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자 제안과 공정혁신: 성과배분의 조절효과

        나인강,김동배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2 창조와 혁신 Vol.15 No.4

        "Process innovation means the introduction of new elements into a firm’s production or service operation to produce a product or render a service with the aim of achieving lower costs and/or higher product or service quality. Process innovations require implicit knowledge and mainly rely on information from internal sources and suppliers. As a formalized mechanism that encourage employees to contribute their know-how or private knowledge for improving the organization in which they work, employee suggestion scheme can play a key role in process innovation which require implicit knowledge. As a credible commitment on the part of the firms to share the gains from process innovation with their employees, profit-sharing can promote process innovation by interests alignment between employer and employees regarding process innovation. Using the 2019 Workplace Panel Survey(WPS) by Korea Labor Institut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mployee suggestion scheme on the process innova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profit sh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uggestion scheme on the process innovation.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firms with employee suggestion scheme have a 12.4%p higher probability of adopting process innovation than the firms without employee suggestion scheme, and firms with profit sharing plan have a 4%p higher probability of adopting process innovation than the firms without profit sharing plan, and firms with both employee suggestion scheme and profit sharing plan have a 6.8%p higher likelihood of adopting process innovation than their counterparts. " 일부 집단이 혁신을 전담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직원의 참여가 중요해지는 오픈이노베이션 시대에 근로자 제안제도는 전체 직원을 혁신에 참여시키는 유용한 관리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 경영성과를 구성원과 공유하겠다는 경영자의 약속 장치인 성과배분제는 혁신을 둘러싼 기업과 직원 간의 이해 상충이나 갈등을 완화하거나 해소함으로써 혁신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성과배분제의 이러한 기능은 근로자 제안과 공정혁신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2019년 사업체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제안제도가 있으면 공정혁신이 이루어질 확률이 14.7% 더 증가하고 성과배분제도가 있는 경우 공정혁신이 이루어질 확률이 6.8%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제도와 성과배분제의 교호항을 투입한 모형에서는 제안제도와 성과배분제는 공정혁신이 이루어질 확률을 12.4%와 4%씩 각각 증가시키고 제안제도와 성과배분제의 교호항은 공정혁신이 이루어질 확률을 6.8%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근로자 제안과 공정혁신의 관계를 성과배분제가 정(+)적으로 조절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와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추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동태적 OLS를 이용한 전력수요의 장기 탄력성 연구

        나인강,Na, In-Gang 한국자원경제학회 1999 資源經濟學會誌 Vol.9 No.1

        본 연구는 1983년부터 1996년까지의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전력 수요의 장기 탄력성을 추정하였다. 공적분모형인 Stock-Watson(1993)의 동태적 OLS(Dynamic OLS) 모형을 이용하여, 전력수요의 장기가격탄력성과 소득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장기균형식을 이용한 결과를 살펴보면, 실질국내총생산의 장기탄력성은 0.23으로 나타났으며, 실질전력요금의 장기탄력성은 -0.12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격과 소득이 전력수요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단기오차수정모형에서 오차수정항의 계수는 -0.23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장기수요곡선을 이탈하였을 경우 단기적 불안정이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는 기간이 약 4.4 개월 걸리는 것을 의미한다.

      • 국내유가 제도 변화의 효과 분석 : 휘발유 가격 및 수요를 중심으로

        나인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1 연구보고서 Vol.2001 No.11

        국내 유가 제도는 정부의 직접 규제로부터 유가 연동제를 거쳐 1997년부터 자유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가 자유화 실시 후 5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국내 유가 제도 변화의 효과를 시장 기능의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휘발유의 가격 및 수요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에서 발견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가자유화가 휘발유 가격에 영향을 주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휘발유 가격 추정에 여러 가지 서로 성격이 다른 계량 모형을 사용하였음에도 국내 도입 원유가(CIF) 및 환율이 휘발유 가격에 주는 영향은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국내 도입 원유가의 휘발유 가격에 주는 단기 탄력성은 0.13으로 나타났으며, 환율의 단기 탄력성은 0.43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도입 원유가가 10% 올랐을 경우, 휘발유 가격이 1.3% 오른다는 것을 뜻하며, 가격으로 환산하면, 국내 도입 원유가가 배럴당 20달러에서 2달러 오른다면, 단기적으로 휘발유 가격은 리터당 1,200원에서 15.6원이 오르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국내 도입 원유가의 인상 및 인하시 그 효과의 다름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비대칭 모형을 추정하였으며, 비대칭 모형의 추정 결과,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입 원유가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유가 자유화가 휘발유 수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장 뚜렷한 결과는 유가 자유화 이전과 이후에 가격 및 소득 탄력성이 변화하였다는 점이다. 유가 자유화 이후 기간에 가격 및 소득 탄력성이 상대적으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가격 탄력성은 유가 자유화 이전 -0.18에서 유가 자유화 이후 -0.99로 탄력적으로 변화하였고, 단기 소득 탄력성 역시 0.15에서 0.39로 올라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유가 자유화가 휘발유 시장에 미친 효과는 시장 기능의 회복이라는 그 목적한 바를 전부 달성하였다고 볼 수 없다. 유가 자유화 이후 휘발유 가격의 변동폭이 작아졌으며, 변동주기가 짧아진 점에서, 그리고 가격 및 소득 탄력성이 보다 탄력적으로 바뀌었다는 점에서 유가 자유화의 효과가 부분적으로 가시적인 형태로 나타났지만, 유가 자유화 이후 및 이전 기간에서 휘발유 가격 결정 요인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두 기간 사이에 환율 및 CIF 효과의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유가 자유화의 효과가 있었다는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 결과를 기반으로 앞으로 국내 유가 제도 변화에 관한 연구의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우선, 본 연구 결과의 검정을 위하여 일정한 기간이 경과 후 새로운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그리고 비대칭모형의 보다 정치화한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총계(aggregate) 자료의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에너지 센서스 자료를 통한 미시적 분석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유가 자유화의 효과를 휘발유에 국한하여 검토하였으나, 다른 자유화 유종 및 LPG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석유 시장 전반에 걸친 영향 분석이 필요하다. The deregulation in oil product prices started in 1997. This empirical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deregulation on gasoline prices and gasoline deman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no significant empirical evidence is found to support that the deregulation affects the determination of gasoline prices. Secondly, the effects of CIF crude oil price and exchange rate on gasoline prices seem to be consistent across different econometric models. The short-term CIF elasticity is estimated to be 0.13, while the short-term exchange rate elasticity is estimated to be 0.43. This finding implies that if CIF increases 10%, the gasoline prices increase 1.3%. For example, gasoline prices of 1,200won/liter increase 15.6won/liter with 2$/bbl increase of 20$/bbl crude price. Thirdly, the hypothesis of asymmetric response to CIF rises and falls is examined. No evidence of asymmetric response is found. Finally, the effect of deregulation on gasoline demand is estimated. It is found that the elasticities of gasoline prices and income (GDP) were dramatically changed into elastic response between pre-deregulation period and post-deregulation period. The short-term gasoline price elasticity increases from -0.18 in pre-deregulation period to -0.99 in post-deregulation period while the short-term income elasticity changes from 0.15 to 0.39 over the same period.

      • 노동조합 가입의사에 대한 남녀 근로자의 차이 분석

        나인강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6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여성근로자의 노동조합 조직률이 남성근로자의 조직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여성근로자의 낮은 조직률에 대한 이론적 설명에는 여성근로자의 성별 특유의 선호도차이 이론과 여성근로자의 업종 및 직종 분리에 따른 장벽이론이 주요 이론이며, 한국의 여성근로자의 낮은 조직률을 설명함에 두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6차년도 자료를 기반으로 로짓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개인별 정보와 업종 직종에 관한 정보를 통제한 후, 무노조기업에 근무하는 여성근로자의 노동조합 가입의향은 남성근로자의 가입의향과 통계적으로 다름이 없었다. 이는 무노조기업에서 남녀근로자간의 노동조합에 대한 선호차이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유노조기업에 근무하는 여성근로자의 노동조합 가입확률은 남성근로자의 가입확률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장벽이론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낮은 노동조합 참여율은 여성근로자의 선호차이 뿐 아니라 유무형 장벽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임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여성근로자의 노동조합에 대한 태도는 남성 근로자와는 달리 외재적 만족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가정부문 에너지 효율 분석

        나인강,이성근 한국환경경제학회 2010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최종에너지 가정부문의 에너지 효율 개선 여부를 검토하는 실증분석이다. 타부문과 달리 가정부문의 최종에너지는 그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에너지 효율 정책을 평가하는 주요 잣대의 하나이므로 효율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1990년부터 2006년까지의 연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요인분해 방법 중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LMDI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온효과를 제거한 후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동 기간 중 가정부문 에너지 효율은 연간 1%씩 개선효과를 보이고 있다. 용도별로는 전기기기의 에너지 원단위는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정부문 전체의 에너지 효율의 개선은 유사한 기간을 대상으로 선진국들의 자료와 비교하여 볼 때, 효율 개선의 방향과 크기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기별로 나누어 볼 때, 1990년대에 에너지 효율 개선이 뚜렷이 나타났으나, 2000년대는 그 효율의 개선이 크지 않은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가정부문에서 에너지 사용에 대한 행태의 변화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evaluate energy efficiency policy in demand side, to assess the residential sector’s energy efficiency policy and to analyze the system of energy efficiency practices. We examined residential energy consumption over the period 1990~2006. The decomposition method in the analysis was a logarithmic mean Divisia index(LMDI) techniques to decompose changes in energy intensity. First of all, the energy use in residential sector was adjusted to correct weather-induced variations in energy consumption, because adjustments for normal weather patterns facilitated inter-temporal comparison of intensity. The analysis on the residential sector shows that the overall energy intensity of the residential sector declined at an average 1.0% per year, while the structure effect increased by 1.8% per year, and the activity effect increased by 0.7% per year. In other words, the decline of floor space, number of household, and appliance ownership per capita has an effect on increase in residential consumption. The improvement in energy efficiency had strong contribution on the decrease of energy consumption. We find that the general results of analysis on residential energy are similar to those of IEA. The energy efficiency policy in residential sector is assessed to obtain some results during 1990~2006. In residential sector, structural variables such population per household, diffusion of appliance and activity factor such as population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while energy intensity effect induced the decrease of energy consumption.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trend as well as our prior expectation.

      • KCI등재후보

        고용조정의 선행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나인강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07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4 No.1

        An Empirical Analysis on Determinants of Employment Adjustment Na, In-Gang This paper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determinants of firm's employment adjustment decisions such as layoffs and voluntary retirement programs in economic perspective, using 1st KLI panel data. It is hypothesized that economic factors, perception for innovative products, programs for managerial improvement, and firm's characteristics will affect the employment adjustment decisions. It is found that economic factors affect the decision of layoffs but do not affect that of voluntary retirement.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mployment adjustment in Korea is implemented in the mixed form of reactive basis and proactive one. And it is also found that programs for managerial improvement and firm's characteristics affect the decision of employment adjustment, partially. Other important determinants of employment adjustment are labor-management relations, an team system as control variables. Finally, it is noted that the role of union is not affecting the decision of layoffs or voluntary retirement and that both the choice of two employment adjustment methods are dependent on the previous employment adjustment method which the firm had implemented. 본 연구는 다양한 고용조정 방안들 중 정리해고 및 명예퇴직 실시 여부의 결정 요인들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로 2002년도 KLI의 제1차 사업체 패널 자료를 사용하였다. 명예퇴직 및 정리해고의 실시 여부는 경영상황 악화 지표, 시장의 제품혁신 지표, 경영효율성 지표, 그리고 기업의 특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개별적 로짓 분석결과에 따르면, 정리해고와 명예퇴직 시행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은 공통적 요인들과 상이한 요인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영상황 악화 지표는 정리해고 시행 여부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명예퇴직 시행 여부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상황이 어려운 사업체가 정리해고 시행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적극적 고용조정 보다는 소극적 고용조정이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시장의 제품혁신 지표는 정리해고와 명예퇴직 실시에 정반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 규모의 효과 및 전문경영인 경영체제는 명예퇴직 시행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정리해고 및 명예퇴직의 시행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수로 경영효율성 지표인 팀제 도입 여부, 노사관계의 우호성

      • KCI등재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이직행위의 관계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

        나인강 대한경영학회 2005 大韓經營學會誌 Vol.18 No.2

        Many studies on the job satisfaction ha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intent to leave the company. These studies implicitly assume that the high intent to leave resulted in high turnover of employees from the company. This implicit assumption, however, was not clearly verified in the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on job satisfaction used mainly cross-sectional data which were difficult to incorporate the time difference in collecting data on the attitudes of job satisfaction and intent to leave and the later activity of turnover from the company. This study using panel data allows a verification of this implicitly assumed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actual turnover activity from the company.A panel data survey has been done since 1998 to present by Korea Labor Institute. This study used the 4th and 5th wave of the panel data, the year of 2001 and 2002. The number of wage-earning employees used in the analysis was 1,855. The regression results revealed that job satisfaction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intent to leave but job satisfaction is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turnover from the company. The intent to leave, however, is negatively related the turnover from the company. The actual turnover from the company should consider more factors than the intent to turnover from the company.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education affected the intent to leave while intent to leave, full-time job, level of wage, tenure, and unionization affected the turnover from the compan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traditional assumption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the intent to leave and the turnover should be reconsidered. 직무만족에 대한 기존 연구는 높은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를 낮춘다는 전제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높은 직무만족도가 낮은 이직률로 연계된다는 가설을 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대부분의 직무만족과 이직에 대한 연구가 횡단면 자료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불가피한 가정이었으며 실제로 직무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이직률이 낮은 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직무만족도가 실제로 낮은 이직률로 연결되는 지를 패널자료를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자료 중에서 4차년도와 5차년도인 2001년과 2002년의 자료를 이용해 1,855명의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높은 직무만족도는 이직의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지만 실제 이직행위에는 직무만족도가 의미 있는 변수로 작용하지 않았다.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이직의도와 실제 이직행위를 구별하지 않았고 암묵적으로 이들을 동일시하였던 기존의 가정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직의도에는 직무만족도, 교육수준 등이 주요 영향요인이었으나 실제 이직행위에는 이직의도, 전업근로, 임금수준, 근속연수, 노조결성 등이 주요 영향요인이었다. 즉 이직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과 실제 이직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에너지수요 분석 및 전망 : 2001년 수요전망과 정책이슈

        나인강,류지철,김영덕,김태헌 에너지경제연구원 2000 연구보고서 Vol.2000 No.12

        우리 나라의 에너지 소비는 지난 30년간 경제 성장과 더불어 높은 성장을 거둡하였다. 세계적 환경규제 및 국내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등 국내외적인 환경변화는 에너지 소비 및 수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여건의 변화에 맞추어 본 보고서는 에너지 수요 분석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우선 과거 30년간의 에너지 소비 실적 분석으로서, 1970년의 에너지소비에서 출발하여, 최근 2000년 3/4분기까지의 에너지 소비의 변화 및 추세를 분석하였으며, 에너지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정책 및 대내외적인 여건을 분석하였다. 다음의 원별 부문별 에너지소비 실적 분석에서는, 각 에너지원을 중심으로 해당 에너지원의 소비 추세, 해당 산업의 특징 및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에너지 부문별 소비 행태 변화로, 산업부문에서의 에너지원간 대체 그리고 수송부문에서의 에너지원간 대체현상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에너지 수요전망 모형에 관하여, 에너지 수요전망 개요를 서두로 하여 국내외의 에너지 수요함수 추정 방법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고 주요 모형에 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현재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계량방법론인 ADL 모형을 이용한 단기 에너지 수요 전망 모형을 설명하였으며, 단기모형에 의거한 2001년 에너지 수요전망 결과를 상술 하였다. 2001년 에너지수요는 전년동기대비 4.4% 증가한 201.3백만TOE로 전망되며, 주요 수요 특징은 석유비중의 하락과 LNG 비중의 증가이다. 마지막으로 2001년 에너지부문 주요 정책 이슈에 관하여 정리하였다.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안정적 에너지 수급, 그리고 남북에너지협력을 포함한 국제적 에너지 협력에 관하여 이슈별로 제시하였다. The energy consumption in Korea has grown at impressive rates during the last 3 decades, along with the economic growth. The global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issue and the restructuring in Korea energy industry has an effect on the pattern and trend of energy demand in Korea. Under the situation, this research are focusing on the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and forecast of energy demand. First of all, we analyze the trends and major characteristics of energy consumption, beginning with 1970s and up to the third quarter of 2000. In the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by energy types, we also perform qualitative analysis 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energy types, including institutional analysis. In model section, we start with the brief description of synopsis and outline the survey on empirical models for energy demand. The econometric model used in KEEI's short-term energy forecast is outlined, followed by the result of estimations. The 2001 energy demand forecast is predicted in detail by sectors and energy types. In the year 2001, weak demand is projected to continue through the 1st Half, and pick up its pace of growth only in the 2nd Half. Projected total demand is 201.3 million TOE or 4.4% growth. In the last section, the major policy issues are summarized in three sub-sections: the restructuring in energy industry, the security of energy demand and supply, international energy cooperation including south-north energy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