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귀화 이주민과 문화적 권리

        김현미 ( Hyun Mee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5 韓國文化人類學 Vol.48 No.1

        한국의‘국민’의 개념은 이주와 이민이 급증하는 전 지구적 이동의 상황과 어떻게 조우하면서 변화하고 있는가? 2006년 4월 한국 정부는‘다인종·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을 선언하였고‘다문화’붐이라고 할 만큼, 다문화라는 말은 단일문화라는 강력한 이데올로기를 대체하면서 새로운 통치 논리로 등장했다. ‘다문화 담론’은 자문화 중심의 편협성에서 벗어나 이주민을 포함한 이질적인 타자들과의 교류를 옹호한다. 이런 이유로 한국사회의 다문화 담론은 단일민족국가에서‘글로벌 다문화국가’로 확장된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식 다문화정책은 일방적인‘국민 만들기’이며전형적인 국민 됨을 전제로 지원하는 체계로서 문화적 다양성의 옹호와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귀화’외국인의 개명, 사촌 간 결혼 금지, 귀화 불허사례를 중심으로 이상적인‘국민’개념이 어떻게 문화적 다양성 또는 문화적 차이와 조우하고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지 분석한다. 귀화에 대한 국내외 기존 연구는 주로 귀화와 관련한 법과 제도의 문제 또는 귀화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에 집중해 왔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국적제도와 한국 귀화 이주민 사례를 통해‘국민 됨’과‘문화권’이 어떻게 충돌하고 협상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귀화 이주민이 증가하는 한국 사회에서‘다문화주의 시민권’논의는 통합의 조건을 재협상하는 것에 대한 논쟁이며, 국민 됨과 다양한 시민의 문화적 특수성을 경합시키는 정치적 과정이다. 이 논의를 위해‘다문화시민권’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Korea’s long-cherished cultural concept of the nation based on a homogenous Korean essence is being challenged by the rapid increase in marriage migrants and labor migrants from East and Southeast Asia. These challenges create a pressing dilemma of how to preserve a homogenous ethnic society in the face of the increasingly hybrid cultures generated by a reliance on transnational migration to maintain and reproduce Korean families. Since 2006, the state has strongly emphasized an assimilationist model to quickly“Koreanize”the ethnically diverse marriage migrants. Henc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transition towards the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society in 2006; afterwards, the term multicultural society has been commonly used in daily language.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aturalization of foreigners in South Korea is brought to terms with the cherished notion of Korean-nes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naturalization has led to an exclusive focus on the changing nature of naturalization law itself, and assessment of why certain groups of migrants fail to or are not willing to be naturalized. However, this article addresses the issue of cultural rights of the new citizens of South Korea who have become naturalized.

      • 생태유토피아 섬의 다양한 경로들

        김현미(Hyun Mee Kim) 제주학회 2017 제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2

        Villages in Sardinia island are the only places in the world where men live nearly as long as women and a home to six times as many hundred-plus-year-olds as in any modern city (Pinker, 2014). It is believed the Sardinian longevity is attributed to its indigenous food, working conditions and social cohesion. The area s geographic isolation as an island created its tightly bonded families and communities, and social bonds influenced their sense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how resistant they are to diseases (ibid.). Recently, Sardinia is paying attention to sustainable ecotourism to attract tourists with unpolluted, clear waters of its coast, and to keep the waters clean for future tourism. On the other hand, the island is the site of highly advanced military complex where 80 percent of Italy s military bases are concentrated. Post World War II, Italy s largest rocket-launching station was built in Sardinia in 1956. Through several years of expansion, the Inter-Service Test and Traning Range (PISQ) will become the most important military experimental weapons testing and training center in Europe. Building military bases on the island aimed at defending against external threats, attacking for war, and preventing independence movement or activism of the island. Under the frame of moderniz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job opportunities, the construction was more dominantly understood as the alternative to Sardinia s underdevelopment, convention, poverty and backwardness was prevalent. By such reason, the negative impacts of the military bases over the past 60 year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However, the eastern coast of Sardinia now has high rate of cancer and leukemia caused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water and soil pollution, and it is becoming a land of death witnessing animals born with deformities. The social resistance to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bases is also on the rise. Nevertheless, there is still strong confidence in the economic effects of the military bases such as job creation. Many among the opinion leaders such as civil servants and intellectuals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s made a very paradoxical claim that the presence of military bases enabled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s by controlling the access of people. How can this incompatible reality be possible in Sardinia, an ecological utopia? This paper analyzes Sardinia s situation and conditions behind having an image as a sustainable eco-utopia and becoming the ground for the worst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by providing a comparative perspective for Jeju s future development model. By juxtaposing Sardinia, emerging as the eco-paradise of indigenous food culture, social bonds and natural environment, and another Sardinia as the site of the worst pollution from the concentrated military bases, it analyzes what various courses can be taken by the special condition of being an island . It further discusses how Sardinia s case can form a referenc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Jeju as the ecological/peace island.

      • KCI등재후보

        세계화 맥락에서의 여대생 리더십 향상 교과과정개발을 위한 제언

        김현미(Kim Hyun Mee),나윤경(Nah Yoonkyeong),조혜선(Cho Haes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3

          여대생 글로벌 리더십 향상 교과과정의 방향을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것은, 첫째, 성 불평 등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성별 고정관념을 초월한 사유를 돕는 과정, 둘째, 한국내의 다양한 문화 교차지역의 현장 연구와 분석을 통해 우리 안에 들어와 있는 다양한 문화적 타자들과의 소통을 고민하는 과정, 셋째, ‘능력’ 위주의 교육보다는 세계적 변화와 정세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는 과정, 그리고 넷째, 역할 모델로서 가까운 미래를 ‘구체적으로’ 상상하게 하는 ‘접근 가능한’ 인물 혹은 케이스가 활용되는 과정 등을 제안한다. 결국 여대생들의 글로벌 리더십 향상을 위한 대학의 교과과정은 남성중심적인 사회의 현상들에 대하여 전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자신과 맥락을 분석하게 돕는 것은 물론, 해외에서 커리어를 계획하는 것에 대해 큰 저항이 없는 여대생들에게 다문화 감수성을 ‘구체적으로’ 배양,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반영하여야 한다.   The present study, which is intended to suggest the orientation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leadership education, found out that female students still carry the dichotomous gender stereotypes in relation to the construct of leadership. This suggests that colleges establish programs that encourage female students to realize their potent and to reflect on their concepts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As “globalization” has been passed as “westernization” or “subjectificaion” in the Korean society, Korean college students may have lost their capability to communicate with cultural diversity. In this regard, college education has to provide the methodology promoting students to comprehend the “culturally different others” who have long been with us within our society. Thus,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curriculu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leadership education carry the two strands of sensitivity: feminist gender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ist multiculture sensitivity.

      • KCI등재

        18세기 한문 산문 연행록 속 `풍속` 요소의 인지와 범주

        김현미 ( Kim Hyun-m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3 No.1

        이 글은 조선 후기의 중요한 문화적 文獻群으로서 존재하는 燕行錄의 주요한 내용 중 하나인 `風俗`의 구체적인 내용과 전개를 살피기 위한 첫 시도로 쓰여 졌다. `풍속`은 기본적으로 타 문화를 체험한 기록이라는 상황적·내용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연행록의 저자들에게 중요한 관찰 및 묘사 대상이 되면서, 연행록을 읽는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게 하는 내용적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풍속`은 `문헌군`이라는 이름 아래 다양한 성격의 텍스트를 포괄하고 있는 연행록을 `타문화 관찰 및 체험 텍스트`라는 하나의 통일성을 가지고 분석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선 `풍속`이 왜 18세기에 새로운 표제로서 나올 수 있었는가를 사행 기록의 전통 하에서 생각해보기 위해 이전 시기인 `대명 사행록` 속의 풍속적인 요소가 어떻게 등장하고 무엇을 중심으로 소개되었는가를 살펴본 후, 18세기 연행록 중 잡지 양식의 24개 연행록 중에서 일단 `풍속`이라는 개념의 총합적 이해와 전개 양상을 보기 위해서 풍속이라는 표제 하의 서술들을 분석하였다. 대명 사행 문학의 전통에서 형성된 풍속 요소의 서술 방식은 임금께 복명하기 위한 `문견 별단체`인 잡록 형식이었으며, 내용적으로는 문화적인 자부심을 표출하기 위해 언급된 `상례`의 발견과 지리적 요소와 긴밀히 연결된 풍속의 서술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18세기 연행록 중 `풍속`을 표제로 하여 단편서술 양식을 모아놓은 세 개의 기록, 즉 노가재 김창업의 『연행일기』(1712) 중 「산천풍속 총록」, 그리고 이의봉의 『북원록』(1760) 소재 「산천풍속 총론」, 김조의 『관해록』(1784)에 수록된 「민속잡기」의 기록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바라본 새로운 세계인 `청`의 모습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었고 그것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폈다. 우선 노가재의 산천풍속 총록에 수록된 72개의 항목들은 이전 시기 대명사행문학에서 소개되었던 상례와 지리 지형적인 요소를 포괄하고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양식인 의-식-주 영역을 고르게 소개하면서도, 이전시기별단체 잡록처럼 나라의 경영을 위한 정보로서 작가의 목표를 삼지는 않았다. 이상봉의 산천풍록총론 속 118개의 항목들은 18세기 초 노가재가 관찰하고 겪은 결과의 타국 풍속을 기반으로서 받아들이고 이러한 기초지식 위에서 자신의 관찰 결과를 더하여 타국 풍속의 관찰을 했다. 1784년 연행의 결과로 민속잡록을 남긴 김조는 30항의 기록 중에서 일반적인 `풍속`이 아니라 그곳의 인물을 중심으로 여정에 따른 자신의 경험과 관찰에 근거한 `민속`의 항목을 서술하였고, 그래서 자신의 감정과 감상이 보다 많이 투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writing was written to examine the concrete contents and development of `customs(風俗)`, which is one of major contents of yeonhangrok(燕行錄) existing as important cultural literature(文獻群)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customs` are important subjects of observation and description to the authors yeonhangrok that basically has the situational·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of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while being a contextual element that makes those that read yeonhangrok have continuous interest. Therefore, `customs` are expected to become a connecting ring that would enable analyzing yeonhangrok that contains texts in diverse natures under the name `literature` with a unity `text of observation and experience of other cultures.` First, to consider why `customs` appeared as a new tile in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tradition of delegation records, how customary elements appeared in the `records of delegation to Ming` that were written earlier and mainly what were introduced were examined. Thereafter, to se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customs` and how the concept developed in 24 pieces of yeonhangrok in the form of magazines out of yeonhangrok written in the 18th century, descriptions under the title customs were analyzed. The format of descriptions of the elements of customs formed through the tradition of the literature regarding delegations to Ming was miscellanea in the form of `separate records of experience` for reporting to the king and the contents were the discovery of conventional practice mentioned to show off cultural pride and customs closely connected to geographical elements. Centering on the `miscellaneous records of folklore`contained in three records that gathered short story narrations under the title `custom` out of yeonhangrok written in the 18th century, that is, 「Sancheon Pungsok Chongrok」 in the 『yeonhangilgi』 of Noh Ga-Jae and Kim Chang-Eop(金昌業)(1712), 「Sancheon Pungsok Chonglon」 in the 『Bukwonrok』 of Lee Sang-Bong(李商鳳)(1760), and the 「miscellaneous records of folklore」 contained in the 『Gwanhaerok』 of Kim Jo(金照)(1784), concrete shapes of the new world `Qing` as seen by them and how the shapes changed over time were examined. First, 72 items contained in 「Sancheon Pungsok Chongrok」 of Nogajae included conventional practice and geographical and topographic elements and evenly introduced the areas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at are basic ways of human life but the objective of the author was not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the country unlike the separate miscellaneous records in the pervious period. The 118 items in the 「Sancheon Pungsok Chonglon」 of Lee Sang-Bong are descriptions of observation of other country`s customs based on other country`s customs observed and experienced by Noh Ga-Jae in the early 18th century added with the results of observation by Lee Sang-Bong. Kim Jo, who left miscellaneous records of folklore as a result of delegation in 1784, described items of `folklore` based on his experience and observation during the trip rather than general `customs` in 30 record items and projected his emotions and sentiments considerably in the records.

      • KCI등재

        연행록 문학 방면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김현미(Kim, Hyun-mee) 대동한문학회 2011 大東漢文學 Vol.34 No.-

        이 글은 연행록의 문학적 접근 연구 성과를 알아보고 그를 분석하여 경향을 살펴본 후, 그 경향에 따른 향후 과제를 알기 위한 중간 점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연행록의 문학적인 연구는, 연구사 초기 연암 박지원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인 열하일기를 설명하려는 여러 가지 시도들로부터 시작하여 연행록이라는 문헌군의 발견과 목록 정리, 체계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0년대부터 다종다양한 연구와 문학적 접근이 국제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는데, 연구사를 살펴본 결과, 연행록 연구 중 문학적 접근에 있어서는 크게 세 가지의 경향을 띠고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세 가지 경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사의 초기부터 지속된 ‘연행록은 실학자들의 삶과 사상을 가장 첨예하게 보여주는 대표 저술’이라는 입장, 두 번째 연행록 문헌군의 실체가 구체화됨에 따라서 ‘여행문학’ ‘기행문학’ ‘여행자문학론’ 등의 입장을 수립하여 이에 알맞은 문학적 접근 방법론을 모색하는 입장, 마지막으로 시나 가사라는 기존 장르에 문학성을 담보하여 그를 분석하는 태도이다. 이 중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경향은 두 번째이다. 이것은 곧, 연행록이 더 이상 문학이냐 문학이 아니냐하는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워져서 작품군의 복합적인 성격을 인정하면서 문학적으로도 좀 더 총체적이고 포괄적으로 접근해야한다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작품군의 복합적인 성격을 더욱 인정해야 한다는 말은, 단지 문학적인 접근을 하는 학자들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연행록의 문학적 연구 뿐 아니라 사학, 지리학, 정치학, 서지학, 한국 복식학 연구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들도 그 면면을 살펴보면 그들이 분석하는 ‘연행록’ 이 단순한 일차적 자료를 넘어서 ‘타자의 문명과 문화를 바라보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기록’으로서의 연행록 정체성에 대한 암묵적인 전제 후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현재 학계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운위되는 ‘학제간 · 다학문 간의 집체작업’을 자연스럽게 불러오는 인식이면서, 이에 따라 학문의 통섭이 일어날 수 있는 주된 연구 대상으로서의 연행록 문헌군의 위상을 굳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행록 자체의 간학문성, 통섭성은 연구자들에게도 기존의 세부 학문 분류, ‘순수혈통주의’에 얽매이지 않는 학문 탐구 태도를 유도하고 있다. This paper is for explanation and find prospect on literary researchs of Yeonhangrok(연행록). Literary researchs of Yeonhangrok(연행록) started in 1930’s, when Korea's modern sciences had begun. So there are many researchs on that, and they have their own trends. That trends are able to be said in three ways. First, Yeonhangrok regarded as a masterpiece of Silhakpa(실학파). Second, researchers thought Yeonhangrok as a important texts itself, so they tried to find methodology like “traveler’s literature”. Finally, researchers tried to analysis Yeonhangrok(연행록), through existing literature genre like poem, kasa(가사). Throughout these three trends, second one is the most frequent methodology. That means, Yeonhangrok(연행록) is to be admitted as complex-texts, and researchers must try to do inclusive study on it, without arguing Yeonhangrok(연행록) is a pure text of literature or not.

      • KCI등재

        일반논문 : 19세기 선비행장(先비行狀)류 글에 형상화된 어머니의 가르침- 자녀 교육 태도와 교육 양상을 중심으로

        김현미 ( Hyun Mee Kim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29

        본고는 19세기 개인 문집 소재 선비(先비)행장, 선비 묘지명, 선비 가장 등 ‘어머니’ 와 관련된 글 속에서 보이는 자녀 교육의 양상을 정리하고, 그것이 어머니의 모습을 그린 글들에서 교육 주체로서의 어떤 모습을 부각하여 ‘어머니의 이상적인 모습’을 고착시키는가를 생각해 보았다. 총 30여 작가에 의하여 50여 편 지어진 선비 행장류 글들을 『한국 문집총간』 소재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 어머니의 ‘가르침’ 이라는 항목이, 쓰는 이의 성장 시기에 따라서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서 ‘어머니를 어머니답게 하는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가르침으로서 먼저 등장한 모습은, 우선 자녀가 배움에 들어갈 나이가 될 때, 자녀를 교육하기를 엄한 의방으로서 하는 전통적인 스승의 모습이다. 이러한 의방에 따른 교육의 결과는 아들(자녀) 의 학습이라는 목표를 위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주로『소학』,『맹자』등의 경전을 외웠다가 알려주는 행동으로 시작하여 일정 나이가 되면 아들의 선생님을 모시든가 스승의 문하로 보내는 역할로 발전한다. 어머니의 가르침은 생애주기상 그 아들들이 과거를 볼 즈음이 될 때 과거를 대하는 자세를 교육하는 화소로 다시 등장한다. 과거에 대한 어머니들의 반응은 크게 두 가지로 갈리는데, 대의적으로는 과거보다는 학행 수양을 권하는 전통적인 것과, 그래도 관로에 진출하여 현달을 하기 바라는 솔직한 바람 노출이 같은 출현 빈도로 공존한다는 특징이 있다. 현달에 대한 솔직한 바람의 화소가 선비행장류에서 빈출되면서 기본적으로 ‘아들이 선(善)이라는 가치를 우선하였으면’ 하는 원리를 설파하는 전통적인 ‘교훈자’의 모습 속에서 ‘나의 아들이 잘 되었으면 하는’ 현실적인 요소가 불거져 나오고 있고, 19세기 선비행장류의 글에는 그것을 ‘의방에 반(反)하는, 비례(非禮)’로서 여겨 삭제하는 일은 없이 그대로 소개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s purpose is to see many aspects education of children by 19th Century Choson mothers, and to analyze them to know what aspect make them a ideal mother and a good teacher. In all this 50 records of a deceased mother`s life(先비行狀) written by 30 authors of 19th Century, two motifs of Mother`s teaching are working as elements of motherhood along their son`s life cycle. The first motif is an aspect of typical teacher with strict manner to her school-aged children. This teacher`s goal is her children`s learning. For that, she memorize some phrase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say to her children. The second motif is to teach her son a mental attitude toward civil service examinations(科擧). There are 2 type of mental Response to civil service examinations, one is traditional thing, that is, she regards the cultivation of her son more precious than her son`s fame. But at the same time, She exposes her wants of her son`s riches and honors badly.

      • KCI등재

        이부이즘(Ibusim)과 인도네시아 여성운동

        김현미(Kim Hyun-Mee)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999 여성학논집 Vol.16 No.-

        This paper seeks to interpret how the ideology of 'ibuism' (Motherism) in Indonesia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element in definitions of the Indonesian women's social role throughout history. Ibuism as an ideology "sanctions any actions, provided it is taken as a mother who is looking after her family, a group, a class, a company or the state, without demanding power or prestige in return"(Djajadiningrat-Nieuwenhuis, 1992: 44). This paper illustrates how the symbolic order of 'ibuism' can be manipulated by those in power to control women. Also, it attempts to show that ibuism can pose resistance to the promotion of women's rights and issues in Indonesian society. 'Ibusim' first emerged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from a confluence of Dutch bourgeois and traditional Javanese middle class (priyayi) values which were linked to the 'mothering' concep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donesian middle class women became the recipients of a modern education instructing them on how to be a sensible wife always supportive of her husband, and on how to be a stimulating mother in order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her children. However, not only did the Ibu need to fulfill her homely duties, but she was also expected to supplement the family income as a mother to ensure the maintenance of the priyayi class status. The mother had no claim on power, because the ideology of 'ibuism' stressed the image of a loving mother, who did not expect anything in return. This ideology relating to women's motherly role is not limited to the domestic sphere alone, but is also extended to include her unselfish devotion to the nation and community. Before 1945, all activism, including the concerns of the women's movement, focused on attaining national independence. Women's status as the Ibu was emphasized by the women's movement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The symbol of 'Kaum Ibu' (Mothers) and the slogan 'to raise the dignity of women as mothers' were frequently used by women's movement groups in order to protest against the degradation and discrimination that Indonesian women faced including polygamy and forced marriage. This slogan, however, became an ideology and put women in a stereotyped position as the care-taker of the family and the nation.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Order regime in 1965, Ibuism became a state ideology for the military regimes. Women were mobilized into state-controlled organizations on a mass scale and expected to transfer their caring roles from the family to the wider community, and the state. The New Order State banned women's organizations, including "Gerwani", which were concerned with women's rights issues. In its place a new women's organization called Dharma Wanita was formed in 1974. Membership in this organization was mandatory for every woman working in a government office and for all wives of government employees. It promoted an "ikut suami"[follow the husband] culture, which epitomizes the ideology of state ibuism, In rural areas, the PKK(family welfare guidance) was formed to function as the government sponsored welfare system. The PKK embraced an understanding of the family in which family members we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welfare of the state-cum-family without personal return. The Ibu role and Ibuism demanded a broader extension of the notion of women's contribution to the family, to include service to the stat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 abolishment of the New Order State and the collapse of Suharto, women's groups such as Suara Ibu Peduli (Concerned Mothers) were established at grassroot level, Despite the fact that this organization helped to support understandings of the traditional motherly role of caretaker for women, it eventually became political in its orientation and criticized the state's inadequacies and corruption during the economic crisis.

      • KCI등재

        중국 조선족의 영국 이주 경험 : 한인 타운 거주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미 ( Hyun Mee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8 韓國文化人類學 Vol.41 No.2

        본 연구는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한인 거주지인 런던 뉴몰든 지역의 현지조사를 통해 중국 조선족 이주자의 이주 경험을 분석한다. 한국은 조선족 해외 이주의 대표적인 목적국이지만, 조선족은 전 세계 88개국 이상의 국가에 진출하고 있고 가장 해외 이주가 활발한 소수민족이다. 본 논문은 한국 중심의 분석틀에서 벗어나 조선족 이주를 중국의 급격한 정치경제적 변화와 이주정책의 틀 안에 자리매김한다. 구체적으로 영국 런던 뉴몰든의 한인 타운에서 일하는 조선족을 심층면접하여, 이들의 이주경로 및 동기, 정착 과정, 노동 형태, 한국인 커뮤니티와의 관계성 등에 관한 내용을 분석한다. 조선족은 재외 한인 커뮤니티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노동을 수행하면서 새로운 글로벌 서비스 계층으로 이동하고 있다. 런던 뉴몰든의 조선족 이주자들은 한국에 이주한 조선족들과 비슷하게 한인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서비스 노동에 종사하고 있다. 남성들은 주로 건축 및 집수리 노동, 식당 주방, 청소 일을 하고, 여성들은 식당 주방 및 홀 서비스, 한국 가정집 가사 노동 및 파출부, 미용 및 마사지 등 서비스 노동에 집중되어 있었다. 영국, 특히 런던이라는 도시가 가진 이주자들의 혼종적 다양성은 조선족 이주자들에게 특히 `구별` 될 것이 없이 전 세계의 이주자 그룹 가운데 하나라는 인식을 갖게 한다. 이런 점은 조선족 이주자들에게 일종의 하향 평준화된 다양한 이주자들의 삶에서 오는 평등과 평온함을 느끼게 한다. 본 연구는 해외한인 이주공동체를 동질적인 집단으로 분석함으로써 한인 이민자 집단의 내부적 차이와 노동 분화의 역동적 과정을 간과해 왔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한인 디아스포라 집단 거주지는 `상상의 공동체`라기보다는 한인들 간의 서로 다른 초국적 실천들이 경쟁하고 경합을 벌이며 생성해 가는 역동적인 현장임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about the migration experiences of the Korean-Chinese people living in the suburban London district of New Malden, commonly known as "Little Korea,"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and largest Korean community in Europe. This study analyzes the dynamic formation of labor classes within this Korean diasporic community, and focuses on ethnic Korean migrants and migrant workers who have settled in New Malden through diversified transnational migration routes. This paper challenges the prevailing Korea-centric view of the migration routes and motivations of Korean-Chinese migrants which portrays South Korea as the main and final destination. In reality, Korean-Chinese travel to as many as 88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active migrants in search of greater possibilities to lead a better life. The Korean-Chinese living in New Malden are generally employed to perform labor for the Korean community. Their employment can be classified as reproductive labor, which includes housework, child care and patient aid, and service labor, which includes employment in property construction, home renovation, cleaning, restaurants, tourist locales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While there exists the general perception that Korean-Chinese are performing work that is of lower status than that of other Koreans in the community, this group of migrants nonetheless interpret their situation in New Malden as an improvement compared to their status in South Korea.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Chinese migrants, this paper examines their migration routes and motivations, the settlement process, forms of labor, and relations with the ethnic Koreans within the same community. Finally, this study analyzes how these Korean-Chinese migrants establish a class/gender relationship within the community of ethnic Koreans by reconstructing transnational locality. This paper thus challenges the established paradigm that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the Korean diasporic community based on the concept of an `imagined community,` and critically questions its assumptions of issues relating to transnational citizenship, labor rights, and gendered migration in a globalized context, particularly in the geopolitical space between South Korea and Eur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