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분진 발생 작업장의 분진 발생 실태 및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김희만,김돈균 한국산업위생학회 1994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4 No.1

        The author selected 77 dust emissing processes from 71 types of industries which placed in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Pusan. The level of total dust was measured as areal concentration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by low volume air sampler and personal air sampler, respectively. Collected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chemicals and rubber product, metal product, sawmills and wood, foundries and others). Respirable particulate and total dust of areal and personal exposur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l of the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 and total dust of steal and personal concentration were log-normally distributed. 2. Geometric mean of respirable particulate of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measured 0.55 ㎎/㎥ in the first group, 0.86 ㎎/㎥ in the second group, 0.39 ㎎/㎥ in the third group, 0.81 ㎎/㎥ in the forth group and 0.52 ㎎/㎥ in the fifth group. The exceed rates over TLV (the hold limit values) of total dust were 31.3% in the first group, 31.3% in the second group. 70% in the third group, 80% in the forth group and 13.3% in the fifth group.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eal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area. 4. In the case of high ratio of respirable particulate to total dust, pneumoconiosis incidence was high even though the workshop was opened and emissing dust concentration was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desirable to measure respirable particulate i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dust emissing workshops.

      • SCOPUSKCI등재

        포스터 전시 : 간경변증 환자에서 복수와 정맥류의 상관 관계

        김희만,전재윤,윤영준,안상훈,박영수,백용한,이관식,한광협,문영명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간경변증 환자에서 식도 또는 위 정맥류의 진단을 위해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 이은 출혈의 과거력이 없었던 정맥류의 일차 예방을 위한 베타 차단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고, 급성 상부위장관 출혈 시 출혈부위를 예측하여 치료의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식도 또는 위 정맥류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 추적 검사의 필요성, 시기, 횟수 등에 관련된 구체적인 원칙은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복수는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신체검사나 비침습적인 복부 초음파 검사로 쉽게 진단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자들은 이와같은 복수 진단의 용이함을 이용하여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하지 않고도 위 또는 식도정맥류의 유무 및 중등도를 예측할 수 있을지를 알아보기 위해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 환자에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복부 초음파 검사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같은 시기에 실시한 총 23명의 간경변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수의 중등도는 복부 초음파를 통해 small, moderate, large 세 군으로 분류하였고, 위 또는 식도 정맥류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해 형태, 색조, 위치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정맥류의 분류는 1991년 일본 문맥압 항진증 연구회의 식도 위 정맥류 내시경 소견을 따랐다. 결과: 대상 환자 나이의 중앙값은 53 (39-70)세였으며 성별은 남녀가 각각 15명, 8명이었다. 간경변증의 원인으로 B형 간염이 13명(56.5%), 알코올성 간경변증이 9명(39.1%),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이 1명(4.3%)이었다. 대상 환자의 간경변증 이환기간은 24 ?5.2개월이었고 복수의 양은 small 군, moderate 군, large 군이 각각 4명(20%), 7명(35%), 9명(45%)이었다. 내시경 소견에서 식도 정맥류는 18명, 위 정맥류는 6명, 식도와 위정맥류가 동시에 있는 경우는 6명이며, 5명은 복수가 있더라도 정맥류가 없었다. 형태에 따른 분류로 볼 때 F0, F1, F2, F3 가 각각 5명, 5명, 12명, 1명이었다. 위치에 따라 하부, 중부, 상부식도가 각각 4명, 11명, 3명이었다. 복부 초음파로 측정한 비장의 크기는 식도정맥류의 형태에 따른 네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순서대로 평균 11.7 cm, 13.6 cm, 14.4 cm, 15 cm로 비례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네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백혈구, 혈소판, 총단백, 알부민 등 혈청학적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복수의 백혈구, 알부민, 전해질 등과 24시간 소변의 나트륨 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식도정맥류의 형태, 정도 및 위치와 복수의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초음파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복수의 정도는 식도 정맥류의 존재나 중등도를 예측할 수 없었으나 비장의 크기와는 비례하는 경향을 보여 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중이다.

      • KCI등재

        『연경재전집』의 지리류(地理類)와 한국고대 영토 인식

        김희만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7

        The book of 『硏經齋全集』 by Seong, Hae-eung(1760~1839), is largely composed of a main books, an outer books, and a separate books. Among them, the composition of Geography Genre consists of ‘史料地理類’, 「山水記」, 「古蹟類」, 「東國地理辨」 and so on. In this article, I tried to find a new approach through geography among Seong Hae-eung’s various expertise. As a result, 『硏經齋全集』 contains 「山水記」, 「古蹟類」, 「東國地理辨」, which show the perception of the land of Joseon society, so that it can be used to expand the historical and geography contents of ‘史料地理類’ found it helpful. In addition, it is also revealed that Seong, Hae-eung uses the terms ‘East’ or ‘East Country’ which largely contrasts with China. And by collecting and organizing various data that can recognize the territory of ancient Joseon at the time, in items such as ‘西北疆域’, ‘西北邊界’ and ‘漢二郡考’.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status of various ancient territorial perceptions of Korea as viewed by Silhak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실학자인 성해응(成海應, 1760~1839)의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은 크게 본집·외집·속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리류’의 편성은 외집 권44부터 권51까지의 ‘사료지리류’와 속집 권50의 「산수기」, 외집 권63의 「고적류」, 속집 권16의 「동국지리변」 등이다. 지금까지 성해응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문학과 경학사상을 중심으로 이해해왔으나, 이 글에서는 성해응의 다양한 전문지식 가운데 ‘지리류’를 통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모색해보려고 하였다. 먼저, 『연경재전집』의 지리류에 보이는 다양한 사항을 분석하여 그 구성과 내용에 대하여 구명해보았다. 이 지리류에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자료가 다수 수록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작업의 토대 위에서 성해응이 한국 고대의 영토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그 방법과 인식론을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연경재전집』에는 조선사회의 국토 인식을 알 수 있는 「산수기」, 「고적류」, 「동국지리변」 등이 수록되어 있어서 ‘사료지리류’의 역사지리 내용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성해응은 지리류의 구성을 크게 중국과 대비되는 「동수경」, 「동국천품」, 「동국지리변」 등 ‘동(東)’이나 ‘동국(東國)’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구별하고 있음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서북강역」, 「서북변계」, 「한이군고」 등의 항목에서 당시 고대 조선의 영토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수집, 정리함으로써, 조선 후기의 실학자가 바라본 다양한 한국 고대의 영토 인식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 KCI등재

        淸朝의 金石學

        김희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6 No.-

        이 글은 貝塚茂樹, 『書道全集』 24권, 平凡社, 1961에 게재된 것이며, 『貝塚茂樹著作集』 2권, 中央公論社, 1977, 337~347쪽에 다시 수록된 것이다. 여기서는 그의 저작집 내용을 저본으로 번역하였다.

      • KCI등재

        분진 발생 작업장의 분진 발생 실태 및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김희만,김돈균,Kim, Hee-Man,Kim, Don-Kyoun 한국산업보건학회 1993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3 No.2

        The author selected 77 dust emissing processes from 71 types of industries which placed in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Pusan. The level of total dust was measured as areal concentration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by low volume air sampler and personal air sampler, respectively. Collected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chemicals and rubber product, metal product, sawmills and wood, foundries and others). Respirable particulate and total dust of areal and personal exposur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of the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 and total dust of areal and personal concentration were log-normally distributed. 2. Geometric mean of respirable particulate of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measured $0.55mg/m^3$ in the first group, $0.86mg/m^3$ in the second group, $0.39mg/m^3$ in the third group, $0.81mg/m^3$ in the forth group and $0.52mg/m^3$ in the fifith group. The exceed rates over TLV (thehold limit values) of total dust were 31.3% in the first group, 31.3% in the second group, 70% in the third group, 80% in the forth group and 13.3% in the fifth group. 3. There were sin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real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area. 4. In the case of high ratio of respirable particulate to total dust, pneumoconiosis incidence was high even though the workshop was opened and emissing dust concentration was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desirable to measure respirable particulate i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dust emissing workshop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신라와 탐라의 관계기사 재검토 -문무왕 2년 조와 유인궤전을 중심으로-

        김희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8 No.-

        이 논문에서는 신라와 탐라의 관계기사 가운데 문무왕 2년(662) 탐라국주 내항 기사와 유인궤전의 탐라 태산 봉선(665) 기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신라와 탐라의 관계를 재검토해 보았다. 그것은 신라와 탐라와의 관계기사가 『삼국사기』에는 문무왕 2년에 시작하여 애장왕 2년(801)을 기점으로 끝나는데 반해, 『일본서기』에는 이 두 시기 사이에 보다 다양한 관계기사가 보이고 있기 때문인 바, 그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내용을 고찰하려고 하였다. 먼저, 문무왕 2년(662) 조의, ‘耽羅國主佐平徒冬音律一作津來降’이라는 기사는 그 내용이 비록 짤막하기는 하지만, 특히, ‘徒冬音律一作津’에 주목해서 그 의미를 부각시켜 보려고 하였다. 그 결과 위의 기사를 ‘耽羅國主 佐平 徒冬音律一作津 來降’으로 끊어 읽지 않고, 대신 ‘耽羅國主 佐平徒 冬音律一作津 來降’으로 끊어 읽으면 ‘탐라국주 좌평의 徒, 곧 무리가 ‘冬音津’, 즉 지금의 康津에 와서 항복하였다’라고 인식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기사 다음에 보이는 “三月, 大赦. 王以旣平百濟, 命所司設大酺”했다는 기사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이는 백제를 평정한 기념으로서 뿐만 아니라, ‘탐라국주 좌평의 무리가 ‘冬音津’에 와서 항복하였’기 때문에 그 소식을 전해 듣고, 신라 조정에서는 3월에 국가적인 사면과 큰 잔치를 베풀었던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유인궤전의 탐라 태산 봉선 기사는 665년 이후 신라와 탐라의 역사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규명해 보았다. 또한 이 태산 봉선 이후 탐라의 대외관계 특히, 왜국과의 다양한 관계를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것은 『일본서기』에 탐라와 왜국과의 사신 파견 형식이 처음에는 來朝, 貢獻의 형식으로, 그 후 朝貢과 調使 및 朝貢 등으로, 다시 獻方物의 형태로 변화되는 점에 주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중심으로 신라와 탐라의 관계기사를 여러 관점에서 다시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신라와 탐라와의 관계 및 왜국과의 관계를 『삼국사기』와 『일본서기』 등의 관계기사를 통하여 재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amra,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artic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amra, particulraly the article of the second year of King Munmu(文武王)(662) and the article of Tamra Tai Shan Bongseon(泰山 封禪)(665). It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amra begins in the second year of King Munmu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and ends in the second year of King Aejang(哀莊王)(801), while the "Nihonshoki(日本書紀)" has various relations between these two periods. In this case, the article of ‘耽羅國主佐平徒冬音律一作津來降’ tried to highlight the meaning by paying attention to ‘徒冬音律一作津’, especially though the contents are short. As a result, if you do not read the above article as ‘耽羅國主 佐平 徒冬音律一作津 來降’, but instead read it, ‘耽羅國主 佐平徒 冬音律一作津 來降’, you can see that It will come in a different sense. Also, the following articles, “三月, 大赦. 王以旣平百濟, 命所司設大酺”, It can be interpreted as 'because it destroyed the country, and ordered the department in charge to give a big feast'. Furthermore, it seems that not only the commemoration of Baekje(百濟) but also the news that the group of the Jwapyung(佐平) of Tamra came to the ‘冬音津’ and surrendered, and the Silla regime took a national pardon in March and gave a big feast. Next, I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article of Tamra Taisan Bongseon, “於是, 仁軌領我使者(新羅)及百濟・耽羅・倭人四國使(者), 浮海西還, 以㑹祠泰山”. This article is centered on the possibility of actively extract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illa and Tamra since 665. This means that the four countries including Silla, Baekje, Japan, Tamra, and Why participated in the Tai Shan Bongseon, and there is room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amra. Also, since the Tai Shan Bongseon, Tamra's foreign relations, especially the relationship with the country, are remarkable. This is because Tamra is negotiating with Japan by dispatching envoys to Japan at the same time that Tamra participated in the consciousness of the congregation in Silla. The form of dispatching Tamra to Japan is initially changed to the form of 來朝, 貢獻 and 朝貢, 調使 and 朝貢, and then changed to the form of 獻方物, and it seems that the implications are not small. We need to actively review this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