, writing,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and written text, and traditional culture. Behavior areas were divided parts words, knowledge in language, understanding, practical application. Assessment elements in reading areas consist of sound, understanding in chinese character and choosing main ideas, checking key sentences and details, and searching for cause-effect and prediction. Also Assessment elements in writing areas are made up of writing as sound, completing sentences and cloze test. Chinese test should be outlined with new following paragraph, not textbook. If possible length of following paragraph is shorter than usual, if necessary revise them. Also choose good following paragraph, not redundancies or unpractical contents.

      • KCI등재

        논문(論文) : 개화기 글쓰기 교재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과 『문장지남(文章指南)』 연구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2 No.-

        『實地應用作文法』과 『文章指南』을 지은 저자 崔在學은 구한말 艮齋 田愚의 제자로서 주자학에 전념하였던 학자였다. 그러나 국가적 위기에 처하여 스승의 입장과 달리 현실 참여를 결심한 후 을사조약 반대 상소에 참여하고 각종 학회와 학교 건립에 간여한 계몽 운동가이고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崔在學의 저서를 교열한 朴殷植과 李沂 역시 동일한 이념과 실천 운동 선상에 있던 인물이었으며 이들은 한문의 지속 사용을 반대하고 국문 애호를 주장하되 현실적으로 국문전용이 불가함을 들어 國漢混用을 주장하였던 인물군이었다. 『實地應用作文法』은 당시에 國漢混用이 처음 본격 도입,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은이마다 서로 다르게 창작되는 혼란한 창작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집필된 책으로서 國漢混用의 규범서가 되어야 한다는 의도하에 집필된 도서이다. 『文章指南』은 『實地應用作文法』과 연계하면서 한문 글쓰기 전통의 승계를 목적으로 하였다. 『實地應用作文法』의 구성은 전반부에 이론 및 개념 설명 부분을 두고 후반부에 각 글의 종류별로 예문을 싣는 전통적이면서 이후에도 계속된 구성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론의 소개나 개념 설명이 모두 國漢混用文으로 이루어졌으며 『文章指南』과 같은 분류로 상호 연계하고 있다. 교재의 내용은 천편일률적으로 애국계몽 운동의 성향을 농후하게 담은 글들로 일관하고 있으며 간혹 전통적인 한문 글쓰기의 방식을 닮은 것도 있다. 『實地應用作文法』은 그때까지 있어 온 한문으로 글쓰기 방식을 계승하면서 새로운 시대 새로운 글쓰기 방식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혼재하고 있어 전형적인 과도기적 양상을 띠고 있다. 때문에 고래로 이어져 온 글쓰기 이론과 먼저 간행된 국내외의 저술을 참고하되 특히 일본의 저술을 참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의 종류 부분은 종래의 양식을 답습한 면이 강하지만 각종 수사법에서는 새로운 서구 수사법 이론을 적용하려는 새로운 시도가 있다. 물론 오랜 고민과 연구를 통한 정제 과정이 없어 거칠고 비체계적인 점이 상존하기는 하지만 그 당시 작문법 서적이 전무한 불모지에서 이러한 책을 집필하여 새로운 글쓰기의 전범의 시금석이 되었다는 것만으로도 『文章指南』과 『實地應用作文法』의 의의는 대단한 것이다. 『Siljiengyongjakmunbeob(實地應用作文法)』 and 『Munjangjinam(文章指南)』 were written by Choi Jae-hak. Choi Jae-hak was a Confucian scholar in late nineteen century. In 1905, he took part in Patriotic Enlightment Movement. He attended meetings, built many schools and wrote many books vigorously. He insisted that he should use Korean together with Chinese, Ghanmunhonyong, in writings instead of only Chinese. 『Siljiengyongjakmunbeob』 was published at that point. In those days, writing style changed only Chinese into Korean together with Chinese. Though they had different writing styles, proper writing norm was nonexistent. To continue traditional Chinese writing, 『Munjangjinam』 had much to do with 『Siljiengyongjakmunbeob』. The aims of two books were to cope with confusing writing style in transitional period. Examine 『Siljiengyongjakmunbeob』 and 『Munjangjinam』. The first part seek an explain for theory and concept of writing. The second part put in examples about types of sentences with Ghanmunhonyong style. The contents of two books are made up partriotic messages, using traditional Chinese writing style. He handed on the torch Chinese writing style and searched new writing style both. 『Siljiengyongjakmunbeob』 played a great role in changing writing style in transitional period. 『Siljiengyongjakmunbeob』 has many examples with previous writing theory, including national and overseas writings, particularly Japanese writings. Some parts about sorts of sentences followed an old tradition. Other parts about each rhetoric tried to apply for new western rhetoric theories. Even so, two books is written for a short time. There were little proper writing books at that time. For this reason, the aims of two books launch into an area for new writings.

      • KCI등재후보

        高等學校 漢文科 敎育의 反省과 展望

        남궁원(Namgung Won) 대동한문학회 2005 大東漢文學 Vol.22 No.-

        漢文科가 국어과로부터 독립된 지 어언 30여년이 된 지금 高等學校 漢文科 敎育은 우여곡절을 겪으며 오늘에 이르렀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高等學校 漢文 敎育의 역사는 성공적인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제 이 시점에서 지난날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大修能 이전에 실시되었던 대학입학학력고사 시기에는 漢文 문제가 국어 교과 안에 포함되어 출제되었다. 1993년 大修能이 실시되면서 漢文科는 大學入試에서 소외되었다가 2005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처음으로 제2외 국어와 함께 30문항의 시험을 치르게 되었다. 학교 교육과정 중 漢文科目를 이수를 희망하여 선택한 학생수가 상당히 많다. 일반계 高等學校에서는 이른바 국민공통기본교과인 과목들을 제외하고 단연 1위이다. 漢文科 독립 이후 대학의 漢文敎育科 또는 漢文學科에서 본격적으로 漢文敎育이 시작된 지 3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보아 漢文敎師는 양적 질적인 면 모두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漢文科 敎師들의 연구 역량도 크게 향상하였다. 漢文科 敎師들은 漢文敎育 관련 학회와 교사모임을 중심으로 연구, 연수를 실시하고 지식과 정보, 그리고 학습기술을 교류하고 있다. 「漢文」과 「漢文古典」이라는 명칭은 두 과목 간 연속의 느낌ㆍ동질적 느낌을 주기보다는 단절의 느낌ㆍ이질적 느낌을 준다. 따라서 교과목 명칭을 다른 과목들과 마찬가지로 두 과목간의 연계성이 분명하도록 「漢文Ⅰ」, 「漢文Ⅱ」와 같이 하자. 또 「漢文古典」의 성격 및 목표, 내용과 수준을 「漢文Ⅰ」의 것들에서 한 걸음만 더 나가는 수준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우리 漢文科의 교육 내용 중 漢字, 漢字語, 漢文의 비중에 대하여 상이하고 다양한 견해가 있다. 필자는 현재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나은 방편이라는 생각이다. 高等學校 敎育用 漢字 900字를 비롯한 漢字 敎育에 관한 부정적 주장은 자칫 가끔씩 고개를 드는 漢文科의 존재 부정 세력에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 漢文科가 1,800字 때문에 존재하는 것은 물론 아니지만 사회와 학부모의 漢文科에 대한 인식 호전의 고리로 활용할 수 있고 또 학생들이 漢文을 선택하게 하는 흡인 요소로 강력히 작용하는 것도 현실이다. 漢文의 궁극적 학습 목표인 선인과의 의사 소통을 위해서는 漢文科 敎育에서 漢文 敎育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아야 한다. 다만, 漢字 敎育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시대 상황에서 漢字 敎育을 우리 漢文科가 담당하는 것도 우리의 소임이므로 지금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자는 것이다. 敎科書의 명칭을 새롭게 「漢字와 漢文Ⅰ」, 「漢字와 漢文Ⅱ」와 같이 敎育내용을 압축적으로 명시하여 사회 일반에서 高等學校 「漢文」은 漢文 문장중심으로 가르치는 과목이라서 실생활과 학문 수행에 도움이 안 된다고 짐작하는 이들의 의구심을 없애면서 동시에 高等學校 「漢文」을 단순히 ‘漢字’교육이라고만 생각하는 이들의 오해도 불식할 수 있을 것이다. 敎科書 내용제재의 분량이 적정화되어야 한다. 또 수준이 적절해야 한다. 漢文科 敎科書를 집필할 때 공급자 중심의 마인드에서 벗어나 수요자의 특징과 필요, 수준을 고려하여야 한다. 제재와 내용의 편향성을 극복하고 균형을 갖추어야 한다. Since 1975, Chinese Classics Education set apart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at time, Chinese Classics Education has many turns and twists. I think change of Chinese Classics Education in high schools get somewhere. Chinese Classics has three change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t first, language section includes Chinese Classics. In 1993, Chinese Classics has no influence on CSAT. For the first time, Chinese Classics is independent of Korean language in 2005 CSAT. Chinese Classics tests thirty items like other second foreign languages. Many students chose Chinese Classics as an optional subject. Chinese Classics which they chose rank the top, except national common-based subject of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Academic Hig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Chinese Classics multiplied in the facet of qualities and quantities for thirty years. Two titles betwee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is unconnected. So. to express two subjects of deliberate hierarchy, two titles in Chinese Classics will chang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into Chinese Classics Ⅰ and Chinese Classics Ⅱ.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s Ⅱ such as objective, contents and level upgrade in Chinese Classics Ⅰ. According to various scholastic views, the content organization of Chinese Classics classify as domains of Chinese characters, words i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riting is very different from theirs. From that viewpoint I suggest here a few things. From that viewpoint I suggest here a few things. First,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s , we call the titles of subject as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Ⅰ> and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Ⅱ>. Second, the quantities of content organization are too appropriate for learners and grades. Third, to meet a demand, the authors of Chinese Classics should consider learners' needs and levels. Also contents and subject matters are often biased by authorities and authors' judgement. The authors of Chinese Classics should deal with whole kinds of matters. Thus, the learners can get ready to receive neutral ideas and balanced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