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블록체인 기반 이더리움 마이닝 관리 시스템

        김휘경(Kim, Hwi-Kyung),최용락(Choi Yong-Lak) 한국IT서비스학회 2016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추계

        기존의 금융거래는 중앙 집중화된 발행기관이나 통제기관이 거래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중개하는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금융계에서는 보안성, 거래 내역의 투명성 그리고 비용 절감 등을 장점으로 하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비트코인, P2P 대출, 주식거래, 해외 송금등에 활용하는 추세이다. 블록체인은 독립적으로 공개된 공통 장부를 관리하는 기술로,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마이너(Miner)들은 이를 관리하는 일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 그 과정에서 소요되는 마이닝 장비(Mining Rig)는 네트워크에 컴퓨터 자원을 제공하고 POW(Proof of Work)를 유지하는데 초당 수천기가 해시를 소모하고 있다. 본 논문은 마이닝 장비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로 마이닝 장비의 성능 저하와 작업 이상 현상을 예측하고 정비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 예측 모형을 평가한다. 비선형 SVM의 Gaussian(가우시안) RBF(Radial Basis Function) 커널을 적용한 예측 모형의 정확도는 0.9318428, 0.8911792, 0.8650138으로 0.6550430, 0.6214637, 0.6348610인 선형 SVM보다 더 적합한 모형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실내공간의 지속가능성 구현을 위한 마감재의 적용연구

        김휘경 ( Hwi Kyung Kim ),정연진 ( Yeon Jin J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경제성과 더불어 환경성, 사회성의 구현을 위한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은, 이제 전 세계적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주거분야에서는 기존의 친환경성을 강조한 형태에서 나아가 거주자의 건강과 안전등의 사회적 의미를 포괄한 개념으로서 지속가능한 주거가 제시되고 있다. 최근 이슈인 실내공간의 마감재에서 기인한 건강, 환경오염 등의 여러 가지 문제는 지속가능한 마감재의 선택과 적용의 중요성을 말해준다. 따라서 거주자의 생활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실내공간의 마감재적용 현황분석을 통하여 거주자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마감재의 적용과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사례대상의 아파트들에서 지속가능한 마감재의 적용비율은 절반 내외 수준이었고, 바닥, 벽체 천정에서 적용 공간에 따라 지속가능한 마감재의 적용 비율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내공간의 지속가능한 마감재 적용의 특성은 마감재의 성능과 거주자의 니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사회지속가능성을 가진 마감재가 많이 적용되어 있는 특성을 보였다. 하지만, 마감제 생산자 및 시공자가 고려해야할 부분에서는 지속가능성의 의미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진정한 의미의 지속가능성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생산자, 시공자, 거주자가 관심을 갖고 지속가능한 실내공간을 위한 인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당장의 효율성과 편이성을 넘어선 사회, 문화적인 합의와 제도적인 뒷받침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실내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마감재들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Along with economic feasibility,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o realize environmental and social feasibility has become a global paradigm. In residential field, sustainable residence is suggested as a concept embracing social meanings such as equity, strengthening of regional society, and conservation of culture together with the original form of emphasizing eco-friendliness.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materials of residential space such as health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are recently becoming issues, tell us the importance of choosing and applying sustainable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aim of suggesting the application of materials and developing direction to increase the quality of residential space through material application situation analysis of residential area that gives a great influence on the residents` living environment.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ntages of applying sustainable material in interior space is taken about 50%, along with applied each space(floor-wall-ceiling), has different of the rate. And presenting that the materials with characteristic of social sustainablity were largely applied due to the fact that interior space is greatly influenced by capacity of material and the residents` needs. However, there was a lament that the part of concerning with manufacturer and operator was not sufficiently reflected about sustainablity. Therefore, to realize sustainability of genuine meaning, it is necessary for a study to be conducted regarding the material that can sufficiently improve recognition, along with social and cultural agree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that go beyond the immediate efficiency and conveni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document for developing and applying materials aiming for sustainability that can be applied to residential space in the future.

      • KCI등재

        한·중·일 전통주거의 재료적용 특성 비교 연구

        김휘경(Kim, Hwi Kyung),최경란(Choi, Kyung R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글로벌 시대의 대두와 동시에 각 나라 고유의 문화적 특성이 중요시 되는 현 시점에서, 자국의 문화정체성 확립은 이제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이에 전통문화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주거건축의 연구는 총체적인 문화연구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조형의 기본요소인 재료를 중심으로 실제적인 조사를 통해 한국 중국일본의 전통건축의 적용 특성을 파악하여, 동아시아의 주거건축문화를 비교하는 동시에 우리나라만의 고유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현지답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이된 건축물은 한국(반가) - 무첨당, 중국(사합원) - 공왕부, 일본(쇼인츠쿠리) - 도큐도이다. 한·중·일의 건축 재료는 목재, 석재, 토재의 자연재료와 금속재, 지재, 기와, 전, 유리 등의 인공재료를 조합하여 건축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런 공통적 특징은 건축구성적인 부분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실내구성으로 갈수록 서로 다른 재료의 선택과 적용의 차이를 보이며 각 나라의 풍토, 가공방식, 생활문화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먼저 나라마다 식생과 기후에 영향을 받은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각 나라의 식생환경을 주거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입식-좌식 문화의 특성, 실내구성에서 종이마감 등 한국과 일본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반면, 중국은 확연히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재료의 가공과 관련해서 한국은 인위적 가공을 줄여 대체적으로 거칠고 투박한 질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반면, 일본은 직재의 사용으로 정돈되고 세련된 느낌의 건축 표현이 이루어졌다. 중국은 세 나라 중에 재료의 인위적 가공이 가장 높았으며, 중국의 채색문화와 관련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벽돌, 유리등 세부 건축 재료에 관련 기술들이 상당히 발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의 건축이 중국과 일본의 중간적 성격을 띄고 있다’ 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재료적 측면에 있어서는 자연미를 강조한 한국과 인위적인 미를 강조한 중국에 일본이 중간적 입장에서 재료를 적용한 모습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재료의 비교를 통해 한·중·일의 풍토성, 기능성, 심미성 등의 비물질적 요소가 주거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적용되었는지 본 논문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unique cultural traits of each country are valued, it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to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a country. This study is aimed at comparing the residence architectural cultures in East-Asia and thus identifying Korea’s own unique traits by determining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rchitectures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practical investigation of materials, a basic element of architectural shaping. Literature survey and field study were conducted in parallel for this study, and architectural buildings under investigation included Mucheomdang House in Korea, Prince Gong Mansion in China and Dokyudo Building in Japan. Construction materials in Korea, China and Japan include natural materials such as wood, stone and clay, and artificial materials such as metals, paper, roof tiles, plug and glass. and the buildings were constructed with the combination of these materials. This commonality can be often found in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However, in the interior composition, the choice and application of different materials were clear between three countries, which were shown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climates, processing methods and living culture of each country. First of all, since each country selected materials under the influence of its own vegetation and climates, living environment of each country could be seen via its residence. Also, it could be seen that while Korea and Japan show a certain similarity such as the traits of standing-sitting culture and the finish of paper in the interior, China is clearly different. In particular, regarding the material processing, the artificial processing was minimized in Korea, which mainly gave rough and crude feelings while due to the use of straight timbers, the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with organized and refined feelings was made in Japan. China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artificial processing of materials among three countries, which was highly associated with the coloring culture of China. Also, it could be seen that technology related to fine architectural materials such as bricks and glass was greatly advanced in China. Thus, how immaterial elements such as natural characteristics,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were applied in relation to residence in Korea, Japan and China could be determined through the comparison of architectural materials.

      • KCI등재

        반찬전문매장 공간표현에서의 브랜드이미지 적용 특성 연구

        안영명(Young Myung Ahn),김휘경(Hwi Kyung KI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4

        변화하는 현대인의 식생활에 맞춰 반찬전문점이 등장하고 대중화 되었다. 이에 브랜드 반찬전문점은 자사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마케팅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제품이미지, 매장 이미지, 마케팅 이미지 등 브랜드 이미지의 강화와 차별화를 통해 고객을 Lock-in시키는 하나의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 중 반찬전문점 매장의 공간디자인은 브랜드의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반찬전문점 매장의 디자인 사례의 분석을 통해 브랜드 선택속성과 공간 디자인 표현 요소의 상관관계를 정립하고 그 특성과 유형을 브랜드 이미지요소로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례분석의 기준은 브랜드 이미지요소 – 실내디자인요소의 이미지분석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국내 프렌차이즈 반찬전문점의 매장 공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간디자인적 표현에 있어 브랜드 이미지의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반영은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해준다는 결론을 얻었다. 항목 별로 보면, 파사드와 마감재·색채, 오브제 등이 공간표현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로 확인 되었다. 사례 간 비교에서는 브랜드 반찬전문점의 경우 일정 수준이상의 브랜드 디자인 표현 적용성을 보인 가운데 각 사례별 선택 요인으로 유형화를 시도한 결과에서 경제성 추구형이 1개, 편의추구형 2개, 심미추구형 3개의 브랜드로 나타났다, 이는 브랜드 전략 기획 및 운영에서 고객의 지속적인 피드백이 브랜드의 이미지 설정의 강화요인으로 작용 함을 알 수있었다. 획일화되고 고급지향으로 발전되는 반찬전문점의 공간디자인 트렌드에서 보다 개성있는 브랜드로 고유의 차별점을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 Side dish stores are concentrating their marketing capabilities to increase brand awareness and are using it as a strategy to lock-in customers through differentiation from other stores by strengthening brand images such as product image, store image, and marketing image. Among them, the strategy using the space design of the side dish store is that can directly link the brand im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brand selection attributes and space design expression elements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design of side dish store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as brand image elements. The criterion for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mage analysis of brand image elements - interior design elements, and the targets were the store spaces of domestic franchise side dish stor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systematic and active reflection of the brand image in space design expression strengthened the brand image. By item, the facade, finish materials/colors, and objects were identified as the elements that best represent the brand image in spatial express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cases, in the case of brand side dish stores, brand design expression applicability wa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and as a result of attempting to categorize by a selection attribute for each case, 1 brand pursued economic feasibility, 2 brands pursued convenience, and 3 brands pursued aesthetics. This shows that continuous feedback from customers acts as a factor in setting and reinforcing the brand image during brand strategy planning and management, and shows the need to develop a more unique branding in the space design of side dish store, rather than a standardized and high-end design.

      • KCI등재

        반려동물 친화형 공동주택 주거계획 특성 연구 : 반려동물 친화형 공동주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안영명(Ahn, Young Myung),김휘경(KIM, Hwi Kyu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4

        반려인 1500만 시대, 반려동물과의 쾌적한 공생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하나의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주거의 영역에서 볼 때, 인간을 중심으로 계획된 기존의 주거공간은 반려동물과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기 힘든 다양한 문제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반려동물, 반려인, 이웃 거주민(반려인 또는 비 반려인)이 함께 공생하며,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한 삶의 질을 추구하고, 나아가서는 이웃과도 갈등 없이 생활할 수 있는 쾌적한 주거환경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양한 주거계획의 요소의 연구 및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반려동물 친화형 공동주택의 사례의 분석을 통해 공동주거에 특화된 반려동물 친화형 주거계획 요소를 정립하고 그 특성 및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려동물 친화형 주거계획 요소를 실내, 실외, 설비계획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실내계획 요소가 절반 이상으로 실내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반려동물 친화형 주거계획 요소를 중요도 순으로 분류하여, 필수요소 4가지와 더불어 필요요소, 선택요소로 구분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반려동물친화형 공동주거계획의 유형을 반려동물 배려형, 거주자 편의형, 커뮤니티 강화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반려동물 친화형 공동 주거계획의 요소 및 유형분류, 특성분석 결과는 앞으로 공간 및 인테리어, 가구, 설비 등의 다양한 관련 연구의 바탕이되는 이론적인 토대로서 활용될 것이다. In the current era when about 15 million people live together with companion animals, the pleasant symbiosis with companion animals is settled down as a phenomenon beyond a simple trend. Especially, in the aspect of residence, the existing human-centered residential space shows various problems with enjoying such pleasant life with companion animals.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research/apply various elements of housing plan for coexisting with companion animals, pet owners, and neighbors(pet owners or non-pet owners), seeking for the quality of mentally/physically-healthy life, and forming the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without any conflicts with neighbors. Thus, this study established the elements of companion animal-friendly housing plan specialized in apartment housing by analyzing the cases of companion animal-friendly apartment housing, and the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As a result, the elements of companion animal-friendly housing plan were classified into interior planning, outdoor planning, and facility planning, and the interior planning elements were more than half, so the consideration of interior planning was handled as important. Also, classifying the elements of companion animal-friendly housing plan following the order of importance, they were divided into four essential elements, necessary elements, and selective elements. Lastly, the types of companion animal-friendly apartment housing plan were classified into companion animal consideration type, resident convenience type, and community reinforced type,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Such results of classifying the elements/types of companion animal-friendly apartment housing plan, and analyzing the consequential characteristics could be used as the theoretical basis of various relevant researches on interior design, furniture, and facilit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