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철도역사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환승시설의 중요도 분석

        김황배,안우영,이상화 대한교통학회 2014 대한교통학회지 Vol.32 No.5

        Much research has been actively done so far on the inconvenience of each urban railway station; however, Research is on importance factor analysis on transfer facilities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railway stations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study, a novel method of finding causality between transfer facilities(movement, information, comfortability, etc,) in terms of demands and platform types is provided by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SEM analysis show that a large demand transfer station if combined with island and segregate platform types, has a higher importance factor with respect to information facility, movement facility position and comfortability. In addition, a medium demand transfer station if combined with separate and separate platform types has a higher importance factor with respect to information facility, movement facility and comfortability. 개별 도시철도역사의 불편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는 있으나, 역사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환승편의시설의 중요도(importance factor)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활용하여 도시철도역사의 유형(이용수요 및 승강장형태)에 따른 환승편의시설(이동편의시설, 정보제공시설 및 쾌적성 등)의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도시철도역사의 유형별 환승편의시설에 대한 중요도 결정모형을 제시하였다. 도시철도역사의 유형별 중요도 분석결과 대형급 역사이면서 섬식과 상대식이 환승할 경우 정보안내시설, 이동편의시설위치 및 쾌적성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중형급 역사이면서 상대식과 상대식이 환승할 경우 정보안내시설, 이동편의시설 및 쾌적성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도시철도역사 유형과 통행패턴과의 상관관계 분석

        김황배,오동규,이상화,진상규,Kim, Hwang Bae,Oh, Dong Kyu,Lee, Sang Hwa,Jin, Sang Kyu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5

        The travel demand, peak hour ratio and forms of platform of urban railway stations are very different each other, also the users' behavior is. So the types of urban railway stations have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However, the current methods of classification are arbitrary on the purpose of each studies and the legal standards are very simple; categorized by normal station vs. whistle station, types of trains, forms of platforms and shapes of architecture. This study clarifies the standards for classifying the types of urban railway stations, results th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n all the urban railway sta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makes the database based on the surveyed data, purposing on helping for making strategies and researching. On this study, utilizing the database which is established for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users' travel patterns of urban railway stations is clarifie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future, the statistical results will be helpful for making strategies and researching. 도시철도역은 역사의 위치 및 기능에 따라 해당역의 이용객 수, 첨두집중률, 승강장 형태 등이 상이하고 이용행태도 서로 달라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역사 유형 구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도시철도역사 유형은 각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있으며, 법적 기준 또한 단순히 보통역, 간이역으로 구분하고 있고, 열차유형, 승강장 형태, 설치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의 역사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그 기준에 따라 수도권의 모든 도시철도역사에 대한 전수조사를 수행하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향후 다양한 정책 수립 및 연구개발에 활용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사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역사의 물리적 지리적 특성과 이용자의 통행 패턴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내었고, 상대적인 통계값을 이용하여 정책수립 및 연구 개발에 반영한다면 향후에 그 활용성이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된다.

      • 간선도로 접근 관리의 효과 평가 : 수도권 시범교통축 접근관리 전·후 효과평가를 중심으로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공학연구센터 1999 공학연구 Vol.1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ccess control on an arterial roa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 the status quo of an arterial road management in order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As an effective means of accomplishing transportation-land use coordination, access management is a cost-effective technique to restore road functions, increase road capacity, and decrease accidents and emissions by controlling the location and design of driveways, accesses, and signals. The project carried ou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hows that access managed roads are more effective in terms of accident, air pollution and energy reduction, speed and highway capacity improvements, and so on than uncontrolled highway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raffic speed increases at 12% and the air pollution / fuel consumption decreases at 13~45% in the managed roads. We suggest the followings: First, it is essential to build a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of highways and improve their transition system based on movement hierarchy. For that purpos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highway system and classify them on their functions. Second, it is important to operate and manage highways differently on the basis of their functional classe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make guidelines for controlling signal operation and roadside parking. Finall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legal and institutional bases in order to prepare and accomplish a variety of access management programs.

      • 인공사면관리를 위한 GIS의 활용 연구

        김황배,김동문 남서울대학교 2005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rtificial slope inform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concerned with spatial data. Forecasting the occurrence of large, catastrophic artificial slope failures remains very problematic. Artificial slope locations acquire from field survey, and topographic, soil, forest, and geological maps of the study area, Study area were collected and constructed into spatial database using GIS. As artificial slope risk factors, slope, aspect and curvature topography were calculated from topographic database. The system was developed using MapObjects2.1, Microsoft Visual Studio 6.0, and consisted of pull-down and icon menus for easy use. This system is supposed to provide decision markers and managers with the basic data of the priority order and post-management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f cutting artificial slope.

      • Web GIS를 이용한 재해 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

        김황배,김동문 남서울대학교 공학연구센터 2002 공학연구 Vol.3 No.-

        최근에 웹 GIS 기반의 정보관리를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홍수나 지진과 같은 재해관련 정보의 관리와 제공을 위한 웹 기반의 재해 정보 관리시스템 개발은 주민들의 재해에 대한 예방과 대책, 관심지역에 대한 재해 정보 취득의 욕구 충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재해 예방을 위한 계획, 분석과 관리 업무를 위한 폭넓은 공간DB 접근이 가능해야 하며, 인터넷을 통해 재해 정보의 시각화와 수요자에 대한 자료 제공을 위한 재해 현황도 작성이 가능해야 하나, 아직 이러한 분야에 대한 웹 GIS 기반의 연구는 초기 단계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웹 GIS의 개발도구로 HTML, 자바스크립트와 ESRI의 ArcIMS를 이용하여 재해 정보 제공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춘천시의 재해 정보를 웹 기반의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통해 제공할 수 있었다. 구현한 기능을 통해 관심지역의 재해정보를 검색과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을 통해 제공할 수 있었으며, 관심지역의 지형을 VRML을 이용한 3차원 지형모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Lately, much researches for information word of web GIS base are gone. Specially, calam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Site-Based for management and offer of calamity information such as flood or earthquake is necessarily necessary fo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about calamity,\ calamity information acquisition of interest area. Spatial DB access for plan/analysis/management business of this system should be possible and must become display of calamity information and calamity mapmaking through internet for calamity prevention but research of web GIS base about this field is childhood yet. This research executed research for calamity information offer using HTML and Java Script and ESRI’s ArcIMS that is development tools of web GIS. And this research could search calamity information of interest area through various kinds function and offer in display through user selection. Also, topography of interest area could confirm through third dimension topography model who use VRML. And could supply calamity information of Chunchon city using various function through system of Web-Based.

      • KCI등재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분석

        김황배,Kim, Hwang Bae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2

        지하철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설물의 배치, 정보안내의 경우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현재 해당 항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동시설 및 환승편의시설, 정보안내의 만족도간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도시철도 환승역사 15개를 대상으로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이 동일함에 따라 이용자간 중요도 및 만족도 차이, 개선항목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동선교차가 많이 발생되는 승강장 유형(상대식 승강장)과 환승정거장 유형(+, L, T자형)으로 지하철역을 설계하는 경우 이동편의시설 및 정보안내표지의 적정한 위치 선정이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이용자의 불편이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신규 역사 설계 및 기존 역사 개선시 활용이 가능하며,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항목 도출로 지하철 개선비용 효율성 증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layout of facilities, in relation to information and navigational displays, has great influence on subway satisfaction, and tend to vary depending on the types of subway platform and transit station. However, until now, few studies have covered such aspects as of yet. Starting from this view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n IPA analysis technique to analyze that satisfaction on the importance of facilities to aid in accessibility, such as elevators and escalators, transit amenities and information and navigational displays depending on the types of platform and transit station. To do so, we've classified 15 metropolitan stations according to types of platform and transit station and analyzed differences in user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improvements for platforms and transit stations of similar type. B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ve concluded that the proper selection and positioning of elevator and escalator facilities and information and navigational displays was important when designing the subway station according to platform type (separate platform) and or according to the transit station type (cross, L, T types) where pedestrian flow heavily intersected. We considered that such analysis results would be helpful in the design of new stations and the enhancement of existing stations pursuant to a new direction that minimizes user inconvenience, and that improvement items should be developed first according to the platform and transit station types, which would be helpful in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subway improvement cost.

      • KCI우수등재
      • A CONCEPTUAL PLAN OF A NEW MASS TRANSIT SYSTEM AT THE ADMINISTRATIVE CITY IN KOREA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2005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1 No.1

        본 논문은 신행정수도 건설시 건설단계별 수송수요, 도시의 이미지, 친환경성, 시스템별 기술적 특성 등을 고려한 최적 대량수송체계 평가 및 건설방안을 제안한 논문이다. 신행정수도 건설계획에 의하면 도시의 건설은 10만명, 30만명, 50만명 수준으로 단계별로 건설되기 때문에 도시의 간선 대중교통체계도 건설단계별 교통수요와 유지관리비용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신행정수도 내 도입 가능한 대량수송시스템은 중량전철(Mass Transit System : MTS), 경량 전철(Light Rail Transit:LRT), 자기 부상열차(Maglev Rail System:Maglev), 급행버스시스템(Bus Rapid System:BRT)을 대안으로 검토하였으며 평가기준은 시스템별 기술적 특성 및 제약요건, 신행정수도의 건설단계별 수요, 시스템별 건설비 및 유지비용, 행정수도의 상징성, 친환경성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적시스템 선정은 교통계획, 도시계획, 철도차량 기술자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 신행정도시의 최적 시스템은 초기단계에는 BRT 시스템이 가장 적합하고, 중간단계와 최종 완성단계에는 공히 LRT와 Maglev 시스템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건설비용은 약 2.38억 달러가 소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대량수송체계의 건설은 정부예산의 제약사항을 고려할 때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투자하여 건설 운영하는 제3섹터 방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