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김현아 ( Hyeon Ah Kim ),김귀분 ( Kwuy B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본 연구 참여자들은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면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환자에 비해 긴장감이 덜하고, 응급상황 시에도 의사 처방의 감소로 처치가 감소하여 업무적인 면이 많이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손길이 덜 가는 것에 대해 미안한 마음과 함께 무성의하게 간호를 하고 있는 건 아닌지 하는, 그러면서도 딱히 그를 위해 뭔가 해줄 수 있는 것이 없는 자신의 입장을 생각하면서 간호사로서의 무능감과 아쉬움을 토로하면서 안타까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자를 위해 아무런 역할 없이 그냥 지켜만 본 참여자가 그의 마지막 길을 자신의 손길을 통해 보내드려야 한다는 마음에 심리적으로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보호자의 동의하에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관한 동의서를 받았다고 하지만, 끝까지 최선을 다하여 의료 행위를 하지 않은 것에 죄책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소극적이고 이례적인 간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에 대해 의료인으로서의 책임을 다 하지 못했다는 아쉬움과 미안함이 안타까움과 같이 갈등으로 잔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심폐소생술 금지(DNR)에 관해 병원 간호사들이 상당한 죄책감, 우울 그리고 무력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 Yi 등(2008)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Kang과 Yom (2003)의 연구에서도 심폐소생술 금지(DNR)시행 후 문제점으로 38.2%가 치료와 간호의 소홀함을, 28.8%가 죄책감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NR 환자를 간호해야 하는 간호사로 하여금 이와 같은 심리적 갈등으로 인해 오히려 다른 환자를 돌보는 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중환자와 DNR 환자를 분리 간호할 수 있는 간호체계, 내지 환경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 대부분이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이 본인이 배제된 가족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안타까움을 호소하였다. 즉, 전혀 본인의 의사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DNR에 대한 어떤 기준도 없이 의사의 권유나 설명에 의해 가족에 의해 수행해야 되는 의료 현실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또한 의료처치 중단 시, 일정한 기준 없이 일방적으로 행해지는 여러 가지 행태로 혹시 조금 더 생명을 지속할 수 있는데 잘못된 판단으로 삶을 단축시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 내지 아쉬움, 다른 한편으로 참여자는 DNR 제도가 가족들의 욕망이나 욕심 때문에 오히려 악용될 수도 있다는 염려가 안타까움으로 드러나면서 갈등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NR 의사결정은 반드시 미리 사전이나 환자의 의식이 있을 때 받아야 하며 의식이 없는 경우는 법적 대리인에게 받아야 하는 것(Wilson, 1996)으로, 1988년 뉴욕을 시작으로 적절한 심폐소생술의 사용에 대한 지침을 입법화하고(Ebell & Eaton, 1992)있으며, 환자의 인종 및 입원 형태에 따라서도 DNR 결정의 상이점을 보여주고 있어(Cardenas et al., 2011) 외국의 경우 우리와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의사와 보호자가 DNR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하고 있었으며 간호사 역시 간접 참여하는 것(Kim, 2004)으로 나타났고, DNR 의사결정 시 환자를 배제한 의사와 가족의 일방적인 결정에 윤리적 딜레마를 겪게 된다(Lee et al.,1994)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었다. 이는 가족 중심의 측은지심 내지 책임전가 등의 사회 문화적 가치 차이인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장기 기증과 같은 범 사회 문화적 홍보로 이미 건강할 때사전 동의서를 작성한 후 병원입원과 동시에 다시금 본인 확인하에 의사결정을 하게 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하겠다. 특히 DNR 의사결정이 가족에 의해 작성되는 경우, 회복 불가능한 질병으로 입원하였을 때(46%), 뇌사상태가 되었을 때(23.3%), 뇌사상태가 예상될 때(14.1%)로 나타났으며, 임종을 앞둔 환자의 치료과정에 대한 선택의 경우, 의식이 없는 경우는 배우자가 결정해 주기를 윈하는 응답자가 64.7%였지만, 의식이 있는 경우는 대부분 본인 스스로 결정하고 싶다(68.8%)고 하였다. 또한 약 80%의 대상자가 생명연장을 위한 의료조치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서류 작성을 통해 미리 밝혀 놓도록 제도를 도입시키고 법적 효력을 부여하는 것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Hong, 2010), 예의 주시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DNR 의사결정 시 대부분이 일정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Sung et al., 2007)가 있음에도 이 역시 준수되지 않고 의사의 결정과 권유에 의해 기준 없이 가족에 의해 대부분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고 있고, 부분적으로 병원 자체의 서식을 만들어 사용(Hong, 2010)하고 있어, 이 역시 위험한 발상으로, 의학적 진단을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기준마련이 요구된다 하겠다. Lee등(1994)에 의하면, 의료 전문인 역시 DNR 결정에 대한 일정한 기준없이 보호자와 상의하여 실시한 경우, 책임소재와 권한, 결정시기, 치료범위 등으로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중하지 못한 의료행태, 처치중단, 무리한 의료처치 등으로 아쉬움이 있어 갈등을 겪는 간호사들의 입장과 일치하는 것으로, 이 역시 DNR 기준 마련과 의료처치의 범위를 분명히 할 수 있는 합의된 가이드라인의 제정 및 건강할 때 본인으로부터 사전 의사결정서를 마련하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요구된다 하겠다. Yuen 등(2011)의 연구에서도 성공적인 DNR을 위해 병원 문화의 변화, DNR에 관한 병원 정책의 개혁 등을 바람직한 전략으로 제안하고 있어 제도적, 정책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우리나라의 실정에도 부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개선과 노력을 통해 DNR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이 갖게 되는 심리적인 죄책감과 갈등을 해소하고 미안한 마음, 안타까운 마음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긍정적으로 승화시켜 환자 간호 시 더욱 우수한 양질의 간호를 수행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즉, 심리적 부담감보다 신체적, 심리 정서적 및 영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간호를 통해 환자와 교감하는 인격적인 간호를 수행하여 DNR 환자 간호의 수준을 향상시켜 최상의 간호를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임종을 앞두고 있는 DNR 환자에 대한 안위를 향상시키고 마지막 순간까지 환자의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인격적이고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게 하리라 사료된다. 사회적으로는 DNR에 대한 사회적인 합의점을 마련하고 법적인 효력과 정당화를 이루게 하여 사회적인 혼란을 해소하고 갈등을 완화하며 DNR 제도가 악용되는 것을 예방하는 일종의 감시체제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DNR을 결정하고 난 후, 죽음을 그냥 담담히 받아들이는 모습과 면회 오는 횟수가 줄어드는 등, 가족들의 무성의해지고 오히려 빨리 끝내기를 원하는 모습에 아쉬움을 가지면서 안타까움이 갈등으로 드러나고 있었다. Kim (2006)의 연구에서는 DNR 환자의 가족들이 죄책감, 상실감, 슬픔, 부정 등을 경험할 것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는 약간 상충되는 것으로, 이는 면담을 이용한 질적 연구와 도구를 활용한 양적연구와의 연구 방법 차이로 사료되며,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간호사들은 DNR 환자 간호 시 간호의 영역을 환자에게만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족들까지도 포함시켜 죽음에 대한 깊은 이해와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건강한 가족지지 체계를 이룰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간호중재 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Lorraine (2007)의 연구에서도 DNR이 간호의 중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간호의 범위를 환자만으로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족까지도 포함시켜야 함을 보고하고 있다. 즉, DNR과 관련된 여러 가지 부정적인 감정들을 해소하고 가족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과 죽음에 대한 보다 성숙한 자세를 지닐 수 있도록 가족을 포함한 포괄적인 전인 간호를 실시함으로써, 간호사들의 DNR환자 돌봄에 따른 전문적 간호처치 외 갈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준비함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DNR 환자의 임종 준비를 위한 환경 부재에 안타까움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집에도 한 번 가보지 못 하고 병원에서 임종을 맞이해야 함에 측은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임종간호를 제공할 충분한 지식축적의 교육적 기회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 적절한 호스피스 간호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면서 이들을 돌보는 현장에서의 갈등은 더욱 깊고 커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Kim (2009)의 임종 환자를 돌보는 암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임상경력이 길수록, 호스피스 교육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 횟수가 많을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 병동 근무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표현의 차이는 있으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옛날 우리나라의 풍습은 병원에서 임종을 맞는 경우 횡사로 금기시되어 임종이 가까워지면 대부분 집으로 환자를 모시고 가는 문화였다. 그러나 요즈음 사회 문화의 도시화, 기계화 및 핵가족화로 인해 가정에서의 임종은 불가능한 것으로, 이에 따른 가족 구성원간의 인간사랑, 가족사랑에 대한 기본적 태도를 잃지 않도록 강조하며, 또한 임종간호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환경적 개선이나 교육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지식적 기반하에 이들을 돌봄으로써 보다 양질의 도움으로 갈등으로부터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conflicts in nurses caring DNR (do-not-resuscitate)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 nurses caring DNR patients. Data were gathered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Colaizzi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significant results can be categorized into 7 concept descriptions and 5 theme clusters by analyzing the interviews. The major theme clusters for the experiences of nurses were ``Pity about exceptional nursing actions``, ``Pity about the unilateral decision making``, ``Pity about halfhearted family love``, ``Pity about unprepared circumstance for deathbed``, and ``Pity about the absent guideline for DNR``.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will help nurses resolve conflicts in caring DNR patients and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DNR patients.

      • SCOPUSKCI등재
      • <sup>99m</sup>Tc-DTPA 신장 동적 검사(Renal Dynamic Scan) 시 동위원소 용량 변화와 Matrix Size 변경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수치 변화 비교

        김현,도용호,김재일,최현준,우재룡,박찬록,하태환,Kim, Hyeon,Do, Yong-Ho,Kim, Jae-Il,Choi, Hyeon-Jun,Woo, Jae-Ryong,Bak, Chan-Rok,Ha, Tae-Hwa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20 핵의학 기술 Vol.24 No.1

        사구체 여과율은 신 기능의 평가와 신 질환의 경과 관찰에 중요한 지표다. 현재 임상에서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와 <sup>99m</sup>Tc-DTPA을 이용해서 계산하는 검사가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Gates 공식이 발표된 이후, <sup>99m</sup>Tc-DTPA Renal Dynamic Scan 검사시 이를 적용해 GFR을 감마카메라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Gates 공식을 적용해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할 때 동위원소의 용량 변화, Matrix Size 변경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원에서 <sup>99m</sup>Tc-DTPA Renal Dynamic Scan 검사를 받은 성인 환자 5명 (환자나이 = 62 ± 5, 남자 3명, 여자 2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sup>99m</sup>Tc-DTPA 15 mCi를 환자의 정맥에 순간 주사 후 21분간 동적 영상을 획득하였다. Activity, Matrix Size 변화에 따라 사구체 여과율을 평가하기 위해 2-3분 구간의 양쪽 신장과 조직에 관심 영역을 설정 후 총 계수를 측정하였다. Detector와 Table 간의 거리는 30cm로 유지하였고, 동위원소의 용량 변화 평가를 위해 Pre Syringe(PR)의 용량을 15, 20, 25, 30 mCi로 설정하였고, Post Syringe(PO)의 용량을 1, 5, 10, 15 mCi로 각각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Matrix size를 32 × 32, 64 × 64, 128 × 128, 256 × 256, 512 × 512, 1024 × 1024로 변경하여 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Matrix Size에서 동위원소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사구체 여과율의 차이는 최대 52.95%에서 최소 16.67%로 점차 감소하였다. Matrix size 변화에 따른 사구체 여과율 값은 128에서 256, 256에서 512, 512에서 1024로 변경 시 2.4%, 0.2%, 0.2%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32에서 64, 64에서 128로 변경 시 54.3 %, 39.43%로 GFR 값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사용 중인 256 Matrix, Pre syringe 15 mCi의 GFR 값을 기준으로 32 Matrix, Pre Syringe 15 mCi, Post Syringe 1 mCi 조건에서 82%로 가장 큰 차이가 발생하였고, 64 Matrix, Pre Syringe 30 mCi, Post Syringe 15 mCi의 조건에서 0.2%로 유사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을 통해 <sup>99m</sup>Tc-DTPA Renal Dynamic Scan에서 Gates 공식을 이용해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할 때, 동위원소의 용량과 Matrix Size 변화에 따라 사구체 여과율 측정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각 병원에서 이를 적용해 GFR을 측정할 때 적절한 Parameter를 적용해서 검사의 유용성을 높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Purpose Glomerular Filtration Rate(GFR)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evaluating renal function and monitoring the progress of renal disease. Currently, the method of measuring GFR in clinical trials by using serum creatinine value and <sup>99m</sup>Tc-DTPA(diethylenetriamine pentaacetic acid) renal dynamic scan is still useful. After the Gates method of formula was announced, when <sup>99m</sup>Tc-DTPA Renal dynamic scan is taken, it is applied the GFR is measured using a gamma camer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GFR by applying the Gates method of formula. It is according to effect activity and matrix size that is related in the GFR. Materials and Methods Data from 5 adult patients (patient age = 62 ± 5, 3 males, 2 females) who had been examined <sup>99m</sup>Tc-DTPA Renal dynamic scan were analyzed. A dynamic image was obtained for 21 minutes after instantaneous injection of <sup>99m</sup>Tc-DTPA 15 mCi into the patient's vein. To evaluate 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 according to changes in activity and matrix size, total counts were measured after setting regions of interest in both kidneys and tissues in 2-3 minutes. The distance from detector to the table was maintained at 30cm, and the capacity of the pre-syringe (PR) was set to 15, 20, 25, 30 mCi, and each the capacity of post-syringe (PO) was 1, 5, 10, 15 mCi is set to evaluate the activity change. And then, each matrix size was changed to 32 × 32, 64 × 64, 128 × 128, 256 × 256, 512 × 512, and 1024 × 1024 to compare and to evaluate the values. Results As the activity increased in matrix size, the difference in GFR gradually decreased from 52.95% at the maximum to 16.67% at the minimum. The GFR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matrix size was similar to 2.4%, 0.2%, 0.2% of difference when changing from 128 to 256, 256 to 512, and 512 to 1024, but 54.3% of difference when changing from 32 to 64 and 39.43% of difference when changing from 64 to 128. Finally, based on the presently used protocol, 256 × 256, PR 15 mCi and PO 1 mCi, the GFR value was the largest difference with 82% in PR 15 mCi and PO 1 mCi. conditions, and at the least difference is 0.2% in the conditions of PR 30 mCi and PO 15 mCi. Conclusion Through this paper, it was confirmed that when measuring the GFR using the gate method in the <sup>99m</sup>Tc-DTPA renal dynamic scan. The GFR was affected by activity and matrix size chang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when taking the <sup>99m</sup>Tc-DTPA renal dynamic scan, is should be careful by applying appropriate parameters when calculating GFR in the every hospital.

      • KCI등재
      • KCI등재

        에르베 기베르 소설에 나타난 회화 연구 - L`Homme au chapeau rouge 중심으로

        김현아 ( Hyeon A Kim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2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1

        회화는 사진 이미지만큼 에르베 기베르의 문학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기베르의 소설 L`Homme au chapeau rouge에는 회화에 대한 그의 철학이 잘 나타난다. 필자는 이 소설에 드러난 회화의 다각적인 의미를 분석하여 기베르의 문학세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재현의 의혹``, ``광적인 질주``, ``죽음의 억제``라는 세 가지 주제로 심화시킬 것이다. 소설 L``Homme au chapeau rouge는 위조된 그림 문제로 시작된다. 여기서 그림은 허구성을 드러내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 화가 야니와 경찰들은 그림을 위조한 사람들과 은닉한 사람들을 추격한다. 그림의 진위(authenticite)를 확인하는 아르메니아 출신의 그림 상인인 레나도 거짓 논란의 중심에 있다.그녀의 오빠인 비고 역시 러시아 예술 전문가로 그림의 진위 여부에 집착한 다. 그는 그림이 위조되었다고 고발하여 마피아로부터 협박을 받는다. 종국에는 자신의 여동생 레나에 의해 살해되고 만다. 소설 속 주인공인 기베르의 묘연한 정체성도 소설의 허구성을 배가시킨다. 르몽드지 사진 칼럼니스트로 일하는 기베르는 그림 상인과 수집가로도 통한다. 이름, 직업, 주소 등을 위조하며 자신의 정체성에 의문을 던진다. 거짓으로 점철된 소설 속 그림은 실제와는 다른 현실의 재현에 불과하고, 이는 독자에게 의혹을 남길 뿐이다. 한편 작가는 사실에 허구를 가미하여 소설에 역동성을 준다. 야니는 화가미겔 바르셀로가 실제 모델인데, 그와 경찰들이 그림 위조자들과 은닉자들을 추격하는 이야기 전개는 특히 박진감이 넘친다. 기베르 역시 절친한 화가인 야니의 위조 작품을 둘러싼 진실을 알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긴 문장으로 숨가쁘게 전개되는 기베르의 소설은 현장감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그런 연유로 시작도 끝도 없이 펼쳐지는 이야기는 오직 현재로만 존재한다. L`Homme au chapeau rouge는 작가가 처음 느낀 흥분의 흔적을 간직한 채 미완성으로 남는다. 독자는 빠르게 전개되는 그의 글로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을 감지한다. L`Homme au chapeau rouge 집필 당시 기베르는 에이즈로 투병 중이었다. 그런데 평소 죽음의 이미지에 매료되었던 그가 실제 불치병에 걸렸을 때는 허구를 절묘하게 가미하여 현실 도피를 꾀한다. 그에게 그림은 죽음의 공포를 억제하는 방편이 된다. 소설 속에서 기베르가 수 없이 많은 여행을 하고, 사건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것도 유한한 시간의 의식에서 온 것이다. 불분명한 정체성 역시 에이즈로 죽어가는 자신의 현실에서 벗어나려고 꾸며낸것이다. 그림은 성적인 욕구를 대치시키는 열정으로도 보인다. 기베르는 그림을 통해 죽음을 거부하고 삶의 의지를 되찾는다. 소설 속에서 야니가 죽음의 위기에 처한 기베르의 초상화를 그린 것이 그것이다. 그림은 죽어가는 친구에게 삶의 희망과 에너지를 준다. 나아가 작가는 자신과 닮은 초상화를 수집하면서 자신의 육체가 사라진 후 영생을 꿈꾼다.거짓 논란에 휩싸인 그림은 기베르 소설에서 문학적 소재로 등장한 것이다. 여기서 작가는 회화와 글의 조화를 시도하지만, 글은 현실에 무게를 더해 주어 가공의 현실만을 드러낸다. 일상적이고 흔한 현실을 전혀 다른 모습으로 탈바꿈시키며 기베르가 추구하는 진실은 소설 속 그림 이야기처럼 허구적이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지 않는 그림의 속성은 사진 이미지를 환기시킨다. 그의 글 속에 표현된 그림은 사진처럼 현실을 실제와 다르게 재현한 것에 불과하다. 기베르는 사실을 토대로 한 가공의 이야기를 통해 감추어진 진실을 드러낸 셈이다. 결국 작가는 시각의 정수를 드러내는 회화를 지향하고, 이를 통해 자기를 성찰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La métaphore photographique dans l'univers poétique de Victor Hugo

        KIM, Hyeon-A(김현아)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2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40 No.-

        필자는 이미 프랑스 학회지에서 빅토르 위고의 사진 이미지를 ‘죽음과 신의 계시의 문제’로 고찰한 바 있다. 이번 연구는 빅토르 위고의 시 세계에 등장하는 사진 이미지를 ‘환기시키는 은유’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이것을 ‘현실 세계에서 보이지 않는 영역’, ‘위고의 바벨탑 이미지’, ‘위고의 응시’로 구분하여 다루어 보겠다. 위고는 사진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시로 재탄생시킨다. 필자는 우선 위고가 시 작품에서 사진 은유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것에 주목한다. 흥미롭게도 그는 현실 세계뿐만 아니라 보이지 않는 꿈의 세계에도 관심을 갖는다. 사실적인 사진 이미지와 은유적인 시의 이미지, 눈에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의 조화가 시인의 내면에서 이루어진다. 시인의 눈에 번쩍이는 영상은 꿈속 이미지처럼 덧없고 사진 플래시처럼 갑작스럽다. 시인의 몽상은 실망과 공포감마저 불러일으킨다. 사진 이미지처럼 세밀하게 묘사된 바벨탑 이미지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사진기 내부와 유사한 바벨탑의 검은 계단과 나팔 모양의 정문, 그곳에서 끝없는 번뇌로 허우적대는 인간 세계가 생생하게 펼쳐진다. 이는 어두움과 밤의 이미지로 비춰지는 명상의 세계로 위고의 정신세계와도 통한다. 결국 바벨탑은 대상을 거꾸로 보이게 하는 거울 속 이미지나 사진 음화(negatif photographique)처럼 공허한 흔적에 불과하다. 하지만 어둠 속에서 무너진 바벨탑에서도 인간을 저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낙관적인 면모가 엿보인다. 끝으로 위고의 사상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그가 응시하는 대상과 의미를 살펴본다. 위고의 시선은 눈에 보이는 것에만 연연하지 않고, 몽상의 세계, 나아가 천상의 세계로까지 향한다. 사진기 앞에서 기회를 엿보는 견자(voyant)의 모습에서 인간의 운명을 좌시하는 절대자의 모습을 발견한다. 이는 신의 권위에 맞서는 시인의 도전으로도 볼 수 있다. 절대적인 악, 보편적인 운명을 상징하는 검은 태양의 이미지가 바로 위고 자신이기 때문이다. 위고는 사진 이미지처럼 어둠 속에서 빛과 같은 존재, 인간의 운명을 좌우하는 신과 같은 존재가 되고자 한다. 그래서 보이지 않는 신비의 세계를 파헤치며 깊이 있는 이미지를 추구한다. 외적 세계뿐만 아니라 신과의 대화를 통해 영원성을 추구한 셈이다. 이와 같이 사진 예술은 시간을 초월한 생명력으로 위고 시에 새로운 지평을 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