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TER TF 초전도 도체 개발과 특성

        김형찬,오동근,박수현,김기만,Kim, Hyoung-Chan,Oh, Dong-Keun,Park, Su-Hyeon,Kim, Kee-Man,Bruzzone, P. 한국초전도학회 2009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Vol.10 No.2

        As a participant taking part in the ITER TF conductor R&D program, we developed two toroidal field conductors with variations of conduit thickness resulting in the different void fraction of the conductors. The estimated void fractions of the conductors are 31% and 33%.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tails of the TF conductor development and performance test results of them carried out by the measurement of current sharing temperature under cyclic loading. Regarding the conductor development, the internal-Sn-processed $Nb_3Sn$ strand characteristics, strand cabling, twist pitch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duit materials are present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onductor design and performance, the conductor test results are presented and the effect of the conductor design parameters such as void fraction and twist pitch i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후보

        사문난적(斯文亂賊) 논난(論難)과 사서(四書)의 재해석(再解釋) : 박세당(朴世堂)의 『사변록(思辨錄)』과 김창협(金昌協)의 批判을 중심으로

        김형찬 ( Hyoung Cha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3 No.-

        This paper aims at comparing and reviewing Pak Se-dang"s Sabyeon-nok (Thoughtful Elucidations) and Kim Chang-hyeop"s point of view that criticized it, focusing on their interpretations on Four Books. I examined Pak"s critical mind on Zhu Xi"s philosophy and his alternative ideas, and threw light on the viewpoint of Noron (Patriarch"s faction) of Seoin (Westerner) including Kim Cahang-hyeop that raised a question to Pak. The points at issue in this paper are three. The first one is the basic position that Pak criticized Zhu Xi"s philosophy in reviewing Four Books. Pak criticized the tendency of Zhu Xi"s philosophy giving weight to metaphysics and proposed the practical method of learning that is studying from below and getting through to what is up above. However, Kim censured that Pak didn’t understand Zhu Xi’s explanation. Next two points are the problems of understandings about ‘nature (性) and li (理) are the same’(性卽理) and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格物致知), which were the points at issue that Kim gave attention to in Pak’s criticism on Zhu Xi’s philosophy. Pak distinguished nature from li considering nature as ‘li in gi (氣)’, and expounded that investigation (格) included the meaning of correction (正). Moreover, he prescribed that the moral nature is a kind of virtue obtained by practice, and explained that goodness and badness were distinguished by an ethical judgment or action in the phenomenal world. Kim criticized that it was not only Pak"s misunderstanding of Zhu Xi"s philosophy but also an injury to Zhu Xi. 朴世堂의 『思辨錄』과 그를 비판했던 金昌協의 입장을 四書에 대한 해석 논의를 중심으로 비교·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박세당이 주자학에 대해 가졌던 문제의식과 그 대안은 무엇이었는지 검토하고, 이를 공격했던 西人 老論이 문제시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 밝혔다. 본 논문에서 주목하는 논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는 박세당이 四書를 재검토하며 주자학을 비판한 기본적인 입장이다. 박세당은 주자학의 형이상학화를 비판하며 下學而上達의 실질적인 공부방식을 제안하였고, 이에 대해 김창협은 주자학에 대한 박세당의 공부가 부족하다고 비판하였다. 다음 두 가지는 박세당의 주자학 비판 중 김창협이 특히 문제 삼았던 쟁점으로서, ‘性卽理’와 ‘格物致知’에 관한 이해의 문제였다. 박세당은 性을 ‘氣中之理’로 보아 理와 구분하였고, 格物致知의 해석에서는 格의 해석에 ‘正’이라는 양명학적 해석을 도입하였다. 나아가 도덕성을 실천에 의해 획득되는 덕목이라고 규정하고, 善惡의 구분을 현상적인 실천의 차원에서 설명하였다. 김창협은 이를 주자학에 대한 그릇된 이해이며, 나아가 주자학을 해치는 것으로 규정하며 비판하였다.

      • KCI등재

        현암 이을호의 탈주자학,탈중국적 자주성과 한국사상연구의 시각

        김형찬 ( Hyoung Cha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현암 이을호는 중국사상의 기준으로 볼 때 한국사상이 어떤 가치를 가졌는지, 나아가 그러한 기준에서 중국사상의 발전에 기여한 한국사상이 어떤 것인지를 찾아 드러내려 하기보다는, 근본적으로 한국사상이 중국과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려 하였고, 그 독자적 특성을 기반으로 평가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한민족의 뿌리인 동이문화가 중국문화에 뒤질 것이 없다는 당당한 자부심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러하기에 그는 중국의 수직적 문화와 다른 한국의 수평적 문화, 중국의 도일분수적(道一分殊的) 사유방식과 대조가 되는 한국의 회삼귀일적(會三歸一的) 사유방식을 그 특징으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그러한 한국의 수평적 호혜 문화가 중국의 수직적 종속 문화보다 앞선 것이며, 회삼귀일?이이일(二而一)적 묘합(妙合)의 문화가 서구의 논리적 사고를 넘어서는 차원의 사유방식이라고 자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한국 고유의 사상을 `한사상’으로 정의하고, `한사상’의 기준으로 한국사상사를 재평가하였다. 현암의 이러한 평가는 다소 지나친 감이 없지 않지만, 한국사상사의 큰 맥락에서 한국사상의 기준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생각해 볼 때 참고할 만한 좋은 선례가 된다. Hyeonam Yi Eulho tried to reveal how much Korean Though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Chinese Thought and suggest the criteria of evaluation on the basis of the independent property of Korean Thought. That was a great contrast to the other scholars that have found the value of Korean Thought by the standard of Chinese Thought and have disclosed which of Korean Thought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Thought by the same criteria. His attempt like this was on the basis of the confident pride that the culture of Dong-I, as the root of the Korean race, is never inferior to the Chinese culture. Therefore, he presented the horizontal culture of Korea that was deferent from the vertical culture of China and the Korean way of thinking uniting the three vehicles into one (會三歸一) that contrasted with the Chinese way of thinking dividing one way to a great number of individuals (道一分殊) as the characteristics. Moreover, he was confident on the idea that the Korean culture of the horizontal reciprocity was one step ahead of the Chinese culture of vertical subordination and the Korean culture of the mysterious combination was the way of thinking that went beyond the logical thinking of the West. Then on the base of these characteristics, he defined the original Korean thought as `One Thought` and revaluated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on the standard of `One Thought`. Hyeonam`s assessment like this would be hard to escape from the excessiveness, however it could be a good precedent to refer if we think what should be the criteria of Korean Thought in the grand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 KCI등재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 : 格物致知를 통한 인식과 수양을 중심으로

        김형찬(Kim, Hyoung-Chan)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6

        생태적 미래'가 인류의 공멸을 피하기 위한 최후의 어쩔 수 없는 혹은 내키지 않는 선택이 아니라, 인류의 역사에서 의미 있는 '진전'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자발적 선택이 되려면, 그것은 현대문명이 추구해 온 가치관보다 한차원 더 의미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역사 속에는 물질의 유혹에 맞서 절제된 생활양식을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으로 제시하고 권장하고 실천했던 상당히 성공적인 경험이 있었다. 가난조차 편안히 여기며 진리를 즐겼던 安貧樂道의 삶은 유학자가 지향한 고도의 가치 있는 생활방식이었으며, 성리학의 格物·致知는 그러한 가치관을 체득하는 인식·수양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었다. 그것은 인간이 자연의 일부로서 자연으로부터 삶의 방식을 배우며 살아가는 것이었지만, 또한 금수초목과 다른 인간다운 삶의 방향을 인식하고 추구하는 것이기도 했다. 당시에도 安貧樂道의 길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었지만, 그것은 인간이 자연의 산물이자 자연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생명력을 최대한 발휘할 뿐 아니라, 타자의 생명력도 가장 효율적으로 발휘하도록 도와주면서 자연·타자와의 조화로운 삶을 이끌어나가는 존재라는 자각과 자부심을 가졌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생태적 미래의 전망과 선택은 '문명'의 폐단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자연에로의 회귀가 아니라 진정 인간다운 삶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에 근거한 것이어야 할 것이고, 그러할 때 가난의 자발적 선택은 문명의 포기가 아니라 역사의 진전일 수 있다. If we expect to pursue 'the ecological future' not as the inevitable option for escaping from the fall of the human race, but as the voluntary choice that could be accepted as a meaningful advance in the human history, 'the future' should have more significant value than the future that the modern civilization has pursued. Fortunately, we have the successful experiences in our history that the ancestors recommended and practiced as the sustainable way of life against the material temptations. The lifestyle in which people lived content amid poverty and took pleasure in living with tao (安貧樂道) was the most valuable life that the Confucian scholars aimed for, and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格物致知) in Neo-Confucianism was proposed as the method of cognition and cultivation to learn the value of it. It was the means that human as a part of nature learned and followed the way of life from nature and recognized and sought the direction of the decent living as a human that was different from those of animals or plants. At that time like today, it was very hard to live content amid poverty and to take pleasure in living with tao. However, it was possible because human has the consciousness and pride that he could lead the harmonious life with others giving full play to his own living power and also helping others display their potential of life. The prospect and choice of the ecological future should be not a return to nature that comes from the resistance against the negative effect of civilization, but a decision that roots on the consideration on what is really a decent life as a human. And only in that situation, the voluntary choice of poverty could be not an abandonment of our civilization but a significant advance on the crossroads of history.

      • 다중 도메인 보안에서 RBAC의 상충문제

        김형찬(Hyung Chan Kim),이동익(Dong Ik Lee),김형천(Hyoung Chun Kim),강정민(Jung Min Kang),이진석(Jin S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Ⅰ

        역할기반 접근통제(RBAC)모델은 쉬운 관리성과 정책 적용의 유연성, 그리고 정책 중립적인 이점으로 인하여, 현재 많은 컴퓨팅 환경에서 적요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연구되었던 RBAC모델들은 대부분 단일 보안 관리를 가정하므로 최근의 협업 컴퓨팅 환경을 위한 접근 통제를 설계하는 데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업 컴퓨팅 환경을 다중 도메인 보안(Multi-Domain Security)으로 사상하고, 협업환경을 적절하게 고려하지 않은 RBAC의 적용이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본다.

      • KCI등재
      • 교량받침 유지 관리를 위한 효율적 재도장 표면처리 및 도장 방법에 관한 연구

        김형찬 ( Kim Hyoung-chan ),김법진 ( Kim Beop-ji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1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를 지지하면서 교량 회전, 활동 등을 수용하며, 하중을 하부구조로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교량받침은 공용 중 누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상시 자외선 노출, 빗물 튀김 등 자연 환경적 요인 염화물계 제설제 등에 의한 화학 작용으로 인해 부식이 발생된다. 교량받침의 부식은 교량받침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교량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 구조적 균열 또는 교량의 파괴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교량받침의 부식방지 유지보수 도장에 대한 기준 및 유지보수도장을 위한 표면처리, 도장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에 기반한 교량반침 유지관리를 위한 효율적 재도장 표면처리 및 도장 방법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퇴계(退溪)의 서원관(書院觀)에 대한 철학적 해명

        김형찬 ( Hyoung Chan Kim ) 퇴계학연구원 2014 退溪學報 Vol.136 No.-

        조선시대 서원의 역사에서 退溪 李滉(1501~1570)은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조선의 서원은 周世鵬(1495~1554)의 白雲洞書院 건립으로부터 시작되었지만, 서원의 역할과 의의를 재천명하여 조선 서원의 발전 방향을 세우고, 서원이 국가의 공인을 받도록 함으로써서원의 공적 위상을 확립한 것은 바로 퇴계였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퇴계의 書院觀에 관해 철학적 관점에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재검토한다. 첫째, 퇴계가 서원의 기능 중 교육과 함께 祭享을 중시하게 된 것 은 서원들의 건립과정에서 제향의 문제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 다는 사실 외에도, 天命·上帝에 대한‘종교적’敬畏의 자세를 강조 하고 학문의 기본자세로서 敬을 중시했던 퇴계의 공부·수양론과 연 관해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퇴계는 과거공부에 몰두하는 것을 비판했지만, 內聖外王이 라는 유학 또는 성리학의 궁극적 목적에 비추어볼 때 과거공부와 도 학공부의 관계를 대립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 퇴계는 사적인 利를 추 구하는 것은 반대하였지만, 義를 추구하는 가운데 그 義에 대한 和應 으로서 얻어지는 利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학 연마의 결과로서의 관직 진출까지 반대한 것은 아니다. 셋째는 퇴계의 서원 건립 운동이 국가 차원의 정치를 포기하고 향 촌 단위의 정치로 입장을 전환한 것인가 하는 것이다. 관직을 물러나 향촌에 머무는 현실적 처지에서는 그것이 불가피한 선택일 수 있겠지 만, 오히려 진리의 성전으로서 서원을 세움으로써 理一分殊的 理가 군왕의 마음으로부터 향리까지 관철되는 중요한 거점으로서 서원을 자리매김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한 서원을 통해 현실 권력을 견제하고 공론을 형성하며 인재를 양성해 중앙정계와 향촌에 공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의 서원 건립 운동을 향촌 차원의 일로 한정지 을 수는 없다. Yi Hwang (李滉, pen name T`oegye 退溪; 1501-1570) occupies a special place in the history of the Confucian academies (Sowon 書院) of the Choson dynasty. He set the direction for the academies` development by redefining their sociopolitical role, and established their public status by obtaining the official approval of the king, even though the institutions began with Chu Sebung`s (周世鵬; 1495-1554) building of Paegundong Sowon. Based on existing research, this paper reconsiders a few concerns about T`oegye`s view of the academies from a philosophical stance. First,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T`oegye emphasized ceremonial rites as the main functions of the academies besides education, after noticing the importance of the former in establishing such institutions. However, his stress on the rites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his theoryof study and cultivation, which focused on the "religious" attitude of mindfulness and awe (敬畏) toward the Mandate of Heaven (天命) or the Lord on High (上帝) and regarded mindfulness (敬) as the basic posture for study. Second, in light of the final aims of Confucianism or Neo-Confucianism, the inner sage and outer sovereign (內聖外王), the preparation for the civil service exam (kwago 科擧), and the study of tao-learning (tohak 道學) were not necessarily in conflict, even though T`oegye opposed total absorption in study for the civil service exam. He objected to the seeking of personal interests [利], but did not disapprove of the attainment of personal interests as the outcome of the pursuit of justice [義] or of public posts that resulted from tao-learning. Third, does T`oegye`s campaign to establish the Sowon indicate that his concern changed from the politics of the nation to that of the rural communal society? This shift might have been inevitable after his move from public office to living in the country. However, it could also be understood as a reflection of his effort to build the Sowon as a sacred hall of truth and the primary base of disseminating the ideology of li (理) from the king`s mind to rural areas. The meaning of his campaign for Sowon is found in his desire to check political power, develop public opinion, and cultivate people of talent in order to offer them to the political world or rural society. Therefore, the meaning of his campaign cannot be limited to the scope of the rural society.

      • KCI등재

        天 개념의 이해와 事.物의 합리적 해석

        김형찬(Kim, Hyoung-Chan)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윤휴나 정약용의 天(天命, 上帝) 개념은 단순히 선진시대 天 개념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이황이 말한 보편적 이치이자 도도히 흐르는 天命으로서의 理의 가치기준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또한 天.上帝에 대해 感通[윤휴] 또는 戒懼愼獨[정약용]하는 인간의 관계도 이이가 말한 바와 같은 理氣論的 자연관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윤휴는 天.上帝를 공경하고 두려워하면서도, 그 天.上帝의 뜻이 性卽理로서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음을 근거로 하여 도덕적 본성의 구현을 통해 畏天.事天.樂天의 삶을 지향할 수 있다고 여겼다. 정약용은 性卽理를 부정하였지만, 그 대신 上帝의 뜻이 곧 인간에게 道心으로 내재되어 있음을 근거로 하여 上帝가 부여한 善 지향의 嗜好를 실현하며 살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윤휴와 정약용에게서 感通 또는 戒愼恐懼의 자세로 공경해야 할 대상으로서의 上帝는 자의적인 의지를 가진 인격신이 아니라 역시 이황, 이이의 경우와 같이 성리학 理氣論을 기반으로 하여 그러한 가치 기준 내에서 그 권능을 행사할 수 있는 존재로 이해된 것이다. Yun Hyu's or Jeong Yak-yong's idea of Cheon (Heaven), Cheonmyeong (the Mandate of Heaven) or Sangje (the Lord on High) was not just a return to the concept of Heaven in the ancient China, but an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e value standard of li (理) as the Mandate of Heaven flowing in the universe and the universal principle which Yi Hwang had told about. The relation that human reflects to and communicates with the Heaven (感通; as Yun Hyu said) or is careful-cautious and fearful-anxious about the Heaven (戒愼恐懼; as Jeong Yak-yong insisted) also stood on the premise of the view of nature in the li-gi theory that Yi I had argued. Yun Hyu thought that human could aim for the life fearing, serving, or enjoying the Heaven through realizing the ethical nature on the foundation that the mind of the Heaven or the Lord on High is inherent in human as the ethical nature, even if he respected and awed the Heaven or the Lord on High. Though Jeong Yak-yong denie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the universal principle, he argued that human could realize the taste oriented to the goodness on the ground of the fact that the Heaven's will is inherent in human as dosim (道心; the Moral Mind). In the case of Yun Hyu or Jeong Yak-yong, the Lord on High as the object that human should reflect to and communicate with or be careful-cautious and fearful-anxious about was not the personified god with the arbitrary will but the existence that could employ his power within the standard of value on the base of the li-gi theory of Neo-Confucianism like the cases of Yi Hwang and Yi 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