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교육정보화 기기 활용이 학습전략 및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영향에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희배,장재홍,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4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the use of ICT in education draws a lot of attention from educators and researchers in educational field.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elementary students’ use of ICT could enhance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whether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could enhance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ir use of ICT could affect positively on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via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a structural equations model with the use of ICT(PCs, mobile phones including smart phones, and pads) of elementary students,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data were 2,929 elementary students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collected by Busan Educational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As a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1) elementary students’ use of ICT enhances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2)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enhances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3) their use of ICT affect positively on learning strategy and self-directed learning via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Implications were provided from the conclusions. 지식정보처리역량과 ICT 매체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교육현장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ICT 매체 활용이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높이는지, 지식정보처리역량이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지, 최종적으로 지식정보처리역량이 ICT 활용의 학습전략 및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영향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ICT 매체사용(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기기 사용), 지식정보처리역량, 학습전략, 자기주도학습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부산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집한 부산교육종단연구로 층화군집표집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928명이다. 연구결과와 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ICT 매체 사용은 지식정보처리역량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끼친다. 둘째, 지식정보처리역량은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ICT 매체 활용은 지식정보처리역량을 매개로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일상적인 ICT 매체 활용, 학교교육에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현대 교육공학 연구의 동향 및 과제

        金喜培 관동대학교 1998 關大論文集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to provide a new theory and methodology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order to develop a new theoretical knowledge and methodological orientation. With a view of recent research trends, we need to adapt two aspects: one is 'constructivism' the other is naturalistic inquiry paradigm'. Because the two aspects in moder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fields open a new possibility of rebuilding theory and methodology fo educational technology. Today educational technology is undergoing identity crisis of its cademic position. To overcome this crisis, educational technologists must be concentrate on the paradigm shift, through exploring the different theoretical perstectives and the alternative mathodology.

      • KCI등재후보

        산학연계형 대학 이러닝 학습성과 사례연구

        김희배,박인우,임병노,임정훈 한국기업교육학회 200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0 No.2

        Recently, e-Learning has been an issue as a new method for higher education. Although building the infrastructure, changing the thoughts and mind of the member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ing system, and expanding hardware are important for facilitating e-Learning for higher education, above all development and use of high-quality e-Learning contents are the most important. In this viewpoint, the institutes of higher education need to find a strategical cooperation with the e-Learning company that develop or serve high-quality e-Learning contents. That is, the issue of development and use of e-Learning content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y needs to be at the center of discussion. In this perspective, the study aimed at finding empiricall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operation of academy and industry, that is cooperation between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and e-Learning company through e-Learning contents. The purpose was to be accomplished by presenting an excellent case of the cooperation. With the study, it was identified how to enrich the educational capability of e-Learning and increase the level of member's satisfaction at colleg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academy and industry in the future. Furthermore, some valuable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where the government, academy, and industry all together focus 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e-Learning educational system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academy and industry. 최근 들어 대학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 이러닝이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대학에서 이러닝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인프라 구축과 구성원들의 인식과 태도 변화, 행재정적인 지원체제의 마련 등 하드웨어의 확충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양질의 학습콘텐츠를 보다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도록 하는 일이다. 이렇게 볼 때, 보다 양질의 소프트웨어(콘텐츠)를 개발, 서비스하고 있는 이러닝 산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모색하는 일이 요구된다. 즉, 산학간 콘텐츠의 공동 개발 및 활용 과제가 대학 이러닝 관련 사업 및 정책에서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과 민간업체가 이러닝 콘텐츠를 매개로 해서 산학연계형 교육적 효과성을 하나의 실천적 우수사례로 창출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향후 대학과 민간업체가 어떠한 전략적 제휴 과정을 통해서 대학의 이러닝 교육역량을 강화시켜 나가고, 동시에 대학수요자의 이러닝 만족도를 제고시켜 나갈 수 있는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산학연계형 이러닝 교육체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정부와 대학, 기업 모두가 고등교육 이러닝 정책의 핵심이 어디에 놓여야 하는지를 시사받을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에서의 융복합교육모델 탐색

        김희배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2

        현대사회는 혁신과 통섭을 중요한 키워드로 등장한 창조융합사회로 대변된다. 이에 대학에서도 학문간의 경계를 넘어서서 새로운 사회변동에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융복합형 인재양성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요구를 반영하여 인문, 사회, 공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여 새로운 사고를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융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대학교육의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다. 이러한 융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학문분야 간의 통합된 교육과정 개발과 이를 실천하는 융복합형 교육(모델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제한적인 교수자의 전공 및 경험중심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전공간의 지식 및 정보, 기술, 수업경험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새로운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는 물론 학생들의 학습역량 향상과 창의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 등이 신장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융복합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대학교육체제를 구축하는 작업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즉, 학문간의 경계 또는 전공분야별 수업간의 장벽을 허물고, 융복합 형태의 학제간 교류 및 통섭적 관계망을 전제로 한 새로운 창의적 융복합형 교육과정 및 교육모델을 개발해야 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교육지원체제를 구축 운영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른바 “학문적 융복합”(Academic Convergence)을 근간으로 한 창의적인 통합교육모델 개발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필요성에 기초해서 대학의 전학문분야에 적용가능한 융복합형 교육모델을 개발, 제안함으로써 새로운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 개별화 수업체제에 기초한 수업모듈의 개발

        金喜培 관동대학교 2000 關大論文集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Keller Plan model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timulating student motivation and monitor attitude toward the Keller Pla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70 college student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in Kwandong University which cosisted of 35 students of expermental group and 35 students of control group. The research design was noneqivalent-control group design due to the fact tha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 of natural academic calender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vement between two groups was not apparent. Although statistically no score difference who foun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pperared to be from 8.26 at pre-test to 6.20 at post-test in which the score of control group was increase at 2.06 at post-test compared to the score of Keller Plan group. The second, the difference in withdraw rate and absent rate between two groups were found in which the withdraw rate and absent rate of Keller Plan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has more activenty participated in the class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did. The third, attitude toward the Deller Plan model appeared to be positive than traditional lecture method reflected by Deller Plan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Deller Plan model can be applicable to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would b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