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에서 후외방유합술 후 후방요추체간유합술의 효과

        나기호(Ki-Ho Nah),신재혁(Jae-Hyuk Shin),최남용(Nam-Yong Choi),이용선(Yong-Sun Lee),하기용(Kee-Yong 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에서 후외방유합술 후 추가적인 후방요추체간유합술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제 4-5요추간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에 대하여 단분절 후방감압술과 기기사용 유합술을 시행하고 최소 2년 이상 추시된 4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21예에서는 후외방유합술만을, 19예에서는 후외방유합술에 추가적으로 후방요추체간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분절간 가동성에 따라 안정군과 불안정군으로 나누었고, 유합 방법과 함께 안정-후외방유합군(n=13), 안정-원주상유합군(n-11), 불안정-후외방유합군(n=8)과 불안정-원주상유합군(n=8)으로 분류하여, 임상 및 방사선학적으로 후외방유합군과 원주상유합군간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임상적으로 ODI (VAS)는 안정-후외방유합군, 안정-원주상유합군, 불안정-후외방유합군과 불안정-원주상유합군에서 순차적으로 평균 29% (5.5), 29% (5.9), 22% (2.6)와 42% (5.9)의 감소를 보여, 불안정군의 비교에서만 원주상유합군이 후외방유합군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다(ODI: p=0.032, VAS: p=0.004). 방사선학적으로 유합률은 순차적으로 92%, 100%, 88%와 100%를 보여 유의성은 없었다. 전위각은 순차적으로 평균 2.5°, -3.1°, -1.5°와 -0.3°가 증가하여 안정군에서만 후외방유합군이 원주상유합군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다(p=0.029). 추간판 간격은 순차적으로 -0.4mm, 1.8mm, 0.5mm와 3.0mm 증가하여 안정군(p=0.043)과 불안정군(p=0.042) 모두에서 원주상유합군이 후외방유합군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전위도는 순차적으로 6.7%, 8.7%, 5.1%와 3.7%가 감소하였고, 요추전만각은 8.6° 4.7°, -1.9°와 1.9°가 증가하였고, 천추기울기는 3.8°, 3.4°, -1.3°와 0.9°가 증가하여 비교군간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의 유합술시 수술 전 유합분절에 가동성이 적은 경우에는 후외방유합술만으로도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나, 수술 전 가동성이 큰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후방요추체간유합술을 시행하여 임상 결과가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따라서 퇴행성 척추전방전위증의 유합술시 수술 전 분절간 가동성은 추가적인 후방요추체간유합술의 시행여부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고 생각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an additional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lF) after a posterolateral fusion (PLF) for the treatment of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D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after a minimum follow-up of 2 years was conducted on forty patients who underwent a single level decompression and instrumented fusion for DS with spinal stenosis at the L4-5 level. A PLF was performed in 21 patients, and a circumferential fusion (CF) with an additional PLIF in 19 patients. According to the fusion methods and preoperative segmental mobilit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s-PLF group (PLF in the stable group, n=13), s-PLIF group (CF in the stable group, n=11), u-PLF group (PLF in the unstable group, n=8), and u-PLIF group (CF in the unstable group, n=8). Clinical and radiographic comparisions between the PLF and PLIF groups were performed. Results: The mean decrements of Oswestry Disability Index (Visual Analog Scale) scores were 29% (5.5), 29% (5.9), 22% (2.6) and 42% (5.9) respectively for the s-PLIF, s-PLIF, u-PLIF and u-PLIF groups, and a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only between the u-PLIF and u-PLIF groups (ODI: p=0.032, VAS: p=0.004). Fusion rates were 92%, 100%, 88% and 100% respectively. The mean slip angle increments were serially 2.5°, -3.1°, -1.5° and -0.3°, and the mean percent slip decrements were 6.7%, 8.7%, 5.1% and 3.7%, and the mean disc height increments were -0.4 mm, 1.8 mm, 0.5 mm and 3.0 mm, and the mean lumbar lordosis increments were 8.6° 4.7°, -1.9° and 1.9° and the mean sacral tilt increments were 3.8°, 3.4°, -1.3° and 0.9°.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only between the s-PLF and s-PLIF groups in slip angle increments (p=0.029) and between the s-PLIF and s-PLIF groups (p=0.043) and between the u-PLF and u-PLIF groups (p=0.042) in disc height increments. Conclusion: PLF alone provided successful clinical outcome in stable group, but CF provided better clinical outcomes in the unstable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preoperative segmental mobility may be a criter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additional PLIF is necessary in the treatment of lumbar DS.

      • KCI등재후보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Wayne-County 정복법과 해부학적 정복법의 결과 비교 : Comparision of Wayne-County Reduction and Anatomical Reduction

        최남용,나기호,송현석,서상일,최정근,한석구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Wayne-County 정복법과 해부학적 정복법의 방사선적 및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35도 활강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대퇴 전자간 골절 치료환자 103명 103예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2예의 Wayne-County 정복군 (1군)과 41예의 해부학적 정복군 (2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나이는 제 1군이 72.4세 (65~92), 제 2군이 71.6세 (65~89)였고 Jensen 골절 분류상 불안정 골절은 제 1군이 33예 (75.2%), 제 2군이 31예 (77.5%)였다. 방사선적 평가는 대퇴 경간각, 골두내 지연나사 침범 정도, 지연나사의 활강거리 및 골 유합 시기를 포함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술 후 1년 Koval의 보행능력 평가, Kyle의 기능 평가, 하지 부동 및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결과 : 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각 군간의 방사선적 및 임상적 차이는 없었다. 부랑ㄴ정성 골절에서 최종 추시상 대퇴 경간각은 제 1군이 평균 132.2도, 제 2군이 129.4도였고, 골두내 지연나사의 침범거리는 제 1군이 평균 2.2mm, 제 2군이 평균 3.1mm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나 지연나사의 활강거리, 골 유합 시기 및 합병증의 빈도는 각 군 간 차이가 적었다. Koval 분류상 술 후 1년 보행능력 평가에서 제 1군은 31예 (73.8%), 제 2군은 28예 (68.3%)에서 수상 전 보행능력으로 회복되었다. 하지 부동은 제 1군에서 평균 4.1±6 mm, 제 2군은 6.5±8 mm의 단축 차이가 발생하였다. 결론 : 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은 해부학적 정복법과 Wayne-County 정복법이 모두 효과적이었으나,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은 Wayne-County 정복법이 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urpose : To compar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of Wayne-County reduction with anatomical reduction in treatment of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in elderly patients. Material and Methods : Among one hundred-three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reated with 135-degree angled compression hip scresw, eighty three cases treated by Wayne-County reduction (Group 1, 42 cases) and anatomical reduction (Group 2, 41 cases) with at least 1 year follow-up wee reviewed. The average pateint ages were 72.4 (65~92) in group 1, 71.6 (65~89) in group 2, respectively. 33 cases (75.2%) in group 1 and 31 cases (77.5%) displayed unstable fractures by Jensen classification. The radiological observation was included neck-shaft angle, penetrating length of lag screw into head, sliding length of lag screw and time of bony union.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Koval criteria, Kyle's functional evaluation, leg length inequality and complications.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group 1 and group 2 in stable fractures in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results. In unstable fractures, the neck-shaft angle averaged 132.2 degree in group 1 and 129.4 degree in group 2 in the final follow-up films. The penetrating length of lag screw into head were 2.2 mm in group 1 and 3.1 mm in group 2 (p<005). Bu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the sliding length of lag screw, the time of bony union and complication rates between groups. In post-operative evaluation of walking abilility by Koval, 31 patients (73.8%) in group 1 and 28 (68.3%) recovered the activity level before injury by the postoperative 1 year follow-up. Leg length discrepancy at final follow-up was 4.1±6 mm shortening in group 1 and 6.5±8 mm in group 2, respectively. Conclusion : Both Wayne-County reduction and anatomical reduction had a favorable results after treatment of 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but Wayne-County reduction may be a better method in treatment of unstable fractures, especially in elderly patient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obtain anatomical reduction.

      • 관절 연골 손상 정도에 따른 반월상 연골 부분절제술의 결과

        최남용,양영준,나기호,양혁재,송현석,Choi, Nam-Yong,Yang, Young-Jun,Nah, Ki-Ho,Yang, Hyuk-Jae,Song, Hyun-Seok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 연골 손상과 동반된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관절 연골 손상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내측 반월상 연골 부분절제술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과 동반된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관절경적 부분절제술을 시행 후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예, 여자가 42예였으며, 나이는 평균 55.7세(40~78세), 관절경 소견상 Outerbridge 분류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제 1군은 grade I과 II를, 제 2군은 grade III와 IV를 포함하였다. 제 1군이 30예였고, 제 2군이 18예였다. 임상 결과는 Tapper & Hoover분류 및 Lysholm knee score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술전과 최종 추시 양슬관절 기립 전후면 사진에서 내측 관절 간격을 측정하였다. 결과: Tapper & Hoover분류에 따른 평가에서 우수가 28예, 양호 7예, 보통 8예, 불량 5예였다. 제 1군은 우수 25예, 양호 2예, 보통 2예, 불량이 1예다. 반면에 제 2군에서는 우수 3예, 양호 5예, 보통 6예, 불량이 4예였다. 기능적 평가상 Lysholm 점수는 1군에서는 술전 평균 62.4점에서 술후 평균 94.0점으로 향상되었으며, 2군에서는 술전 평균 58.0점에서 술후 평균 77.9점으로 향상되었다. 술후 점수의 비교에서 1군이 2군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기립 전후면 단순 방사선 사진상 관절 간격의 감소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관절염과 동반된 반월상 연골 파열에서 관절경적 반월상연골 부분절제술은 증세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었다. 그러나 관절 연골의 손상이 Outerbridge III나 IV인 경우에는 만족스런 결과를 얻기가 어려웠다. Outerbridge III 및 IV의 관절연골 손상에서는 반월상 연골 부분절제술이 증세 호전이 만족스럽지는 않았으나 관절연골손상을 악화시키지는 않았다. Purpose: To identify the damage of the articular cartilage and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artial medial meniscectom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4, forty-eight patients in the degenerative arthritis and medial meniscal tear of knee who undertook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and were able to keep pace with the times follow-up for more than 3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ix cases were men and 42 were women, and the mean age was 55.7 years (40~78 years).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Outerbridge grade. Grade I and II were classified into group 1 and grade III and IV into group 2. Group 1 included 30 cases and group 2 included 18 cases. The resul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and Lysholm knee scoring scale. And we measured the distance of medial joint space in standing anteroposterior (AP) view of both sides at the pre-operative and the last follow-up. Results: According to the Tapper & Hoover classification, 28 cases were excellent, 7 cases good, 8 cases fair, and 5 cases poor. Among group 1, 25 cases were excellent, 2 cases good, 2 cases fair, 1 case poor. However, among group 2, 3 cases were excellent, 5 cases good, 6 cases fair, 4 cases poor. Average Lysholm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62.4 preoperatively to 94 postoperatively in group 1, and from 58 preoperatively to 77.9 postoperatively in group 2. The joint space narrowing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knees standing AP view. Conclusion: The arthroscopic partial meniscectomy for a patient with the degenerative articular cartilage was an effective treatment. However, we could not satisfy the results, in cases of Outerbridge grade III and IV. In grade III and IV, the partial meniscectomy was not aggravated the cartilage damage.

      •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최남용,한석구,나기호,서상일,이도성,송현석,Choi, Nam-Yong,Han, Suk-Ku,Nah, Ki-Ho,Seo, Sang-ll,Lee, Do-Sung,Song, Hyun-Seok 대한관절경학회 2004 대한관절경학회지 Vol.8 No.1

        서론: 만성 전방 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후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1년 2월까지 만성 전방 십자인대 손상에 대하여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2예, 여자가 6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32.4세 (20${\sim}$50세)였으며, 수상 원인은 교통 사고와 스포츠 손상이 대부분(89.5%)을 차지하였다.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2개월이었고 수술 후 추시 기간은 평균 19.2개월(12-36)이었다. 수술 후 평가는 관절 운동범위, Lachman 및 pivot-shift 검사, KT-1000 관절계를 통한 경골의 전방 전위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슬관절 기능적 평가는 Lysholm 슬관절 점수와 modified Feagin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술 후 관절 운동범위의 제한은 없었으며, Lachman 및 pivot-shift 검사에서 37명 환자(97.4%)가 정상 또는 grade 1의 안정성을 보였다.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경골의 전방전위는 20 Ib 부하시 정상 측과 비교하여 평균 2.1 m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Lysholm 슬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65점에서 술 후 90점으로 향상되었으며, Modified Feagin score에 의한 평가는 89.5%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결론: 전방 십자인대 손상에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여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자가 조직에 대한 우수한 대체물로 사료된다. Purpose: We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of ACL(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of chron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with a fresh frozen Achilles allograft, retrospectively. Methods: Thirty-eight patients(average age 32.4 years) who had an chronic injury of ACL reconstructed with an Achilles allograft between January 1999 and February 2001 were included. The mean follow-up was 19.2(12-36) months. The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y range of motion, Lachman and pivot-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Lysholm knee score, and the modified Feagin score. Results: All patients recovered full range of motion of affected knees. With use of Lachman and pivot-shift test data, thirty seven(97.4%) were functional. When comparing KT-1000, we found mean maximum side-to-side differences less than 2.1 mm. According to Lysholm knee score, mean postoperative score was 90.4. Thirty four(89.5%) had good to excellent results in modified Feagin score. Conclusion: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using fresh frozen Achilles allografts were comparable to autografts. ACL reconstruction with Achilles allograft could be a reasonable altemative to autografts.

      • 오구 쇄골 인대파열이 동반된 원위부 쇄골골절의 치료

        최남용,김영훈,박성진,한석구,나기호,송현석,권용진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1

        목적: 오구 쇄골 인대파열이 동반된 원위부 쇄골골절의 방사선적 및 임상적 치료결과를 알아보고자 아였다. 대상 및 방법: 술 후 최소 6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6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남자는 12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43세(28-80)였다. 저자들이 정한 방침에 따라 10례의 Craig 골절 분류 제 2형은 오구-쇄골간 금속나사 고정과 함께 금속판을 사용하였고, 제 5형의 6례는 오구-쇄골간 금속나사 고정과 인대봉합술을 시행하였으며, 오구-쇄골 간격 및 골유합 시기, 관절운동 범위 및 동통 정도와 함꼐 합병증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결과: 감염성 불유합이 발생한 1례를 제외한 15례에서 골유합이 발생하였고, 이들 모두 최종 추시상 정상범위의 견관절 운동이 관찰되었다. 오구-쇄골 간격은 건측과 비교하여 오구-쇄골간 금속나사 고정과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서는 평균 2.1㎜가 증가하였고, 인대봉합술을 병행한 군에서는 1.3㎜ 증가하였다. 또한 평균 골 유합 시기는 14.3 주이었으며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Craig 분류 제 2형과 5형을 각각 금속판 고정 또는 오구 쇄골 인대의 봉합술과 병행한 오구-쇄골간 금속나사로 고정하였으며, 이는 오구 쇄골 인대파열이 동반된 원위부 쇄골골절의 치료방법 선택에 유용한 지침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