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New modality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and funnel chest : Segmentation and 3-D reconstruction based on proposed geometric active contour model (PGACM)

        김호철 고려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We applied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 which is based on the advanced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to diagnosis, analysis, and treatment planning in the field of medical imaging. And we were able to complement and solve several problems arising from the conventional methods, which rely on the sense, intuition, experience, know-how, and manual method of the operato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developed and evaluated an improved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PGACM) to segment exact boundary of interest region, and tested the PGACM on patients with abdominal aortic aneurysm (AAA) and funnel ch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GACM wa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in terms of accuracy and execution time, and that the newly improved PGACM and sever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were found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stent-graft treatment in AAA by reducing the type I endoleak. A typical problem in quantifying funnel chest is manual measurement. Therefore, we newly developed an automated assessment index, based on the segmentation and curve fitting technique, to quantitate the deformity of funnel chest, and were a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iagnosis and the result of analysis, and increase the efficiency by reducing the work time.

      • 경미한 주취소란자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 연구

        김호철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술은 두 얼굴을 가진 야누스와 같다. 술 속에 함유된 알코올(alcohol)이 인체에 흡수되면 처음에는 사람의 기분을 좋게 하지만 흡수량이 많아지면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음주운전, 가정폭력, 아동성폭력, 자해나 자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문제 등이 그것이다. 최근 영국 독립약물과학위원회(ISCD)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가장 큰 해를 끼치는 약물은 헤로인이지만, 타인에게 가장 큰 해를 끼치는 약물은 알코올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사용자와 타인에게 끼치는 위험을 모두 고려해도 알코올이 가장 위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런 많은 사회문제 중 본 논문은 경미한 주취소란자가 일반인의 생활안정과 공공질서에 끼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을 연구하였다. 경미한 주취소란자는 술에 취해 공공장소에서 음주소란, 인근소란 등의 행위를 하는 사람들이다. 현행 법체제하에서는 경미한 주취소란자에 대하여 주로 경범죄처벌법에 의해 통고처분(5만원)과 즉결심판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3년간 경범죄 단속통계를 보면 경미한 주취소란(음주소란 및 인근소란) 전체 위반자의 약 11%만이 통고처분이나 즉결심판을 받고, 나머지 89%는 초범이거나 사안이 경미하다는 이유로 지도장을 발부받고 현지에서 훈방되었다. 즉, 경미한 주취소란자 100명 중 89명이 단순히 경고를 받는데 그친 것이다. 범죄학의 이론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관대한 법집행은 법질서 준수의식을 약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범죄억제이론에 의하면 범죄자에 대하여 처벌이 확실하고, 신속하며, 엄격할수록 범죄가 줄어든다고 보았다. 그리고, 사회학습이론에 의할 때 범죄행동은 사람의 관습적 행동에 대한 보상과 일탈행위에 대한 처벌의 경험에 달려있다고 보았다. 그런데, 경미한 주취소란을 저지르고도 처벌을 받지 않는 모습은 범법자는 물론 다른 일반인에게 잘못된 신호(signal)를 줄 위험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공공장소 음주행위를 처벌하고 있는 영국이나 미국과 달리 우리는 법적으로 많은 허점이 있다. 그 결과, 법집행의 최일선 기관에 있는 전국의 지구대 및 파출소(1,913)는 밤이면 주취소란자에게 점령당하면서 그 피해가 세가지 측면에서 선량한 국민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첫째, 주취자 처리가 지구대 업무의 약 26.6%를 차지하면서 112 신고출동이나 범죄예방을 위한 순찰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나오는 피해이다. 둘째, 경미한 주취소란자로 인해 법질서가 붕괴되면서 주취자 문제가 이제 경찰은 물론 소방, 의료기관, 공공장소 등 전 사회로 들불처럼 확산되고 있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취소란자에 대한 마땅한 제지나 격리방법이 없어 경미한 주취소란이 더 중한 범죄로 진행되어서야 법을 집행함으로써 전과자가 양산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나친 음주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음주에 대해 관대해 왔고, 심지어 풍류문화의 일부분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영국, 미국, 캐나다 등의 선진국에서 지나친 음주는 ‘약물중독’ 문제로 간주된다. 향후 경미한 주취소란자에 대한 효율적 대응을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행정적 개입의 측면에서 공공의 안녕과 질서에 현저한 위해를 초래하는 주취소란자에 대하여 더 이상 위험상태를 지속하지 못하도록 경찰관이 제지하고 현장으로부터 일시적으로 격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독일의 경우, ‘위험 방지’(Gefahrenabwehr)를 위해 경찰권이 발동될 수 있는 근거가 있고, 영국이나 호주의 경우에도 주취소란자가 자기 또는 타인에게 위해를 야기할 경우에는 일정한 시설에 유치할 수 있는 근거가 있다. 둘째, 형사적 개입의 측면에서 ‘깨진 유리창 이론’에 근거하여 경미한 주취소란자에 대하여 무관용 정책을 추진하여 보다 법집행을 단호하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경미범죄의 계속범이나 상습범에 대해서는 주거가 확인되더라도 상황에 따라 현행범 체포가 가능하도록 벌금을 100만원 이상으로 인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치료적 개입의 측면에서는 주취소란자 중 알코올 중독으로 의심되는 사람에 대해서는 형사절차적 측면보다 치료적 접근이 더 필요하다. 보건복지부의 통계에 의하면 알코올 장애의심자는 약 200만명으로 추정되며, 이는 국민 100명 중 4명이 알코올 중독환자라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알코올 중독자에 대해 형사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영국이나 호주의 경우 보건부와 경찰, 소방기관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치료를 강화하고 있는 데, 이는 한국에 좋은 모델이 된다. 2009년 부산경찰청에서도 미국이나 호주의 제도와 같이 경찰과 의료기관, 소방기관, 시민단체 등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상습주취자 치료보호 프로그램을 시범실시 한 바 있다. 이 제도의 기본취지는 상습적인 주취소란자는 선별하여 처벌보다는 지역사회 전문병원에 위탁하여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었다. 시범결과에 대한 평가는 매우 유의미하여 향후 전국적으로 확산할 가치가 충분히 입증되었다. 향후 부산지방청의 시범결과를 바탕으로 주취자 문제를 ‘치안의 문제’만이 아닌 ‘복지의 문제’로 인식하고 거버넌스(governance) 차원에서 유관기관(경찰, 의료, 소방, 상담센터 등) 및 시민단체가 협의체를 구성하여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 MATLAB을 이용한 영상처리 및 Ferrule면 가공정도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김호철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통융합 서비스와 BcN 네트 워크등이 고속 정보화 기술이 일상화 됨에따라 광파이버를 이용한 통신기술이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광네트워크 기술에 있어서 광전송 효율을 높이는데 있어서 광 파이버간을 연결하는 보조부품으로 Ferrule면의 정도높은 가공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Ferrule면의 가공정도 측정의 방법으로 영상 처리 기법을 도입하여 신뢰성 있는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특히, 영상처리기술이 Windows 기반의 MFC나 C로 구현 되어 있으나. 이 경우 새로운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개발된 알고리즘을 Debugging 디버깅하고 완전성을 신속하게 증명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편적으로 알려진 MATLAB을 이용한 영상처리 기술의 개발을 적용하였다. MATLAB기반으로 개발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업용 1394 Camera를 이용하여 Ferrule단면의 정밀도를 측정하는 기하학적 방법을 제한하였고 실제구현을 통하여 유용성을 증명하였다. As the high-speed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convergent accompanied by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BcN) become to be used in our daily life, the optical communication technology using optical fiber is a general tendency. Expecially, it is well known that the end face precision of the ferrule as an auxiliary connecting part between the two fibers i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in the optical network.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method to measure the precision of the processed Ferrule end-face taking advantage of the image processing. Although the image processing is usually implemented by using Windows based MFC or C language, it takes a long time to develop the program, debug and guarantee the integrity of it. Making use of MATLAB and 1394 industrial camera, we do not only device a geometrical method to analyze the precision of the processed Ferrule end-face, but verifi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rough real industrial applications.

      • 막성 및 연골성 탈회골기질에 의한 골유도와 재생에 관한 연구

        김호철 전남대학교 1996 국내박사

        RANK : 247631

        탈회골기질이 골유도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연골내골화에 의하여 골유도를 한다고 알려진 이래 많은 임상적 관심이 있어 왔으나 이들의 골유도능과 골유도 방법에 관한 연구는 보고자마다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발생학적 기원이 다른 연골성골과 막성골로부터 약 700㎛ 크기의 탈회골기질편을 제작하여 가토 경골에 형성된 인위적 골결손부에 동종이식한 추 시간에 따른 골재생 양상과 각 탈회골기질의 골유도 방법 및 유도능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식 3일경 각 탈회골기질 이식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결손부내에 많은 섬유 소망을 형성하였다. 2. 이식 7일경 탈회골기질 주위에 많은 방추형의 세포들이 집합되어 있었고 두 종류의 탈회골기질로부터 연골내골화 및 막내골화에 의한 골유도가 관찰되었으며 대조군에서는 주로 숙주골로부터 골형성이 진행되고 있었다. 3. 이식 14일경 탈회골기질 이식군에서 골결손부는 모두 소주골로 채워져 있었으나 대조군에서 골결손부의 중앙부는 결합조직에 의하여 채워져 있었다. 4. 8주까지의 연마 표본과 형광현미경 관찰에서 탈회골기질 이식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골의 치유시기가 빠르고 성숙된 골의 형태를 보였다. 5. 막성탈회골기질과 연골성탈회골기질에 의한 골재생능에 있어서 막성탈회골기질에 의한 골재생이 빨랐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탈회골기질에 의한 골유도 과정에서 연골내골화가 필수적 과정이 아니며 두 종류의 탈회골기질 모두 임상적 적용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Since bone matrix is known to contain osteoinductive substance to form bone by endochondral ossification, there are much clinical interests concerning it. But there are still controversies about clinical effects, the methods of osteoinduction and preparations of bone matrix. About 700㎛ demineralized endochondral and intramembranous bone matrix particles, which have different origin in development were made from long bone and calvaria of rabbit respectively. They were allografted into the artificial defects of medial surface of tibia. The mode of bone formation and regeneration are stuided by microscopic and fluorescent observation. 1. A lot of fibrin network formed among the demineralized bone particles after 3 days of graft. 2. Lots of spindle shaped cells appeared around the particles and begin to bone formation 7 days after graft. Bone formtion was mainly taking place from the host bone in control group. 3. Active bone induction by endochondral and intramembranous bone formation from both kinds of the matrix particles, which were being resorbed by multinucleated cells, was noted. 4. More rapid bone regeneration and maturity were seen in demineralized bone grafted groups than in control in grinding preparations and fluorescent microscopy. 5. There is no considerable difference of osteoinductivity between the membranous and endochondral bone matri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dochondral bone formation is not critical in osteoinduction by demineralized bone martices and both types of matrices can be applicated clinically in bone graft.

      • 우리나라 건설폐기물 발생현황 및 재활용에 관한 연구

        김호철 경기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struction Environment has been dramatically developed with Industrial growth. Daily production of construction was is approximately l5,000t and parts of them are recycled at construction site or road construction, and the other parts are landfilled or illegally treated. In this study, methods of productive reuse and efficient recycle of construction wast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l. Treatment cost of construction waste should be counted at the construction planing stage for proper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and estimation criteria for construction waste production is to be prepared. 2. before removal of building, obligation of removal planning of building and separation of municipal waste should be done which can help to reduce mixed construction wasted and increase reuse rate. 3. Precise reuse plan and recycle plan should be controlled at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4. Incentive system should be applied to recycle industry to increase recycle rate of construction waste. 5.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ould support financially to grow the recycle industry.

      • 감나무 재배 지역의 기온에 따른 생육 및 과실 특성

        김호철 원광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on persimmon tree, the relation between air temperature factors and tree growth, fruit characteristics and freezing hardiness of main cultivars in cultivating areas of persimmon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nalysis of air temperature factors in cultivating areas of persimmon.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n 21 air temperature factor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change of air temperature and to apply as basic date in selection of suitable areas in 34 cultivation areas of persimmon.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s extracted from 21 air temperature factors were related to low temperatures such as monthly mean air temperature during September to January, minimum air temperature of yearly and growing season. Cumulative contribution of the first principle component was 53.5%.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s were the related to high temperatures such as mean air temperature during April to August, and cumulative contribution was 23.9%. Positively influenced areas to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ere Mokpo, Pohang, Yeongdeok, Busan, Masan, and Ulsan, and negatively influenced areas were Boeun, Geumsan and Jeongeup. Positively influenced areas to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were Daejeon, Jeonju, Gwangju and Daegu, and negatively influenced area was Sokcho. 2. Analysis of correlationship between air temperature factors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cultivating area of persimmon. Principle compon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between 25 factors of air temperature and days of growing stage according to leafing, flowering, and maturing date in Naju for 16 years were conducted. Cumulative temperature of August, cumulative temperature days of April, warm index, and mean air temperature during growing period among air temperature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But mean air temperature and cumulative temperature of March, May and June, and cumulative temperature days of March were not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s extracted from 25 air temperature factors were related to yearly mean air temperature, yearly minimum air temperature, yearly cumulative temperature, and warmth index. Cumulative contribution of the first principle component was 34.6%. The second and third principal components were related to mean air temperature, cumulative temperature, and days of cumulative temperature during April and March prior to leafing date, and cumulative contribution were 17.6% and 16.8%, respectively.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extracted main factors and growth characteristics,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ng dat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days of cumulative temperature (X_(19)) and mean air temperature (X_(8)) of October. And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Y = 251.62 + 3.775 X_(8) - 2.481 X_(19) (r² = 0.622). Also this regression was related to cumulative temperature of March and April, and mean air temperature and cumulative temperature of September. Days from March 1 to leafing date and days from leafing to flowering dat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an air temperature of April, respectively. 3. Analysis of correlationship between air temperature factors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cultivating area of persimmon. Principle compon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between 25 air temperature factors and fruit weight, soluble solid, number of seeds and fruit hardnes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ir temperature factors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cultivating area in Naju. Fruit weight was highly correlated with mean air temperature of March (X_(1)), October (X_(8)) and year (X_(20)). And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Y = 122.34 + 8.83 X_(1) + 12.96 X_(8) - 13.79 X_(20) (r² = 0.680). Also this regression was related to mean air temperature of July and September, and cumulative temperature of October. Number of seeds, soluble solid and fruit hardness were not correlated with air temperature factors. 4. Analysis of freezing hardiness in persimmon To analyze freezing hardiness in main persimmon cultivars such as ‘Fuyu', Nishimurawase', 'Uenishiwase', 'Hachiya' and 'Cheongdobansi', the cut 1-year-old branches of the cultivars at 20th January, February, and March was treated by low temperature such as -5, -10, -15, -20, -25, and -30℃, respectively, and electrolyte leaching rate,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test, and sprouting of the l-year-old branches were investigated. Electrolyte leaching rate was lowest in branch of 20th January and was highest in the 20th March. The electrolyte leaching rate of ‘Fuyu’ and ‘Cheongdobansi’ were high in the 20th January and were low in the 20th February, but ‘Uenishiwase’ and ‘Nishimurawase’ were opposed to that. ‘Hachiya’ was the middle level in the cultivars. Absence rate by TTC test was highest in the 20th January and was low in the others. The 20th March had a great decrease in -10℃ treatment. The absence rate of ‘Fuyu’ and ‘Uenishiwase’ were low in the 20th January and March and were high in the 20th February. ‘Nishimurawase’ and ‘Hachiya’ had a high level irrespective of dormancy level. Sprouting was highest in the 20th February and was lowest in 20th March. Most of cultivars were not sprout in -20℃ treatment and ‘Fuyu’, ‘Nishimurawase’ and ‘Cheongdobansi’ were a little high level irrespective of dormancy level. ‘Hachiya’ was only high in the 20th January. Thus, freezing hardiness of persimmon was very weak low temperature after dormancy breaking and was not different between astringent and non-astringent persimmon. As compared this results to air temperature factors in 34 cultivating areas of persimmon, the best areas for cultivation of persimmon are Mokpo, Pohang, Yeongdeok, Busan, Masan, and Ulsan, the worst areas are Boeun, Ganghwa, Imsil, Geumsan, Yeongju, and Andong. Chilling injury such as freezing damage and lately leafing, and growth troubles and falling off in fruit quality due to those are judged to be highly appeared in areas with low temperature during March and April. 감나무 생육에 미치는 기온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재배지의 기온특성과 생육 특성, 과실특성 및 주요 품종의 내동성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 재배지의 기온요인 분석 재배지의 기온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재배 적지를 선택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34개 감 재배지의 기온요인을 21개로 분류 조사하여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경기 강화, 충북 보은, 전북 임실, 경북 안동과 영주, 경남 거창은 겨울 철 평균최저기온에서 -5℃ 이하였고, 경남 거창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15℃ 이하의 연 발생일수가 1일을 넘어 매년 동해의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이었다. 재배지별 21개 기온 요인 중 제1주성분은 주로 9월 이후 다음해 1월까지의 월 평균기온과 연 및 생육기 평균최저기온으로 저온기에 관련된 요인들이었고 기 여율은 53.5%였다. 제2주성분은 4월에서 8월 및 생육기 평균기온으로 기온 상 승기와 고온기에 관련된 요인들이었고 기여율은 23.9%였다. 34개 재배지 중 제 1주성분에 높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낸 지역은 전남 목포, 경북 포항과 영덕, 경 남 부산, 마산 및 울산 등이었고, 높은 부의상관성을 나타낸 지역은 충북 보은, 충남 금산 및 전북 정읍 등이었다. 제2주성분에 높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낸 지 역은 충남 대전, 전북 전주, 전남 광주 및 경북 대구 등이었고, 부의 상관성을 나타낸 지역은 강원 속초였다. 2. 재배지 기온요인과 생육특성 간 관계 재배지 기온요인과 생육특성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전남 나주의 16년 간 기온을 25개 요인으로 분류하여 주성분 요인을 추출한 후 전엽기, 개화기 및 성숙기 등 생육 단계별 일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25개 기온 요인 중 8월 적산온도, 4월 적산일수, 온량지수, 생육기 평균기온 등은 상호 관계성을 갖은 요인수가 많았고, 3월, 5월 및 6월 평균기온과 적산온도, 3월 적산일수 등은 관 계성이 적었다. 제1주성분은 연평균기온, 평균최저기온, 평균적산온도, 온량지수 등 생육 전반에 걸친 기온요인이었고 기여율은 34.6%였다. 제2주성분과 제3주 성분은 각각 4월과 3월의 평균기온, 적산온도, 적산일수 등 전엽기 이전의 기온 요인이었고 기여율은 각각 17.6%와 16.8%였다. 기온요인과 생육특성 간 다중회 귀분석 결과, 개화기에서 숙기까지의 일수는 10월의 적산일수(X_(8)) 및 평균기온 (X_(19))에 영향을 받아 회귀식 Y=251.62+3.775X_(8-)2.481X_(19)를 나타내었고 결정계수 r²=0.622였다. 그리고 이 회귀식에는 3월 적산온도, 9월 평균기온 및 적산온도, 그리고 4월 적산온도가 영향을 주었다. 3월 1일에서 전엽기까지의 일수도 생육 기 적산온도와, 전엽기에서 개화기까지의 일수는 4월 평균기온과 모두 단순 부 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3. 재배지 기온요인과 과실특성 간 관계 재배지 기온요인과 과실특성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전남 나주의 16년 간 기온을 25개 요인으로 분류하여 주성분 요인을 추출한 후 과중, 당도, 종자수 및 경도 등의 과실특성과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과중은 3월 평균기온(X_(1))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고, 다음으로 10월 평균기온(X_(8)), 연 평균기온(X_(20)) 등 순 으로 영향을 받아 회귀식 Y=122.34+8.83X_(1)+12.96X8-13.79X_(20)을 나타내었고, 결정 계수 r²=0.680이었다. 그리고 이 회귀식에는 7월 및 9월 평균기온, 그리고 10월 적 산온도 등이 영향을 주었다. 종자수, 당도 및 경도는 기온요인의 영향이 적었다. 4. 감나무의 내동성 감나무의 휴면 정도에 따른 내동성을 비교하고자 ‘부유’, ‘상서조생’, ‘서촌조 생’, ‘갑주백목’ 및 ‘청도반시’ 등의 1년생 가지를 1월 20일, 2월 20일, 3월 20에 각각 채취하여 -5, -10, -15, -20, -25 및 -30℃ 등으로 처리한 후 전해질 누출률, TTC 검정 및 눈의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전해질 누출률은 1월 20일의 가지에 서 가장 낮았고, 3월 20일의 가지에서 가장 높았다. ‘부유’와 ‘청도반시’ 가지의 전해질 누출률은 1월 20일에서 높았고 2월 20일에는 낮았으며, ‘상서조생’과 ‘서촌조생’은 반대의 경향이었고, ‘갑주백목’은 중간 정도 수준이었다. TTC 검 정을 통한 흡광률은 1월 20일의 가지에서 가장 높았고, 2월 20일과 3월 20일의 가지에서는 낮았다. ‘부유’와 ‘상서조생’ 가지의 흡광률은 1월 20일과 3월 20일 에서 낮고 2월 20일에서는 높은 경향이었다. ‘서촌조생’과 ‘갑주백목’의 가지는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높은 수준이었다. 눈의 발아율은 2월 20일의 가지에서 가 장 높았고 3월 20일의 가지에서 낮았다. 그리고 대부분 품종은 휴면정도에 관 계없이 -20℃ 처리에서 전혀 발아하지 않았다. 품종 간 내동성 정도는 ‘부유’, ‘서촌조생’ 및 ‘청도반시’에서 휴면정도에 관계없이 비교적 높았지만 ‘상서조생’ 에서는 낮은 편이었다. 그리고 ‘갑주백목’에서는 1월 20일에만 높은 수준이었 다. 따라서 감나무의 내동성은 휴면 타파 후 가장 약하며 떫은감과 단감 간 차 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34개 감 재배지 중 재배 안전 정도가 높은 지역은 전 남 목포, 경북 포항과 영덕, 경남 부산, 마산 및 울산 등이고, 낮은 지역은 충북 보 은, 경기 강화, 전북 임실, 충남 금산, 경북 영주와 안동 등이다. 3월과 4월 기온이 낮은 재배지에서는 단감과 떫은감 모두 동해가 발생하고 전엽이 늦는 등 저온피 해가 발생하고 이에 생육 불량과 과실 품질의 저하가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