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崔致遠의 ?檄黃巢書?에 대한 一考

        김혈조 동아인문학회 2006 동아인문학 Vol.9 No.-

        The history of prose in Korean Chinese-written literature is dated back to 2000 years ago. An archaic style had been used for 600 years, and 四六騈儷文 has been used more than 1,300 years. Scholars has focused primarily on the archaic style in the field of prose, but studies on 四六騈儷文 should be more actively conducted. This paper has delved into the artistic accomplishments of 四六騈儷文 through the analysis of Chi-Won Choi's 檄黃巢書. This thorough and systematic study on 檄黃巢書 reveals that it displays the perfect beauty of form and content.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四六騈儷文 in Korean Chinese literature came to culmination in the 9th century. 檄黃巢書, whose masterly adroitness is at peak as 四六騈儷文, is worth being recognized, and yet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 think, should not be overestimated. It should be noted that intellectuals in their writings cannot go beyond a given limit thrust upon by historical reality.

      • KCI등재후보

        韓國漢文學에 나타난 廬山의 形象

        김혈조 동아인문학회 2007 동아인문학 Vol.12 No.-

        This study is composed to clarify how Lushan[廬山] is formed i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nd its literary aesthetic characteristics.There are several cases to get to encounter Lushan: paintings and poetry describing Lushan, and Chinese and Korean geographical books and maps relating to Lushan.In my opinion, through these images, Korean writers considered Lushan was the most beautiful landscape and longed for more with literal imagination.Forms and images of Lushan embodied i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were recognized as solemn mountains to retire to hermitage with typicalness of beautiful landscape. Waterfall was the most impressive feature of Lushan. A lot of poems were written, in consequence, as well as old Korean verses adopting Lushan were created in Hangeul. Additionally, Lushan was the home for heroes and stories of their history. Lushan was the memorial for historical heroes, and it was transformed into a symbolic mountain granting modern significance. Also, valleys of Lushan were used as metaphors for limitless greed and lust.The upshot of considering Lushan as the most beautiful landscape was naming Korean landscapes after Lushan. This is sort of China-adoring thoughts.

      • 韓國 漢字音 變異 樣相 考察

        金血祚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국제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본 논문은 최근까지 한자 讀音의 시비로 인해 발생한 구체적 사례 몇 가지를 통해서 한자 독음을 통일해야 할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였고, 아울러 20세기를 전후하여 한자 독음의 극심한 변화 양상을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한자 독음은 기본적으로 중국에 그 뿌리를 두고 있지만 세월이 지나면서 조금씩 변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우리식의 독음이 생기게 되었다. 이 속음이 광범하게 유포되자, 18세기의 음운학자들은 가능한 속음을 폐기하고, 중국의 독음과 가까운 正音으로의 회복을 시도하였다. 18세기 이후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여러 韻書와 자전들은 이를 목적으로 발간된 책자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과 시도는 결국 실패하였다. 당시 발간된 책자에서 속음으로 처리된 독음이 오히려 오늘날 출간된 사전에서는 그 한자의 독음으로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한자 독음에 대한 언어 대중의 관습을 거스를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한자 독음의 극심한 변화는 결국 한자를 배운 사람들의 나이에 따라서, 혹은 출판된 사전에 따라서 그대로 반영이 됨으로서 한자 독음에 대한 시비를 여전히 생기게 만들었다. 한자 독음의 시비에서 어떤 독음이 옳고 그른가에 대한 문제는 특정 개인의 주장이나 특정 출판사의 책으로 정할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 보다 한자 한문을 전공한 학자들이 참여하여 학술적 토론을 거치고 또 공론화 과정을 거쳐서 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이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이제 「한자․한문교육연구회」는 주도적으로 대처하는 주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학회가 떠맡아야 할 책임과 의무이기도 하다. This paper has raised the necessity and urgency to unify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several concrete examples triggered by the disput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nd has divided the pattern of serious chang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into three cases and explored it in detail since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in our country rooted mainly in China gradually began to change to time, and eventually our own styl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began to occur. As this secular sound widely began to spread out, the phonologists in the eighteenth century abolished this secular sound as much as possible, and tried to recover the right sound closest to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Hence various phonological books and dictionaries published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But to no end were such efforts and trials, for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dealt with as the secular sound in the books published at that time settled themselves as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dictionaries published recently. They could not outwin the linguistic habit of common people. The severe chang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set off by the differences of generations and the variety of the published dictionaries remained the disputable discrepancy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unsolved. The dispute of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cannot be settled by either any particular individual or any book printed by a certain publisher. It is more desirable that academic discussion and the process of public opinion should be accompanied to that dispute.

      • KCI등재

        初學 敎材 『童蒙須讀千字文』 硏究

        김혈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0 No.-

        “CheonJaMun(千字文)”is from middle age, regard as basic text book for Chinese Character in the Chian, korea, and Japan. But in the point of collected Character’s usage is not suitable for beginner study Chinese Character. For example, compared with 900 basic Chinese Character set for middle school in korea, 357 character is not stored in this book. Cause of this problem, from 20th century, especially Chosun by Japanese colonial, some of writter remake same frame text book with CheonJaMun(千字文). This study is reported to the academia, DongMongSuDokCheonJaMun(童蒙須讀千字文), one of that time piblished, and research its value. Through research we can find this book is one of mimic book, and also not suitable for beginner study. 전통시대 식자 교재는 주흥사의 『千字文』이었다. 이 책은 식자 교재로서 결코 적합한 책이 아니다. 선정된 글자 1,000자에는 한문교육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글자가 많이 누락되어 있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 중에서 『千字文』에 포함되지 않은 글자가 무려 375자가 될 정도로 『千字文』에는 빠진 기초한자가 많다. 20세기 전후에 『千字文』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식자 교재가 저술되었는데, 특히 일제 강점기에 많은 대안 『千字文』류의 책들이 전통 한학자들의 손에서 만들어졌다.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분석한 『童蒙須讀千字文』은 분류 대안 식자 교재로 개발된 책이다. 『童蒙須讀千字文』은 小岡 金泰麟에 의해 1925년에 만들어진 책이다. 소강 김태린은 평생 고향 淸道를 떠나지 않으며 전통 학문인 유학을 공부한 在地 士族 출신의 학자이다. 그는 교육적 실천과 경험을 통해서 『千字文』의 문제점, 특히 字義에 종류별 분류가 되지 않음으로 해서 동몽들이 쉽게 한자를 익힐 수 없다는 단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千字文』인 『童蒙須讀千字文』을 저술하였다. 『童蒙須讀千字文』의 식자 교재로서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千字文』과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와 선정된 글자를 상호 비교해본 결과, 『童蒙須讀千字文』에는 두 자료에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글자를 많이 수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童蒙須讀千字文』은 『千字文』에 사용하지 않은 글자가 615자이고, 중학교 기초 한자에 포함되지 않은 글자가 698자였으며, 양쪽 모두에 사용되지 않은 글자는 모두 602자이다. 『童蒙須讀千字文』에 새로운 글자 602자를 새로 추가하였다는 사실은 이 책의 독창적이고 고유한 모습으로서 자기 존재를 뚜렷하게 한 것이지만, 한편 그 독창성이 식자 선정의 보편성에 어긋나게 되었다. 따라서 『童蒙須讀千字文』은 글자 선정에 문제가 있는 책이고, 따라서 식자 교재로서 적합한 책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요컨대 『童蒙須讀千字文』은 별종의 『千字文』이라는 의의는 가질 수 있으나, 기존 『千字文』의 대안이 되는 식자 교재로서 적합한 책은 아니라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 KCI등재

        『鍾北少選』 서문의 작자 문제

        김혈조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4 동양한문학연구 Vol.38 No.-

        『鍾北少選』 自序는 연암 박지원의 문학론을 담고 있는 대표적이고 중요한 문장으로 알려져 왔다. 연암의 작품으로 믿어 의심하지 않았던 이 작품이 『종북소선』이라는 책이 나타남으로써 그 서문의 저자는 연암이 아니고 이덕무임이 밝혀졌다. 『종북소선』이라는 책의 서문에 이덕무가 썼다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에 공개된 『碧梅園雜錄』이라는 책에는 그 서문을 보다 문예적으로 다듬은 「鍾北小品序」라는 글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저자가 박지원으로 되어 있다. 서문의 작자가 서로 달리 표기된 두 책의 내용은 양립 불가능한 관계에 있다. 하나가 참이면 하나는 반드시 거짓이어야 한다. 작자 문제에 시비가 생긴 것이다. 본고는 서문의 진짜 작가가 누구인가를 규명하기 위해 집필된 것이다. 두 책을 깊이 검토하여 거기에 따르는 수많은 의문점을 제시하고, 이 의문점을 모두 해소시킬 수 있는 가설을 세워 이를 추론하였다. 『종북소선』의 서문과 「종북소품서」의 저자에 대한 상이한 표기를 합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얻을 수 있는 대안은 결국 두 글을 모두 박지원이 지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유추할 수밖에 없었다. 요컨대 『종북소선』의 原作 서문과 『벽매원잡록』의 改修된 서문은 모두 연암 박지원이 지은 것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고, 그런 결론만이 제시된 수많은 의문점을 풀 수 있다. The preface of Jongbuksoseon(鍾北少選) has been known as a representative and important text that involves the literature theory of Yeonam Park Jiwon. This work that had been regarded as Yeonam's work turned out that its author was not Yeonam but Lee DeokMu by the appearance of a book called Jongbuksoseon, because there is a record that it is written by Lee Deokmu in the preface of Jongbuksoseon. However, a book Beokmaewonjabrok(碧梅園雜錄), which was released recently, contains a piece of writing titled Jeongbuksopoomseo(鍾北小品序) that is refined the preface literarily, and the writer is Park Jiwon. The contents of those two books, which were marked the writer of its preface different, are in an incompatible relation. If one is true, the other has to be certainly false. The matter of who is the writer came to have right and wrong. This paper was written to investigate who is the real author. It suggests many questions by studying these two books deeply, establishes a hypothesis that can solve these doubts and infers the truth. As a result, the only alternative to explain the record of two different writers of the preface of Jongbuksoseon and Beokmaewonjabrok rationally was establishing the hypothesis that Park Jiwon wrote all those two texts and making a deduction. In the final analysis, it was deducted that the original preface of Jongbuksoseon and the revised one of Beokmaewonjabrok were all written by Yeonam Park Jiwon, and only the conclusion is able to solve lots of proposed questions.

      • 燕巖 朴趾源의 淸 현실 이해

        김혈조 명지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2003 국제한국학연구 Vol.1 No.-

        연암은 각 처에서 명나라 유적을 보며 명나라가 필연적으로 멸망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확인했던 것처럼, 현재 이 청조현실을 통해 볼 때 머지않아 청나라도 붕괴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 중에 가장 취약지구를 중국의 동남부, 열하지방으로 보았다. 말하자면 중국의 동남부와 열하지방에서 세계사의 변혁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연암은 『옥갑야화』에서 허생의 입을 빌어 진실로 청나라의 치욕을 씻고자 한다면 중국 동남부의 호걸들과 결속할 것을 주장한 바 있거니와, 서번과 몽고를 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열하의 이관과 그와 관련한 문제에 대해 열하일기의 많은 부분을 할애하여 기술함으로써 이 열하지방을 매우 주목하였다. 곧 열하지방을 세계사 변혁의 진원지로 주목하고자 했던 것이다. 연암이 연행기의 제목을 단순히 사행으로서 전인미답의 지역을 밟았다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열하일기』라는 특이한 이름을 달았다고 이해하기보다는, 보다 천하대세를 인식하고 전망한다는 핵심적 주제와 관련시켜 책의 이름을 명명한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열하일기가 갖는 역사적 의의가 여기서 발견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