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편 제조시 콩물과 반죽 내의 $\alpha$-amylase활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나한나,윤선,김정수,김보영,Na, Han-Na,Yoon, Sun,Kim, Jung-Soo,Kim, Bo-Young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99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4 No.3

        증편의 발효시 일어나는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는 발효 중 생성되는 $\alpha$-amylase의 활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콩물과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 반죽 내의 $\alpha$-amylase 활성과 특성을 측정하였다. 콩물과 증편 반죽에는 생전분과 호화전분을 기질로 하는 $\alpha$-amylase가 존재함이 밝혀졌다. 콩물 $\alpha$-amylase 의 호화전분과 생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비활성도는 각각 0.79 units/mg protein, 0.036 units/mg protein 이었다. 콩물의 $\alpha$-amylase는 호화전분과 생전분에 대해 pH 5.92, 6.87과 6$0^{\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증편 반죽의 호화전분과 생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최적 pH는 5.25였고 최적 온도는 5$0^{\circ}C$였다. 증편 반죽내의 $\alpha$-amylase의 활성은발효 시간에 대해 일정한 경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콩물을 첨가한 반죽의 호화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비활성도는 평균 25.59 units/mg protein이었고 생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비활성도의 평균은 1.37 units/mg protein이었다. 콩물을 첨가하지 않은 반죽에서의 호화전분과 생전분에 대한 $\alpha$-amylase의 비활성도는 각각 3.37 units/mg protein, 0.49 units/mg protein이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은 기질에 상관없이 콩물 첨가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5). The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alpha}$-amylase in soy milk as well as in Jeungpyun batters were determined to investigate the enzyme system related to Jeungpyun preparation. ${\alpha}$-Amylase activity was detected in soy milk as well as in Jeungpyun batters. Soy milk had ${\alpha}$-amylase activity of 0.79 units/mg protein for gelatinized starch and 0.036 units/mg protein for raw starch. ${\alpha}$-Amylase in soy milk showed maximum activities at pH 5.92∼6.87 and at 60$^{\circ}C$ for both gelatinized starch and raw starch. ${\alpha}$-Amylase activities of Jeungpyun batters containing soy milk were 25.59 units/mg protein for gelatinized starch and 1.37 units/mg protein for raw starch. Jeungpyun batters without soy milk demonstrated ${\alpha}$-amylase activities of 3.37 units/mg protein for gelatinized starch and 0.49 units/mg protein for raw starch. ${\alpha}$-Amylase of Jeungpyun batters showed an optimal activity at pH 5.25 and at 60$^{\circ}C$ for both gelatinized and raw starch.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Jeungpyun batters with soy milk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lpha}$-amylase activity than the ones without soy milk.

      • KCI등재

        Statistical Simulations of the Future 50-Year Statistics of Cold-Tongue El Niño and Warm-Pool El Niño

        나한나,장봉근,최원문,Kwang Yul Kim 한국기상학회 2011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47 No.3

        Typhoon Morakot (2009) produced 2855 mm of rain and was the deadliest typhoon to impact Taiwan with 619 deaths and 76missing persons, including a landslide that wiped out an entire village. While Morakot did not exceed the heaviest 24-h rain record,the combination of heavy rain and long duration that led to the record accumulation is attributed to the southwest summer monsoon influence on the typhoon. Thus, a special combination of factors was involved in the Morakot disaster: (i) Strong southwesterly monsoon winds; (ii) Convergence between the typhoon circulation and monsoon flow to form an east-west oriented convective band over the Taiwan Strait that was quasi-stationary and long-lasting; (iii) A typhoon in a specific location relative to the Central Mountain Range and moving slowly; and (iv) Steep topography that provided rapid lifting of the moist air stream. The contributions of each of these four factors in leading to the Morakot disaster are reviewed primarily based on new research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yphoon Morakot (2009). Historical data sets, new Doppler radar observations, and numerical modeling have advanced the understanding of the special conditions of monsoon-influenced typhoons such as Morakot. This research is also leading to modifications of existing and development of new forecasting tools. Gaps in scientific understanding, limits to the predictability, and requirements for advanced forecast guidance tools are described that are challenges to improved warnings of these extreme precipitation and flooding events in monsoon-influenced typhoons.

      • KCI등재

        지하수 모델의 주요 경계조건에 대한 민감도 분석 사례

        나한나,구민호,차장환,김용제,Na, Han-Na,Koo, Min-Ho,Cha, Jang-Hawn,Kim, Yong-J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7 지하수토양환경 Vol.12 No.3

        Appropriate representation of hydrologic boundaries in groundwater models is critical to the development of a reliable model. This paper examines how the model predictions are affected by the uncertainty i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hydrologic boundaries including groundwater divides, streams, and the lower boundaries of the flow system. The problem is analyzed for a study area where a number of field data for model inputs were available. First, a groundwater flow model is constructed and calibrated for the area using the Visual Modflow code. Recharge rate is used for the unknown variable determined through the calibration process. Secondly, a series of sensitivity analyse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el uncertainties embedded in specifying boundary conditions for streams and groundwater divides and specifying lower boundary of the bedrock. Finally, this paper provides some guidelines and discussions on how to deal with such hydrologic boundaries in view of developing a reliable conceptual model for the groundwater flow system of Korea. 지하수 모델 개발 시 수문 경계를 실제 지하수계에 부합되도록 개념화하는 것은 모델의 신뢰도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수 분수령, 하천, 대수층의 하부 경계면 등의 수문 경계를 모델에서 개념화할 때 수반되는 불확실성이 모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첫째, 연구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시험을 수행하여 모델 입력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Visual Modfl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지하수 흐름 모델을 개발하였다. 지하수 함양량을 모델 보정 인자로 설정하였으며, 현장에서 관측된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보정하였다. 둘째,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지하수 분수령의 위치, 하천 지류들의 경계조건 설정 여부, 암반의 하부 경계면의 위치 등이 모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민감도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국내 지하수계를 대상으로 신뢰성 있는 개념 모델을 개발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주요 내용들을 토의하였으며, 현장조사 단계에서 부지특성화를 위해 필요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독청소년의 신앙성숙도와 자아정체감과 성의식간의 관계 연구: 해외거주 청소년(TCK)과 국내거주 청소년 비교

        나한나,홍혜영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Faith Maturity, Ego-identity and Sexual Consciousness through comparisons of Korean Christian (TCK), who live abroad and Korean Christian youths who live in Korea. 130 Christian TCK living abroad were selected from over 7 countries; China, Japan, America, Philippine etc. 264 Christian youths were selected from Korea.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Faith Maturity and sexual consciousness of Korean Christian TCK living oversea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Christian youths in Korea and the Ego-identity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2) TCK living overs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Faith Maturity, Ego-identity and Sexual Consciousness and the other showed partial correlations. 3) Faith Maturity of the TCK living oversea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exual Consciousness, but the youths in Korea had nonsignificant. 4) Faith Matur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ir Ego-identity in both groups. 5) the Ego-identity of the TCK living oversea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exual Consciousness, but youths in Korea was non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various educational and counseling tools to improve the Ego-identity at churches and provide the academic data for healthy Ego-identity and Sexual Consciousness of the Korean Christian TCK. 본 연구는 해외거주 기독청소년(TCK)과 국내거주 기독청소년을 비교하여 기독교 신앙성숙과 자아정체감과 성의식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국, 일본, 미국, 필리핀 등 7개국의 해외거주 기독청소년(TCK) 130명, 그리고 국내거주 기독청소년 264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기독교 신앙심척도, 자아정체감척도, 성의식척도 등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앙성숙도와 성의식은 해외거주 기독청소년(TCK)이 국내거주 기독청소년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고, 자아정체감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해외거주 기독청소년(TCK)은 각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국내거주 기독청소년은 부분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해외거주 기독청소년(TCK)의 신앙성숙도는 성의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국내거주 기독청소년은 그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두 집단 모두 신앙성숙도가 자아정체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해외거주 기독청소년(TCK)의 자아정체감은 성의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국내거주 기독청소년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회에서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상담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며, 해외거주 기독청소년의 건강한 자아정체감과 성의식 확립에 필요한 학문적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제주 한천 및 강정천 유역에 적합한 보완관계법 기반 증발산량 산정 모형

        김남원,나한나,이정우,이정은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2

        본 연구에서는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간의 보완관계 기반의 증발산량 산정 모형인 Brutsaert and Stricker (1979)의 AA 모형과 Morton (1983)의 CRAE 모형을 제주도내 두 개의 상시하천 유역에 처음으로 적용하고 이 지역에 적합한 모형의 매개변수를 제안하였다. AA 모형과 CRAE 모형의 매개변수 검정과 모형의 검증을 위한 대표유역으로 각각 북제주에 위치한 한천 유역과 남제주에 위치한 강정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한천 유역에 대해 AA 모형의 경험상수 α와 이류에너지항 M, CRAE 모형의 경험상수 B1과 b2를 바꾸어가면서 실제증발 산량을 산정하고 이를 유역수문모델링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매개변수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AA 모형은 α=1.00, M=30.0Wm-2, CRAE 모형은 b1=33.0Wm-2, b2=1.02이 최적의 값으로 산정되었다. 동일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AA 모형과 CRAE 모형의 검증 대상유역인 강정천 유역에 적용한 결과, 두 모형 모두 식생의 성장기 및 비성장기에 유역수문모델링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based evapotranspiration models, namely, AA model of Brutsaert and Stricker (1979) and the CRAE model of Morton (1983) was applied to two permanent stream watersheds Jeju island for the first time, and their major optimal parameter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representative watersheds for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were selected as the Hancheon watershed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Jeju island and and the Kangjeongcheon watershed in southern Jeju island, respectively. The estimated actual evapotranspiration for the Hancheon watershed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by the hydrological model, and the major parameters of the AA and CRAE models were calibrated until their results match the hydrological simulations. Through the iterative estimations, the optimal parameters were determined as α=1.00, M=30.0Wm-2 of the AA model, and b1=33.0Wm-2, b2=1.02 of the CRAE model. The calibrated AA and CRAE models were applied to the Kangjeongcheon watershed for model validation, and it was found out that both models can accurately produce the actual evaporation on annual and semiannual bases.

      • KCI등재

        제주 대표유역에 대한 함양지체시간의 경험식

        김남원,나한나,정일문,김윤정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9

        함양 지체시간은 강우로부터 지표면을 지나 지하수면으로 도달하는 침투수의 통로 역할을 하는 비포화대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시간지연을 의미한다. 함양 지체시간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고도와의 단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지체시간에 대한 경험식을 유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도 내에 4개의 유역(한천, 강정천, 외도천, 천미천)을 선정하여 총 18개의 관측지점에 대한 지체시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제안된 회귀식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형 저수지 이론으로부터 유도된 방정식을 적용하여 구한 지체시간과 본 연구에서 유도된 경험식으로부터 산정된 지체시간을 이용하여 각각 산정한 지하수 함양량을 비교한 결과 상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유도한 경험식을 이용하여 SWAT모형의 지체시간 매개변수에 적용할 경우 지하수 함양의 공간적 지연효과를 잘 반영할 것으로 판단된다. Delay time for groundwater recharge means the travel time from the bottom of soil layer to groundwater through vadose zone after infiltration from rainfall. As it is difficult to measure delay time, we suggested an empirical formula which is derived by using linear regression between altitude and delay time. For the regression analysis, 4 major gauging watersheds were chosen (Hancheon, Kangjeongcheon, Oedocheon, Cheonmicheon) with 18 measured groundwater level stations. To verify this empirical formula, derived equation from linear reservoir theory was applied to compute delay time and to compare estimated amounts of groundwater recharge using both methods. The result showed good agreement. Furthermore, if derived empirical formula would be linked with SWAT model, the spatial time delay effect in the watershed could be reflected properly.

      • KCI등재

        제주 한천 및 강정천 유역에 적합한 보완관계법 기반 증발산량 산정 모형

        김남원,나한나,이정우,이정은,Kim, Nam Won,Nah, Hanna,Lee, Jeongwoo,Lee, Jeong Eun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2

        본 연구에서는 잠재증발산량과 실제증발산량간의 보완관계 기반의 증발산량 산정 모형인 Brutsaert and Stricker (1979)의 AA 모형과 Morton (1983)의 CRAE 모형을 제주도내 두 개의 상시하천 유역에 처음으로 적용하고 이 지역에 적합한 모형의 매개변수를 제안하였다. AA 모형과 CRAE 모형의 매개변수 검정과 모형의 검증을 위한 대표유역으로 각각 북제주에 위치한 한천 유역과 남제주에 위치한 강정천 유역을 선정하였다. 한천 유역에 대해 AA 모형의 경험상수 ${\alpha}$와 이류에너지항 M, CRAE 모형의 경험상수 $b_1$과 $b_2$를 바꾸어가면서 실제증발 산량을 산정하고 이를 유역수문모델링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매개변수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AA 모형은 ${\alpha}=1.00$, $M=30.0Wm^{-2}$, CRAE 모형은 $b_1=33.0Wm^{-2}$, $b_2=1.02$이 최적의 값으로 산정되었다. 동일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AA 모형과 CRAE 모형의 검증 대상유역인 강정천 유역에 적용한 결과, 두 모형 모두 식생의 성장기 및 비성장기에 유역수문모델링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based evapotranspiration models, namely, AA model of Brutsaert and Stricker (1979) and the CRAE model of Morton (1983) was applied to two permanent stream watersheds Jeju island for the first time, and their major optimal parameter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representative watersheds for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were selected as the Hancheon watershed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Jeju island and and the Kangjeongcheon watershed in southern Jeju island, respectively. The estimated actual evapotranspiration for the Hancheon watershed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by the hydrological model, and the major parameters of the AA and CRAE models were calibrated until their results match the hydrological simulations. Through the iterative estimations, the optimal parameters were determined as ${\alpha}=1.00$, $M=30.0Wm^{-2}$ of the AA model, and $b_1=33.0Wm^{-2}$, $b_2=1.02$ of the CRAE model. The calibrated AA and CRAE models were applied to the Kangjeongcheon watershed for model validation, and it was found out that both models can accurately produce the actual evaporation on annual and semiannual bases.

      • KCI등재

        쌍천 지하댐의 효용성 평가를 위한 지표수-지하수 통합 수문해석

        김남원,나한나,정일문,Kim, Nam-Won,Na, Han-Na,Chung, Il-Mo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1 자원환경지질 Vol.44 No.6

        지속가능한 지하수 자원의 개발과 관리능력의 수단으로서의 지하댐의 이용과 그 효율성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통합해석 모형인 SWAT-MODFLOW를 쌍천유역에 적용하여 지하댐 건설에 따른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지하댐 건설 후에는 댐 상류의 지하수위 상승이 일어나며 하류부는 지하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지표수-지하수의 상호교환량은 상류에서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댐 건설에 따라 상류부 대수층의 저류량이 증가함으로써 가용한 지하수의 개발량은 그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하댐의 기능이 대수층의 가용 저류량을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시설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통합 수문해석 방법론은 지하댐 건설에 따른 영향 뿐 아니라 설계와 운영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기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usefulness of underground dam as a mea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oundwater, and its performance in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were analyzed. The fully integrated SWAT-MODFLOW was applied to the Ssangcheon watershed in Korea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groundwater dam construction. After construction, the groundwater level raised in the upstream area of groundwater dam while lowered in the downstream area. Also, it is shown that the exchange rate of river-aquifer interactions increased in the upper area of the dam. Since the storage capacity of the aquifer largely increased in the upper area of the dam, the exploitable groundwater could be greatly increased as much.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groundwater dam was a very useful measure to increase the available storativity of groundwater aquifers. It also represented that the combined analysis using SWAT-MODFLOW was helpful for the design and opeation of groundwater dam in the Ssangcheon water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