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성곽과 돈의문의 가치

        나각순 서울역사편찬원 2011 서울과 역사 Vol.- No.77

        성곽의 의미는 시대와 장소 따라 달리할 수 있으나, 대내외적으로 나라와 정권을 상징하고, 지배집단에 의한 피지배집단의 통치의 상징이 되기도 하고, 외적을 방어하는 국력을 표현하며, 완강하고 횡포한 내외의 적대세력을 물리치는 구실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방을 위한 물리적인 요소로서의 성곽은 매우 중요하다. 나아가 교통로인 성문에 걸린 현판에 새긴 인․의․예․지 덕목은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가치와 국가정치이념으로서의 중요성을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 나라를 지키는 진정한 힘은 정치와 교화를 밝게 하여 인민들이 평안하고 풍요롭게 사는데서 나오는 것이고 볼 때, 인민들의 노역을 강요하여 도성을 축조한 것은 국가 방어의 여러 측면 가운데 가장 낮은 단계라고 볼 수도 있다. 조선왕조는 한양 천도와 더불어 궁궐 축조가 끝나자마자, 곧바로 도성을 축조하여 궁성과 도성을 갖추었다. 도성은 궁궐과 각종 도시시설을 에워싼 백악․낙산․목멱산․인왕산의 내4산을 잇는 형태로 산지와 평지에 축조되었다. 그리고 서울도성의 4대문 4소문 가운데 서쪽 대문으로 敦義門이 건립되었다. 성문의 이름은 의로움을 돈독히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유교덕목인 仁․義․禮․智․信 가운데 오행에 따라 방향을 잡아 서쪽을 뜻하는 義를 취하였다. 따라서 義로움으로 不義를 물리치는 기상을 실천한다면 국가의 운명은 영속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가치를 부여하였다. 물론 이는 부국강병의 저력을 유지할 때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내부 구성원의 정의로운 사회질서를 위한 공동가치로 강조된 돈의문의 의미가 더욱 부각된다. 그런데 돈의문은 많은 역사의 현장이 되었다. 특히 계유정난 때 김종서는 도성의 돈의문 밖 집에서 돈의문을 열지 못하여 도성 안으로 들어와 군사를 지휘하지 못하여 靖難功臣에게 피살당하였다. 또 乙未事變 때는 흥선대원군은 일제에게 거의 강제적으로 끌려서 돈화문을 지나 경복궁에 머물게 되었다. 여기서 도성은 군사력 동원과 함께 정치권력이 누구의 손에 들어가는가 하는 실질적 통치력과 직결되어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20세기 들어 일제 침략에 따라 도시계획이라는 미명 아래 성벽과 성문이 마구 파괴되어 민족과 국가의 자존심에 상처를 입기도 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광복 이후 서울성곽을 복원하는 과정을 통하여 유구한 역사를 바탕으로 생명력 있는 문화유산을 지키고 창조하는 역사문화의식을 높여 나가고 있다. 현재 돈의문의 복원이 추진되어 2013년에 제 모습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이 기대가 실현되어 원만한 복원이 이루어진다면, 서울성곽이 탕춘대성․북한산성과 이어져 삼국시대 이후 우리나라 도성제 발달의 완결편을 보여주는데 한걸음 나아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우리 역사의 전통과 문화적 특수성을 보여주는 인류문화유산 가운데 뛰어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Seoul Castle is the capital cit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astle symbolizes a state and also means the authority of a king along with the royal palace. Furthermore, the castle implies the spirit of defense to protect the capital, Seoul. It was the basic system to maintain the state that mobilizes the public and the military for protecting the capital as well as for building, reducing and rebuilding a castl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he value of philosophy managing a country which is demonstrated on the signboard on the gate of castle. The most important value for the public order was the practice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during the Joseon period. Thus, it was considered that the state would be permanently maintained by the practice of spirit defeating injustice by righteousness as shown in the signboard of Donuimun, the gate of Seodaemun(West Gate). Accordingly, reconstruction of Donuimun which was collapsed by foreign power will be the work to restore the legitimacy of distorted Korean history. Moreover, it will be the work to highlight the history and culture of Seoul, the capital of Republic of Korea, more than ever. Meanwhile, Donuimun, the west gate in the castle during Joseon period, was the site of political upheaval, rebellion and foreign invasion as well as the transportation center. It was because the passage to the castle was directly linked to the political authority actually exercising the political power as well as mobilizing the military. Accordingly, reconstruction of Donuimun will be more valuable when Donuimun can be the site for education where we deliberate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and transportation contained in a gate and realize and practice the basic spirit of righteousness beyond the visual value as the cultural property.

      • KCI등재

        서울 한양도성의 기능과 방위체제

        나각순 서울역사편찬원 2012 서울과 역사 Vol.- No.80

        조선 건국 초에 축조된 서울 한양도성은 대외적으로는 외적의 공격이나 내란을 막을 수 있는 실용적 조형물로서 나라의 안정과 주권수호의 상징이 된다. 대내적으로는 왕권의 위엄과 국가의 권위를 국민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사회신분구조와 통치체제의 안정을 꾀하는데 기여하였다. 즉 왕권의 상징이라는 관념적․정치적 이념의 실질적 상징물로서의 기능이 부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역대 왕조의 도성제를 통하여 확인되는데,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이어 조선시대에도 도성은 방위 기능보다 왕권의 상징으로서의 의미가 더 컸다. 조선왕조는 한양 천도 직후 궁궐과 도성을 갖추었다. 궁궐을 에워싼 4산의 구릉과 평지를 이어 연장 18.627㎞로 축조되었다. 한편으로 한양도성 인근에는 북한산성․탕춘대성․남한산성 등 산성 체제와 수원․광주․강화․개성의 4유수 체제에 의한 도성 방어체제를 구축하였다. 산성과 유수부에는 왕과 군사들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시설물과 더불어 승병을 유지하기 위한 사찰과 정자 등이 지어졌다. 또 도성 방위체제는 국경 관문에서 원교문․근교문․도성문․궁성문의 성문체제로도 이어졌다. 조선시대 한성부는 삼국시대 이래의 전통을 이어 평지성과 산성 체제를 갖춘 방위구조를 갖추었다. 평지성과 산성 체제로 이루어진 도시구조는 도성을 보호하거나 왕을 비롯한 주민 전체의 피난과 농성을 위한 군사적인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서울 한양도성은 도성과 산성(북한산성)을 잇는 중간 성곽(탕춘대성)이 축조됨으로써, 세계문화유산의 탁월한 보편적인 가치를 가진 성곽체제를 이루고 있다. 한편 15세기 중엽 조선시대 도성 방어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군사제도에 편제된 중앙군은 오위, 즉 의흥위․용양위․호분위․충좌위․충무위로 구성되었다. 이들 오위에는 각기 중앙군의 13개 병종과 한성부와 전국의 지방군까지 편제되었다. 그러나 오위제는 하나의 훈련체제였고, 중앙군의 실체는 갑사를 위시한 직업군인으로 이루어졌다. 이어 16세기 전반기에는 변방지역 방위체제로 이루어진 진관체제를 보강하여 중앙에서 도원수 등 지휘부가 파견되어 군사를 지휘하는 제승방략이 시행되었다. 한편 1592년 임진왜란과 1636년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왕조는 군사제도를 개편하여 한양 방위체제를 개편하였다. 즉 훈련도감이 신설되어 포수·사수·살수 등 삼수병이라는 특수부대를 편성하여, 일반 양민과 천민들을 편제하였다. 그 뒤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서울과 경기 지방의 경비 강화를 위해 총융청을 설치하였으며, 후에 북한산성 수비를 전담하였다. 또 인조 초에 남한산성을 쌓고 그 안에 수어청을 신설하여 그 인근의 여러 진을 경비하게 하였다. 효종 3년(1652)에는 어영청을 신설, 총포병과 기병을 주로 하는 부대를 편성하였다. 또 숙종 8년(1682)에는 도성의 방위를 강화하기 위해 금위영을 신설하였다. 이리하여 도성 방위체제는 훈련도감․총융청․수어청․어영청․금위영의 5군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5군영 체제는 19세기 말 근대식 군사제도가 도입될 때까지 수도 서울 방위를 담당하는 체제로 유지되었다. 한편 숙종은 1710년 한양도성을 수축하고 북한산성을 축조하면서 도성사수체제를 유지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이후 1751년 영조의 왕명에 따라 「수성절목」을 제정하여, 국가 유사시 한성부의 백성들은 모 ... The Fortress Wall of Seoul(Hanyangdoseong)built in early period when Joseon was established was the practical structure to block the invasion of enemies or rebellion and was the symbol of national stability and protection of sovereignty of a state. It contributed on securing stability of governing system and social class system by demonstrating the dignity of sovereign power and authority of a state to the public internally. In other words, it had the function as the practical symbol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philosophy, the symbol of sovereign power. Such function was proved by the castle town system in dynasties of many generations in Korea. A castle town in Joseon period following Three States period and Goryeo period had more significant meaning as the symbol of sovereign power than as the defense function. Joseon dynasty built the palace and castle town right after moving the capital to Hanyang(present Seoul). The fortress wall was built in 18.627km along the hills of four mountains and fields around the palace. The fortress system including Bukhansanseong, Tangchundaeseong and Namhansanseong and capital town defense system having 4 magistrates in Suwon, Gwangju, Ganghwa and Gaeseong around the Fortress Wall of Seoul(Hanyangdoseong) were built as the defense system for the capital town. The fortresses and magistrate provinces had essential facilities for survival of a king and soldiers and temples and pavilions to keep monk soldiers. Furthermore, the fortress gates including Wongyomun gate, Geungyomun gate, Doseongmun gate and Gungseongmun gate were a part of capital town defense system on the gateways on the border. Hanseongbu had the defense system with the castle on the field and fortress system in Joseon period as inheriting the defense system used since Three States period. The capital town structure with the castle on the field and fortress might be for military purposes to protect a capital town or help the public or a king to flee. Furthermore, the Fortress Wall of Seoul(Hanyangdoseong)had the fortress system having the distinguished common value as the World Heritage because it had the intermediary fortress(Tangchundaeseong) connecting the capital town and the fortress(Bukhansanseong). The central command organized in the military system for the defense system of capital town in Joseon period in mid 15thcentury comprised five camps, Uiheungwi, Yongyangwi, Hobunwi, Chungjwawi and Chungmuwi. Five camps had the regional forces as well as Hanseongbu and 13 branches of central command. However, five camps system was one of training systems and the central command was organized with professional soldiers Gapsa(armed bodyguard). Jingwan system(garrison-command structure) comprising the defense system for border areas was supplemented in early 16thcentury. The command group including commanding generals was s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regional camps and so local self-defense was implemented as those command groups commanded the soldiers. Meanwhile, the Joseon dynasty passing through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Manchu invasion in 1636 reorganized the military system and defense system for Hanyang. In other words, Hunryeondogam(military training agency) was established and Samsubyeong(three combat forces) including Posu(musketeers), Sasu(archers) and Salsu(lancers and swordmen), the special forces, was established using the general public and the lowest class of people. When Yi Gwal’s rebellion broke out in 1624(2nd year of King Injo’s reign), Chongyungcheong(command of Northern approaches) was organized to strengthen the defense of Seouland Gyeonggi region. Later, it wholly took charge of defense for Bukhansanseong. Furthermore, Namhansanseong fortress was built in early period during King Injo’s reign and Sueocheong(command of Southern approaches) was established in Namhansanseong for guarding several Jins(camps) around. Eoyeongcheong(capital guard units) was established in 1652(3rd year of Kin...

      • 高麗武臣政權硏究

        나각순 成均館大學校 史學會 1990 成大史林 Vol.6 No.-

        이상 살펴본 저서의 내용을 통하여 고려무신정권의 실태와 지배기구·민란의 역사적 지향성 등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의 보다 실증적인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서술된 본 저서는 역사적 주체를 밝히는데 기여하고 있다 할 것이며 여기서 한단계 더 나아간다면 이러한 구체를 역사적 지향의 방향으로 논증하고 있다 할 것이다. 물론 저자의 의도가 충분히 제시되고 있다 하겠으나 한국중세사의 전형적인 사회구성체의 형태를 일본사의 막부정권체제와 비교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세계사적인 중세사회의 전형과 대비 강조함에 있어서는 그 내용이 소략하지 않았는가 하는 느낌이 든다. 따라서 본 저서의 실증적 연구토대를 바탕으로 이 시기의 사회·경제적 하부구조를 더 깊이 밝혀나가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보다 깊은 방법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고려무신정권 연구가 진행된다면 오늘날의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는 역사적 지혜가 발현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서울지명의 변천과 특징

        나각순 서울역사편찬원 2008 서울과 역사 Vol.- No.72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capital city of Korea are the historical heritage since the trace of people who have gotten accustomed to nature, geography, customs and systems of the city remains in the names. Seoul was the capital city of both the Baekje and Joseon Dynasties.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city, which were related to historical relics, famous people and particular incidents, have survived so far. In the Joseon Dynasty, for example, the political philosophy of the Dynasty spread to people by reflecting Confucian virtues (ex: humanity, righteousness, courtesy, wisdom, and trust) in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capital city, which became the basis for the current names. However, the traditional geographical names of the capital city went through a great chang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l geographical names of Seoul changed to Japanese words. Some regions were even named after Japanese invaders. A lot of geographical names and meanings were distorted during this period. Since national liberation, people have worked hard to reinstate the traditional geographical names. They have tried to elevate historical consciousness by naming regions and streets with national heroes’ names. Since the late 1960s, many regions have been newly named in accordance with the great social changes such as the sharp increase in population and rapid economic growth. In addition, the Street Naming Committee and National Board of Geographic Names were founded. Due to a high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geographical names of Seoul have greatly changed. Due to the expansion of housing and industrial facilities, many forests, fields and streams have lost their original names or acquired brand-new names. As Seoul has developed into a metropolitan city, its geographical names have become complicated. As a cultural and global city, the names have become more refined and stylish. The complicated geographical names are becoming simplified or beautified over time. Since the rapid population increase and divis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have caused chaos in geographical names, however, revisions are being requested by the public. 서울지명은 서울의 자연·지리·풍속·제도 등 서울에 터전을 마련하고 문화생활을 했던 사람들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역사적 산물이다. 따라서 서울지명은 유구한 역사를 가진 도시로 백제와 조선의 도읍지로 기능하면서 역사적 유적이나 인물·사건 등과 관련된 지명이 생명력을 가지고 현재까지 존속한다. 조선시대에는 인·의·예·지·신의 유교 덕목을 지명에 반영함으로써 조선왕조의 정치이념을 백성들에게 전파하여 국가통치의 근간으로 삼았으며, 이는 오늘날 서울지명의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우리 지명은 일제에 의해 식민통치가 행해지면서 커다란 진통을 겪어야 했다. 서울의 모든 지명이 일본식으로 바뀌었는데, 심지어 침략 원흉들의 이름을 지명으로 삼기도 하였다. 그리고 본래의 글자나 의미를 자의적으로 고치는 등 많은 지명이 왜곡되었다. 그렇지만 해방과 더불어 우리 지명을 찾고자 노력하여 전통적인 지명을 살리고, 역사의식 고취를 위한 위인의 이름을 지명이나 가로명에 붙이기 시작하였다. 특히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인구증가와 이른바 압축성장이라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많은 지명이 생성되었다. 도시개발과 도로확충 등으로 가로명제정위원회, 지명위원회가 설치·운영되었다. 이와 같이 서울의 지명은 처음에는 단순한 자연지명에서 출발하여 인구집중과 도시화·산업화 등으로 인한 도시환경의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었다. 논·밭·임야·하천변은 주거공간과 산업시설입지로 변함에 따라, 많은 지명이 소멸되고 새로운 성격의 지명이 생성되기에 이르렀다. 아울러 서울지명은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 거대도시로 발전하면서 복잡하고 다기한 지명이 무수히 많다는 고밀도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문화도시·국제도시로서의 성격이 반영되어 지명에 세련미를 더하였다. 복잡한 지명은 세월이 가면서 단순화되기도 하고, 미화되기도 하였다. 아울러 급속한 인구증가와 행정구역 분할은 ‘新’자나 숫자를 나열하여 극도로 문란한 서열을 보이고 있어 개정을 요구하는 여론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