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요통 여성노인의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 효과

        김향수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targeted elderly women in local community with various physical problems caused by chronic low back pain. By conducting a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hich was focused on enhancing and revitalizing muscle strength around a vertebra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the effect of the disability index, degree of low back pain, flexibility, balancing ability,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change of the condition of urinary incontinence, maximum and mean of the pressure of vaginal contraction, and duration of vaginal contraction in these wom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elderly women who lived in D Metropolitan City and used D, S, and J welfare centers, and all of whom had experienced chronic low back pain. The total number of the sample was 54 people, with 27 each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1, 2012 through July 30, 2012, for a total of three months.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education an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The education implied low back pain care and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for durability and motivation, and it was done in four sessions, each of which was 15 minutes long. The trunk stabilization was focused on vitalizing transverses abdominal muscle and pelvic floor muscle. For a total of eight weeks, three steps that were differentiated by phased motion and strength were performed. Warming up took 10 minutes, the main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took 30-40 minutes, and cooling down took 10 minutes, for a total of 50-60 minutes at a time. In terms of measuring the effect of the exercise program,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by Scott and Huskinsson (1979) was used for the degree of low back pain. The Korea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which was developed by Fairbank et al. (1980) and revised by Lim et al. (1998) was used to assess disability. Flexibility was evaluated with a flexibility measurement machine (S141-9, Shinah Sports, Namyangju City, Korea). Balance was divided into static and dynamic. Static balance was measured with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open and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closed.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with sit-to-standing, timed up and go, and tandem gait. The measure of the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used questionnaires which was developed by Hendrickson et al. (1981) and revised by Lim et al. (1993) on urinary incontinence. The change of the condition of urinary incontinence was evaluated by the change in the pre and post intervention of questionnaires’ measurement value. The maximum and mean pressure of vaginal contraction and duration of vaginal contraction were measured by using a perineometer (ExTT-101, Owomed, Seoul,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18.0 for Windows (SPSS/WIN 18.0).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Homogeneit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was analyzed with X2-test, Fisher’s test, and t-test. The comparison with the score differences of pre and pos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used t-test, ANCOVA, and paired t-test. The change of the pre and post condition of urinary incontinence used Mcnemar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degree of low back pain, current low back pain (F=31.851, p<.001) and the worst low back pain (t=-6.246, p<.001)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pain. 2) The disability decreased significantly (F=77.635, p<.001), and the flexi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F=25.434, p<.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disability and flexibility. 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open which was static bala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ime (F=8.023, p=.007), whereas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close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0.350, p=.728). In dynamic balance, the sit-and-standing test (t=-0.189, p=.851) and tandem gait test (F=2.365, p=.130)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imed up and go tes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ime (t=-2.393, p=.020).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as partially effective in improving balance ability. 4) The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5.377, p<.001). The change of the condition of urinary incontin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pre and post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8) an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of pre and post intervention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changing the state of urinary incontinence. 5) The maximum of the pressure of vaginal contr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5.253, p<.001) and the mean of the pressure of vaginal contraction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4.891, p<.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uration of vaginal contraction was lengthened significantly (t=3.120, p=.004).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maximum and mean of the pressure of vaginal contraction and the duration of vaginal contraction. In conclusion, the degree of chronic low back pain, urinary incontinence, and the disability index of elderly women who had chronic low back pain decreased, and the condition of urinary incontinence positively changed with the decline of the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through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Furthermore, the flexibility and partial balance ability improved, and the maximum and mean of the pressure of vaginal contraction and the duration of vaginal contraction increased. Findings suggest that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could be an active treatment in solving health problems related to chronic low back pain and promoting one's health condition with fall prevention and the improv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for the elderly women in local community. Thus,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omen with low back pain. 본 연구는 만성요통으로 인해 여러 가지 신체적 문제점을 갖고 있는 지역사회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척추 주위의 근력을 활성화하고 강화시키는데 초점을 둔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요통 정도, 기능장애 지수, 유연성, 균형능력, 요실금 정도, 요실금 상태변화, 최대 및 평균 질 수축력과 질 수축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에 거주하고 D, S, J 복지관을 이용하는 만성요통 여성노인으로 1~2회의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홍보교육을 통해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하며 8주간의 운동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사가 있는 자로써 실험군 27명, 대조군 27명 총 54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5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총 3개월간이었다.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은 교육과 체간안정화 운동으로 구성되었다. 교육은 운동의 지속성과 동기 부여를 위해 요통관리 및 체간안정화 운동에 관한 것으로 매 15분씩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체간안정화 운동은 문헌고찰 후 물리치료학과 교수 1인과 물리치료학과 박사과정생 1인의 자문을 받아 복횡근과 골반저 근육의 활성화에 초점을 둔 체간안정화 원리를 중심으로 예비조사를 통해 만성요통 여성노인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총 8주(24회) 기간 동안 3단계로 단계별 동작과 강도를 달리하였고 준비운동 10분, 본 체간안정화 운동 30∼4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1회당 50~60분씩 진행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요통의 정도는 시각적사상척도(visual analogue scale)를 사용하였고, 기능장애는 Fairbank 등(1980)이 개발하고 임현술 등(1998)이 번역, 수정한 한글판 오스웨스트리 기능장애 지수(Korea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를 이용하였다. 유연성은 좌전굴측정기(S141-9, 신아스포츠, 남양주, 한국)를 이용하여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는 정도를 cm로 측정하였다. 균형은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정적균형은 눈감고 외발서기와 눈뜨고 외발서기 시간을 초(sec.)단위로 측정하였고 동적균형은 30초 동안 의자에서 앉았다가 일어서는 횟수와 2.45m 떨어진 곳을 갔다 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초(sec.)단위로 측정하였으며 3m 길이를 일직선으로 양 발을 붙여 걷는데 소요된 시간을 초(sec.)단위로 측정하였다. 요실금의 정도는 Hendrickson (1981)이 개발하고 이영숙(1993)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요실금 상태변화는 요실금 정도 측정값의 중재 전,후 변화된 상태를 평가하였고 최대 질 수축력과 평균 질 수축력 및 질 수축 지속시간은 회음질압측정기(ExTT-101, 오우메드, 서울, 한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을 구하였고, 두 집단 간의 동질성 검정은 χ2-test와 Fisher's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집단 간의 중재 전?후 점수 차이 비교는 동질성 검정에서 동질하지 않게 나온 변수에 대해서는 사전값을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 동질성이 검정된 변수에 대해서는 t-test, 집단 내의 차이 비교는 paired t-test, 요실금 상태변화는 McNemar test로 통계처리하였다. 모든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요통관련 특성 및 유병질환에 따른 동질성 검정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이 동질하였다. 종속변수에서는 현재 요통의 정도, 기능장애 지수, 유연성, 균형능력 중 눈감고 외발서기(정적균형), 3m 일직선 보행(동적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두 집단이 동질하지 않았다. 그 외 종속변수인 가장 심할 때 요통의 정도, 균형능력 중 눈뜨고 외발서기(정적균형), 의자에서 앉고서기와 2.45m 왕복 걷기(동적균형), 요실금 정도, 최대 질 수축력과 평균 질 수축력 및 질 수축 지속시간은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하였다. 2) 8주간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요통의 정도에서 현재 요통(F=31.851, p<.001), 가장 심할 때 요통(t=-6.246, p<.001)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통증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8주간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기능장애 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F=77.635, p<.001), 유연성은 유의하게 높아져(F=25.434, p<.001)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기능장애 개선과 유연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8주간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균형능력에 있어 정적균형인 눈감고 외발서기는 유의하게 시간이 길어졌고(F=8.023, p=.007) 눈뜨고 외발서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t=0.350, p=.728), 동적균형인 의자에서 앉고서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t=-0.189, p=.851) 2.45m 왕복 걷기는 유의하게 시간이 단축되었으며(t=-2.393, p=.020), 3m 일직선 보행은 유의한 차이가 없어(F=2.365, p=.130)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은 균형능력에 부분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8주간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요실금의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t=-5.377, p<.001) 요실금 상태변화는 실험군에서 중재 전,후의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8) 대조군에서는 중재 전,후 변화가 유의한 차이가 없어(p=1.000)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은 요실금 정도의 감소와 요실금 상태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 8주간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최대 질 수축력이 유의하게 높아졌고(t=5.253, p<.001) 평균 질 수축력도 유의하게 높아졌으며(t=4.891, p<.001), 질 수축 지속시간은 유의하게 길어져(t=3.120, p=.004)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은 최대 질 수축력과 평균 질 수축력 및 질 수축 지속시간의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을 통해 만성요통 여성노인의 요통의 정도, 기능장애 지수 및 요실금의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요실금 상태변화는 긍정적인 변화로 중재 후 요실금의 정도의 감소가 있었다. 유연성과 부분적인 균형능력은 향상되었으며 최대 질 수축력과 평균 질 수축력 및 질 수축 지속시간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통증을 노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제한 된 일상생활을 하고 있는 지역사회 만성요통 여성노인에게 있어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은 만성요통에 대한 건강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대처로 신체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고 추후 있을 수 있는 낙상 예방 및 요실금 개선에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비판적 사고의 신장을 위한 국어 수업 방안 : 논리학의 대당 관계·추론 및 대치 규칙·오류를 중심으로

        김향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instrumental knowledge of logic to the Korean subject to help learners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this purpose, it tried to extract contents suitable for secondary curriculum among various knowledge of logic and reconstructed it to be easy for learners to learn, and reflected in discussion education of speech method in Korean domain.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logic education,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was analyzed for the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2017. As a result, the correctness rate(32.62%) of items that measure critical thinkin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 items(56.04%). In addition, since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learners has deteriorated steadily until 2017, it can be assumed that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learners in 2018 and thereafter will gradually decrease. In addition,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ability of the population’ in 2013, adults were found to have low critical thinking skills. As the learners of the secondary curriculum become adults later, it is predicted that adult critical thinking skills will also continue to decline.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appropriate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learner's critical thinking skil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2009 that was applied to the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2017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 of low critical thinking skills of the learners, the criterion of achievement that reflected the critical thinking factor was 58.4%, but only 5 of the criterion of achievement reflected the knowledge of logic. In other words, although the critical thinking is sufficiently dealt with through the criterion of achievement, it can be judged that the critical thinking of the learner is low because of lack of learning about the knowledge of logic. In addition, in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2015, the criterion of achievement reflecting the factor of critical thinking was 54.5%, which was somewhat lower than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2009, knowledge of logic was also less important than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2009. In other words, in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2015, the proportion of criterion of achievement reflecting the factor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logical learning factor are poorer than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2009, so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learner of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2015 has less critical thinking skills than the learner of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of 2009. Since the 'speech and writing' of the Korean subject and logic subject emphasize the 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common, it present to educate the students to reflect ‘the logic’ in the debate in Korean subject,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absence of critical thinking. Specifically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onsists of six stages: strategy learning, strategy exercises, discussion preparation, discussion Execution, and discussion evaluation. At this time, it is characteristic that a explicit instruction, team project, and block-time are utilized, and discussion evaluation is characterized by self-evaluation, mutual evalu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shortly after the discu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논리학의 도구적 지식을 국어과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하도록 조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리학의 다양한 지식들 중 중등 교육과정에 적합한 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학습자가 익히기에 용이하도록 재구성하여 국어과 영역 중 화법의 토론 교육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현행 논리 교육의 실태를 검토하기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에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는 문항의 정답률(32.62%)이 다른 문항의 그것(56.04%)보다 현저히 낮았다. 또한 2017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이 악화되었다는 점에서 2018년은 물론 그 이후의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력도 점차 떨어질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성인을 대상으로 2013년에 진행된 ‘국민의 국어능력 평가’를 통해 성인들의 비판적 사고력이 낮다는 점을 파악하였는데, 중등 교육과정의 학습자가 후에 성인이 되므로 결국 성인의 비판적 사고력 역시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이 낮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의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에게 적용되었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비판적 사고의 요소가 반영된 성취기준은 58.4%에 달하였으나 논리학 지식이 반영된 성취기준은 5개에 불과하였다. 즉 성취기준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충분히 다루고 있으나 논리학 지식에 대한 학습이 부족한 까닭에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의 요소가 반영된 성취기준은 54.5%로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보다 다소 낮았고 논리학 지식도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비해 더 적은 비중으로 다루었다. 즉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은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보다 비판적 사고의 요소가 반영된 성취기준의 비중과 논리학적 학습 요소가 부실하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학습자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학습자보다 비판적 사고력이 낮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국어과의‘화법과 작문’과 논리학 교과는 공통적으로 비판적 사고 역량의 함양을 중시하기 때문에 국어과의 토론에 논리학을 반영한 교육이 가능함을 주지하여, 비판적 사고의 부재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논리학’을 국어과에 반영하는 수업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은 총 6차시로써 전략 이해 학습, 전략 활용 연습, 토론 준비, 토론 실행, 토론 평가의 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현시적 교수법, 팀 프로젝트, 블록타임제가 활용되고, 토론 평가는 토론 직후에 자가 평가, 상호 평가, 수행 평가로 진행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 만성통증 질병서사를 통해 본 젠더화된 질병 체험과 자아 전략

        김향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paper focuses the illness narratives of South Korean (hereafter, “Korean”) adults with chronic pain and analyzes how the stories of their illness and lives are told. In this paper, their subjective experience of chronic pain interplay with dominant norms of gender, health, age, class and their patienthood is examined and the social meaning of their practices and struggles are analyzed. Narrative analysis is used to engage these accounts. The empirical data of this article consists of qualitative interview of 19 women and 6 men. The interviewees were recruited through a Korean clinic and a biomedical (western) hospital in Seoul. Firstly, it was examined how people with chronic pain spoke of their illness experiences and its meanings. In illness narratives, chronic pain is said to be invisible, incomprehensible, unpredictable and uncontrollable. To express their own life with chronic pain and agony is said to be their greatest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When the interviewees talk about themselves, questions about stigma and social situations that they face are brought up. They reflect on the conditions of living in a sick body in a Korean society, resisting stigmatization along with a body with chronic pain A society where only personal responsibility for health care is emphasized, a society where healthy adult men have become the norm, and a society that excludes the sick, excluding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is said to be the cause of their physical and social suffering. Although the experience of chronic pain is difficult to express in words, in their narratives the participants integrate the pain into their lives and identity. “Itai-itai disease” is a metaphor for dying slowly without understanding and treating the pain. “The Ghost is pulling” is a metaphor for intense pain that is unable to express a painful sensation. It is often described as incomprehension of pain as a spiritual transcendence. “A friend who is hard to exorcise” or “A friend who wants to break with” is a metaphor for embracing chronicity and becoming close with. “Karma” is a metaphor for accepting chronic pain from a past life. In Christina ethic, pilgrimages are the process of finding self and truth in sorrow, whereas karma is the process of suffering because of one’s own mistakes. “Wound of honor” is a metaphor for positive self-assessment to cause of pain. It praises oneself for trying so hard that part of the body becomes too much. These metaphors are used as cultural idioms to properly express my life and the inscrutable pain. The topics analyzed are narrative structure of illness narrative which consists of recognition, treatment, and adjustment.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is about myself with an inscrutable chronic pain. The main themes are the invisibility and incomprehension of chronic pain, the depiction of their intense pain, the difficult communicability of chronic pain and loneliness. In the narrative of recognition, the narrative self is defending their chronic pain against distrust. This defense is due to a society that does not believe in women’s pain and speech due to the invisibility and incomprehension of chronic pain rather tha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s mainly women who had been dependent on their families due to chronic pain.. These women’s vulnerability has been revealed to the family and society. The narrative of treatment is about myself who is after repeated treatment, still sick. The experience of gathering hospital information, receiving treatment and seeking better treatment due to uncertainty of treatment becomes the central plot of the story, but the conclusion ends with continuously having with chronic pain, not fully recovered. In the narrative of treatment, the narrative-self is to overcome their own chronic pain. What was done to overcome and what injustice was subjected to are told by men with chronic pain. In the case of women, those who have a relatively stable career are able to find explanations for pain with their labor experiences that puts an emphasis on their subjectivity. The narrative of adjustment is about negotiating their social role and expectation. Chronic pain is related to women’s social role and expectation and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women who are preoccupied by fulfilling their family member’s requirements and needs as the daughter, wife, mother and daughter-in law. In narrative of adjustment, the narrative self reflects their chronic pain and life. These reflections are extended negotiations of changing physical abilities, social obligations and personal identity, and further questions the social practices and pressure surrounding health and gender norm. Social suffering caused by gender prejudice toward their own disease is often talked about for people with chronic pain. Invisible and immeasurable pain lead to doubt on veracity of their suffering. The women’s stories of chronic pain are narrated as a series of distrust, their pain was perceived as “feigned illness” and “fussy” due to the psychological causes. The men’s stories of chronic pain are rarely narrat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social stigma, even to their close friends which is seen as “natural” and “no wonder”. The reason for men’s concealment of their chronic pain is due to their pain being experience perceived as “crybaby” and “lack of stickability”. The hegemonic masculinity is based on physical strength, so chronic pain threatens men’s masculinity. Even men and women’s health expectations have become gendered, so gendered stigma caused by chronic pain is being experienced. Social expectations facing sick men and women, as well as social suffering, are associated with intersections between gender, class, age, race and illness. Women’s illness narratives involve the process of reshaping women’s social roles and expectations in family and friends. It is named chronic pain management, not selfish behavior, by reconsidering and coordinating gender role expectations in the family. Men’s illness narratives involve the problems of stereotypical norms of masculinity, but aren’t told about the negotiations between marginalized masculinity and masculine self. Men’s stories of chronic pain display the rift between hegemonic masculinity such as rational and self-control, and marginalized masculinity such as physical weakness, their chronic pain. “Passing” dilemma which people with chronic pain pretend to be healthy is told in workplace experiences. Due to the invisible and uncontrollable pain, the pain is perceived as if they are “pretending to be ill”, “not dedicated” and “soon-to-be out of work”. Individual responses and strategies are coped with the pain, which are limited and rarely revealed in society. Their illness narratives include their own understanding, justification and the struggles of their life with chronic pain. Social stigma combined with moral standards are imposed on them to move on to the society. A society that considers perfect health as norm was asked along with the illusion of being able to control its body. Their narrative strategy goes further from self-accusation and hard-luck story to a society where exclude the body with chronic pain. In summation, illness narrative has revealed that the illness experience of those with chronic pain has become gendered, the social suffering and stigma have also gendered, and the narrative strategy has also become gendered. This paper analyzes the illness experiences and negotiations of self in the illness narrative of those with chronic pain and reveals how dominant norms of disease, age, class, race, and gender are intersected.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gender dynamics surrounding their illness experiences and speaking practices have been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llness narrative conceals social sufferings of living with invisible pain and necessary social and cultural changes. During life history interview, the healing potential of illness narrative has been identified. This paper studies the illness narratives of those with chronic pain, but should be extended to studies that pay attention to the lives and social suffering of those with various diseases in Korean society. 본 논문은 한국에서 살아가는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 서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신의 만성통증과 아픈 나 그리고 자기 삶을 어떻게 이야기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만성통증을 지닌 몸에 건강, 질병, 연령, 계급, 젠더, 환자됨과 관련된 규범이 어떻게 교차하는지와 아픈 몸에 대한 어떠한 낙인과 곤경을 만들어내는지와, 이들의 대응과 실천이 지닌 사회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질병서사에서 만성통증 경험과 의미가 어떻게 이야기되는지 검토하였다. 질병서사에서 만성통증은 비가시적이며 불가해하고 예측불가능하며 통제불가능한 것이라 이야기된다. 질병서사에서 나에 대해 이야기하기는 만성통증을 지닌 나와 나의 삶에 대해 설명하기로 수렴된다. 불가해한 통증, 그러한 통증을 지닌 나를 어떻게 설명하는가는 이들의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곤경의 핵심으로 이야기된다. 통증을 지닌 몸으로 살아가기는 몸을 매개로 세계와 어떻게 관계 맺을 것인가라는 세계 속 존재의 문제이다. 이들은 아픈 자신에 대해 이야기할 때 몸을 괄호 친 채 자신을 향한 낙인과 사회적 상황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한다. 이들은 통증을 지닌 몸, 그리고 그 몸에 투영된 사회적 인식, 도덕적 특성과 결합된 낙인들에 저항하며 한국 사회에서 아픈 몸으로 살아가는 조건들을 성찰한다. 건강관리의 개인적 책임만이 강조되는 사회, 건강한 성인 남성이 표준이 된 사회, 다양한 신체적 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지 않아 아픈 이들을 배제하는 사회가 오히려 이들의 신체적 사회적 고통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이들은 자신을 설명할 수 있는 다채로운 비유의 언어들을 찾아낸다. “이따이이따이”는 통증을 표현할 언어가 없기에 자기 몸의 아픔을 타인에게 전하지 못한 채 서서히 죽어가는 존재라는 비유이다. “귀신이 잡아당기는”은 아픈 감각을 표현하는 언어로 담아내지지 않는 격렬한 통증의 강도와 느낌을 나타내며, 때로는 통증의 불가해함을 영적 초월적 존재로 설명하는 비유이다. 만성성을 수용하며, 통증을 “싸우고 극복해야 할” 존재에서 “일생 떨치기 힘든 친구”, “절교하고픈 친구”라 명명하기도 한다. 이는 통증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에도 불구하고 만성통증을 지니고 살아가는 자신의 삶을 수용하며 통증을 단지 고통스러운 경험으로 바라보기보다, 살아가며 경험하는 많은 것들 중 하나로 인식하려 하는 개인적 협상이다. “업보”는 통증을 지닌 몸을 이해하기보다 체념하며 수용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서구 사회에서 투병 과정에 대해 “순례”라 비유하는 것과 달리 “업보”는 “왜 나인가”라는 질문에서 아픔의 원인을 자기 스스로에게 찾는 표현이다. 기독교 윤리 속에서 순례는 고행 속 진리와 자아를 찾아 나가는 과정이라면, 업보는 스스로의 잘못과 과오로 짊어진 고행을 의미한다. “영광의 상처”라는 비유는 고통의 원인에 긍정적 자기 평가를 덧붙여, 통증을 수용하는 방식이다. 이는 몸의 일부가 무리가 갈 정도로 열심히 노력한 자신을 치하하는 표현이다. 이 비유들은 단지 신체에 대한 비유라기보다 통증을 지닌 몸의 체현에 관한 자기 이해를 만들어가는 분투이자 불가해한 통증과 나의 삶을 타인에게 설명하고 전달하는 노력의 결과이다. 질병서사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도출된 주제는 인정, 치료, 적응이다. 인정의 서사는 불가해한 만성통증을 지닌 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만성통증의 비가시성과 불가해함, 공유불가능성으로 인해 겪는 곤경과 외로움이 주된 내용이다. 인정의 서사의 서사적 자아는 자신의 만성통증을 방어하는 자아이다. 이러한 방어는 여성의 통증과 말을 믿지 않는 사회와 관련된다. 주로 통증이 악화되어 가족에게 의존한 채 지내왔던 여성들이 사용하는 서사로, 이들 여성의 가족 내 취약성이 드러난다. 치료의 서사는 계속된 치료에도 여전히 아픈 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치료의 불확실성으로 병원 정보를 모으고 치료를 받으며 더 나은 치료를 찾아다니는 경험이 이야기의 중심 플롯이지만, 결론은 완치되지 않은 채 만성통증을 지닌 채 살아가는 나로 마무리된다. 치료의 서사의 서사적 자아는 자신의 만성통증을 투병하는 자아이다. 자신이 극복하기 위해 무엇을 하였고 어떤 부당함을 당했는지 주로 남성이 구성하는 서사이다.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안정적 직장으로 통증에 대한 본인의 노동경험으로 설명을 찾을 수 있는 여성들이 자신의 주체성을 강조하며 이야기한다. 조정의 서사는 사회적 역할과 기대를 협상하는 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만성통증은 인습적 기대에 맞추어 살아온 삶을 돌아보게 하였고, 사회적 역할과 기대에 대한 자아의 협상이 만성통증 치료와 관리법으로 제시된다. 조정의 서사의 서사적 자아는 자신의 만성통증을 성찰하는 자아이다. 성찰하는 자아는 변화하는 육체 능력과 사회적 의무와 끊임없이 협상하며, 나아가 건강, 젠더의 정상성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실천들과 압력들에 대해 질문한다. 만성통증을 지닌 여성과 남성은 자신의 질병을 향한 젠더화된 편견으로 인한 사회적 고통을 이야기한다. 만성통증의 비가시성과 측정불가능성은 고통에 대한 의심을 낳는다. 여성들의 질병서사에서는 “꾀병”이라는 만성통증에 대한 불신과 “까탈”이라는 심리적 원인으로 이야기되는 부당함에 대한 경험이 두드러진다. 남성들의 질병서사에서 사회적 낙인은 좀처럼 이야기되지 않는데, 남성들은 만성통증이라는 질병은 친구여도 말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라 한다. 남성들의 만성통증 숨기기는 “끈기 없는” 남성이라는 낙인과 통증의 비가시성으로 “엄살”이라는 여겨지는 낙인 때문이다. 이는 만성통증과 질병으로 이들의 남성성을 주변화되기 때문이다. 남녀의 건강기대마저 젠더화되어 있기에,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은 젠더화된 낙인을 경험한다. 아픈 남성과 아픈 여성이 직면한 사회적 기대 그로 인한 사회적 고통은 젠더화되어 있으며, 이 경험에는 계급, 젠더, 연령, 인종이 교차한다. 이들은 삶을 지속하기 위해 변화하는 신체 능력과 사회적 의무 사이 자구책과 자기 협상을 마련한다. 여성들의 질병서사는 가족과 친구 등 친밀한 관계에서 사회적 역할과 기대를 재편하는 과정을 담는다. 여성들은 딸, 아내, 엄마, 며느리라는 역할 기대는 자신의 몸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이 이야기되는 가운데, 어린자녀를 둔 여성들은 “아픈 엄마”로서의 자녀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을 표현한다. 20-30대 여성들은 만성통증으로 순종적 여성상에서 벗어나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서 자유로워졌다는 변화를 이야기한다. 가족 내 젠더화된 역할 기대를 재고하고 조정하는 것을 이기적인 행동이 아닌 만성통증 관리로 명명하기도 한다. 남성들의 질병서사에서 아픈 남성에게 요구되는 젠더화된 기대, 특히 신체적 강인함에 근거한 헤게모니 남성성을 자신이 수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거나 저항한다. 만성통증이라는 신체적 곤경에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자기 통제를 실현하는 남성적 자아를 상연하기도 한다. 질병서사 속 만성통증은 직업병으로 해석되지만, 일터에서는 숨겨야 하며 건강한 몸인 양 회사에서 요구하는 일의 속도와 업무량을 맞춰야 하는 곤경이 이야기된다. 만성통증의 비가시성과 통제 불가능성으로 이를 맞출 수 없을 때, 헌신성과 자기관리 능력이라는 노동자로서의 자질을 의심받는다. 이들은 개인화된 대응과 전략을 취하고, 이는 제한적이며 사회적으로 좀처럼 드러나지 않는다. 이들은 만성통증이 만들어낸 실존의 위기 속에서 몸이 더 이상 도구가 아닌 삶의 매개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서사는 아픈 나에 대한 이해와 정당화, 그리고 아픈 몸으로 살아가는 내 삶의 고투를 담는다. 삶을 서사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만성통증을 지닌 자신에게 내려진 도덕적 잣대가 사회에 대한 질문으로 옮겨간다. ‘완벽한 건강’을 정상성으로 여기는 사회, ‘몸을 통제할 수 있다는 환상’에 대해 질문한다. 이들의 서사전략은 자책과 신세타령에서 나아가 만성통증을 지닌 몸으로 살아가는 곤경을 드러내며 몸을 존중하지 않는 사회, 그리고 몸에 대한 젠더화된 기준과 기대를 지적한다. 본 논문은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서사 속 만성통증 경험과 자아의 협상을 분석하며 질병, 연령, 계급, 인종, 젠더 등이 어떻게 상호교차 되는지 살펴보며, 이들의 질병 체험과 말하기 실천을 둘러싼 젠더 동학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천적 의의는 우선, 질병 경험의 말하기/듣기를 통해 이들의 유한한 몸 경험 속 사회적 고통이 무엇이며 어떤 사회문화적 변화가 필요한가를 포착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실천적 의의는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생애사 인터뷰 과정에서 질병서사의 치유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만성통증을 지닌 이들의 질병 서사를 연구하였지만,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질병을 지닌 이들의 삶과 사회적 고통에 주목하는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질환의 다양한 종류, 발병 나이, 중증도뿐 아니라 계급, 인종, 연령, 가족상황, 직업, 섹슈얼리티, 지역 등에 따라 이들의 질병 경험과 사회적 고통, 낙인이 어떻게 교차하는지 세밀하게 탐구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민주적 및 독재적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김향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학생 418명(남학생 193명, 여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매개하는 매개모형을 설정하고, AMOS 22.0을 이용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랩핑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 무조건적 자기수용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는 주관적 안녕감,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부모의 독재적 양육태도는 주관적 안녕감,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민주적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부모의 독재적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도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민주적 및 독재적 양육태도는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ediates in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to subjective well-being of their middle school children. For this purpose, 418 middle school students (193 boys, 225 girls) were surveyed to measure parenting attitud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Pearson '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AMOS 22.0.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also investigat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Positive correlation was appeared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Negative correlation was appeared between authoritarian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lso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looking into medi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etween Authoritative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etween Authoritarian parent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also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authoritative and authoritarian parenting attitude directly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 and also indirectly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 wh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ediated.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a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 웃음프로그램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인지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향수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웃음 프로그램이 편마비 환자의 인지된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두 개의 재활 병원에 입원한 뇌졸중 편마비 환자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11월 18일부터 12월 4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웃음프로그램은 웃음요법 과정을 이수한 연구자가 임상웃음 전문가, 웃음요가 전문가, 재활병동 수간호사, 재활병동의사. 간호대 교수, 물리치료사, 심리치료사, 레크레이션지도자의 자문을 얻어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1회 60분, 주3회 총 8회로 적용하였다. 효과는 웃음프로그램 적용 전과 웃음프로그램 적용 후 인지된 스트레스, 불안, 우울, 기분을 인지된 스트레스 측정도구, 불안 측정도구, 우울 측정도구, 시각적 상사척도로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웃음 프로그램은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인지된 스트레스와 우울은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기분은 증가시켰으며, 불안감소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웃음프로그램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인지된 스트레스와 우울을 줄이고 기분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제시한다. Stroke hemiplegic patients experience stress because of not only the physical disabilities of necessary body functions including body and hand movement, urination, defecation, sexual intercourse, but also change of body image and self concept, and restriction of social and physical activities. Psychological stress caused by hemiplegia affects their rehabilitation and recovery. Among the latest various methods to reduce stress for hemiplegic patients, a laughter program alleviates psychological response like anxiety and depression as negative cognitive response is decreased and reduces stress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aughter program on perceived stress and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in stroke hemiplegic patients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convenience sample of 60 study subjects(30 control subjects and 30 experimental subjects) with stroke hemiplegic patients were selected from the rehabilitation ward in two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form November 18, 2008 to December 4, 2008. After the researcher who completed a whole course of laughter program gathered materials from laughter yoga experts, a head nurse and doctors in rehabilitation ward, professors of nursing university, physical therapist, psychotherapist, and recreation leader, the researcher revised collected materials to meet a condition of stroke hemiplegic patients.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received 3-sessions per week and total of 8-sessions (each session: 60min) of laughter program. Perceived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mood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performing the laughter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In result of this study, laughter program for stroke hemiplegic patients reduces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and improves mood, but does not reduce their anxiety. On foundation of result in this research, it is proved that a laughter program reduces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of stroke hemiplegic patients and improve their mood.

      • 태권도 선수의 시합 전 경쟁상태 불안과 경기력과의 관계

        김향수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해당 선수를 잘 아는 복수(본 연구에서는 3명) 측정자들의 관찰에 의한 판단을 평균해 그 수치를 사용하여 태권도 선수가 시합 전 느끼는 경쟁상태 불안과 경기력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교와 실업에 소속되어 있는 태권도 선수 102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남자 69명, 여자 33명으로 구성되었고 수준은 국가대표 14명, 상비군 16명, 지역대표 28명, 학교대표 44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될 측정 도구는 지도자들이 평균적으로 판단하는 경쟁불안과 경기력 측정 검사지와 경쟁상태 불안, 경쟁특성 불안을 측정하는 지필식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응답결과 자료를 회수한 후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하였으며 Window용 SPSS 11. 0 Version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태권도 현장 지도자들이 평균적으로 판단하는 선수의 시합 전 경쟁상태 불안수준과 평균적으로 판단하는 태권도 선수의 경기력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수준, 대상에 따라 경쟁상태 불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 수준, 대상에 따라 태권도 선수의 경기력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본 연구에서 평균적으로 판단한 경쟁상태 불안과 지필식 검사로 측정한 경쟁 상태 불안과 경쟁특성 불안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player's anxiety level which Taekwondo coaches averagely judged and player's performance level which Taekwondo coaches averagely judged.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102 Taekwondo players belonged to university and semiprofessional. Questionaries used in this study was made up of anxiety measurement item and performance level item. Data analyses were derived through the use of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10. 0). The following results are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ly,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player's anxiety level which Taekwondo coaches averagely judged and player's performance level which Taekwondo coaches averagely judg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etitive state anxiety by gender, group, level. Thir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etitive state anxiety by performance level. Last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layer's anxiety level which Taekwondo coaches averagely judged and CSAI-2 inventory.

      • 패션에 있어서의 보디페인팅과 따뚜에 관한 연구

        김향수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인간의 인체에 대한 미학에는 여러 가지 미술학, 패션학등에서 본 인체 조형학등에서 다루어지거나 패션 복식사 등의 장식설등에서 이루어져 왔다. 피부에 행하는 행위로서, 보디페인팅과 따뚜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문화적, 주술적, 예술적 견지에서 이해되어 왔으며, 현시대에서는 제2의 피부라고 표현할 수 있는 보디페인팅과 따뚜는 패션적 요소가 뚜렷하게 내재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인체미학의 요소는 보디아트로서 단순한 인체가 보여주는 선과 동작이 만드는 조형미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피부의 톤이나 색상, 갖가지 개성적인 모습의 윤곽 등을 포함한다는 점으로서, 조형예술차원만이 아닌 새로운 제2의 몸을 위한 기틀이기도 하다. 시대적 감각에 따라 아트메이크업의 진수라고 할 수 있는 이 분야는 항상 전위적이고 앞서가는 독창성을 필요로 하는 디자인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렇게 감각적이고 인체미학 요소를 크게 부각시킬 수 있는 이 분야의 디자이너들은 독창성인 디자인 창출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며, 여기에 보디아트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도록 보디아트와 패션을 결합시켜 복합적 예술로 부각시켜야 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보디아트의 표현형식과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패션에서의 인체미학요소와 아트디자인요소를 조화시켜 메이크업아티스트들의 보디아트 디자인 창조과정에서 독창성과 다양한 예술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패션감각과 미의식에 의한 인체디자인창출의 구체적인 의미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는 패션에서의 보디페인팅과 따뚜에 관한 연구로서, 이것들이 갖는 인체 미학적 구성요소는 어떤 것이 있으며, 서로의 장르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보디페인팅과 따뚜가 패션개념으로 넘어가는 현시대의 추세로 볼 때, 앞으로 패션적 차원에서 어떻게 이용되고 활성화되어야 하는지 체계적 정립의 시도가 있어야겠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서, 선 연구 논문, 인터넷, 기타 문헌 및 자료 등을 바탕으로 연구 작품과 대조 분석하며, 보디페인팅과 따뚜의 인체 미학적 근거를 밝히기 위해 역사적으로 내려온 문양과 부족의 고유 문양 등을 바탕으로 패션 차원에서 해석하여 보려 했으며, 또한 공간적 개념과 인체의 조형적 구조의 동적인 조화와 아름다움을 보디아트의 일종으로 생각하며 보디아트의 새로운 개념으로서 구축하고자 하였다. 결론으로서, 보디페인팅과 따뚜는 같은 계열에서 나온 것으로 행위예술이며 또는 과정예술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이 두개의 장르는 패션으로의 환타지 한 요소들이 내포된, 조형미술학적 개념의 선과 면과 동적인 움직임과 음영을 동반한 미학적 요소가 다분하며, 현시대의 패션감각으로 볼 때 대중패션으로 활용하기에 충분하였다. 인체미학의 요소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시각과 디자인의 개발, 패션으로의 접목 및 감각산업으로의 개발에 보디페인팅과 따뚜가 보디아트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여건이 많음을 제안하며, 본 연구가 현대 보디아트 패션이라는 새로운 토탈 감각 산업으로의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전환점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Aesthetics of human body was treated in the study of human body modeling and the like seen from the study of fine art, the study of fashion and so on, or in a theory of decoration and the like such as the history of fashion. With a long history, body painting and tattoo performed on skin have been understood from cultural, incantatory and artistic perspectives. And it can be seen that body painting and tattoo that can be expressed as the second skin in modern times clearly include elements of fashion. The elements of aesthetics of human body are not only the level of plastic art, but the basis for the second new body in that they are not only in the plastic beauty made by simple lines and motions shown by human body as body art, but also in that they include the tone or hue of skin, the outlines of various shapes of personality and the like. This field that can be said to be the essence of art: make-up according to the senses of ages came to always require the design in need of avant-garde and leading originality. The sensuous designers in this field who can greatly highlight the elements of aesthetics of human body should continue to make efforts to create original design. I got to recognize that it w-as necessary to combine body art with fashion and highlight to complex art so that they can be said to be body art design. By investigating the expressive forms and contents of body art, this thesis tried to harmonize the elements of aesthetics of human body in fashion with the ones of art design. And it also tried to, approach the concrete meanings in creating design of human body by a new sense of fashion and aesthetic sense when make-up artists show their originalities and make various activities of art in the process that they create body-art desig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on body painting and tattoo in fashion. It aims at making an attempt at establishing systematically what components these have in aesthetics of human body, what differences there are in the genres, how they should be used and activated in the dimension of fashion in the future from the trend of current age that they transfer to the concept of fash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and analyze with the research work preceding research papers, Internet and other literature and materials. I tried to interpret body painting and tattoo in the level of fashion, based on the patterns transmitted historically and the proper ones of tribes and the bike in order to clarify the grounds that they have in aesthetics of human body. And I also tried to think as a kind of body art of the dynamic harmony of spatial concept with plastic structure of human body and their beauty, and construct them as a new concept of body art. As a conclusion, body painting and tattoo are performance from the same line. Or, these two genres that can be expressed as process art include fantastic elements as fashion, have many aesthetic elements of accompanying lines and planes and dynamic movement and shade in the concept of plastic art and design, and are good enough to be utilized as popular fashion from the fashion senses of current age. I propose that body painting and tattoo have many conditions in which they can be active in the field of body art for developing the positive view and design by which the elements of aesthetics of human body can be maximized, grafting them into fashion and developing them to sense industry. I think that this study will help us to seek the turning point at which they can establish themselves as a new total sense industry called modem body art fash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