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조직 내 의사소통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김혜윤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이 어린이집 조직 안에서 의사소통과 심리적 안녕감이 어떠한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는지를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고,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조직 내 의사소통 수준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에 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로 첫째,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의사소통 수준은 개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둘째,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심리적 안녕감 수준은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셋째,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의사소통 수준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는 어떠한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322부를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설문도구는 박지영(2011)이 수정보완한 의사소통수준측정 도구와 Ryff(1989)의 심리적 안녕감 측정도구를 김소명(2004)이 수정 보완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에 코딩하여 분석하여,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의사소통 수준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한 후 보육교직원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 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의사소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의사소통이 보육교직원의 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의사소통은 3.77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근무기관·보육교직원 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심리적 안녕감이 보육교직원의 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평균 3.49로 보통 이상으로 나왔으며, 학력·근무기관·기관유형·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의사소통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 간의 의사소통 수준이 높으면 심리적 안녕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직원이 지각한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보육교직원의 심리적 안녕감도 높아지는 관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직원이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 조직 안에서 보육교직원 간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 때, 보육교직원들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perceive the communication leve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s in their organization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are the Communication Levels perceived by the teachers in the child care centers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Second, are the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s perceived by teachers in the child care centers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Third, how do the Communication levels perceived by the teachers of the child care centers related to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s? This study collected 322 questionnaires from the teachers working in the child care centers in Kyung Sang Nam Do. To assess communication levels, the questionnaire modified by Park, Ji Young (2004) was adopted. Also Psychological Well-beings were assessed using Kim, So Myung (2004)’s instrument which modified the work of Ryff (1989). The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14.0. The Communication Leve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s perceived by teachers in the child care centers were analyzed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fterward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administered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variabl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unication Level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s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was as follow: First, when examined whether the Communication Levels perceived by the teachers of the child care cen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variables, this study showed higher score than aver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munication Level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 period of work and the numbers of the staff in the organizations. Second, when investigated whet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s perceived by teachers of the child care cen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higher score than aver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the period of work, types of center and career. Third,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Level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s perceived by the teachers in the child care centers. The more actively members of staff communicate in the child care centers, the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s they showed. To conclude,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levels of Communication perceived by teachers of the child care were related to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s. The research findings imply that the positive communication in the organizations can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s among the teachers.

      • 어린이 이용자를 위한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김혜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 archive needs to be moving towards having more open and friendlier space for its users to survive and develop. Building services for children is especially more required to change public awareness and to expand current and future customers. Although it is imperative for the archive to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based on detailed user needs and behaviors, there is still little research on defining practical measur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exhibit service of the presidential archive for children users taking notice on the value of publicity and education of archival exhibit services. For such purposes, this study includes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on the exhibit services of presidential archives both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 of children and adults who accompanied the children visiting the presidential archive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and need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in which the archival service that utilizes the records was highlighted and investigates the value and features of the exhibit service in the archival field. The study also delves into the significance of offering user-centered archival services, and examines the archival users’ attributes and segmentation pertaining to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ystematic and efficient servic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users. In addition, this study regards children as part of the group of users, and observe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o providing service. He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xhibit service and the users of the children, this paper establishes the logical ground on the improvement plan of exhibit service for children in the presidential archive.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ituation and cases of both domestic and overseas exhibit services of presidential archives. As the United States has the same presidential system as Korea, the study investigates the case of the U.S. establishing and operating presidential archives. Although the U.S. has different cultural and political backgrounds compared to that of Korea, it can be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exhibit service of the presidential archive in Korea as the system of service is considerably activated. A total of 8 presidential libraries and museums have been selected for this study including Roosevelt, Kennedy, Johnson, Ford, Reagan, George H.W. Bush, Clinton and George W. Bush whose annual number of visitors to the exhibit in the past five years rose by more than a hundred thousand on average. In addition, this paper includes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the exhibit service of the presidential archive in Korea and conducted the interview with practitioner of exhibit service. These cases were analyzed in terms of exhibit management, exhibit themes and content, exhibit methods, and exhibit linkage programs. Next, the paper implemented the survey of children and parents who have accompanied children visiting presidential archives and experiencing exhibit services. Through this survey, the study observes the perception of children users, and the behavior and requirements of exhibit service. Before conducting the main survey, the study required a pilot study visiting the presidential archive in advance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prepared based on preliminary survey res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site at the presidential archive exhibit hall, and differen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ults who accompanied children. A total of 496 valid responses including 138 responses from elementary school children, 125 responses from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233 responding adults with childre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recognition of children and adults who accompanied children, in total, for both presidential records and archive, was not high and the recognition of presidential archive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presidential records. Moreover, it was founded that the primary reason for not visiting the presidential archive exhibit hall before was due to not knowing about its existence. Meanwhile, the content of the exhibit service was perceived a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not novel for children. In addition, with regard to exhibit service method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experiential elements for children and the provision of supplementary materials and explanations. In relation to the exhibit service environmen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convenience and resting facilities. With regard to the exhibit service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xhibit service was higher than the intention of revisiting and recommendation for children users, but for adult users, the results showed the contrary. Recognition of presidential archive and presidential records were differed by the number of visits to the presidential archival exhibit hall under the significance level(α) 0.01.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exhibit service,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ation under the significance level(α) 0.01 between the users who live in Sejong city and those who do not. There was a difference in exhibit service satisfaction under the significance level(α) 0.01 and a difference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ation under the significance level(α) 0.05 between the children users and the adult users who accompanied children. Furthermore, the evaluation of exhibit service content was influenced by the evaluation of exhibit service method under the significance level(α) 0.01. The evaluation of exhibit service result was influenced by the evaluation of exhibit service content and environment under the significance level(α) 0.01, but the evaluation of the exhibit service method did not affec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appropriate improvements in all aspects of content, method and environment of exhibit service. Based on the above statem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improve the exhibit service of presidential archive for children users. In operating the exhibit service, publicity of the exhibit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to include more space for children to play and experience and to also add more convenience and resting facilitie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more staff members in exhibit services for systematic business activities. As for the content of the exhibit service, the exhibit that stimulates the interest and attention of children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it is necessary to reinvigorate the temporary exhibit and diversify the exhibit objects.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exhibi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ge–specific education and field trip programs and to develop appropriate learning materials and guidelines for each program. As for the exhibit service metho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xperience elements and revitalize the exhibition guide and explan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build auxiliary materials and develop cartoon images and characters to support the exhibit guid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exhibit services of the archive in the perspective of the children users.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children’s perceptions and needs can contribute to the spread of archival culture and the revitalization of children users’ visiting, and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evaluating exhibit services. 오늘날 기록관은 생존과 발전을 위해 이용자에게 더욱 개방적이고 친근한 공간으로 나아가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축은 대중의 인식을 전환시키고 현재와 앞으로의 고객을 확충하기 위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기록관에서는 세부적인 이용자의 요구와 행태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실질적인 방안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록관의 전시서비스가 지닌 홍보와 교육의 가치에 기초하여, 어린이 이용자를 위한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국내외 대통령기록관의 전시서비스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한 어린이 이용자와 어린이를 동반한 성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록관 분야에서 기록물을 활용하는 서비스가 주목받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전시서비스의 가치와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용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에 입각하여 이용자 중심의 기록관 서비스가 지니는 의의를 고찰하고, 기록관 이용자의 속성과 세분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어린이를 하나의 이용자 집단으로 고려하여 어린이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어린이에게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전시서비스와 어린이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어린이 이용자를 위한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논거를 구체화하였다. 문헌연구와 함께 국내외 대통령기록관의 전시서비스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와 동일한 대통령제를 기반으로 대통령기록관을 설립, 운영하고 있는 미국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미국은 비록 우리나라와 문화적, 정치적 배경은 상이할지라도 서비스의 체계가 활성화되어있어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전시서비스 발전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대상이라고 보았다. 조사 대상으로 최신 5년간 전시 방문객의 수가 연평균 10만 명 이상에 속하는 루즈벨트(Roosevelt), 케네디(Kennedy), 존슨(Johnson), 포드(Ford), 레이건(Reagan), 조지 허버트 부시(George H. W. Bush), 클린턴(Clinton), 조지 워커 부시(George W. Bush) 대통령기록관 8곳을 선정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 대통령기록관의 전시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전시서비스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국내외 사례는 전시 운영, 전시 주제 및 내용, 전시 방법, 전시 연계프로그램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하여 전시서비스를 경험한 어린이와 어린이를 동반한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이 이용자의 인식을 확인하고, 전시서비스 이용행태 및 요구사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조사를 진행하기에 앞서 대통령기록관을 사전 방문하여 예비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최종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 역시 대통령기록전시관 현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 이용자용,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 이용자용, 어린이를 동반한 성인 이용자용으로 구분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 응답 138개,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 응답 125개, 어린이를 동반한 성인 응답 233개에 해당하는 유효응답 496개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어린이 이용자와 어린이를 동반한 성인 이용자의 대통령기록관과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인지도는 높지 않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으며, 대통령기록관에 비해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인지도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대통령기록전시관을 방문하지 않았던 이유와 관련하여 대통령기록전시관에 대해 알지 못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한편 전시서비스 내용이 어린이가 이해하기 어렵고 어린이에게 새롭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전시서비스 방법과 관련하여 어린이를 위한 체험요소가 확대되고 보조자료 및 설명이 제공될 것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전시서비스 환경과 관련하여 휴식 및 편의시설의 확대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전시서비스 결과에 있어 어린이 이용자의 경우 전시서비스 만족도가 재방문의사나 추천의사에 비해 더 높은 반면에, 성인 이용자의 경우 전시서비스 만족도가 재방문의사나 추천의사에 비해 더 낮았다. 대통령기록전시관 방문횟수에 따른 대통령기록관과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인지도는 유의수준(α) 0.01 하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세종시에 거주하는 이용자와 거주하지 않는 이용자에는 유의수준(α) 0.01 하에서 전시서비스 만족도, 재방문의사, 추천의사에 차이가 있었다. 어린이 이용자와 어린이를 동반한 성인 이용자 역시 유의수준(α) 0.01 하에서 전시서비스 만족도에 차이가 있고, 유의수준(α) 0.05 하에서 전시서비스 재방문의사와 추천의사에 차이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유의수준(α) 0.01 하에서 전시서비스 내용 평가에 전시서비스 방법 평가가 영향을 미쳤다. 또한 유의수준(α) 0.01 하에서 전시서비스 결과 평가에 전시서비스 내용 및 환경 평가는 영향을 미치며 전시서비스 방법 평가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전시서비스 내용, 방법, 환경의 모든 측면에서 적절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어린이 이용자를 위한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시서비스 운영에 있어 전시 홍보를 강화하고 어린이의 특징과 요구를 파악하여 휴식 및 편의시설과 함께 체험 및 놀이공간을 변화시켜야 한다. 또한 전시서비스 전문 인력을 확충하여 체계적인 업무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전시서비스 내용에 있어 어린이의 흥미와 관심을 자극할 수 있는 전시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위해 기획전시를 활성화하고 전시물을 다양화해야 한다. 또한 전시와 연계하여 연령에 따른 세분화된 교육 및 견학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위한 적절한 학습자료 및 지침을 개발해야 한다. 전시서비스 방법에 있어 체험요소를 확대하고 전시설명과 안내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보조자료를 구축하고 만화영상과 캐릭터를 개발하여 전시 안내를 지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 이용자의 관점을 반영하여 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어린이 이용자의 인식과 요구분석은 기록문화의 확산과 어린이 이용자의 방문 활성화에 기여하고, 전시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지도 방안 : 미국 문화를 중심으로

        김혜윤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to study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derstanding in EFL classroom on the assumption that language is related to culture. So, culture is defined in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and it is made clear that communicative competence includes not only linguistic knowledge but also sociocultural understanding. Besides, language is a socio-cultural product which was developed for a long time by those who use it, so learning target language is related to understand its' culture. Especially in Korea, if students don't go abroad to study English or to travel, contacting with American culture is not easy. It is believed that the lack of Korean students' emotions as well as their preconceived notions of foreigners and the lack of a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nversing with each other. That's why culture act as a barrier to Korean students successfully learning target language. Therefore, English teacher have to bring the target culture into the classroom to improve students'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is thesi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was discussed in an attempt to develop language proficiency through developing cultural understanding. In addition, several ways which are capable of using in classroom effectively were suggested. Lastly, some characteristics of qualified teachers and students to develop cultural understanding were listed. Consequently, teacher has to make efforts to present cultural background without prejudice, and students also need to have attitudes not to analyze intercultural differences but to accept as it is.

      • 사이버상담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e-mail 상담사례에 의한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김혜윤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이버 상담을 통해 상담을 받은 내담자에게 있어서 상담자의 태도와 상담 운영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를 알아봄과 동시에, 사이버상담에서 나타나는 내담자의 호소유형과 상담자의 상담방향을 <내담자 호소문제 유형>과<상담자 상담방향 유형>에 따라 각각 7개의 유형으로 분류한 후, 이에 대한 내담자의 호소문제 유형과 상담자의 상담방향의 일치도를 알아보고 내담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분류된 내담자의 호소유형과 상담자의 상담방향 간의 일치도와 내담자의 만족도 사이에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봄으로써, 사이버상담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기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들은 사이버상담에 있어서 상담방향 및 상담자의 태도, 상담의 운영 면에서 얼마나 만족하는가? 또한 문제유형별 만족도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둘째, 평가자가 분석한 내담자 호소문제와 상담자의 상담방향에 있어서 일치와 불일치는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가? 또한, 호소문제와 상담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사례는 무엇이며, 문제유형별로 상담방향은 어떤 일치율을 보이고 있는가? 셋째, 설문조사로 나타난 내담자 호소문제와 상담자 상담방향에 있어서 일치와 불일치는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가? 또한 호소문제와 상담방향이 일치하지 않은 사례는 무엇이며, 문제유형별로 상담방향은 어떤 일치율을 보이고 있는가? 넷째, 평가자 분석 및 설문지로 나타난 내담자 호소문제와 상담자 상담방향에 있어서의 일치와 불일치와의 차이는 어느 정도인가? 다섯째, 평가자 분석 및 설문지로 나타난 내담자 호소문제와 상담자 상담방향에 있어서의 일치와 불일치는 내담자의 만족도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사이버상담을 받았던 내담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응답한 사례 116케이스에 대해서 박경석과 김계현(1993)의 단기상담 이론적 분류에 따라 <내담자 호소문제 유형 분류> 및 <상담자의 상담방향 분류>로 나눈 후, 설문조사를 통해 내담자가 느끼는 내담자 호소문제 및 상담자 상담방향에 있어서의 일치여부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방향에 관련된 만족도로서 전반적인 e-mail 상담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담방향에 대해서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의 물음에 대해 정서적지지, 문제해결 조력, 정보 및 조언 제공 순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고, 어떤 상담방향으로 상담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지지 및 정보제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에 나타난 상담자의 태도에 관련된 만족도에 있어서,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공감도. 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 존중,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신뢰, 상담자의 전문성 인식 정도가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갖는 친밀감은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이는 단회상담인 사이버상담으로 친밀감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상담의 운영에 관한 만족도에 있어서, 상담답장의 신속성, 연속상담에의 욕구, 편지 길이에 대한 적절성, 상담자의 성의도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문제유형별로는 부부문제와 삶과 종교 등 실존적 문제, 이성문제를 상담했던 내담자들의 만족도는 높았고, 성문제와 정서 및 건강문제의 만족도는 낮았다. 그러나 이 사이에서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둘째, 평가자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내담자의 원함에 따른<내담자의 호소문제 유형분류>와 <상담자의 상담방향 유형 분류>에서 보면, 지지와 정보제공 요구형, 그다음으로는 지지와 문제해결 요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나 사이버상담에서의 내담자들은 지지와 정보제공에 대한 상담욕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담자의 호소문제 유형과 상담자의 상담방향의 일치율은 매우 높게 나타나 내담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담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유형별 분석에 의하면 대부분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평가자가 분석한 문제유형별 상담방향의 일치여부에 따른 만족도가 학업 및 진로문제에 있어서, 상담운영에 있어서는 성격 및 대인관계와 가족문제에 있어서 상담방향이 비일치했음에도 불구하고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유형 분류 연구의 결과, 내담자의 원함에 따른 <내담자의 호소무제 유형 분류>에서는 지지와 정보제공 요구형, 그리고 지지와 문제해결조력형 순으로 나타나 사이버상담에서의 내담자들은 지지와 정보제공에 대한 상담욕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담자의 상담방향 유형 분류>에서는 상담자의 상담방향에서의 지지와 문제해결조력형, 지지와 정보제공형 순으로 나타나, 내담자는 내담자의 욕구와 상담방향이 조금 다르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담자의 호소문제 유형과 상담자의 상담방향의 일치율은 매우 높게 나타나 내담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담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자가 분석한 유형분류 연구의 결과보다는 조금 낮은 일치율을 보였다. 문제유형별 분석에 의하면 평가자 분석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내담자들은 가족문제와 부부문제에 있어서는 상담방향이 일치하지 않았다고 느끼면서도 상담자의 태도와 상담의 운영 면에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자 분석 및 설문조사로 나타난 호소문제 유형 및 상담방향의 빈도를 알아본 결과, 내담자의 호소문제 유형에 있어서는 평가자 설문조사 모두 지지와 정보제공 요구형이 가장 높게 나타나 사이버 상담에서의 상담방향도 지지와 정보제공, 그리고 지지와 문제해결 조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었다. 반면, 상담자의 상담방향에 있어서는 평가자에 의한 상담방향 유형은 지지와 정보제공형이,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상담방향 유형은 지지와 문제해결 조력형이 가장 높게 나타나 내담자와 상담자 사이의 시각의 차이를 나타냈다. 평가자가 분석한 내담자의 호소문제 유형과 상담방향의 일치여부가 설문조사로 나타난 호소문제 유형과 상담방향의 일치여부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일치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 상담자가 내담자의 욕구에 맞는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평가자 및 설문지로 비교분석한 내담자 호소문제 유형 상담자 상담방향 유형의 일치여부와 상담자의 태도와 상담의 운영에 관한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평가자가 분석한 일치여부와 상담자의 태도 사이에 만족에 대해서는 공감과 존중, 신뢰, 상담자의 전문성 부분이, 상담의 운영의 만족에 대해서는 연속상담에의 욕구가, 그리고 설문조사로 나타난 일치여부와 상담자의 태도 사이의 만족에 대해서는 무조건적 존중과 상담자에게 갖는 친밀함이, 상담의 운영 사이의 만족에 대해서는 상담답장의 신속성이 호소문제 유형과 상담방향이 비일치했음에도 불고하고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상담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어왔으나, 그 전문성 및 그에 따른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배제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상담의 상담방향의 수립이라는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둘째, 상담자 태도에 관한 척도 개발, 상담의 운영에 대한 척도 개발을 통해 사이버상담의 효용성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였다. 셋째, 실제로 상담서비스를 제공받았던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사이버상담의 효용성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verify the effeciveness of the computer-mediated counseling by certifying some aspects as follow: First, it is to certify how much the clients feel satisfied with the counselor's strategy, attitude and the management of counseling through e-mail, and also to assess the degrees of the client's satisfaction. Second, it is to certify how much the gap exists between client's want that rater analyzed and counselor's strategy, and to certify in what cases the gap exists between want and strategy. At the same time if is to see what kinds of correspondence show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blem. Third, it is to certify how much the gap exist between client's want presented through opinion survey and counselor's strategy. Also it is to see in what cas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client's want and counselor's strategy shows or not, and what kinds of correspondence show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blem. Fourth, it is to certify how much the gap exist between client's want revealed by rater's analysis and through opinion survey, and counselor's strategy. Fifth, it is to certify there might be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degrees of client's satisfaction and the degrees of correspondence between client's want and counselor's strategy. For this study, the degrees of correspondence between client's want and counselor's strategy, and the degrees of client's satisfaction are analyzed after classified into two groups, client's want and counselor's strategy, from returned answers(116 cases) in opinion survey. And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theory of short-session counseling by Kyung-seok Park and Kyeoi-Hyeon Kim. The results of the whole research are as below: First, the degree of client's satisfaction with counseling through e-mail is assessed to very high level. And the degrees of the helpfulness of counselor's strategy is certified as follows in a row: emotional support, advice for problem-solving, information and advice. As for the client's satisfaction regarding with the counselor's attitude, the result is as follows: empathy about client's problem, unconditional respect, client's trust in counselor, perception of counselor's professionalism. As for the satisfaction regarding with the management of counseling, it is assessed to high level as fellows: promptness of reply, need for successive counseling, properness of the length of reply, counselor's sincerity. As for the degrees of satisfaction regarding with the types of problem, clients taking counseling with regard to marital trouble, existential problem such as life, religion, social relations with the apposite sex show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based on the results acquired from raters's analysis, client's wants are shown according to the priority as follow: need for support and information, need for support and problem-solving.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ype of client's want and counselor's strategy is highly rated. Third, the results of review based on the type classification through opinion survey are shown as follow: as for the type of client's want, need for support and information, and need for support and problem-solving are highly rated in a row;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type of counselor's strategy, strategy for support and problem-solving, and support and information are highly rated in row.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ype of client's want and counselor's strategy is highly rated. Fourth, the results of assessing the frequency of client's wants and counselor's strategy based on raters' analysis and opinion survey are shown as follow: as for the type of client's want, need for support and information is most highly rated on both raters' analysis and information is most highly rated on both raters' analysis and opinion survey;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type of counselor's strategy for support and information based on raters' analysis, and strategy for support and problem-solving based of opinion survey is highly rated in each.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ype of client's want and counselor's strategy analyzed by raters, and revealed through opinion survey show same result. That is, on both of them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ype of client's want and counselor's strategy is highly rated. Fifth, the results by comparing raters' analysis with opinion survey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respondence between want and strategy, and the degrees of client's satisfaction about counselor's attitude and management of counseling are as follow: the results of raters' analysis show that as for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want and the strategy, and the level of client's satisfaction, empathy, trust, professionalism are highly rated. And they also show regarding with the satisfaction about the management, need for successive counseling is highly rate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opinion survey show that as for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want and the strategy, and the level of client's satisfaction, unconditional respect and intimacy are highly rated. And they also show regarding with the satisfaction about the management, the promptness of reply is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even though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want and the strategy does not exist.

      • 아동기 외상이 성인 초기 관계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의 순차매개효과

        김혜윤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 초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과 관계과몰입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이 각각 매개하는지, 더 나아가 두 변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학생 390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관계중독, 거부민감성, 정서조절곤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외상, 관계과몰입, 거부민감성, 정서조절곤란은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외상은 관계과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외상과 관계과몰입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기 외상과 관계과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기 외상과 관계과몰입의 관계를 거부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이 순차적으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기 외상과 관계과몰입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조절곤란이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밝힘으로써, 관계과몰입 성향을 높이는 기제와 경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음악극을 활용한 통합적 지도자료 개발 :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와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김혜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2학년은 느낌과 사고가 아직 미분화되어 있고 신체의 움직임이 활발 하며 학습 내용과 방법에 따라 인지체계와 표현력이 발달하는 시기이다. 이러한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통합적 교육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과와 통합교과의 교과 간 통합적 활동으로 이야기 창작, 노래와 신체표현, 소품 및 무대예술 등의 종합적인 예술 표현 활동인 음악극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음악적 개념학습 및 심화적인 음악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통합적 지도 자료를 개발하였다. 음악극을 위한 활동으로 놀이, 리듬, 노래, 신체동작, 악기연주 등이 어우러져 학년 발달 특성에 적합한 음악극 활동을 제시하여 음악적 개념을 익히고 음악극 활동에 필요한 즉흥 표현력과 창의력, 협동성을 기를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음악극 지도 단계는 ‘이야기 설정하기 - 표현방법 탐색하기 - 창작하기 - 음악극 발표하기’로 진행하였으며 국어과와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재구성 내용에 따라 ‘즉흥 표현 중심의 음악극’ 과 ‘노래 부르기 중심의 음악극’으로 구분하여 주요 학 습 활동을 작성하고 음악극의 지도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활동 안을 제시하였 다. 즉흥 표현 중심의 음악극에서는 즉흥적이고 창의적인 음악적 표현력을 기를 수 있도록 의도하였으며 국어과의 실감나게 이야기 표현하기와 통합교과의 악기소 리를 소리와 몸짓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재구성하여 즉흥 소리 표현과 즉흥 신체 표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노래 부르기 중심의 음악극에서는 국어과의 겪은 일을 이야기나 시로 만드는 활동 내용과 통합교과의 노래 가사와 가락을 창작하 는 활동을 재구성하여 음악극 표현 활동으로 제시하였다. 음악극을 만들기 위한 음악 활동으로는 학생들이 교과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음악극 활동을 제시하여 교과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고 점진적 학습으로 연계될 수 있는 음악극 활동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의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통합된 교육과정 내용을 음 악극 활동인 음악극을 활용한 지도 자료로 제시하였다. 음악극 활용 수업은 학생 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활동하며 창의적인 놀이와 신체 활동, 표현 활동, 감상 활 동을 통합적으로 체험하게 하고 더 나아가 창의적이며 심미적인 인간으로 성장하 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Second grade students’ reasoning and emotions are still not fully differentiated. They are very active and physical so the method and materials taught make a large difference in developing their understanding and ability to express their thoughts. So at this level we need to use an integrated education system. I’ve developed integrated activities such as: creative story-making, singing, physical expression, using props and costumes, and stage art. All of which will teaches students about the fundamental notion of music and deepens their experience of music. I’m presenting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 like: playing, rhythm, singing, actions, and playing instruments to teach musical ideas, help develop impromptu ability, collaboration, and to express creativity. Musical drama teaching procedure ‘choosing a story – deciding on a presentation method - creating a musical drama – presentation’ The focus is divided between ‘musical drama focused on impromptu expression’ and ‘musical drama focused on singing combined contents’. Also I am presenting the main teaching activities and lesson plan using this teaching procedure. In the impromptu expression focused musical drama I intended to help the students develop impromptu and creative musical abilities. I constructed two activities expressing stories realistically from Korean; expressing instruments’ sounds with body sounds and actions from the integrated curriculum. I presented two parts: impromptu sound expression and body expression. In the singing focused musical drama, I constructed two activities: making a story or poem with what you experienced from the Korean curriculum, or making a rhythm and melody from the integrated curriculum. I presented specific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 from what the students learned from other subjects so they learn gradually. In this study I presented integrated curriculum contents for 2ndgrade students using a teaching plan that includes musical drama. Classes using musical dramas will be helped by experiencing creative play, physical activities, expressive activities, an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which will help students become a more creative and esthetic person.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유발을 위한 교사의 발화 전략

        김혜윤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실 내에서 학습자의 동기 유발에 효과적인 발화를 고찰하여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교사 발화 및 학습동기 유발 관련 이론 (2장), 초급 교실 내에서 학습동기 유발 관련 교사 발화 분석 (3장), 발화 기능에 따른 동기유발 양상 분석 (4장)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3장의 분석 결과, 주의 집중 효과(A)는 176회, 관련성(R)은 60회, 자신감(C)은 152회, 만족감(S)은 164회로 나타났다. 이 네 가지 요소 중 동기유발 전략으로 주의집중(Attention)요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들은 학습자들에게 끊임없는 수업 참여를 요구하고, 학습목표 달성을 목표로 학습자들에게 동기부여를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만족감(Satisfaction)요소와 자신감(Confidence)향상유발을 위한 발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만족감 중 학습자에게 언어적 외재적 보상(S2)이 월등히 많이 사용되면서 교사들이 학습자에게 칭찬발화 전략 등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만족감을 주고, 그 만족감이 자신감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개하는 발화 양상이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자신감 향상 동기 유발 요소에서 특히 교사가 성공기회(C2)를 제공하고 학습자가 성취하였을 때 외재적 보상(S2)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자신감(C)과 만족감(S) 요소 중 성공기회(C2)와 외재적 보상(S2)요소로 인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설명, 질문, 피드백, 지시발화를 명시하고, 각 기능에 따른 동기유발 양상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발화 기능들이 실제 한국어 교실의 어떤 단계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어떤 단계에서 교사의 발화 전략이 사용될 때 학습자의 동기유발에 효과적일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각 요소마다 다양한 발화 전략이 사용되어 동기유발에 효과적으로 나타났지만 모티브 일치(R2)와 외재적 보상(S2)의 요소는 다양한 화법 전략이 제시되지 않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즉, 다양한 발화 기능이 있음에도 모티브 일치(R2)와 외재적 보상(S3)에는 한정적인 발화 전략만이 사용된 것이다. 향후, 학습자 동기유발의 각 요소에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서 더욱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어 교실에서 학습자 동기유발과 관련된 교수 발화 전략 연구는 실제적으로 학습자의 학습 목적 고취와 지속적인 학습 참여도 향상을 위한 교사 발화 전략을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발전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할 중요한 분야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 건강위험행태 유형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김혜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Health risk factors that threaten individual health include health behaviors such as smoking, drinking, lack of exercise, eating habits, stres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relations,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genetic factors. Therefore, an intervention to spread health behavior and lifestyle habits is a major task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ject. The current project is proceed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mand and specificity of the community in the basic autonomous unit, but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priority and urgency of various health behavior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health behaviors among self-governing cities in Seoul and to suggest decision making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imilar community residents. In this study, three major health risk behavior factors were selected and typifi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oking, high-risk drinking, and lack of exerc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each type with the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04 residents of Seoul residents in 25 autonomous regions of Seoul wh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in 2015, using secondary data. The Fs/QCA 3.0 program was used to classify borough type through health risk behavior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21.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8 types according to current smoking, high risk drinking and lack of exercise, and 25 boroughs were distributed evenly. More than half of cases were included in both a single type with one health risk factor and a complex type with more than one health risk factor. Among all of these factors, the average score of the group with the lowest health risk level(Type8) was the highest. Second, high risk drinking type was more significant when it was single type than multiple type health behavior typ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ffect of the lack of exercise variabl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lack of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Seoul citizens than other health risk behaviors. Third, smoking among health risk behaviors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life as a whole. Som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moking rather leads to a higher quality of life index. In addition, the current smoking rate is higher than the Seoul city average, so even if it is classified, it does not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dex.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of different types is different by typing the health level of 25 autonomous regions in Seoul in terms of health risk behavior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mong them.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not to judge individual health problems or levels in a fragmentary way but also to grasp several factors in selecting and identifying priority health problems for. Second,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judge the direction of self-government health promotion projects by judging the degree of belonging to specific health influence factors. What type of life quality is highest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what sort of intervention is most effective when setting policy priorities. In addition, I suggest that if there is a difficulty in intervening different health problems in different communities, we can try to establish a strategy for improving high priority health problems through cooperation among the autonomous regions of the same type or similar pattern.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a decision on the health promotion services and programs that should be provided to the residents of the community in the first place by considering the complex factors of the urgency of what kind of health problems are urged by specific autonomous regions through typification of health risk behaviors. In addition, interventions for health risk factors such as smoking, high-risk drinking, lack of exercise, and depression should be mediated based on multi-level and complex factors, and it is more effective to establish an intervention strategy based on the type of health risk behavior. 개인의 건강수준을 위협하는 건강위험요인은 흡연, 음주, 운동부족, 식습관, 스트레스 등과 같은 건강행태와 사회적 관계, 조직 환경 등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을 포괄한다. 그러므로 건강행태 및 건강생활습관을 확산하기 위한 중재는 건강증진사업의 주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현행 사업은 기초자치단위에서 지역사회의 수요와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다양한 건강행태에 대한 우선순위 및 시급성을 판단함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자치구별 건강행태의 수준을 파악하고 유사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의사결정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주요 건강위험행태 요인을 크게 세 가지로 선정하고 이를 통해 서울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유형화를 수행하였다. 흡연, 고위험음주, 운동부족의 축으로 분류된 기준을 토대로 유형을 형성한 후에 각 유형이 삶의 질에 어떠한 상관성을 갖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5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서울시 25개 자치구에 거주하는 서울시민 23,004명으로, 이차자료를 활용하였다. 건강위험행태를 통한 자치구 유형 분류에는 Fs/QCA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하였다.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다중회귀분석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흡연, 고위험음주, 운동부족에 따라 8개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25개 자치구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가지 이상의 건강위험요인이 해당되는 복합유형과 한 가지의 건강위험요인이 해당되는 단일유형에 각각 절반 정도의 사례가 포함되었다. 이 중 서울시 전체에 비하여 모든 요인의 건강위험수준이 낮은 유형은 평균 소속점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고위험음주 유형은 복합 건강행태유형보다는 단일 유형일 경우 그 영향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운동부족 변수의 영향력이 삶의 질 저하에 높은 영향을 미침에 따라 다른 변수와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는 오히려 그 영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운동부족은 다른 건강위험행태에 비하여 서울시민들의 삶의 질에 일정 수준 이상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건강위험행태 중 흡연은 전반적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분석 결과에서는 흡연으로 인해 삶의 질 지수가 높아지는 결과가 도출되기도 하였다. 또한, 현재흡연율이 서울시 전체 평균에 비해 높다고 판단되어 분류된 유형일지라도 삶의 질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향이 드러났다. 위의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건강수준을 건강위험행태 측면에서 접근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의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유형 간에 건강위험행태 간 상호작용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자치구마다 우선순위 건강문제를 선정하고 파악함에 있어 개별의 건강문제 혹은 수준을 단편적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몇 가지의 요인을 복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특정 건강영향요인에 소속되는 정도를 판단함으로써 자치구별 건강증진사업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이 삶의 질이 가장 높으며, 정책 우선순위를 정할 때 어떤 순서로 중재를 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자치구별로 상이한 건강문제 중재를 함에 어려움이 있다면, 같은 유형에 속한 혹은 유사한 양상을 갖는 자치구 간 협력을 통해 우선순위가 높은 건강문제에 대한 중재방안 마련을 시도할 수 있으리라 제언하는 바이다. 셋째, 건강위험행태에 대한 유형화 등을 통해 특정 자치구가 어떠한 건강문제가 시급한지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점검하고,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할 건강증진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또한, 흡연, 고위험음주, 운동부족, 우울 등과 같은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중재는 다수준적이고 복합적인 요소들을 토대로 중재가 수행되어야 하며, 건강위험행태 유형을 기반으로 한 중재전략을 세우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