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세법상 사해행위취소 제도의 적용상 쟁점과 입법적 개선방안

        나성길(Nah Sung-Gil),정진오(Jeong Jin-O) 한국조세연구포럼 2012 조세연구 Vol.12 No.3

        사해행위취소권은 채무자의 책임재산을 보전하기 위하여 채무자의 재산상 법률행위를 취소하고 원상회복을 구하는 사법상 권리이다. 이러한 사해행위취소권 제도는 조세채권관계에도 매우 유용하게 행사되고 있다. 국세징수법 제30조에서는 사해행위취소권을 규정하고 있다. 즉 조세채권자인 국가가 체납처분을 집행함에 있어 납세자가 조세채권자를 해할 목적으로 재산권에 관한 법률행위를 한 경우에 이를 취소하고 원상회복을 시킴으로써 일탈된 책임재산을 회복하여 체납처분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이다. 세법상 사해행위취소권은 원칙적으로 민법상 채권자취소권의 법리를 준용하고 있으나, 피보전채권은 일정한 과세요건을 충족하면 조세채권채무관계가 성립하는 법정채권이고, 재정수요라는 공익성으로 말미암아 그 징수확보를 위하여 채권자평등주의의 적용을 배제하는 국세우선의 원칙이 적용되고 있는 등 일반 사법상의 채권과는 다른 점을 고려할 때 민법상의 채권자취소권의 법리와 다르게 취급할 필요가 있다. 세법상 체납자에 대한 재산 추적을 강화하고 강제집행의 실효성을 담보함으로써 사해행위취소 제도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한다. 첫째, 세법상 사해성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적극재산가액에 대한 시가 평가가 매우 중요하므로 시가를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하여 재산의 일반적인 평가원칙인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0조를 준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국세우선권이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도 제도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국세징수법규정에 의한 사해행위취소 결과 원상회복된 재산에 대하여도 과세관청이 우선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특별 규정을 두어야 한다. 셋째, 세법상 사해행위취소권의 경우 소의 제소기간을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2년, 법률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5년으로 하여 국세징수법에 특별한 규정을 두어야 한다. 넷째, 원상회복시 당초 수익자에 대한 증여세 등 과세처분은 부당하므로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에 해당되는 것으로 볼 수 있게 하여 당초 과세처분에 대한 시정 기회를 주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세법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현행 민법상 사해행위취소제도를 준용하는 방식에서 국세징수법에 사행행위취소의 요건 등 적용요건을 독자적으로 규정하여 체납처분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안정적인 조세수입 확보와 납세의식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Fraudulent act revocation right is a judicial right to cancel a legal act of a debtor on his property and to seek its restoration in order to preserve his liability property. Such a fraudulent act revocation system is very usefully exercised also in a tax claim case. Article 30 of the National Tax Collection Act stipulates fraudulent act revocation right. With respect to execution of disposition for taxes arrears by the country, the tax creditor, if a taxpayer takes a legal act on his property for the purpose of doing harm to the tax creditor, then the country may cancel the legal act and make its restoration so that the country can make an attachment on the restored property. In principle, fraudulent act revocation system under taxation law applies legal principles of creditor"s revocation right. However, preserved credit is a legal claim to create tax claim-obligation relationship if it satisfies a certain tax requisition, and the priority of national tax is applied thereto, which excludes application of creditor egalitarianism in order to secure collection of national tax due to the nature of public interest of financial requirement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reserved credit is different from ordinary judicial credit, it is necessary to treat the preserved credit differently from the legal principles of creditor"s revocation right under the Civil Law. It is required to make an improvement as follows in order to strengthen tracing on property of a defaulter under the tax law and to faithfully perform functions of fraudulent act revocation system by way of securing effectiveness of compulsory execution; First,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market price of positive property value for judgment of fraudulence under tax law and therefore, the article 60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the general evaluation standard of property, should apply to accurate calculation of the market price. Second, in order for priority of national taxes to be secured in a lawsuit for fraudulent act revocation, special provisions should be arranged for taxation office to exercise priority over the property restored as a result of fraudulent act revocation according to provisions of the National Tax Collection Act. Third, with respect to fraudulent act revocation right under taxation law, it is required to have a special stipulation specifying that period of filing a lawsuit shall be as 2 years from the date when the creditor becomes to know the cause of revocation and as 5 years from the date of a juristic act. Fourth, taxation of gift tax on original beneficiary at the time of restoration is improper so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later occurring reason for reassessment claim and correction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the original taxation. Accordingly, considering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tax law,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specify applicable requirements including those for fraudulent act revocation right under the National Tax Collection Act instead of applying the Fraudulent Act Revocation System under the Civil Law in order to efficiently achieve a goal for disposition on default, to secure stable yield of tax and to raise consciousness of tax payment.

      • KCI등재

        現行 關稅法制에 대한 評價 및 發展方案 硏究

        나성길(Sung-Gil Nah) 한국관세학회 2000 관세학회지 Vol.1 No.1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use a comparative study of Korea's customs law, Korea's national tax laws, and customs laws of other countries, The paper examines Korea's current customs law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Korea's customs law. Two suggestions are made: (1) the first one both simplifies and enhances the efficiency of customs administration for both users and providers of customs services by reforming the current customs law and system; (2) the second one revises and improves customs law by addressing the different structures of customs laws and national tax laws that cause inequity for tax payers.

      • KCI등재

        위법소득 과세와 관련한 주요 쟁점의 검토

        나성길(Nah, Sung Gil),유철형(Yu, Cheol Hyung)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5 세무와 회계 연구 Vol.4 No.1

        법인의 대표이사가 법인 소유 부동산을 매각하고 그 대금을 횡령한 경우와 같이 위법행위로 얻은 소득이 있는 경우 현행 세법상 이를 과세대상으로 할 수 있는지, 그러한 위법소득을 얻기 위하여 지출한 비용을 손금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 위법소득에 대해 과세한 이후 원상회복이나 손해배상 또는 몰수․추징으로 인하여 위법소득이 상실된 경우 조세상 이를 조정해 줄 것인지 등이 실무상 문제되고 있다. 법인세법은 순자산증가설을 취하고 있어 위법소득을 과세대상으로 삼는 데에 큰 문제가 없고, 2005. 5. 31. 법률 제7528호로 개정된 구 소득세법 제21조에서는 뇌물, 알선수재 및 배임수재에 의하여 받은 금품을 소득세 과세대상인 기타소득으로 신설 하였으므로 이와 같이 열거된 위법소득에 대한 과세에도 문제가 없다. 이 논문에서는 위법소득에 대한 과세와 관련하여, 위법소득의 개념, 위법소득 과세와 관련한 논의 동향과 외국의 입법례를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위법소득과 관련한 주요 쟁점으로, 현행 소득세법에 규정된 위법소득에 대해서만 과세할 수 있는 것인지, 위법소득의 과세시기, 위법소득을 얻기 위하여 지출한 비용의 손금 인정 여부, 위법소득이 상실된 경우의 세법상 처리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위법소득의 대표적 사례로서 형사상 범죄행위인 횡령과 사법상 거래인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의 미허가 양도를 통해 위법소득과 관련한 주요 쟁점들을 검토해 보았다. 열거주의를 취하고 있는 소득세법하에서 위법소득에 대해 과세를 하기 위해서는 조세법률주의의 원칙상 소득세법에 과세대상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다. 한편, 위법소득이 상실된 경우 과세처분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와 관련하여, 판례가 취한 위법소득 과세법리(경제적 지배설)에 따른다면, 위법소득이 상실되면 이러한 경제적 지배력이 상실된 것이므로 기존의 과세처분을 조정해 주는 것이 형평에 부합한다. 이 경우 조정방법으로는 국세기본법 제45조의2의 경정청구제도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과세대상 소득에 관한 법리나 과세형평에 비추어 위법소득도 과세대상으로 함이 마땅하다. 다만, 위법소득에 대한 과세를 확대함에 있어서는 국민의 재산권이 침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위법소득에 대한 과세과정에서 납세자의 재산권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tax field, there are numerous practical issues that can be raised concerning income earned through illegal activities. For example, if a corporate representative director misappropriates income by selling company-owned real estate, issues such as i) whether the illegal income is taxable under the current tax laws;ii) whether expenses incurred during the course of earning the illegal income can be tax deductible;and iii) whether a settlement can be made on income tax imposed on the illegal income if such income were deposited back to corporate account or were lost through indemnification or forfeit are raised. The Corporate Income Tax Law of Korea reflects net asset increasing theory, which compares the amount of capital at two discrete points:the difference between the cost and revenu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a certain period. The illegal income could be considered taxable income pursuant to Korean law and under this theory. According to the Article 21 of the Individual Income Tax Law, which was last amended in May 31, 2005 by Law No.7528, money and valuables earned through bribes and malpractice are categorized as other taxable income. This article briefly introduces the definition of illegal income under Korean law and discusses the trend of illegal income and relevant legislative examples across various countries. It also examines:i) whether tax can only be imposed on illegal income stated under the Individual Tax Law in Korea;ii) taxable period of the illegal income;iii) tax deductibility of expenses incurred during the course of earning the illegal income;and iv) how to treat the illegal income, if lost, under the tax laws. Lastly, it reviews key tax issues on typical examples of illegal income - misappropriation, a criminal offense, and unapproved transfers of land situated in a jurisdiction where transfers need approval. In order to impose tax on illegal income in the positive income tax system, such income should be stated under the tax laws as taxable incom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In cases where illegal income is lost, it may be considered a loss of economic dominance, which means the income tax previously imposed on the illegal income should be settled in accordance with so-called the “Economical Domination Principle,” established by relevant court precedents, which dictates that a claim for reassessment under Article 45-2 of the Basic Law for National Taxes can be used as a means of settlement for income tax imposed on the illegal income. This article recommends that in terms of the principles concerning the prohibition of tax discrimination and laws on taxable income, illegal income should be treated as taxable income;however, concurrently, in order to minimize the violation of taxpayer’s property rights in imposing tax on illegal income, the article concludes that institutional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배우자 등 특수관계인 사이의 고ㆍ저가 양도거래에 대한 실무상 쟁점과 법 해석론

        나성길(Nah, Sung-Gil) 한국조세연구포럼 2014 조세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실무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연구대상 사례를 가지고 세법의 여러 조항이 동시에 적용되는 영역에서 세법의 해석 및 적용상의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하나의 거래에 세법의 여러 조항이 적용되는 경우, 어느 조항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납세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할 것인 바, 세법의 해석ㆍ적용에는 실질과세 원칙에 따른 사실판단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세법의 내용과 대법원 판례 등을 비교ㆍ분석하여 검토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 등 특수관계인 사이의 거래가 실질적으로 양도거래이면 고ㆍ저가 양도거래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하여야 하고, 그 거래의 외양이 양도거래라 하더라도 실질이 증여에 해당되면 상증세법 제44조에 따라 증여세를 과세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매매계약의 실질, 당사자간 거래대금의 실제 수수여부, 취득자금의 원천을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대상 사례와 유사한 거래가 다양하게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므로 납세자의 신의칙 위반이 있는지를, 대법원 판례에서 들고 있는 세가지 기준(모순되는 행태 존재, 납세자의 심한 배신행위, 과세관청의 신뢰 보호가치의 존재)의 충족여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본 연구대상 사례도 신의칙 위반 여부를 적극 검토할 수 있으나, 세가지 요건 중 ‘납세자의 심한 배신행위’가 있다고 보기에는 나타난 사례에 비추어 충분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납세자의 신의칙 위반을 적용하기는 어렵다 할 것이다. 셋째, 납세자가 주장하는 것처럼 실질에 따라 증여세 과세를 한다면 납세자는 상증세법 제44조에 따른 증여세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았으므로 무신고가산세 등의 가산세 부과가 가능하다. 네째, 수증자가 직업ㆍ연령ㆍ소득 및 재산 상태 등에 비추어 일부 자력으로 재산을 취득할 수 있는 직계비속의 경우 일부 대가를 지불할 충분한 능력이 있음에도 고ㆍ저가 양도거래보다 증여추정이 유리함을 악용할 여지가 많으므로, 상증세법 제44조 적용을 위한 취득자금의 출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상증세법 제45조(재산취득자금 등의 증여추정)의 적용여부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and practical issues in the field that the several provisions of tax law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based on case studies frequently occurring in business. In case that the several provisions of tax law are applied to a transaction, factual judgment based on actual taxation standard has to be taken into account since the application of a certain provision has a great effect on taxpayer. Results discussed are as follows; First, if the transaction between lineal ascendant and descendant is actually a transfer transaction, it should be determined whether the transaction falls under transfer at higher or lower price. Even if the appearance of the transaction is a transfer, gift tax issues has to be considered pursuant to Article 44 of the taxation on gift tax and inheritance tax act provided that the transaction, in fact, falls under a gift. To do this, the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the trading value has been exchanged between parties of the sales contract and the source of acquisition fund is needed. Second, it needs to comprehensively examine whether there is a violation of utmost good faith by taxpayer based on three legal precedents in the Supreme Court since the case for study has frequently been occurring. While the case of this study can be examined whether it has violated utmost good faith, this would not be conducted since there is not enough evidence to support "gross betrayal by the taxpayer". Third, as the taxpayer claims, if a gift tax is imposed based on the actual deal, additional tax can be imposed since the taxpayer has not reported and paid a gift tax. Fourth, if a donee is a direct descendant who can acquire assets considering the job, age, income and asset status, there is a chance that he or she would use a gift transaction rather than transfer even if he or she has a enough source to pay prices. Thus, the application of Article 45 of of the taxation on gift tax and inheritance tax act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source of acquisition fund.

      • KCI등재후보

        주요국의 최근 감세정책 동향과 조세정책적 대응

        羅盛吉(Nah Sung-Gil),양승종(토론자) 한국조세연구포럼 2009 조세연구 Vol.9 No.1

        본 논문에서는 글로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대응수단으로 지난해 주요 선진국들이 발표한 감세정책을 살펴보고, IMF 및 OECD 등 국제기구에서 논의 중인 금융ㆍ경제위기하에서의 조세정책적 대응방안을 통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조세정책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주요 선진국의 감세정책 동향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글로벌 금융ㆍ경제위기에 따른 실물경제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주요 선진국들은 감세와 재정지출 정책을 병행하는 방식을 추진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도 과거 어느 해보다 큰 수준의 ‘근본적 조세개혁’(fundamental tax reform)을 통하여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재정지출정책도 병행하여 추진하였다는 점이라 하겠다. 이러한 주요 선진국들의 정책선택은 IMF의 여러 연구보고서에서도 지적되고 있듯이, 적어도 글로벌 경제위기하에서는 감세와 재정지출정책을 각자 쓰는 것보다는 정책조합(policy-mix)을 통하여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모아지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경향은 그동안 재정학ㆍ경제학의 영역에서 논쟁의 중심이었고,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논쟁의 중심에 섰던 감세정책과 재정지출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논의에 중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고 할 것이다. 즉, 이들 정책수단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이냐는 논쟁보다는 이들 정책수단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논의의 중심이 옮겨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IMF, OECD 등이 제시하고 있는 조세정책수단들은 금융ㆍ경제위기하에서 중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각 정책들의 사용에 있어서는 미국에서 유용한 정책이라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그대로의 수용은 경계하여야 할 것이고, 우리의 경제상황ㆍ재정여건ㆍ정책 효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경기침체에 따른 세수부족의 우려에 따른 중기 재정여건 등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정책수단의 선택에 있어 각 정책의 효과성과 지속성 등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글로벌 금융ㆍ경제위기라는 전대미문의 상황에서, 적정한 감세정책 또는 재정지출정책의 선택과 우리나라의 경제상황과 재정여건 등에 맞는 최적의 정책수단을 반영하여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In order to seek new direction for our tax policy, this paper reviews tax reduction policies of major developed countries initiated last year to overcome the global economic crisis as well as the IMF and OECD policy actions currently being formulated. One aspect of these counteraction plan, as evidenced by the major developed country policies, is the parallel utilization of both tax reduction and government expenditure increase to overcome economic recession. We also built a foundation to respond to economic crisis by adopting fundamental tax reform of the largest size as ever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d fiscal spending in a large scale. As pointed by the number of the IMF studies, rather than use them separately, It is important to mix various policy instruments if one faces with global economic recession. Such policies has been at the core of economic and fiscal studies and it casts significant implication for the last year heated discussions on the effectiveness of tax reduction and government expenditure policy. In other words, the discussion must move toward how to engage these policy instruments simultaneously away from which instrument to choose. On the other hand, tax policy instruments recommended by such organization as IMF or OECD may be utilized as effective means to counter economic recession. However, we need to carefully follow the footstep of the United States as policy effectiveness depends on each countries' economic situation, fiscal condition and so on. In addition, one must consider not only policy effectiveness but its continuity because ongoing economic recession could continue for sometime causing large reduction in tax receipt which worsens the government fiscal position. In conclusion, faced with the unprecedented global economic and financial crisis, the government needs to swiftly respond with the best policy tools such as tax relief and government spending increase that adequately address our economic circumstances and fiscal condition.

      • KCI등재후보

        명의신탁의 세법상 적용과 주요 쟁점에 관한 검토

        나성길(Nah Sung-Gil),정진오(Jeong Jin-O) 한국조세연구포럼 2013 조세연구 Vol.13 No.3

        명의신탁은 학설과 판례에 의하여 형성된 개념으로 등기 등 공부에 의하여 공시할 수 있는 재산의 소유권에 관하여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간의 합의에 따라 대내적으로는 명의신탁자가 소유권을 보유하고 공부상의 소유명의는 수탁자로 하는 제도이다. 명의신탁과 관련된 조세문제는 크게, 명의신탁과 실질과세원칙, 주식에 대한 명의신탁 증여의제, 차명예금에 대한 증여추정, 부동산 명의신탁에 대한 양도소득세 납세의무 귀속 및 사해행위취소소송 결과에 따른 법적용 문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명의신탁과 관련된 현행 세법상의 가장 중요한 내용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이하, 상증세법) 제45조의2의 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이다. 토지?건물 등 부동산에 대한 명의신탁을 금지하는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 (이하, 부동산실명법)이 제정되어 주로 주식의 명의신탁을 중심으로 명의자인 수탁자에게 증여세를 과세하는 상증세법 제45조의2의 규정은 타인명의를 통한 조세회피행위를 방지하는데 있다. 그동안 주식 등 명의신탁에 대해 증여세 부과에 대한 명문규정이 없던 1965년에 대법원이 이를 인정하는 판결을 선고한 이래로, 명의신탁에 과세하는 것이 헌법이론적 측면에서의 타당성, 제재수단의 입법정책상의 타당성, 납세의무자에 대한 비례원칙 위반 등에 대한 위헌성 문제가 제기되었고, 현행 상증세법은 그 동안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결 등을 반영하여 그 내용에 있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한편, 2013.1.1.신설된 상증세법 제45조 제4항의 ‘차명예금 계좌에 대한 증여추정규정’은 금융실명법에서 규율하지 못하였던 차명예금 거래가 재산은닉, 조세포탈, 자금세탁 등 각종 불법행위에 악용되고 있고, 지하경제를 양성화하고 조세정의를 실현할 필요성에서 그 의미가 크며, 이의 적용을 둘러싸고 앞으로 납세자와 많은 분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주식에 대한 명의신탁증여의제, 차명예금 계좌에 대한 증여추정 외에도 부동산 명의신탁에 대한 양도소득세 납세의무자의 귀속 문제 및 사해행위취소소송에 따른 법적용상의 문제도 실무상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의신탁과 관련하여 많이 연구된 특정주제에 한정하지 않고, 명의신탁과 관련된 조세문제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방식을 취한 관계로 다소 깊이 있는 내용을 담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겠다. 따라서 가급적 실무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담는데 초점을 두면서,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명의신탁에 대해 현행 규정만으로는 적용에 어려움이 많은 점들을 고려하여, 판례 등을 정리하여 해석?적용상의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노력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현행 규정상의 쟁점들을 도출하고 입법상의 보완필요성을 제시하였다. Nominal trust is a system such like the settlor possesses ownership internally and own person’ name in the register belongs to the fiduciary according to agreement between two parties on ownership of the property that can be announced publicly by the register. Tax issues related to nominal trust are able to be largely divided into nominal trust and the doctrine of substance over form, the fictitious gift of nominal trust on stocks, gift presumption on other-name deposit, taxpayer belonging to transfer income tax regarding real-estate trust, fraudulent actions and taxation matters etc. Representative one concerned to the nominal trust is the regulation on fictitious gift in Article 45-2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 This regulation is not applied to real-estates such as land and buildings etc. and has its intent of preventing tax avoidance actions through other-names. In the meantime, unconstitutionality issues such as logicality from constitutional theoretical aspects, appropriateness of sanctions,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etc. have been raised in taxing the nominal trust as gift tax. While its framework has been sustained by the decision on constitutionality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several amendments have been made by reflecting judicial precedents. On the other hand, ‘gift presumption on other-name deposit’ in Section 4, Article 45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newly established is expected to bring about many changes in transacting other-name deposits that have not been regulated by Finance Real Name Transaction Law. Merely, conflicts with taxpayers are anticipated surrounding applications owing to ambiguity of new regulation. In addition, on taxpayer belonging to transfer income tax regarding real-estate nominal trust besides the aforesaid issues, fraudulent action and taxation matters correspond to very important contents in practices. Same as above, this study looked into taxation issues related to nominal trust comprehensively, and thus it has limitations in containing profound contents. Therefore, focus was laid on treating contents that could give helps to practices if possible. And the study deduced application problems of current regulations through judicial precedents etc. because there are applying difficulties only with current regulations on the nominal trust of various types. With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expects that the results would contribute to fair taxation so that tax officials could interpret and apply correct tax laws.

      • KCI등재

        WTO 관세평가협정 이행이슈에 대한 논의동향과 대응방안

        나성길(Sung-Gil Nah) 한국관세학회 2003 관세학회지 Vol.4 No.1

        In 2001, the 4th Doha Ministerial Conference adopted the decision on Providing Information on Export Values, which was suggested by India in 1999. And it seemed to be desirable to developing countries in which they have relatively high tariffs and they are likely to have lowly-declared value. However, due to the opposition by som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 EC, Canada, and Korea, concerning that it might hamper the rule on Transaction Value under the Customs Valuation Agreement of the WTO, it was decided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it is allowed by domestic rule of exporting countries. In this regard, developed countries suggested that post-clearance auditing system, intelligence-based risk assessment system, reform of administration system, capacity building and technical assistance efforts should be made for an effective valuation control. As a matter of fact, the decision on providing the information on export values has some problems in achieving substantial effect, if the customs authorities of exporting countries refuse it on the grounds of domestic law. However, I believe that Draft of Guide to the Exchange of Customs Valuation Information made by the WCO Technical Committee on Customs Valuation under the mandate of Ire WTO Committee on Customs Valuation at the end of 2002 can be a practical guideline for valuation control.

      • KCI등재

        사례를 통한 관세환급청구권 소멸시효의 중단사유와 현행 법령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나성길(Sung-Gil Nah) 한국관세학회 2008 관세학회지 Vol.9 No.1

        In order to receive customs duty refund on importing goods which have entered into a bonded factory and used as raw materials for export, a written confirmation of entry by a customs director should be issued. An importer, who failed to receive such an entry confirmation at the time of goods' entry, requested issuance of the confirmation 2 years after but denied by a customs director. The issue here is whether the request for issuance of an entry confirmation can be regarded as a reason to suspend the period for exercising a right to claim customs drawback.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measures to improve current related laws through the review of issues argued at the National Tax Tribu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