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임계압 CO₂의 수직상향유동에서 열전달계수

        김형래(Hyungrae Kim),김환열(Hwan Yeol Kim),송진호(Jin Ho Song),배윤영(Yoon Yeong Bae) 대한기계학회 200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5 No.11

        SCWR (SuperCritical Water-cooled Reactor) is a feasible option for the 4th generation nuclear power plant. The main advantage of SCWR is very high thermal efficiency. A proper design requires a good description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relevant geometries and operating conditions. A recently built supercritical pressure test facility in KAERI has been used in producing experimental data 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in a flow of supercritical pressure CO₂ in geometries relevant to a proposed SCWR core. Currently, heat transfer experiment with a small diameter circular tube is being executed. The test result is introduced and compared with correlations published previously.

      • KCI등재

        들뢰즈의 『시네마 II: 시간-이미지』 - 베르그손에 관한 세 번째 주석

        김형래(Kim, Hyung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베르그손주의자인 들뢰즈는 그의 저서 『시네마』1,2권에서 베르그손에 관한 네 개의 주석을 달고 있는데, 여기서는 세 번째 주석을 다룬다. 세 번째 주석은 베르그손의 기억에 관한 이론으로서 들뢰즈는 이 이론을 통해 영화의 기억-이미지와 꿈-이미지를 설명한다. 본고는 특히 기억-이미지에 집중하여 들뢰즈의 영화 분석에 대한 미시적인 재분석과 검토를 시도한다. 베르그손의 분류에 따르면 기억은 습관적, 자동적 기억과 주의 깊은 기억이 있다. 자동적 기억은 반복 학습을 통해 주어진 것으로서 추상화된 기억인 반면에 주의 깊은 기억은 매우 구체적인 과거의 개별적 사건들의 모든 층위를 의미한다. 예컨대 목초지에서 풀을 뜯고 있는 소에게 풀은 소를 살찌우는 유용한 먹이일 뿐이다. 이때 풀은 추상화된 사물이다. 하지만 풀 사이에는 명백히 구분이 있다. 잔디와 잡초와 네잎클로버 등의 구체적인 풀들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처럼 자동적 재인에 의한 기억은 추상화된 기억이고 주의 깊은 재인에 의한 기억은 구체적인 기억의 잠재적인 층위들을 포괄한다. 중요한 것은 영화에서 자동적 기억은 감각-운동 도식의 이미지를 통해 유기적으로 표현되는 반면 주의 깊은 기억은 감각-운동 도식의 해체를 통해 비유기적인 순수 시청각적 이미지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나는 영화의 시간-이미지의 등장과 궤를 같이 하는 현상이다. 본고는 특히 들뢰즈의 잠재태와 현실태라는 개념을 가지고 기억-이미지인 플래시백의 기능을 몇 가지 영화의 예들, 예컨대 데 시카의 <움베르토 D>, 로셀리니의 <유럽 ’51>, <스트롬볼리>, 카르네의 <태양은 떠오른다> 등을 통해 상세히 분석하는 동시에 영화에 대한 들뢰즈 분석의 오류를 검토하고 있다. The third comments on Bergson are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utomatic, or habitual recognition and the attentive recognition. On this basis, Deleuze explains about two time-images, say, recollection images and dream images. The attentive recognition in film means that the camera lingers on an object so that the spectators recollect the virtual, that is, the past and the future. At this moment, the movement-images based on the sensory-motor schema stop so as to enter into the realm of the time-images. The time-images mean here mainly the pure optical and sonic images that lead to the recollection images and dream images. Especially, it is important for us to differentiate the virtual from the actual. The actual is being actualized in the present, on the contrary, the virtual is being recalled from the past and the future so as to serve to the present. However, the virtual and the actual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they are exclusively related with each other. By the timeimages, this relation between the virtual and the actual leads to the indiscernible points. We can see these relations within the recollection images and dream images in the films after the WWII. This article deals, for the most part, with the recollection images that are made of flashbacks. For example, the films like Rosellini"s Europa ?51 and Stromboli, Carne"s Le Jour se leve and Godard"s Les Carabiniers have been mostly analysed. 베르그손주의자인 들뢰즈는 그의 저서 『시네마』1,2권에서 베르그손에 관한 네 개의 주석을 달고 있는데, 여기서는 세 번째 주석을 다룬다. 세 번째 주석은 베르그손의 기억에 관한 이론으로서 들뢰즈는 이 이론을 통해 영화의 기억-이미지와 꿈-이미지를 설명한다. 본고는 특히 기억-이미지에 집중하여 들뢰즈의 영화 분석에 대한 미시적인 재분석과 검토를 시도한다. 베르그손의 분류에 따르면 기억은 습관적, 자동적 기억과 주의 깊은 기억이 있다. 자동적 기억은 반복 학습을 통해 주어진 것으로서 추상화된 기억인 반면에 주의 깊은 기억은 매우 구체적인 과거의 개별적 사건들의 모든 층위를 의미한다. 예컨대 목초지에서 풀을 뜯고 있는 소에게 풀은 소를 살찌우는 유용한 먹이일 뿐이다. 이때 풀은 추상화된 사물이다. 하지만 풀 사이에는 명백히 구분이 있다. 잔디와 잡초와 네잎클로버 등의 구체적인 풀들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처럼 자동적 재인에 의한 기억은 추상화된 기억이고 주의 깊은 재인에 의한 기억은 구체적인 기억의 잠재적인 층위들을 포괄한다. 중요한 것은 영화에서 자동적 기억은 감각-운동 도식의 이미지를 통해 유기적으로 표현되는 반면 주의 깊은 기억은 감각-운동 도식의 해체를 통해 비유기적인 순수 시청각적 이미지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나는 영화의 시간-이미지의 등장과 궤를 같이 하는 현상이다. 본고는 특히 들뢰즈의 잠재태와 현실태라는 개념을 가지고 기억-이미지인 플래시백의 기능을 몇 가지 영화의 예들, 예컨대 데 시카의 <움베르토 D>, 로셀리니의 <유럽 ’51>, <스트롬볼리>, 카르네의 <태양은 떠오른다> 등을 통해 상세히 분석하는 동시에 영화에 대한 들뢰즈 분석의 오류를 검토하고 있다. The third comments on Bergson are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utomatic, or habitual recognition and the attentive recognition. On this basis, Deleuze explains about two time-images, say, recollection images and dream images. The attentive recognition in film means that the camera lingers on an object so that the spectators recollect the virtual, that is, the past and the future. At this moment, the movement-images based on the sensory-motor schema stop so as to enter into the realm of the time-images. The time-images mean here mainly the pure optical and sonic images that lead to the recollection images and dream images. Especially, it is important for us to differentiate the virtual from the actual. The actual is being actualized in the present, on the contrary, the virtual is being recalled from the past and the future so as to serve to the present. However, the virtual and the actual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they are exclusively related with each other. By the timeimages, this relation between the virtual and the actual leads to the indiscernible points. We can see these relations within the recollection images and dream images in the films after the WWII. This article deals, for the most part, with the recollection images that are made of flashbacks. For example, the films like Rosellini"s Europa ?51 and Stromboli, Carne"s Le Jour se leve and Godard"s Les Carabiniers have been mostly analysed.

      • KCI등재

        들뢰즈의 『시네마 1: 운동-이미지』에 나타난 '운동에 관한 논제'

        김형래(Kim, Hyung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0

        본고는 들뢰즈의 <시네마 1>에 나타난 베르그손의 운동에 관한 논제를 다루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세 번째 논제: 운동과 변화' 부분을 분석한다. 이 부분은 베르그손주의자인 들뢰즈 철학의 핵심, 즉, 그의 존재론을 가늠케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이데거가 그러하듯이 들뢰즈의 존재는 존재자들 전체의 관계질서에 다름 아니다. 부분과 전체에 관한 논의로 보자면 존재자들은 부분들을, 존재는 부분들 전체의 관계질서를 의미한다. 들뢰즈는 운동에 관한 세 번째 논제에서 이 부분들의 운동을 지속으로, 그리고 이 지속을 전체로, 다시 전체를 열린집합, 개방성, 혹은 관계로 설명하고 있다. 즉 부분들의 운동과 그것들의 질적 변화는 지속과 전체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설명할 수 없다. 그리고 이 지속과 전체는 부분들의 폐쇄집합이 아닌 열린 집합의 성격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데거와 유사한 들뢰즈의 존재론을 파악할 수 있다. 물론 본고는 하이데거와 들뢰즈의 존재론의 차이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논외로 한다. 무엇보다 들뢰즈가 <시네마 1>에서 이러한 논의를 영화에 대한 논의로 확장하고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그래서 부분과 전체에 대한 논의는 운동과 변화에 대한 논의로 확장되고, 또 나아가 프레임과 쇼트, 그리고 몽타주에 대한 논의로 확장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위해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고는 전통적인 철학에서 부분과 전체, 혹은 존재자와 존재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다루고, 다음으로 들뢰즈의 운동에 관한 세 가지 논제를 차례로 다룬다. This article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reports a brief history of the discussions about a part and the whole, or das Seiende and das Sein in the philosophy. The second part deals with the third thesis about the movement: the movement and the change in Deleuze's Cinema 1: the movement-image. For Deleuze, the simple movement from A to B is the transition, and a qualitative change is the movement. This movement as the qualitative change is durée, one of the Bergson's notions. Moreover, according to Deleuze, durée has not to do with a closed set, but with the whole and the relation. It implies the core of Deleuze's philosophy, namely, his ontology, which is comparable with the ontology of Heidegger. It discusses on the relation of a part and the whole, or 'das Sein' and 'das Seiende'. Like Heidegger, Deleuze argues that the whole is not the sum of the individual parts. Deleuze applies this principle to the cinema. The moving images consist of 24 images per second. According to Deleuze, an image is not an immobile section, but a moving section. These images does not form a set out of the immobile sections, but the whole out of the moving sections. The parts of a set are closed, but the parts of the whole are opened to the whole, because the parts are always moving. A framing, shots, and montage work like this. When as the moving parts, they are related with the whole, they can be meaningful.

      • 자연순환보일러에서 드럼수위 동특성 모델

        김형래(Hyungrae Kim),최상민(Sangmin Choi) 대한기계학회 200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3 No.11

        Proper control of drum water level is vital to the stable operation of drum-type boilers. In this paper, a model for water level dynamics is presented. The model is based on the basic conservation rules about mass, energy, and momentum. The steam-water mixture in a drum is divided into three subvolumes, and mass and energy conservation rules are applied. For a downcomer-riser loop, a simple form of momentum conservation equation is applied to estimate overall circulation flow rate. To predict the amount of steam under the water level, constitutional equations about a steam condensation rate and a steam rise velocity are used. The model has two uncertain values. One is the volumetric flux of water under water level in a drum. The other is the average bubble size under water level in a drum. The model can be constructed from the design values of a target system without actual operation data. With the model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water level dynamics for changes in a steam flow rate and a heating rate. Simulation result are compared with those presented in the publication which uses empirical steam dynamics model. The presented model shows a reasonable response for a steam flow rate change. But for a heating rate change the response of the presented model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mpirical model.

      • KCI등재

        들뢰즈의 『시네마1: 운동-이미지』에 나타난 ‘운동’에 관한 논제

        김형래(Kim, Hyung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8

        들뢰즈는 『시네마1』에서 베르그손의 ‘운동에 관한 논제’를 다룬다. 베르그손은 운동에 관한 세 개의 논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시네마1』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 논제를 짚고 넘어가야 한다. 들뢰즈는 따라서 이 논제를 『시네마1』의 첫 장에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논제는 ‘운동과 순간’이며, 두 번째 논제는 ‘특권적 순간과 임의의 순간’이고, 세 번째 논제는 ‘운동과 변화’이다. 본고는 이중 두 번째 논제인 ‘특권적 순간과 임의의 순간’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두 번째 논제는 첫 번째 논제를 바탕으로 특권적 순간과 임의의 순간을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구분은 특히 고대과학과 근대과학의 차이를 통해서 설명된다. 고대과학의 비근한 예로 주로 플라톤의 이데아 개념이나 제논의 역설이 거론되고 근대과학은 케플러와 갈릴레이, 데카르트, 뉴튼 등으로 대표된다. 여기서 특권적 순간은 고대과학의 특징으로, 임의의 순간은 근대과학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특권적 순간이란 초월적인 위치에서 바라본 고정불변의 형상이나 관념과 같은 것으로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포즈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스의 조각상은 이런 특권적 순간의 가장 이상적인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고대의 변증법은 이러한 특권적 순간에서 또 다른 특권적 순간으로의 이행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임의의 순간은 초월적인 위치에서가 아니라 내재적인 분석을 통해 가능해진다. 그것은 가장 이상적인 형상도 아니고 목표나 궁극을 나타내는 것도 아니며 그저 무수한 순간들 중에 한 순간만을 표상한다. 근대과학은 변화의 운동을 임의의 순간으로 분해하고 그 순간의 값을 공식화하는 데 기여했다. 그것은 스냅 사진과 같은 것이었으며 머이브리지의 달리는 말 사진들의 기계적 연속성을 상기시키는 것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영화는 근대과학의 계승자이거나 그와 같은 계열에 속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들뢰즈는 영화는 한 단계 더 나아간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고대과학이나 근대과학은 그것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부동적 단면에 추상적 시간을 덧붙여 운동을 재구성하기는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즉 가짜 운동을 재구성할 뿐이다. 그러나 실제 운동은 이런 방식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런 의미에서 베르그손의 ‘지속’개념은 영화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영화가 한편으로는 근대과학의 논리를 따르는 것 같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속 개념을 보여주는 새로운 사유의 메커니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영화의 이미지는 운동-이미지가 될 수 있고 나아가 시간-이미지가 될 수 있다. Gilles Deleuze deals with the Bergsonian thesis on the movement in his book The movement-image: cinema 1. Bergson presents three theses on the movement, we must know about these theses in order to understand cinema1. The first thesis is on the movement and moments, the second is on the privileged moments and instant moments, the third is on the movement and change. This article explains especially the second thesis of the privileged moments and instant moments. The second thesis differentiates the privileged moments from the instant moments. Bergson explains this distinction through the differences of the ancient science and the modern science. He gives Platon’s notion of Idea and Zenon’s paradox as the examples of the ancient science and cites Keppler, Gallilei, Decartes and Newton as the examples of the modern science. Here the privileged moments have to do with the ancient science, the instant moments with the modern science. The privileged moments are just as the most ideal pose or the fixed and unchangeable figure viewed from the transcendental position. We can regard the Greek statues as the most ideal expression of the privileged moments. Unlike this, the instant moments cannot be showed from the transcendental position but only through the immanent analysis. They are not the ideal figures and the extreme and aim, but represents only a moment of a number of moments. The modern science contributed to analyze the instant moments from the movements of change and to formulate the value of a moment. It was like as the snaps and reminded the machinery successiveness of the Muybridge’s horse photos. In this sense, the movie is the inherited of the modern science, or belongs to the same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