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LM 날씨 발생기를 이용한 서울지역 일일 기온 모형

        김현정,도해영,김용구,Kim, Hyeonjeong,Do, Hae Young,Kim, Yongku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3

        확률적 날씨 발생기(Stochastic weather generator)는 일일 날씨를 생성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최근에는 일반화선형모형에 기초한 확률적 날씨 발생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지역의 일일 기온을 모형화하하기 위해서 일반화선형모형에 기초한 확률적 날씨 발생기를 고려하였다. 이 모형에서는 계절성을 나타내는 변수와 강우발생 유무가 공변수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확률적 날씨 발생기에서는 생성된 일일 날씨가 월별 또는 계절별 총강우량이나 평균온도에 충분한 변동을 만들어 내지 못하는 과대산포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활된 계절별 평균 온도를 일반화선형모형의 공변수로 추가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모형을 1961년부터 2011년까지 51년 동안의 서울지역 일일 평균 기온자료에 적용하였다. Stochastic weather generator is a commonly used tool to simulate daily weather time series. Recently, a generalized linear model(GLM)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ient approach to tting these weather generators. In the present paper, a stochastic weather generator is considered to model the time series of daily temperatures for Seoul South Korea. As a covariate, precipitation occurrence is introduced to a relate short-term predictor to short-term predictands. One of the limitations of stochastic weather generators is a marked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observed interannual variance of monthly, seasonal, or annual total precipitation. To reduce this phenomenon, we incorporate a time series of seasonal mean temperatures in the GLM weather generator as a covariate.

      • SCOPUSKCI등재
      • 비목재 산림바이오매스의 고체 바이오 연료 활용 잠재력 평가

        김현정 ( Hyeonjeong Kim ),김현준 ( Xuanjun Jin ),양인 ( In Yang ),최준원 ( Joon Weon Choi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목재 바이오매스는 2050 탄소 중립 실현에 기여하는 화석연료 대체자원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고체 바이오 연료로서 목재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반면, 비목재 산림바이오매스는 상대적으로 각광 받지 못한 상황이다. 비목재 산림바이오매스는 목부를 포함하지 않은 모든 바이오매스와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부산물을 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목재 산림바이오매스 자원의 고체 바이오 연료 사용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발생량이 많은 칡덩굴, 솔방울, 잣껍질을 시료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원소 분석, 미량 원소 및 금속 함량, 화학조성(홀로셀룰로스, 리그닌) 등 물리 화학적 특성과 회분 용융점, 발열량, 열분해 특성 등 연료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료의 연료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목질계 바이오매스인 낙엽송을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잣껍질의 분석 결과를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모든 연료적 특성 항목에서 고체 바이오 연료의 원료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칡덩굴의 바이오 연료의 원료로서의 사용은 회분, 무기물, 질소, 황, 염소 함량을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솔방울은 회분, K 함량, 회분 용융점 등의 특성에서, 고체 바이오 연료의 원료로 한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비목재산림 바이오매스원료 자체에 대한 특성만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는데, 펠릿 또는 고체 바이오연료로 제조한 후 원료화 가능성 여부에 대한 평가가 추가로 필요하다.

      • KCI등재

        문화 실천적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 리터러시의 특징과 교육 방향

        김현정(Kim Hyeon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매체에 기반을 둔 읽기와 쓰기 활동이 보편화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와 관련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매체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문화 실천적 관점에서도 볼 때 큰 영향력을 지닌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화 실천적 관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특징과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적 관점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이다. 우선, 디지털 리터러시는 문자, 영상, 음향, 이미지 등이 활용된 복합양식의 다감각적 글쓰기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다양한 텍스트를 연계하고 타인과 글을 공유하는 행위를 통해 다층적 목소리가 공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탈권력화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상의 글이나 콘텐츠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을 통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문화 공유의 가능성이 확장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특징을 바탕으로 문화 실천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했다. 첫 번째로 디지털 매체 기반의 글이나 콘텐츠의 경우, 비판적 사유를 기반으로 문화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디지털 매체 기반 글쓰기를 통해 문화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경험을 확대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는 인문적 성찰을 통한 윤리적 디지털 글쓰기를 실천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디지털 리터러시가 지닌 문화 실천적 가치와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교육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은 앞으로의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 필요하다. 새로운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맞춰 교육 내용 역시 변화될 수 있겠지만, 인문성에 기반을 둔 리터러시 교육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는 교육의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generalization of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based on digital media, interest in digital literacy research and education is increasing. Particularly, digital literacy based on digital media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cultural practic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from a cultural practice perspective. There are three main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it is perceived as multi-sensory writing in a multimodal style, utilizing letters, images, and sounds. Next, as various texts are linked and writings could be easily shared with others, multilayered voices coexisted, enabling de-authorization. Finally, the possibility of sharing culture expanded as communication through immediate reaction to digital texts or contents became possibl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there are three major direc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cultural practice. First, in the case of digital media-based texts or contents, education is needed to share cultural values based on critical reasoning. Second, education is needed to expand the experience of creating cultural values through digital media-based writing. Third, education is needed to implement ethical digital writing through humanistic reflection. It is necessary for future digital literacy research an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practical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and seek a direction for education to perceive it. Educational content may also change with the development of new digital technologies. However, it must establish a direction for education that does not damage the essence of literacy education based on humanities.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교양교육의 역할과 방향

        김현정(Kim, Hyeonjeong)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7 교양학연구 Vol.0 No.5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role and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of humanit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 on this purpose,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the major features and prospec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also examined the necess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at the era of convergence, in which automation and connectivity are maximized, is unfolded. Through such convergence, 3D printing technology, object internet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technology have be developed. Such technological developments will bring a positive aspect to convenience to mankind. At the same time, it will lead to some ethical problems too. In order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oft power’ should be equipped. Soft power refers to the ability of a variety of individuals to creatively combine, on the basis of human rationality and sensibility. In order to have such soft pow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bility to think by the way of liberal education of humanities which is connected with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perspective that can look 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reflection on ‘humanity’ through the liberal education of humanities.

      • KCI등재

        Comparison of Labeling Items and Characteristics of OTC Drugs between South Korea, Japan and US

        Kim, Hyeonjeong(김현정),Lee, Kyungmi(이경미)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1

        연구배경 : 2012년 안전상비약의 약국 외 판매제도 도입 등으로 국내 소비자의 일반의약품에 대한 접근성, 구매 편의성이 중가하고 있으며, 의약품 포장 상의 표기정보는 약품 사용과 구매 시의 중요한 정보원으로 일반의약품의 오남용, 오사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일반의약품의 정보표시항목과 표시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국내 일반의약품의 정보표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 일본, 미국 일반의약품 정보표시규정들을 검토하고, 한국, 일본, 미국의 40종류의 일반의약품 사례연구를 통해 국가별 의약품 포장 상의 정보표시 항목과 표시빈도 등을 검토한다. 그리고 한국, 일본, 미국 정보표시항목과 표시특성에 대해 기초통계를 기반으로 비교 검토한다. 연구결과 : 한국, 일본, 미국의 일반의약품의 정보표시항목의 표기 빈도와 비중들을 검토한 결과, 일반의약품 표시항목으로 총 38개의 항목과 내용들이 검토되었으며, 한국 일반의약품의 실제 정보표시항목으로는 19개의 항목이, 일본 일반의약품의 정보표시항목으로는 25개의 항목이, 미국 일반의약품의 정보표시항목으로 29개의 항목이 검토되었으며, 국내 일반의약품 정보표시항목이 일본과 미국의 일반의약품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리고 정보표시특성 중 일본 의약품의 경우, 수량, 약의 종류, 일부성분, 첨가물, 제조일, 부작용피해연락처, 포장개봉방법, 포장용기보관, 포장용기리사이클 등의 항목이 한국의약품에 비해 더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고, 미국 일반의약품의 경우에는 소아용/노인용 표기, 일부성분, 안내문구, 부작용피해연락처, 독극물관리센터, 포장개봉방법 등의 안전사용 관련 항목들과 수량, 약의 종류, 실제크기, 제조일, 포장용기리사이클 등의 약품 관련 항목들이 더 표기되어 있는 것이 검토되었다. 결론 : 이상의 한국, 일본, 미국 일반의약품의 정보표시규정과 정보표시 항목 및 표시특성비교 연구결과, 일반의약품 정보표시 항목과 포장 상의 표시특성들이 비교 검토되었으며, 특히 국내 의약품의 경우 안전사용과 관련 정보항목과 구매 후의 의약품 사용, 관리, 보관 등에 관한 정보표시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검토되어 향후 안전사용 관련 정보표시항목과 내용의 개선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Background : Since a system allowing over-the-counter (OTC) drug sales outside pharmacies was introduced in 2012, consumer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purchasing OTC drugs are increasing, and thus abuse and misuse of OTC drugs are also increasing. In this regard, labeling information on the packaging of drug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drug use and purcha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labeling items and characteristics of OTC drugs between South Korea and foreign countries. Methods : OTC labeling regulations in South Korea, Japan, and the US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untry-specific labeling items and labeling frequency on the packaging of OTC drugs were examined through case studies of 40 kinds of OTC drugs in South Korea, Japan, and the US. In addition, basic statistics were used to review and compare labeling item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South Korea, Japan, and the US. Result : Following a review of the labeling frequency and relative importance of OTC drugs in South Korea, Japan, and the US, a total of 38 OTC labeling items and content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actual labeling items, there were 19 labeling items for OTC drugs in South Korea, 25 labeling items for OTC drugs in Japan, and 29 labeling items for OTC drugs in the US,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labeling items for OTC drugs in South Korea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ose in Japan and the US. In terms of the labeling characteristics of OTC drugs, items such as quantity, drug type, some ingredients, additives, manufacturing date, contact information for adverse reactions, package opening method, packaging container storage, and packaging container recycling, were found to be additionally indicated on the labeling of OTC drugs in Japan, compared to that in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safety-related items, such as markings for use for children/elderly, some ingredients, notice, contact information for adverse reactions, poison control center, and packaging opening method, as well as drug-related items, such as quantity, drug type, actual size, manufacturing date, and packaging container recycling, were found to be additionally indicated on the OTC drug labeling in the US, compared to that in South Korea. Conclusion : We compared the labeling items and characteristics of OTC drugs in South Korea with those in foreign countries. In particular, compared to that in Japan and the US, the OTC drug labeling in South Korea lacked items related to safe use and contents about the use, management, and storage of OTC drugs after purchase.

      • KCI등재

        미국 대학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시사점

        김현정 ( Kim Hyeonjeong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49

        이 연구는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브라운대·예일대·듀크대·프린스턴대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미국 4개 대학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해 본 결과, 미국 대학들은 글쓰기센터에서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 대학의 경우, 글쓰기센터 기능이 글쓰기 상담이나 1회성 특강 형식의 프로그램만을 운영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미국 우수 대학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에 주는 시사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로 다양한 공동체 지원을 통한 글쓰기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로 글쓰기 교수자 양성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로 글쓰기 가치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이와 같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는 글쓰기 관련 교과목을 필수교양으로 지정하는 것 이외에도 체계적인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내실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programs at Brown University, Yale University, Duke University, and Princeton University, which are well-known for their excellent writing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program of the best American universities for Korean universities. According to a survey on writing education programs at four universities in the U.S., American universities were operating various writing education program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s well as professors at the writing center. Contrastingly, in the case of Korean universities, the writing center function only operated programs in the form of writing counseling or one-time special lectures. The three main implications of this writing program of the best American universities for Korean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writing cooperation system through community support. Second, a support system must be prepared for cultivating writing instructors. Third, various programs should be operated to spread the value of writing. Through these implications, Korean universities need to establish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programs beyond designating writing subjects as essential educ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iversification and substantialization of university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