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지스타일로서의 공감하기-체계화하기

        김혜리(Hei-Rhee Gh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3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을 보이며 특정 분야에 제한된 관심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Baron-Cohen이 제안한 개념인 공감하기-체계화하기가 정보처리 방식에서의 개인 특성을 기술하는 인지스타일로서 개념화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공감하기란 상대방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고 이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려는 동기이며, 체계화하기란 “if-then”과 같은 상관관계 법칙에 따라 작용하는 체계를 분석하고 탐색하려는 욕구이다. Baron-Cohen에 의하면 이 두 기능은 개인차가 있어서 공감하기가 더 발달된 “공감자”가 있는 반면에 체계화하기가 더 발달된 체계화가 있으며, 또 두 기능이 균형적인 “균형잡힌 자”도 있다. 관련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의하면, “공감자”에는 다른 사람과 어울리면서 친밀한 관계를 잘 맺는 사람들, 예컨대, 여성, 인기있는 아동과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이 포함되며, “체계화자”에는 친밀한 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하지만 체계 내에 작동하는 원리와 규칙을 찾아내는 일을 잘 하는 사람(남성, 자폐인, 천재 과학자, 이공학 전공 대학생)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ron-Cohen의 “공감자”와 “체계화자” 개념은 능력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지스타일과 다르지만,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에서의 개인차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인지스타일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 “공감자”와 “체계화자”는 인간의 적응에 필요한 두 가지 영역의 기능, 즉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이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는 기능과 규칙에 의해 지배되는 다양한 체계를 이해하는 기능으로 개인차를 설명하므로, 다양한 집단의 사고와 행동 차이를 폭넓게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자폐장애와 같이 중증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정상적인 사람들과 질적으로 다른 사람이 아님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에 대한 편견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기여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empathizing and systemizing, developed by Baron-Cohen to explain autism spectrum disorders, could be thought of as cognitive styles. Empathizing is the drive to identify and respond to mental states with an appropriate emotion, and systemizing is the drive to analyze or construct law-governed systems. According to Baron-Cohen, some individuals are “empathizers,” for whom empathizing is stronger than systemizing. Some individuals are “systemizers,” for whom systemizing is stronger than empathizing. The rest of the population are “balancers” for whom systemizing and empathizing are operating equally. Many studies have typically categorized womens, popular students and humanities students as “empathizers” who tend to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find it challenging to interact others, but who are proficient at determining the rules of the system are categorized as “systemizers.” This group might include men, individuals with autism, genius scientists, and science students. The “empathizer” and “systemizier” classifications are similar to the cognitive styles that describe an individual’s manner of cognitive functioning with respect to acquir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e “empathizer” and “systemizer” classifications are useful in that they explai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functions of the two domains necessary for human adaptation, namel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spond empathically to the other’s mind,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various systems governed by rules. In addition, the “empathizer” and “systemizer” classifications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our prejudice by showing that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like autistic disorders are not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ypical pers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서 상태와 얼굴표정간의 연결 능력의 발달

        박수진,송인혜,김혜리,조경자,Park, Soo-Jin,Song, In-Hae,Ghim, Hei-Rhee,Cho, Kyung-Ja 한국감성과학회 2007 감성과학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얼굴표정을 통하여 다른 사람의 정서 상태를 판단하는 능력이 연령(3세, 5세, 대학생), 성별(남, 여), 얼굴제시영역(얼굴전체, 눈), 정서의 종류(기본정서, 복합정서)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표정과 정서어휘 간의 연결이 비교적 분명하게 나타나는 32개의 정서 상태를 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표정사진은 32개의 정서 상태에 해당하는 얼굴표정을 배우에게 연기하도록 하여 사용하였다. 과제는 각 실험참가자에게 정서유발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야기 속의 주인공이 어떤 얼굴표정을 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한 후 네 개의 얼굴표정 중에 적절한 것을 선택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얼굴표정을 판단하는 능력이 증가하였으며, 눈만 제시한 경우보다는 얼굴전체를 제시하였을 때, 복합정서보다는 기본정서에서 더 좋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여자는 제시영역에 따른 수행의 차이가 없는 것에 반해, 남자는 눈 조건에 비해 얼굴조건의 경우에 더 좋은 수행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령, 얼굴제시영역, 정서의 종류가 얼굴표정을 통해 타인의 정서를 판단하는데 영향을 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emotional states reading ability through facial expression changes by age(3-, 5-year-old and university student groups), sex(male, female), facial expression's presenting areas(face, eyes) and the type of emotions(basic emotions, complex emotions). 32 types of emotional state's facial expressions which are linked relatively strong with the emotional vocabularies were used as stimuli. Stimuli were collected by taking photographs of professional actors facial expression performance. Each individuals were presented with stories which set off certain emotions, and then were asked to choose a facial expression that the principal character would have made for the occasion presented in stor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bility of facial expression reading improves as the age get higher. Also, they performed better with the condition of face than eyes, and basic emotions than complex emotions. While female doesn't show any performance difference with the presenting areas, male shows better performance in case of facial condition compared with eye condi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age, facial expression's presenting areas and the type of emotions effect on estimation of other people's emotion through facial expressions.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조현병 환자의 공감 능력 및 얼굴 정서 인식 능력의 차이

        김기창,손정우,김혜리,이상익,신철진,김시경,주가원,엄진섭,정명숙,박민,문은옥,천영운,Kim, Ki-Chang,Son, Jung-Woo,Ghim, Hei-Rhee,Lee, Sang-Ick,Shin, Chul-Gin,Kim, Sie-Kyeong,Ju, Gawon,Eom, Jin-Sup,Jung, Myung-Sook,Park, Min,Moon, Eunok,Ch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4 생물정신의학 Vol.21 No.1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 in empathic ability and recognition of facial emotion express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Twenty-two schizophrenic outpatients (11 men and 11 women) and controls (10 men and 12 women) performed both the scale of Empathic Quotient (EQ)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test. We compared the scores of EQ and the facial emotion recognition test among each group according to diagnosis and gender. Results We found a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the scores of EQ and the facial emotion recognition test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the facial emotion recognition test and the scores of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 (PANSS) in female schizophrenic patients. However, in male schizophrenic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 of each test and the scores of PANS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x difference in empathic ability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would be very important i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Investigation of sex effects in empathic ability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would present an important solution for constructing optimal rehabilitation program.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서조절 간의 관계 :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의 매개효과

        허아정(Ahjeong Hur),김혜리(Hei-Rhee Ghim),김문걸(Moongeol Kim)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정서조절 능력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경제적지위가 낮은 노인은 경제적인 문제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게 되므로 성공적으로 정서조절을 하는데 필요한 인지적 자원이 부족하게되며, 그 결과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은 잘 사용하지 못하고 덜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은 더 많이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서조절 간의 관계를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가 매개하는지 연구하였다. 만 60세 이상 고령자 279명을 대상으로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수입, 교육 수준)와 주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를 평가하는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 금전 문제에 대한반추 척도에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덜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관계를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가 부적 관계로서 매개하였다. 즉,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를 더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것은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더 적게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 사용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노년기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가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와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는 달리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정서조절에 차별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ability to regulate emotions varies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status in old age. Older people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will spend more of their cognitive resources on worrying about financial problems, and as a result, they will lack the cognitive resources necessary for successful emotion regulation.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emotion regulation of the elderly is mediated by rumination on financial problems. Two hundred a nd seventy-nine older adults over 60 years of age or ol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survey questions evaluating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rumination on financial problems. The result showed that the lower th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the less older adults used th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e rumination on financial problems mediated th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o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of the elderly differed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Unlike the objective socioeconomic statu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n emotion regul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신 혹은 타인의 정서적 상황에 대한 뇌 활성도의 차이 : 관점 획득에 관한 신경영상학적 연구

        오인경,손정우,이승복,김혜리,Oh, In-Kyung,Son, Jung-Woo,Lee, Seung-Bok,Ghim, Hei-Rhe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9 생물정신의학 Vol.16 No.3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brain activities in viewing a common emotional situation according to perspective-taking. Methods : Using fMRI, brain activities were measured while performing the task viewing a common emotional situation on either self-perspective or third-person perspective in fourteen healthy men. The relatively activated brain areas on each perspective were investigate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ated brain regions and the scores of self report about some emotion or empathic ability were explored. Results : The relatively activated brain areas on self-perspective were bilateral paracentral lobule(BA 5), right postcentral gyrus(BA 3), right precentral gyrus(BA 4), left superior temporal gyrus(BA 22), left medial frontal gyrus(BA 6), whereas on third-person perspective right inferior frontal gyrus(BA 47), left caudate body and tail, right superior temporal gyrus(BA 38), right medial frontal gyrus(BA 8) were activated. The relative activity of left superior temporal gyrus on self-perspectiv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ctivated brain region according to perspective-taking were different while viewing a common emotional situation. The depressive feeling w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brain activity related to perspective-taking.

      • KCI등재

        깨진 거울인가 깨지지 않은 거울인가?

        손정우(Jung-Woo Son),김혜리(Hei-Rhee Ghim)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3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4 No.3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신경과학적 업적 중의 하나인 거울 뉴런의 발견은 ASD에서의 모방 및 공감 문제를 설명해줄 핵심 원인으로 인식되었으며 결국 2000년대 중반 ‘깨진 거울 이론’이 공식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깨진 거울 이론은 돌출풍경 맵 이론에 의해 보완되면서 ASD에서의 과잉 모방 및 자율신경계 과다 항진까지 보다 정교하게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ASD 환자가 항상 모방 문제를 보이지는 않는다는 것, 모방과 에뮬레이션에 대한 구별이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ASD의 깨진 거울 이론에 대한 한계점을 비판하는 연구자들은 결국 모방과 공감에 대한 뇌의 사회적 하향 조정 시스템 문제를 강조하는 ‘STORM 이론’을 내놓게 되었다. 깨진 거울 이론과 STORM 이론 중 어느 것이 더 옳은 이론이라고 현재 단정지을 수는 없다. 깨진 거울 이론은 여전히 학계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지금까지 상당한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STORM 이론은 깨진 거울 이론에서 특별히 강조하고 있지 않은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마음 이론 등의 정신화 기제가 뇌의 거울 뉴런계를 직접 조정하여 보다 더 세밀한 모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향후 STORM 이론 관련 연구 결과들이 어떻게 나올지를 관심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 두 이론은 ASD의 사회적 인지에 관한 연구를 실시할 때 연구 방법이 얼마나 정교해야 하는지를 잘 알려주고 있다. 이는 모방과 공감 문제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문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필연적으로 ASD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며 궁극적으로 ASD 환자에 대한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치료법의 발견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두 이론을 각각 지지하고 있는 연구자들 간의 모범적인 논쟁을 지속적으로 기대하고자 한다. The discovery of the mirror neuron system (M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euroscientific achievements in the 20th century. Some researchers had reported that MNS dysfunction was discovered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Finally, the ‘broken mirror’ theory of ASD was announced in the mid 2000’s. According to this theory, ASD cannot simulate the mind and behavior of others due to MNS dysfunction; therefore, they cannot imitate the behaviors and empathized with the mind of others. However, ASD does not always show imitation problems. The researchers who have criticized the ‘roken mirror’theory proposed the ‘ocial top-down response modulation (STORM)’theory. On STORM theory,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or temporoparietal junction, brain areas related with mentalising, might modulate MNS according to social context. We compar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theory.

      • KCI등재
      • KCI등재

        남은 시간 인식이 회상기억에 미치는 영향

        안미소(An, Mi So),김혜리(Ghim, Hei-Rhee)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1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이 자신의 미래가 길다고 인식하면 미래지향적인 삶의 목표를 가지나, 짧다고 인식하게 되면 삶의 목표가 현재의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것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나이가 들어 남은 인생기간이 짧다고 인식하게 되면, 현재의 정서 상태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부정적인 자극보다 긍정적인 자극에 더 주의하고 더 잘 기억하게 되는데, 이를 긍정성 효과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의 주장과 같이 긍정성 효과는 남은 인생기간이 짧다고 인식하여 나타나는 현상인지를 연구하였다. 참가자에게 시간이 확장되거나 제한되는 가상의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 어떤 일을 할 것인 지, 누구와 시간을 보내고 싶은지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누도록 하여 가상의 상황에 몰입하도록 하였다. 그 후 긍정, 부정, 중립적인 정서 사진들을 제시하고 10분 후에 회상시켰다. 75명의 대학생과 65명의 노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남은 인생기간을 조작하지 않는 통제조건에서 노인은 부정사진 보다 긍정사진을 더 많이 회상하는 긍정성 편향을 보였으며, 청년은 반대로 부정사진에 대한 편향을 보였다. 시간확장조건의 노인은 통제조건의 노인에 비해 긍정사진을 덜 회상하였고 부정사진은 더 많이 회상하였다. 이에 반해 시간제한 조건의 청년은 통제조건의 청년에 비해 부정사진을 덜 회상하였다. 이는 노인도 남은 인생기간을 길게 인식하면 긍정 회상이 감소하고 부정 회상은 증가하여 긍정성 편향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청년의 경우 남은 시간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부정 회상이 감소하는 긍정성 편향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는데, 이러한 반응은 노인이 보이는 반응과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성 편향은 남은 시간을 제한적으로 인식할 때 나타나는 현상임을 보여준다. According to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if people perceive their time left in life as expanded, they have a future-oriented goal of life, but if perceive as limited the goal of life is changed into the pursuit of present emotional satisfaction. Thus, if we perceive our time left as getting limited as we get older, we pay more attention to the positive stimuli than the negative ones and remember more the positive stimuli in order to maintain the current emotional state as positive. This is known as the positivity effe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positivity effect is caused by a limited future time perspective.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scenarios for hypothetical situations in which the future time was expanded or limited, and were encouraged to immerse in the virtual situation by talking about what they would like to do and whom they wanted to spend time with. Then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48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pictures and were asked to recall after 10 minutes delay. 75 university students and 65 elderly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control condition where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not manipulated, the elderly showed the positivity effect but the youth showed the bias toward negative pictures. The elderly in the expanded time condition recalled positive pictures less and negative pictures more than the elderly in the control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youth in the limited time condition recalled less the negative pictures than the youth in the control condi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derly did not show the positive bias whe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expanded, and that the youth showed the positive bias whe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limit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ity effect is related with the limited future time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