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안 가야리 토성 소고

        김현봉(Hyun-Bong Kim) 중앙문화재연구원 2024 중앙고고연구 Vol.- No.43

        The Earthen Fortress of Haman Gayari are the remains of Earthen Fortress representative of Aragaya along with the Malisan Ancient Tombs, which were recently designa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s. The sites are located in the hills of Gayari, which offers an excellent view of most of the Hamancheon Stream basin. Although references to the sites have been confirmed since the Joseon Dynasty,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began in 2018 and continues until 2022.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Earthen Fortress, which was built using formworked earth techniques, was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in the Gaya area, and the interior space of a Earthen Fortress, one building with an elevated floor, seven buildings with pit-dwelling, four pits, and the pillar hole groups, archaeologically proving it was a living space for the Aragaya ruling class. In particular, Earthen Fortress, which has a total circumference of about 2.4 kilometers, is the largest among the Earthen Fortress of Gaya culture, and is on par with the royal fortresss of the Three Kingdoms, such as Buso Fortress in Buyeo and Wolseong Fortress in Gyeongju.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Fortress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ll and the repaired, and the expanded wall. The first wall was built using the formworked earth techniqu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ormworked earth techniques of Hanseong Baekje. The repaired and expanded wall, embankment techique was used and the defense power was reinforced by installing a wooden fence. The structure of the Earthen Fortress consists of inner fortress and outer fortress, and shows a unique pattern connecting the Gayari Embankment from the northeast of the outer fortress. Also in the south of inner fortressthere is a presumptive embankment sites, which is also observed in Japanese colonial era photographs and intellectual maps. And the structure of the wall changes with time, and it changes from earthen fortress to a wooden fortress. Wooden Fortress is again divided into the slope barrier stage and the top barrier stage, and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all was raised once more.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structures of this sites do not simply show Aragaya's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but it is a clue to understanding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an important evidence to gauge Aragaya's national power. And around the Gayari sites, there are many major sites of Aragaya, including Bongsan Fortress, West ridge of the Malisan Ancient Tombs, Seonwang Ancient Tombs, Deokjeon Ancient Tombs, Pildong Ancient Tombs, and Gayari Embankment sites, so it is highly likely that Gayari Earthen Fortress was the royal fortress of Aragaya. 함안 가야리 토성은 최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말이산 고분군과 함께 아라가야를 대표하는 토성 유적이다. 토성은 가야리 구릉에 입지하고 있어, 함안천 유역권 대부분이 탁월하게 조망된다. 조선시대부터 유적에 대한 언급이 확인되나, 본격적인 고고학 조사는 2018년부터 진행되어 2022년까지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가야지역에서는 처음으로 판축기법으로 축조한 성벽이 확인되었고, 토성 내부에서는 고상건물지 1동과 수혈건물지 7동, 수혈 4기, 주혈군 등이 발견되어 아라가야 지배층의 생활공간이었음이 고고학적으로 증명되었다. 특히, 토성은 전체둘레가 약 2.4㎞로 가야 문화권 토성 가운데 최대규모여서, 부여 부소산성과 경주 월성 등 삼국의 왕성과도 대등한 양상을 보인다. 성벽의 축조기법은 초축성벽과 수축·증축성벽이 차이를 보인다. 초축성벽은 판축기법과 성토기법을 사용해 축조하였는데, 한성백제의 판축 단위와는 차이를 보인다. 수축·증축성벽은 성토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목책을 설치함으로써 방어력을 보강하였다. 토성의 구조는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졌으며 외성의 동북쪽에서 가야리 제방과 연접하는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내성의 남쪽에도 추정 제방유적이 존재하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사진과 지적원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유적은 시기에 따라 성벽의 구조가 변모하는데 토성에서 목책성으로 변화한다. 목책성은 다시 사면부 목책과 정상부 목책 단계로 구분되는데, 후자의 경우 성벽을 한 번 더 높였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토성의 축조기법과 구조는 단순히 아라가야의 토목기술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며, 주변 국가와의 교류를 파악할 수 있는 단서이자 아라가야의 국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다. 그리고 가야리 유적 주변에는 봉산산성, 말이산 고분군 서구릉, 선왕 고분군, 덕전 고분군, 필동 고분군, 가야리 제방유적 등 아라가야의 주요 유적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가야리 토성은 아라가야의 왕성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 KCI등재

        고구려 평양도성의 경관 변화와 그 의미

        김현봉(Kim, Hyunbong),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평양이라는 고구려의 지방도시가 도읍으로 선택되고 오랜 기간 국가의 최고 행정중심지로써 경영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도시경관의 모습과 변화를 427년 평양 천도와 586년 장안성 이도를 기준으로 3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평양지역이 고구려의 주요 지방도시로 기능하던 1기의 경관은 낙랑구역의 재편과 대성구역의 신도시 조성이라는 큰 경관적 변화로 요약된다. 낙랑의 전통에 고구려의 문화 요소가 덧입혀지는 낙랑구역과는 달리 대성구역은 국내도성과 유사한 분위기의 신도시로 개발되었다. 2기는 평양지역이 고구려의 수도로 그 지위가 격상된 시기로, 대성구역이 왕도의 핵심이었다. 당시의 왕성은 대성산성, 궁성은 청암동토성이었다. 1기와는 달리 봉토석실분으로 묘제가 일원화되었는데, 왕릉급 고분은 초대형 기단봉토석실분이었다. 국내도성기와는 달리 도성의 외곽에 산재 분포하고 있는 이들 왕릉은 상징적 경관으로 기능하였다. 사찰은 주민의 결속 외에도 불국토 연출과 함께 왕권의 강화를 위한 것으로, 청암동 토성 내에 사찰이 조영된 것도 비슷한 이유였을 것이다. 이 밖에도 천도로 인한 인구유입으로 낙랑구역 또한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3기는 중구역에 새로 축조된 장안성이 도성으로 기능하였다. 왕성과 궁성으로 이루어진 평양 2기와는 달리 격자형 도로를 이용하여 도성민의 거주 구역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면서도 이를 둘레가 16㎞에 달하는 거대한 성벽으로 감싸 보호하는 새로운 경관이 형성되었다. 대성구역과 낙랑구역은 인구의 유출로 도시가 축소되었고, 그 결과 낙랑구역은 사냥터로 전락하게 되었다. 왕릉은 전면에 사신이 등장하는 벽화가 그려진 석실분으로, 여전히 도성 외곽에 분포한다. 다만 진파리 고분군과 강서삼묘 등에서 확인되는 삼각형 배치는 가족 관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he appearance and changes on the archaeological landscape of Pyongyang which was the capital city of Koguryo. The first period of Pyongyang, which served as a major local city of Koguryo, was summarized as a major landscape chang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Nakrang District and the creation of a new city in the Daeseong District. Unlike the Nakrang District, where Koguryo’s cultural elements are added to the tradition of Lelang, Daeseong District was developed as a new city with a similar landscape to the Guknae capital city. In the second phase, the Pyongyang was elevated to the capital of Koguryo, and the Daeseong District, where Daesung Mountain Fortress as and Cheongam-Dong Earthen Wall are located as the royal palaces, became the key area. Unlike the first period, the tombs were unified with the stone-chamber tomb, and the royal tombs were the extra-large stone-chamber tomb with stone platform. These royal tombs which were scattered around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functioned as symbolic landscapes. The temple was intend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residents and the royal authori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in Cheongam-Dong Earthen Wall may have been a similar reason. In addition, due to the influx of population from the capital city, the scope of the Nakrang District has also been expanded. In the 3rd period, the newly built Jangan Castle in Jung District functioned as a capital city. A new landscape was formed that effectively controlled the residential area of the capital residents by using a grid-type road and protected it by enclosing it with a 16km-wide stone walls. Daesung and Nakrang District were reduced due to the outflow of population, Consequently, the Nakrang area was reduced to a hunting ground. The royal tombs are stone-chamber tombs with mural painting of four deities, and are still distributed outside the capital. However, the triangular arrangement found in the Jinpari Tombs and Gangseo Tombs seems to be related to the family relationship.

      • KCI등재

        이동 통신 기지국 주변 전자파강도 인체 노출량 분석

        김현봉(Hyun-Bong Kim),김완기(Wan-Ki Kim),이영수(Yeong-Su Lee),전완표(Wan-Pyo Jun) 한국전자파학회 2013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4 No.5

        무선 통신의 발전 및 전파 이용 기기의 증가에 따라 이동 통신 기지국의 설치가 급증하면서 기지국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인체 유해성 여부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2007년부터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는 전파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의무 측정 대상국에 대한 전자파 강도를 측정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 측정된 무선국 전자파 강도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 공개와 더불어 전자파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또한, 2007년 6월 제도 도입 이후 만 5년에 접어든 현 시점에서의 측정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전자파 강도 측정 제도에 대한 실효성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s the number of base stations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rapidly grows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s and the increase of radio-use devices, there are hazardous concerns raised on the possible health effects of EMF(Electro-magnetic fields) radiated from base station antennas. Since 2007, KCA(Korea Communications Agency) has been measuring the EMF on base station defined by Radio Act. This paper was studied to provide objective and accurate information that relieved anxiety of people by analyzing the measurement results on EMF strength. Also, we suggest to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EMF measurement institution by analyzing measurement results since it was introduced on June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