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지역 분묘 출토 봉상철기 연구

        김훈희,고상혁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0 新羅文化 Vol.57 No.-

        Most stick-shaped ironwares are recognized as iron axe, iron awl, iron chisel because of the formative feature, which is excavated in the tomb of Yoeng-nam area. Stick-shaped ironwares can entirely be distinguished by plane forms and weights. Distinguished stick-shaped ironwares confirm the change of the time from mid, late-2nd century to 6th century. Stick-shaped ironwares and their original shapes are verified from the stage of wooden coffin tombs. However, while the used bowls which has the certain trace of use are found on the stage of Wooden coffin Tombs, some of stick-shaped ironwares on Wooden chamber Tombs are unclearly found as the used bowls. As you can see, any trace of use was not found, their surfaces weren't trimmed, examples of use by cutting them were confirmed, and the relation of smith's tools is found. From these views, stick-shaped ironwares would rather be inferred as a steel material to make other completed products than as the completed products to use in real. We can confirm production of stick-shaped ironwares made with the method of cementation using wrought iron and low carbon steel as the steel material that can be formed easily and ductile. So stick-shaped ironwares are made as the completed products because not only labor power are wasted but also durability of the steel tools goes down by going through many stage of forge. And the way of how to make a iron helmet could be inferred when we see the sectional shape of iron helmet in the middle, the efficiency of manufacture through the stick-shaped ironwares is confirmed. Stick-shaped ironwares are not found except for the area of Goengju and Gimhye where were the centers of the city from in the middle 2nd century to in the middle of 4th century and the completed products made with stick-shaped ironwares are being confirmed. But, stick-shaped ironwares and smith's tools are confirmed after the middle of fourth century, ironwares appear with the their own character of this area unlike Gyeongju. All over the these, if the circulation system of iron that the completed products was in circulation before the middle of fourth cetury, after that, it would be inferred that the steel material was in circulation.

      • 조영제 농도에 따른 Gelatine Foam의 현탁액화 및 대조도 변화 비교에 대한 고찰

        김훈희,원광년,박재연,하을수,유병규,김은성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0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3 No.1

        목적: 혈관색전술시 색전물질인 Gelatine Foam을 조영제와 생리식염수 혼합액에 현탁액 화하게 된다. 시술 중에 Gelatine Foam 현탁액의 대조도가 낮을 경우 요오드 농도가 같은 조영제 양을 추가하게 되는데, 이는 현탁액을 묽게 만들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조영제 요오드농도 변화에 따른 Gelatine Foam의 현탁액화 소요 시간 및 대조도 변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 본원에서 사용 중인 요오드 농도 270, 300, 320, 350, 370 mgI/mL의 조영제를 생리식염수와 9:1, 8:2, 7:3, 6:4, 5:5, 비율로 혼합 후 Gelatine Foam Particle과 함께 준비된 Tray에 주입 후 Gelatine Foam의 현탁액화 소요시간을 3회 측정 후 조영제 농도별 평균값을 비교분석하였다. (2) 실험(1)의 현탁액을 1cc Syringe에 수용하여 실제 투시 상에서의 ROI(Area 8.6㎟ Circle)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2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현탁액화 소요 시간은 조영제 농도 270mgI/mL와 생리식염수의 혼합비율 5:5에서 평균 3분 56초로 가장 빠르게 나타났고, 조영제 농도 370mgI/mL와 생리식염수의 혼합비율 9:1의 경우 40분 이상에서도 현탁액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Gelatine Foam 결정이 육안으로 구분되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도 차이는 조영제 요오드 농도 370mgI/mL가 생리식염수와 혼합비율 9:1의 경우 270mgI/mL에 비해 약 45.9% 감소한 값으로 나타났고 5:5로 혼합시 약 2배 낮은 ROI값으로 측정되었다. 결론: Gelatine Foam 현탁액의 대조도는 조영제 양보다는 요오드 농도를 높일 경우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요오드 농도가 높은 조영제를 사용할 경우 조영제 부작용으로 환자의 위험부담이나, 환자의 내부 장기에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색전물질에 사용되는 조영제의 농도를 적절히 선택하여 적절한 대조도를 통해 안전하고 성공적인 시술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 KCI등재

        함안 말이산고분군 출토 유자이기의 변천과 의미

        김훈희 영남고고학회 2018 嶺南考古學 Vol.- No.82

        The Malisan ancient tombs in Haman region are the most important sites, as the center of Allakuk(安羅國), in the study of Gaya. In this study, the ceremonial ornament with bird-shaped thorn(有刺利器) excavated from the Malisan tombs were examined. In the analysis of the ceremonial ornament, It attracts attention to the most distinctive part of the bird-shaped decoration. It is largely classified into the old and the new style. It is set to five types of old style and three types of new style. The old and new style differ in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The set pattern is observed to change gradually from the early period to the late period. The duration is divided into five stages from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The scale of the wooden chamber tombs and stone chamber tombs and the main artifacts were examined, and the hierarchy was classified. The ceremonial ornament shows the hierarchical feature that is buried only in the middle grave and above. From the time of the emergence until the extinction period, the position as a superior relics was maintained. The position to be buried is changed. Artifacts what was buried near the body, it changes to the form to be placed on the vice chamber or top of the main in the late period. The ceremonial ornament excavated from the Malisan tombs is confirme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Gimhae region in the 4th century. The bird-shaped decoration on back of the armor excavated from the Daeseongdong No. 2 tomb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earliest period in the old style of the Malisan's ceremonial ornament. From the previous period, the image of the bird-shaped decoration were identified in various artifacts as an important notion of farming rituals, worship of the sky and sun, and ceremonial rituals. It can be seen that the building group of the Malisan tombs placed the ceremonial ornament that has a symbolic meaning on the grave with a high hierarchy continuously. 함안 말이산고분군은 안라국의 중심지이며, 가야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말이산고분군의 유자이기는 새 장식이 되었다는 점에서 강한 지역색을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형장식에 주목하여 말이산고분군의 유자이기를 검토하였다. 조형장식 유자이기의 분석은 두 차원에서 진행하였다. 하나는 조형장식 유자이기의 속성을 검토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유자이기가 부장된 무덤의 위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통해 말이산고분군에서 출토되는 유자이기의 출현과 부장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조형장식에 초점을 두고 볼 때 말이산고분군의 유자이기는 시간에 따라 고식과 신식으로 나뉘며, 고식 5개 형식, 신식 3개 형식으로 세분된다. 각 형식은 부장유구의 규모와 동반유물을 통해 볼 때 중위 이상에서만 부장되는 위세품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출현기부터 소멸기까지 지속적으로 위세품의 지위가 유지된다. 다만, 피장자 인근에 부장되던 것이 늦은 시기로 가면 부곽이나 상부에 매납되는 변화를 보인다. 5기의 전개과정 속에서 조형장식 유자이기의 출현은 대성동 2호 출토 조형장식 판갑으로 미루어 4세기 김해지역과 관련하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새 모양을 장식하는 것은 이전시기부터 농경의례, 하늘·태양 숭배, 장송의례 등을 나타내는 중요한 관념이고 동시기에 위세품에서 다양한 형태로 보이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말이산고분군 조성집단은 이러한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 조형장식 유자이기를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안라국을 대표하는 말이산고분군 조성집단은 이러한 상징성과 위세품의 의미가 부여된 조형장식 유자이기를 제작하여 무덤에 매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발달자산 내적발달자산 및 학업스트레스의 관계

        김훈희,황영신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external development assets, internal development assets, and academic stress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is, it was intended to explore the concrete effects of external and internal development assets on academic achieve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by 782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to third grade. The survey w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the verification of normal distribution by skewness and kurtosi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external and internal assets on academic achievement appeared positive effect. Second, support, empowerment, boundaries and expectations, which are subordinate to external development assets,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learning commitment, social ability, and positive identity, which are subdivisions of internal assets,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relevance of external and internal assets to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verified.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the application of development asset programs centered on support, empowerment, boundaries and expectations, learning commitment, social ability, and positive identity was suggested to be effective.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발달자산, 내적발달자산 및 학업스트레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외적 및 내적발달자산의 하위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구체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과 내용을 살펴보면, 연구대상은 고등학생 1~3학년 782명이었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왜도, 첨도에 의한 정규분포,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외적발달자산과 내적발달자산의 영향은 정적이었으나, 학업스트레스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외적발달자산의 하위변인인 지지, 역량함양, 규범과 기대는 학업성취도에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가 있었으나, 건설적 시간사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내적발달자산의 하위변인인 학습열의, 사회적 능력 및 긍정적 정체감은 학업성취도에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가 있었으나, 긍정적 가치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외적발달자산 및 내적발달자산과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효과적으로 증가하기 위해서는 지지, 역량함양, 규범과 기대, 학습열의, 사회적 능력 및 긍정적 정체감 중심의 발달자산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蕨手型 有刺利器의 變遷과 意味

        김훈희 한국고고학회 2011 한국고고학보 Vol.81 No.-

        The ‘egged tool with barbs’ is generally known as an iron artifact which has a wooden bar socket at the bottom, bracken, spine or bird decorations, and which is symmetrically edged with rectangular iron plates. The bracken decoration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bronzewar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first use of decorative bracken on an iron object was its application to harnesses in the wooden coffin tomb stage. Subsequently, upon entering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the decorative bracken was used for ritual objects and was gradually extended to a variety of artifact types. The ornament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egged tool with barbs could be sorted into those shaped like a bracken or those shaped like a spine. Egged tools with barbs with decorative bracken were distributed mainly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Nakdong River. The egged tools with barbs originated from flat iron axes around the 3rd century CE. From 4th century, iron ingots were used in the egged tools with barbs, and the changes observed in egged tools with barbs showed a certain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is article, the diachronic change of egged tools with barbs using iron ingots is presented through a stylistic study. Three time-sensitive attributes were extracted for chronological recording. The chronological recording consisted of 7 stages and time of appearance, and showed a similar pattern of change with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earthen wares or ancient tomb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this classification in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iron wares, but not earthen war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마인드 퐁 제어를 위한 사물인터넷을 이용하는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김훈희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23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9 No.6

        뇌-기계 인터페이스(BMI)는 신경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인 뇌파를 해석하여 기계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이다. BMI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뇌파 측정 및 해석을 위한 하드웨어의 휴대성이 낮아 대중적으로 사용되기에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전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사물인터넷기반 뇌-기계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 시스템의 실시간 사용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뇌파로퐁(Pong) 게임을 조종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BMI 사용자가 최적 제어 인공지능과의 실시간 퐁 게임 대결에서 대등한 스코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사물인터넷 기반 뇌-기계 인터페이스가일상생활 속 다양항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rain-Machine Interfaces(BMI) are interfaces that control machines by decoding brainwaves, which are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from neural activities. Although BMIs can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their widespread usage is hindered by the low portability of the hardware required for brainwave measurement and decoding. To address this issue, previous research proposed a brain-machine interface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using cloud comput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tested an application that uses brainwaves to control the Pong game, demonstrating the real-time usability of the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users of the proposed BMI achieved scores comparable to optimal control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al-time Pong game matches. Thu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oT-based brain-machine interfaces can be utilized in a variety of real-time applications in everyda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