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몬드꽃의 노래 : 고통 속에서 희망을 노래하다

        김혜령 서울장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음악은 음을 재료로 하여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음악의 창작자는 자신의 사상과 감정에 대한 사유의 결과를 ‘음’이라는 재료를 통해 표현하게 되는데 음악은 그 특성상 시간예술의 영역이다. 그러나 19세기 말 무렵에 녹음 기술이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소리를 기록하는 매체들도 함께 발전해왔고 소리를 기록할 수 있게 되면서 음악은 시간 예술에서 공간의 예술로까지 확장되었다. 음반이라는 매체를 통해 기록된 음악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창작자의 이야기와 정서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것은 마치 구전으로 전해지던 과거의 이야기가 동화책이라는 형태로 만들어져서 오늘의 아이들에게 읽히는 것처럼 기록된 음악 또한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고 현재와 미래를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된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음악을 기록하는가? 필자는 이것을 예술가의 창조적 소명과 시대적 소명, 영적 예배라는 차원에서 설명했는데 이 세 가지는 모두 ‘기억’이라는 단어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 사람들은 기억하기 위해서 기록한다. 초대 기독교 철학자인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주요 저서인 『고백록』에서 시간에 대한 논리를 펼쳤는데 그는 미래의 시간이나 과거의 시간은 없는 것이며 미래나 과거는 현재라는 형태로 존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적 시간의 차원을 발견했는데 시간은 인간 내면의 세계에서 미래는 ‘기대’로, 현재는 ‘직관’으로, 과거는 ‘기억’의 형태로 파악된다는 것이다. “이 차원에서 시간은 사람들 마음에 들어와 사람들이 다룰 수 있는 것이 된다. 옛 시간을 다시 불러오거나 미래를 미리 그려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기억이다. 과거의 회상과 미래를 향한 기대가 기억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스페인 철학자 조지 산타야나는 ‘과거를 기억 못 하는 이들은 과거를 반복하기 마련이다’라고 말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기억하기 위해 기록을 하고 기록된 기억은 어떤 의미로든 역사가 된다. 독일의 철학자 헤겔은 음악이 진정에서 우러나오는 깊은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인간의 마음과 심정을 변화시킨다고 말했는데 그는 음악의 위력이 실질적으로 효과를 발휘하려면 추상적이고 순수한 음악 외에 정신적인 내용도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음악을 통해 표현하는 것은 사람들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마음을 변화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음악이 음반을 통해 기록된다면 하고자 하는 이야기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긴 감정과 정서까지도 기억되고 기록되는 것이며 이것은 시대와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더욱 많은 사람이 각자의 이야기와 감정, 정서의 기억을 서로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장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 가족자원봉사 프로그램개발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새싹으로 나누는 사랑, 함께하는 기쁨』프로그램과 참여자를 중심으로 -

        김혜령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원봉사활동은 인간생활의 한 부분이며, 지역사회발전의 중요한 기초가 된다. 최근 자원봉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확산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서 자원봉사 참여가 증대되고 있다. 가족 전반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가족단위의 자원봉사에 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욕구에 비해 지역사회에서는 가족자원봉사의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생태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가족자원봉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생태학적 관점에서 가족자원봉사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가정의 건강성증진 및 가족자원봉사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가족생태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가족자원봉사프로그램이란? 둘째, 가족자원봉사프로그램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족들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지도교수와 건강가정사 4인이 참여한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족자원봉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총5시간, 총2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목표는 가족자원봉사에 대한 기본개념 및 새싹채소재배에 대한 관리방법이해와 프로그램을 경험한 가족들의 가족건강성유지 및 발전이다. 2006년 6월 17일부터 21일까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가족자원봉사자 18가족 41명중, 자녀교육기의 동일한 가족생활주기를 경험하고 있는 가족자원봉사자 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만족도에 관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9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현장에서 녹음한 음원을 전사하여 인터뷰내용을 모두 읽고 주제를 탐색하는 개방형 코딩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생태학적 관점에서 개발된 가족자원봉사프로그램은 가정 내 의사소통 증진과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유도, 환경에 대한 책임감을 길러주는데, 이는 가정․지역․환경 각각의 요소들이 단순한 영향을 넘어 가족을 둘러싼 가족생태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궁극적인 목표에 이르게 하는 것을 뜻한다. 가족을 둘러싼 환경 중 친환경적 요소를 가정 내로 끌어들인 새싹채소재배와 가족자원봉사활동을 통해 가족의 여가문화, 식탁문화, 지역의 나눔문화, 가족․지역사회협동문화를 이끌어내고, 이는 궁극적으로 건강한 가족문화조성에 이바지한다. 둘째, 가족자원봉사프로그램은 개발-실행-평가의 3단계를 거친다. 1단계는 프로그램의 개발단계로, 현황조사와 관심분야의 현황, 현장 등을 파악한 후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춰 실천계획을 수립하였다. 2단계는 프로그램의 실행단계로, 세부1단계인 가족자원봉사기초교육 및 새싹채소재배교육은 8가족이 참석하였고, 기관을 방문하여 가족이 직접 재배한 새싹으로 식사를 제공하는 세부2단계는 10가족이 참석하였다. 세부1, 2단계 사이에는 가족이 가정 내에서 새싹을 재배하고 일지를 작성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3단계는 프로그램의 평가단계로,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가족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인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가족자원봉사프로그램 만족도를 살펴보면 참여자들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은 본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내며, 실행근거로써 프로그램을 뒷받침해준다. 지금까지 살펴 본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의 특성과 다양한 욕구를 고려하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면접대상인 포커스그룹이 단일소그룹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다양한 포커스그룹 이나 비교그룹을 만들어 인터뷰를 실시하거나 양적조사와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가족자원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사회 협력체계망을 구축하고 이에 따른 적극적인 홍보와 가족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Volunteer activities is a part of everyday life and become an important bas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Recently,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of various fields has been increased thanks to the affirmative understanding of volunteer activities. As the standard of living is raised, interests in the volunteer services by the family unit have been also increased. Unlike this trend, more systematic programs to activate the family volunteer activities are insufficient. Henc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family volunteer program based on the family ecological viewpoint and then researched into its satisfaction level from the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pplicable programs at the field by reviewing theories of family volunteer activities on the family ecological viewpoint, and ultimately to promote healthy family and to activate family volunteer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in order to perform this research purpose: First, what is the family volunteer program based on the family ecological viewpoint? Second, how is the family volunteer program proceeded? Third, what i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his, the author developed a family volunteer program that could be applicable to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rough a brainstorming, which was participated with an adviser and four agents for a healthy family. This program consisted of two sessions. The total period of the program was five hours and it aimed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the family volunteer service, to know how to grow sprouts, and to maintain and develop the healthy family for the participants, 41 members of 18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rom June 17th to June 21st, 2006.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volunteers who were experiencing the same family life cycle with their children. The 90-minute interview was recorded and its sound source was all written down, which was then analysed with the open coding to seek them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mily volunteer program developed from the family ecological viewpoint promotes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y, incites people to have interests in the community, and raise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environment. This means those three elements including family, community and environment are design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reach the ultimate purpose. Among the environments surrounding a family, the leisure culture, the table culture, the community sharing culture, and the cooperation culture in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could be steered through environmentally friendly activities such as growing sprouts and family volunteer activities. This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healthy family culture. Second, the family volunteer program goes through three steps of develop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The first step was the development stage, which consisted of investigating the present status, the field of interests, and the site inspection. After setting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e practical plans were established. The second step was the execution stage. Eight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first proceeding that involved the training session for the family volunteer activities and growing sprouts. Then, ten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second proceeding that provided a meal with the sprouts they cultivated. They had been told to keep daily logs while they were growing the sprouts. The third step was the evaluation stage. In this stage, the focus group interview, a qualitative method in social work research,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the program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ird, when looking at the satisfaction level,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amily volunteer program.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program means the positive evaluation on this program, which gave supports to the program as the base for execution. Based on the research founding, the following proposals can be recommended: First, follow-up researches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re necessary aft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needs of the family. Second,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the focus group for interview consisted of a small group. Hence it is necessary to have interviews with various focus groups or control groups, and to go side by side with the quant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Third, in order to activate family volunteer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operative networks in the community in order to activate family volunteering and accordingly to carry out active publicity activities and family training.

      • 타자의 시선과 자기인식의 공간

        김혜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과거에 비해 사회적으로나 물질적인 면에서 많은 자유와 선택이 주어진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현대사회는 개인으로 하여금 얼마든지 자유로운 주체로 살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주고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우리는 삶의 많은 부분을 나 자신의 선택이 아니라 타자의 시선 그리고 외부의 선택에 의해 좌우되며 살아간다. 이에 대해 사회 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은 완전히 독립된 개인으로 사는 것은 고독을 대면하는 일이기 때문에, 우리는 종종 무언가에 지배되어 스스로를 동일시 하거나 순응하는 방식으로‘주체’로서의 자아 실현을 회피한다고 이야기한다. 자유가 무한하게 주어진 사회일수록, 우리는 역설적으로 외로움을 더 깊이 느끼고 자유를 회피하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자유의 회피는 주체로서의 자아를 더욱 갈구하게 하고 자기인식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타자의 시선에 순응하는 자아와 주체로서의 자아의 불일치는 정체성에 대한 의문과 내적 갈등을 경험하게 한다. 이에 본인은 주체의 부재에서 비롯되는 갈등과 감정을 무의식적 심리 공간으로 시각화하였으며 이를 완벽히 겹쳐지지 않는 대칭된 공간 속 두 풍경을 통하여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주체로서의 자신의 모습을 고민하고 타자의 시선 속에 무감각해진 현재의 자기를 인식하고자 하였다. 잠재된 무의식의 세계는 의식과 현실의 언어로 설명되지 않는 여러 가지 감정과 내적 갈등이 검열되지 않은 채 존재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무의식의 세계는 내밀한 꿈이나 몽상과 같은 모습을 통해 현실에 의해 가려지거나 통제되어 온 생각들을 보여준다. 의식적 공간이 다듬어진 공간이라면, 무의식은 현실 이면의 가려진 본연의 내밀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주어진 무한한 자유가 다시 자유를 회피하게 만드는 역설적 심리 앞에서 무력해질 때, 타자의 시선에 순응하는 자신을 바라볼 때, 본인은 이러한 심리적이고 무의식적인 공간을 탐구함으로써, 현실에서 누락되거나 생략된 기억의 조각들을 통해 내면의 공간과 마주하고자 하였다. 본인은 타자의 시선과 정체성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작업의 이론적 토대를 서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사회에서의 타자의 시선의 의미와 개인의 정체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본인의 작업에서 보여지는 심리적인 무의식의 풍경은 '자기인식'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자기인식’과 자기인식에 있어서의 '무의식'의 의미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정체성의 탐구와 예술과의 접점을 찾아보았다. 거울과 자화상은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중요한 소재가 되어왔다. 먼저 분열된 의식과 내적 탐구의 표현으로서 소재가 되어왔던 거울의 상징적 이미지를 다룬 작품들에 관해 알아보았다. 또한 타자의 시선과 정체성을 표현한 자화상 작업에 관해 서술하였다. 작품의 내용적 연구에서는 본인 작품에서 타자의 시선 속 정체성에 대한 본인의 생각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품 속에 시각화되었는지에 관해 설명하였다. 작품 속 공간에 대하여 이야기 하였으며 개인의 정체성을 표현한 형상을 지워진 초점과 응시, 익명성 그리고 복제된 형상이라는 키워드로 이야기하였다. 또한 방법적 연구에서는 긴 구도의 그림 속의 표현방식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작품 속 심리적 투영 형상의 표현에 관하여 이야기 하였다. 본 논문은 타자의 시선 속 개인의 정체성을 심리적 공간으로 형상화함으로써 객관적인 이론 설명과 함께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We are living in an environment in which we have a high degree of freedom and a variety of economic or social opportunities. It appears that modern society provides us with a hope that we can have the freedom to lead an independent life. However, we often feel that our lives are greatly influenced by decisions and expectations made by society or other people. According to Erich Fromm, a social psychologist, being an individual requires facing deep solitude, which makes him or her feel insecure about themselves. Therefore, modern people follow certain social norms or conventions given by society or other people rather than following their own opinions or beliefs. Feelings of loneliness and a sense of insecurity lead us to escape from genuine freedom. However, at the same time, escaping from freedom also causes us to seek an independent ego and to feel a need for self-awareness. The gap between an independent ego and a superficial ego raises a question about identity and causes inner conflicts. My work is about an unconscious inner space that shows inner conflicts and emotions people experience in the absence of an independent self in modern life. The unconscious inner world is a space that contains diverse emotions and inner conflicts of the human mind. While the conscious mind is a regulated and refined space, the unconscious mind is an unregulated and raw space that shows the hidden parts of the human mind, which are largely suppressed by a conscious ego in real life. Modern life seems to offer us unlimited freedom to think and act on our own. However, our society increasingly causes us to feel helpless by making us follow certain social conventions and expectations. As a consequence, it made us escape from our authentic and independent self. Part II mentions a theory on the impact of social expectations and norms in modern society on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Also, the inner world of my work can be described as a space for self-awareness. Next, I explained a theory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self-awareness and the role of the unconscious in the process of self-awareness. In the next section, I mentioned artists whose works focus on identity issues. Mirror and self-portraits have been important sources of inspiration for their work. Part III elaborates on how my ideas about the identity of individuals in modern society are visualized in my work. I described imaginary spaces and figures expressed in my work. Part IV demonstrates how I used panoramic composition to express a flow of time in the imaginary spaces. Also, I explained how I gave human qualities to figures in my work, such as animals or nature, by using personification or by applying human emotions. This paper looks into the identity issues modern people experience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norms and expectations created by society and others. Through this academic research in art work, I intend to put my work on a theoretical basis and make it an opportunity to move on to the next stage.

      • 구조적결합을 이용한 도자표현 연구

        김혜령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적 표현에 있어서 주제에 맞는 표현기법을 발견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작가들의 노력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이들은 실존하는 이미지를 자신만의 영역으로 구축하여 표현함으로써 대중들로 하여금 새롭게 느끼도록 하고자 했다. 그중에서도 ‘결합’이라는 기법은 기존의 것들을 합하여 또 다른 의미와 형태를 갖게 하는 것으로서, 오랜 세월 동안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통칭된 기법을 형태적으로 이용하고자 물레성형 기법으로 제작한 기물들을 해체하고, 다시 해체된 두 개 이상의 조각들을 결합하는 과정을 가졌으며, 이를 ‘구조적결합’이라 칭하였다. 도자기를 성형하는 방법 중 물레성형 기법은 회전운동으로 단시간 내에 정확한 대칭의 형태를 반복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점은 일부 도예가들로 하여금 표현의 단일함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본 연구자 또한 처음의 작업에서는 단순히 하나의 기물을 깎는 것에만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곧 물레성형을 이용한 대부분 형태가 단순히 원형 그 자체만으로 마무리되어지는 것에 대한 따분함을 느끼게 되었고, 이러한 이유가 변형을 통한 도자 표현의 기법적인 연구로 이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앞서 이야기한 ‘구조적 결합’의 과정을 통하여 안팎의 구조에 변화를 주고, 기물 내부의 점·선·면이 중첩되어 만들어지는 기하학 공간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과정 중 기하학의 조형적 요소와 공간의 개념 또한 탐구되어졌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구조적결합’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물레성형 기법을 이용하여 작품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보다 구조적인 공간 표현과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이들에게 하나의 조형적 표현의 기법으로 사용되어지길 바라며, 도자조형작업에서의 기술적인 연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기대한다.

      • 실내 벽면녹화 공간 이용자 행태연구 : 대학구내식당 녹화 칸막이 선호를 중심으로

        김혜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벽면녹화는 도시 내 수직공간을 활용하여 부족한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점차 많은 곳에 설치되고 있다. 수직 녹색공간이 주는 경관은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고 도시민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실내외 벽면녹화가 이용행태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 아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벽면녹화가 이용자에게 어떠한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지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공용공간 이용객이 벽면녹화 조성 공간을 선호한다는 실 험 가설 하에 벽면녹화가 이용객의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관찰실험을 진행하였다. 실내벽면녹화를 설치한 후 행 태관찰과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내벽면녹화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관찰실험은 실내벽면녹화 선호가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가에 관해 2014년 3월 24일부터 31일까지 총 8일간 진행 하였다. 실험대상지는 서울대학교 학생회관식당으로 선정하였고, 식당 내부의 배식구와 퇴식구 위치 등을 고려하여 가장 유사한 환경조건을 갖춘 두 영역을 관찰범위로 설정하였다. 한 영역은 기존칸막이를 그대로 두고, 바로 옆 영역은 기존칸막이(높이 1.2m)에 높이 0.7m~1.2m 범위로 벽면녹화를 조성하여 비교 관 찰을 진행하였다. 벽면녹화방법은 식재판에 화분을 끼워 고정하 는 방식으로 격자형 모듈 디자인이 가능하고 교체관리가 간편한 분리형 탈부착식 벽면녹화 방식으로 하였다.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이용행태를 관찰카메라로 녹화하여 영상을 보면서 분석하였으며, 좌석 선택의 여지가 없이 붐비는 시간대는 관찰시간에서 제외하였다. 동영상 분석을 통해 얻어진 이용시간 을 엑셀 프로그램으로 데이터화 하였으며,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좌석별 평균이용시간을 독립표본 T-검정을 실행하였 다. 유의확률 0.05를 기준으로 총 사용시간 평균을 비교하여 실 내벽면녹화 선호를 분석하였다. 좌석별 이용자수 데이터는 4단계 로 나누어 선호좌석 분포를 살펴보았으며,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 면녹화 칸막이 공간에서 선호좌석 분포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여성이용자를 중심으로 칸막이와 식물이 좌석 선택에 어떠한 영 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는 행태관찰 후 2013년 4월 1일부터 2일까지 총 2일 간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막이 이용객 224명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로 실내벽면녹화 선호도와 그 이유 에 대해 알아보고 관찰실험, 좌석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였 다. 위 과정을 통해 도출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과 일반칸막이 공간의 칸막이 인접 좌석의 총 이용시간 비교결과, 실내벽면녹화 선호도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3월 25일부터 31일까지 총 7일간 총 45시간 11분 중 좌석 당 평균이용시간은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은 7시간 17분 41초, 일반칸막이 공간은 7시간 39분 37초로 일반칸막이 공간 이 21분 57초 더 많게 나타났으나,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 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지 않아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 막이 공간 선호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의 여성이용자 비율이 일반칸막이 공간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이용자 2,074명 중 여 성의 비율은 29.3%(607명)이다. 일반칸막이 공간을 이용한 1,034명 중 여성이용자의 비율은 26.5%(274명), 벽면녹화 칸막 이 공간을 이용한 1,040명 중 여성이용자의 비율이 32.0%(333 명)로 여성이용자 비율이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에서 5.5% 더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칸막이 공간보다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평균이용시간 차이가 가장 큰 3월 30일 오후 4시 50분부터 오 후 5시 10분까지 20분 동안 이용자수 26명 중 38.5%(10명)이 여성이용자였으며, 일반칸막이 공간 이용자 14명 중 21.4%(3 명),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이용자 12명 중 58.3%(7명)로 여성 이용자 비율이 36.9%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벽면녹화가 여 성이용자들에게 더 큰 선호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칸막이와 식물은 좌석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용자를 중심으로 일반칸막이 공간의 칸막이 인 접좌석과 벽면녹화 칸막이의 칸막이 인접좌석의 평균이용시간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칸막이 인 접좌석과 통로인접좌석의 여성이용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었는데, 빨리 먹고 가야 하는 구내식당의 장소적 특성상 이용객은 배식구와 퇴식구에 가까운 통로 인접좌석을 선호한 것 으로 보인다. 넷째, 설문조사에서는 실내벽면녹화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행태관찰에서 나타나지 않는 이용자의 심리적 측 면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일반칸막이 공간 이 용객 94명 중 11.7%(11명)가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에 앉기를 원하였으나‘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에 자리가 없어서’일반칸막이 공간에 앉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이용객 130명 중 24.6%(33명)가‘실내벽면녹화를 선호해서’라고 응답하였다.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막이 이용객의 64.3%(144명)가 동일조건이라면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을 선택 하겠다고 응답하여 선호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태관 찰에서 선호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이용행태는 선호의사 외 에 다른 요인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실험대상지에 대한 장소적 특성에 그 원인 이 있다. 대학 구내식당의 경우 주 이용객이 20대 대학생으로 빠 른 시간 안에 배식과 퇴식이 이루어져 실내 경관을 시각적으로 즐기며 이용행태에 영향을 받기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내벽면녹화 공간에 대한 선호가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상황에 서는 벽면녹화 선호가 이용행태에 반영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 결과에서 여성이 벽면녹화 설치 여부에 따라 이용에 가 장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태관찰 대상지 이용자 의 70.7%가 남성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실험가설을 증명하기 에 적합한 장소가 아니었다고 생각된다. 향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공간에서 벽면녹화가 어떠한 행태 변화를 주는가에 대한 연구, 주변 경관을 즐기며 여유있게 식음 행위가 가능한 카페, 휴게 공간 등 벽면녹화 설치에 적합한 장소 를 찾는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