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와 인권, 인권을 서사화하는 두 가지 방식

        김화선(Kim Hwaseo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3

        본고는 아동청소년문학이 인권 문제를 말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어린이라는 존재의 의미를 재고하는 한편, 인권도서의 범주를 개관하고 인권의 문제를 서사화하는 두 가지 대조적인 방식을 비교해보았다. 먼저, 어린이의 인권 문제를 생각해보는 자리는 방정환에게서 시작된다. 방정환은 어린이를 인격을 지닌 독립적인 주체로 인식하였으나 일상을 살아가는 개별적 주체로서의 어린이가 아니라 ‘어린이’라는 이름으로 표상되는 보편적 주체의 권리를 보장해주었다. 방정환 이후, 어린이의 인권을 재사유하는 아동청소년문학은 대략 두 가지 방식으로 인권 문제를 말하고 있다. ‘인권에 대한 교육’을 목적으로 인권과 관련한 지식을 전달하는 텍스트들은 저자가 의도적으로 개입하여 교훈적 메시지를 제시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높인다. 반면 문학 텍스트들은 동화적 상상력에 바탕을 두고 유토피아적 연대의 가능성을 제시하거나, 어린이들 내부의 차이에 주목하여 일상의 삶을 정치화함으로써 공통적인 세계를 창조해나가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보편적 어린이가 아니라 현실에 존재하는 어린이‘들’에 주목하여 개념어가 명명할 수 없는 개별자들의 인권을 이야기할 때 인간을 위한 문학은 비로소 그 힘을 발휘할 수 있다. In order to look at how children’s literature speak about human rights, this research paper reviewed the meaning of being a child, compared two contrasting ways of opening the categories of human rights books and writing down human rights issues. The place to think about the human rights issue of children begins with Bang Jung-hwan. Although Bang Jung-hwan recognized children as independent subjects with personalities, he ensured the rights of universal subjects represented in the name of ‘children’ rather than children as individual subjects living everyday life. Therefore, post-Bang Jung-hwan, children’s literature that recreates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should pay attention to differences inherent in children as universal subjects. Texts conveying knowledge about human right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on human rights’ do not allow readers the possibility of free interpretation, repeating intentional intervention by the author and outright presentation of instructional messages. On the other hand, works that lead the world’s change show how literature can change the reality, even in the face of the unjust reality of human rights being violated. 『Mr. Mokgirin, Get On!』, 『Do Not Sell Weapons!』, and 『Shout Out, Playground』are examples of the potential of utopian solidarity based on fairy tales of imagination, showing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common world by politicizing everyday life. Literature for humans can exert its power when talking about the human rights of individuals whose conceptual words cannot be named, paying attention to the child’s’ that exist in reality, not a universal child.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김화선, 이희영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대학교양교육연구 Vol.1 No.1

        현 사회는 문제 상황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한다.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강조되는 능력이 의사소통 능력이다. 대학 교육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글쓰기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기초 글쓰기 교과목을 운영하고, 대학 내 글쓰기 전담 부서가 운용됨으로써 대학 글쓰기 교육은 양적⋅질적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 상황에서 국내 대학의 글쓰기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글쓰기 관련 교과의 현황을 살펴보면 크게 3 분류로 나눌 수 있다. 1학기에 2-3학점의 기초 글쓰기 교과를 운영하는 경우, 1학기에 2-3학점의 계열별 글쓰기 교과를 운영하는 경우, 2학기 이상 글쓰기 교과를 운영하면서 글쓰기 교육 로드맵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그것이다.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장기적 안목으로 로드맵을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교육 및 관리가 되고, 그것을 글쓰기 전담부서에서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역량을 실제적으로 길러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필 과목을 운영하는 것은 대학의 물리적인 운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배재대학교 역시 글쓰기 교과의 체계적 운영의 필요성은 요구되지만 학교가 처한 대내외적인 환경으로 인해 그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입한 것이 글쓰기 전담부서이다. 배재대학교에서는 기초 글쓰기 교과목인 사고와표현, 심화 글쓰기 교과목인 성공취업글쓰기와토론 교과목을 운영하면서, 이들 교과 내용을 지원하기 위한 글쓰기 교실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글쓰기 역량에 기여하고 있다. 배재대학교뿐만 아니라 지금은 모든 대학들이 교양교육의 질적 재고를 도모하며 글쓰기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바람직한 글쓰기 교육을 위해서는 글쓰기 로드맵 구축을 통한 기초-심화 교육 체계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글쓰기 피드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인력 보강이 필요하다. 글쓰기 교실 혹은 글쓰기 클리닉의 전담 연구원, 튜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몫을 담당하는 튜터 등 인력 보강이 이루어져야 글쓰기 교육의 질적 재고가 가능할 것이다. 끝으로 글쓰기 교과와 연계한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속적 운영이 필요하다. In order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one needs to be a creator, not a consumer of knowledge. Thus, learners should be able to actively and creatively cope with the situation that they first confront when entering to society. The right people who this society has demanded have encouraged deepening of college general education. Universities have been established college general education system and made an effort to stably manage them. As this stream of education, college writing education has been remarkably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from focusing on communication skills in social atmosphere and the demand for academic writing skills. Pai Chai University also demands for the need of systematically managing writing curriculum, but it is actually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issu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i Chai University has imposed writing department. With writing department, systematic management of writing education can be promoted. Pai Chai University has two curriculum for liberal arts writing. <Thinking and Expression> is a basic writing course for freshmen and <Useful Writing and Discussion> is an advanced writing course for juniors and seniors. Moreover, Pai Chai University has writing classes and tutors give advice on essays that students write. Every University including Pai Chai University should encourage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promote college writing education, one needs to make writing road map, manage basic-advanced writing course, increase the number of tutors and researchers for feedback, and make a variety of extracurricular program. College writing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by ‘Dual Transferal.’

      • KCI등재후보

        수업 형태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연구 : 대면 수업, 콘텐츠 수업,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최임숙*, 권정**, 김화선***, 강미경****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1 대학교양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 피드백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설계와 운영에 반영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탐색하였다. 연구에서는 대면 수업, 콘텐츠(동영상) 수업, 실시간 온라인 수업 등 수업 형태에 따른 강의 평가 결과와 학습자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 결과에 대한 교수자 성찰을 진행하였다. 대면수업의 강의 평가 결과에서 추출한 대표적 특성은 교수자의 열정과 친절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수업 형태라는 점이었다. 콘텐츠 녹화 동영상 수업에서는 교수자의 즉각적이고 친절한 피드백에 감사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한편 반복 학습이 가능하지만, 집중력 저하, 학습자 본인 노력 부족, 이해 어려움도 많음을 토로하였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학생들은 질문에 답해주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교수자의 모습을 경험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만족도 조사에서 나타난 수업 형태별 개선점은 학습자 영역, 교수자 영역, 학교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의 중요성을 나타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학습자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위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이후 수업에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