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터에 강건한 딥러닝 기반 프로파일링 부채널 분석 방안

        김주환(Ju-Hwan Kim),우지은(Ji-Eun Woo),박소연(So-Yeon Park),김수진(Soo-Jin Kim),한동국(Dong-Guk Han)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0 No.6

        딥러닝 기반 프로파일링 부채널 분석은 신경망을 이용해 부채널 정보와 중간값의 관계를 파악하는 공격 방법이다. 신경망은 신호의 각 시점을 별도의 차원으로 해석하므로 차원별 가중치를 갖는 신경망은 지터가 있는 데이터의 분포를 학습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의 완전연결 층을 GAP(Global Average Pooling)로 대체하면 태생적으로 지터에 강건한 신경망을 구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ChipWhisperer-Lite 전력 수집 보드에서 수집한 파형에 대해 실험한 결과 검증 데이터 집합에 대한 완전연결 층을 사용하는 CNN의 정확도는 최대 1.4%에 불과했으나, GAP를 사용하는 CNN의 정확도는 최대 41.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Deep learning-based profiling side-channel analysis is a powerful analysis method that utilizes the neural network to profi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de-channel information and the intermediate value. Since the neural network interprets each point of the signal in a different dimension, jitter makes it much hard that the neural network with dimension-wise weights learns the relationship. This paper shows that replacing the fully-connected layer of the traditional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ith global average pooling (GAP) allows us to design the inherently robust neural network inherently for jitter. We experimented with the ChipWhisperer-Lite board to demonstrate the proposed method: as a result, the validation accuracy of the CNN with a fully-connected layer was only up to 1.4%; contrastively, the validation accuracy of the CNN with GAP was very high at up to 41.7%.

      • KCI등재

        제주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해영 ( Hai Ying Jin ),김유리 ( Yu Ri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탐라문화 Vol.0 No.41

        본 연구는 그동안 제주교육사를 주제로 축적되어 온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여 정리함으로써 향후 지방교육사의 한 분야로 제주교육사 연구가 나아갈 방향과 과제를 점검하였다. 먼저 제주교육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귀납적으로 검토하여 관찬연구와 개인연구, 시대별 연구상황과 10년 단위 연구상황을 살펴보았다. 결과 관찬연구가 개인연구에 비해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고 시대별로는 조선시대의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또한 도내 학술지 논문이 도외 학술지 논문이나 학위논문보다 많았고 10년 단위로 살펴본 연구상황에서는 1990년대 이후가 총 건수의 2/3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관찬연구는 물론 개인연구에 있어 꾸준한 연구와 더불어 연구의 폭과 깊이를 넓혀 연구 주제와 방법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제주교육사 연구의 노력들이 모아질 때 지방교육사로서 제주교육의 정체성과 제주교육만의 교육사적 독자성을 확립하게 되어 제주교육사의 심층적 분석이 가능해지게 될 것이라 보아진다. This research proposes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of history of Jeju education as part of the regional history of education in reviewing and organizing the results of the past studies. First, we inductively reviewed the existing research on history of Jeju education, and then examined government-supported as well as individual studies, the periodic research, and every 10 year research state. Our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more government-sponsored studies than individual research, and the most research studied on the Jeju education in the period of Chosun dynasty. Our finding also presented that there are more papers from the regional journals than the journals in outside of the providence or school theses. And reviews of every 10 year research condition suggested that the research work after 1990s accounts for about 2/3 of the total. So along with the constant work it concludes that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and methods will be necessary by extending the depth and breadth of research. We believe that the identity and uniqueness of Jeju education will be established as the regional history of education through more research works, and eventually it will enable us to conduct more in-depth study.

      • KCI등재

        이주초기 연변지역 조선인 교육사상의 형성 연구

        김해영 ( Jin Hai-yi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 No.

        이주초기 수십 년은 연변지역 조선인사회가 점차 형성되는 시기로 조선인의 교육사상이 전통적인 봉건사상에서 근대적 사상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다양한 문화의 충돌과 융합, 신구(新舊)·내외(內外)세력 간의 사상적 충돌과 융합의 시기이다. 나아가 공산주의사상과 민족주의사상 간의 충돌과 융합의 시기이기도 하다. 조선인 교육사상은 바로 이와 같은 사상적 배경 속에서 형성된다. 이 시기 연변지역 조선인 교육사상의 형성과정에 대한 심층적 고찰, 특히 사상의 충돌과 융합의 과정에 대한 탐구는 연변지역 민족교육 발전의 근원을 파악하는 중요한 역사적 근거이다. 이는 또한 이주초기 조선인의 교육에 대한 의식이 점차 중화민족일원으로서의 조선족의 교육사상으로 발전될 수 있는 사상적 기저이며 현재의 조선족 및 소수민족교육을 연구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현실적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조선족이 중국이주 정착 이후 진행한 수많은 교육적 활동 그 배후의 사상에 대한 고찰을 이주초기 즉 19세기 말~20세기 초라는 시간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e decades before the early stage of migration was the period of the gradual formation of Korean society in Yanbian, it 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of the Korean educational thought from traditional feudal thought to modern thought, and it is also a period of the conflict and blending of different cultures, the conflict between old and new, the conflict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forces, and even the conflict and fusion between the Communist ideology and the nationalist thought, the Korean educational thought was formed under the ideological background. The deep analysis of the forming process of the Korean peoples’ educational thought in Yanbian during this period, especially the process of the conflict and integration of the thought, is the important historical basis to grasp the origin of the ethnic education development in Yanbian area. This is also the formation and vicissitude process of Korean peoples’ education in China, and it is the ideological base of the Korean peoples’ educational thoughts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s well, which is of important and practical significance to the study on the Korean-Chinese minority educat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national education abroad.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Korean people during the early decades when they moved to China, and takes the early stage of migration as the center of Yanbian Korean society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thoughts which may function as the guiding role.

      • KCI등재

        조선조 제주교육사 형성의 동인(動因)으로서 표류에 관한 연구

        김해영(Jin, Hai-ying),양진건(Yang, Jin-g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3

        본고에서는 조선시기 제주도가 폐쇄된 섬이라는 특징과 자연환경 때문에 표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감안해 조선시기 제주도 교육사형성의 또 다른 중요한 동인으로서 표류의 영향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우선,제주의 지리적ㆍ환경적 특징에 대해 살피면서 제주도와 표류와의 관계에 대해 정리하였다.다음,표류인들이 남긴 표류기에 나타난 교육적 진술들과 교육적 해석이 가능한 내용들을 정리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마지막으로 그러한 표류기록에 나타난 이문화접촉,이문화이해,이문화전파의 과정을 통해 제주인들의 의식변화가 어떻게 진행이 되었고 그러한 의식변화가 제주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여 보았다.결론적으로 선상,과거,유배 등 위로부터,외부 로부터 주어진 수동적인 동인과 달리 표류는 제주인들에 의해 능동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교육에 대한 영향이 아래로부터,내부로부터 주었다는 점에서 다른 동인과 매우 차별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또한 표류의 영향으로 형성된 교육은 지배계층에 의한 지배를 위한형식적 교육인 것이 아니라 지방 민중에 의한 민중의 삶을 위한 사회교육이었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rifting which are another important of the formation in the Jeju educational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rifting and the educational history of Jeju due to its isolation form the mainland and its natural environment. First of all, we looks for the Jeju's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features to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Jeju Island and the drift. Then, organized the contents of educational interpretation and educational statements which are left by drifting peoples to find out the direct formation about education. Finally, with the drift appeared cross-cultural contact and cross-cultural understanding, cross-cultural spread, we can identify how did the Jeju people change in consciousness and formation of changes in consciousness about Jeju education. As a result, like board, past, exile which is passive from the top, from the outside is very different with the drift of Jeju people which is active by the impact on education from below, from the inside In addition, the education which is formed by influence of drift is not Formal Education for the ruling class to dominated, that is Social Education for the people's life by local people.

      • KCI등재

        연변조선족사회와 민족교육의 관계에 대한 고찰

        김해영(Jin, Hai-Yi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4 敎育思想硏究 Vol.28 No.1

        이 연구에서는 연변조선족사회와 조선족 민족교육의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국에서 조선족이 가장 많이 집거한 지역으로 지역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교육적 역량을 두루 갖춘 명실상부한 조선족 민족공동체임에 틀림없다. 연변조선족사회에서 조선족 민족교육은 조선족사회의 영위와 정체성 및 민족문화를 전승 및 발전시키는 중요한 매개이다. 또한 조선족 집거지인 연변을 중심으로 기타 조선족지역을 중국조선족공동체라는 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심점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개혁개방을 맞이하면서 이루어진 조선족사회의 지각적인 변동은 연변사회에는 물론 조선족 교육의 방향성에 커다란 과제를 남기게 되었고 이로써 조선족 교육은 모순과 갈등을 빈번하게 자아내며 조선족사회와의 적응 및 발전의 관계를 제대로 잡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변에 있어 조선족사회와 민족교육 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향후 조선족 교육의 전체적인 방향을 논함에 있어 조선족사회와의 관계처리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This investigation is about the Korean nationality education of the Yanbian Korean society. Yanbian Korean society is the densest area of Chinese Korean which has strong power in area,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It's a real Korean community. In Yanbian Korean society, the education of Korean is the important medium to develope Korean society honour, orthodox and to pass on the nationality culture. Yanbian is the centre of Korean's area. Other Korean areas are the branches. Chinese Korean community huge veins and arteries. But facing the reform and opening-up, society of Korean has constantly change, makes the society of Yanbian and Korean Education have a huge task. So Korean Education's contradiction and dispute appears a lot. And couldn't catch the society of Korean's adaption and development well. This research is a specific explore between society of Korean and national relation. Not only discuss all direction of the Korean Education, but also try to find out society of Korean's relationship of processing.

      • KCI등재

        이동과 교육

        김해영(Jin, Hai-Yi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5 No.-

        이 글에서는 조선족의 이동과 그들의 생존수단으로 선택한 교육에 대해 세기적인 발전맥락을 고찰해보고 그에 따른 조선족교육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19세기 중엽 조선인이라는 이름으로 연변 땅에 정착하기 시작하는 조선족의 선조들은 반세기에 걸쳐 개척, 적응하면서 조선인사회를 형성한다. 그리고 또 수십 년에 걸쳐 투쟁하고 싸워 개척한 땅을 지켜낸다. 이 과정에는 늘 그들의 영혼을 달래줄 수 있고 그들에게 삶의 용기와 희망을 안겨준 교육이 있었다. 그렇다할 종교적 색깔을 가지고 있지 않는 조선인들에게 있어 교육은 그들이 정신적으로 기탁할 수 있는 일종의 신앙적인 존재였다. 말하자면 이동 속에서 그곳 역사에 적응하고 융합될 수 있는 생존의 전략이었다.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조선족교육의 역사를 확인해보고 새로운 이동과 새로운 교육의 실천을 경험하고 있는 현 단계 조선족교육의 현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어서 글로벌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조선족이 이동과 생존의 전략으로 어떻게 교육을 통해 민족적인 역량을 만들어 시대적 변화에 잘 적응하고 있는지 조선족의 자생적 교육력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movement of the Korean ethic and the education they choose as the means of survival, and examines the development of history since it has come to learn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In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ancestors of the Korean descent in Yanbian area, who began to settle in the Korean identity, gradually formed the Korean society after half a century of development and adaptation. To protect the land they also experienced decades of struggle and hard work. In this process educational activities give them the soul of the comfort and courage and hope to be alive. For the Korean ethic they don’t have a stable religion, education is a kind of spiritual belief of their existence, and also in the process of moving educational activities can let them adapt to the local culture and environment, can be integrated into a survival strategy in local history, and it can be a survival strategy to integrate into local history. This paper first revisit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ethic education formed in the moving process, and then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which experienced new moves and new educational practices, finally facing with the era of Globalization, To rely on education to form a new impetus to the various ethnic groups, so a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related issues. To explore how the Korean ethic to form a new impetus for all ethnic groups on the basis of education, thus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ethic society-related issues.

      • KCI등재

        용연 김정규의 교육사상 연구

        김해영(Jin, Hai-yi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2

        이 연구에서는 용연 김정규의 교육사상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용연 김정규는 함경북도 경성출신의 유학자이자 관북의병의 중요한 인물이다. 1908년 관북지역 의병거사의 실패를 계기로 북간도로 망명하게 되고 그 이후 교육활동에 주력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자신의 학문관, 교사관, 독서관을 철저히 실천하고자 한다. 그는 유교적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활발한 교육활동을 하는 한편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의병활동의 선두주자로 활약한다. 따라서 그의 사상체계에는 유교적 도학사상에서 비롯된 교육사상과 도학적 의리론에서 출발한 항일의리정신이 아울러 내포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김정규는 자신의 북간도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지(志), 성(誠), 경(敬), 의(義)로 표현되는 그의 교육사상을 실천하고자 했으며 그것을 자신의 학문관, 교사관, 독서관에 관철하였고 이를 통해 유교적 도학에 대한, 가통의 전승에 대한, 항일구국에 대한 의리를 완성하고자 했던 것이다. The study mainly concentrates on searching for Yongyeon, Kim Chung-Kyu's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North Gando. Kim Chung-Kyu, who has studied abroad, from Kyungsung North Hamgyong province, is also the typical person among the Yuejungchuksa. In order to inherit the tradition of the Confucianism in educational activities and lead an important part in salvation in aggression, he behaved very actively. And he started to expand his thought system from Confucianism and confucian's educational thought to confucian's theory which included Anti-Japanese Spirit and sta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educational activities after the failure of theKwanbuk district's soldier revolution and North Gando in exilein 1908. He wanted to make a difference in the view of learning, teaching and library through all of these activities. All in all, Kim Chung-Kyu, in his North Gando, regarding educational activities as the center, made his educational thought come true in the annals, honesty, respect and justice and carried out his view of learning, teaching, and library. Through these, Confucianism and confucian Anti-Japanese and national salvation movement come true.

      • KCI등재

        북간도 민족교육 선구자 규암 김약연의 활동 및 그 교육사적 의의

        김해영(JIN, Hai-Yi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0 敎育思想硏究 Vol.34 No.1

        이 글에서는 북간도 민족교육의 선구자인 규암 김약연 선생의 활동 및 그 교육사적 의의를 조명하였다. 김약연은 20세기 초 북간도 조선인 대통령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또한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목사로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는 북간도 민족교육의 선구자였다. 김약연은 함경북도 변방에서 유학을 공부한 유학자의 신분으로 북간도에 이주하여 그곳 조선인사회의 중견인물이 되었는바 문화개척과 사회재건을 교육을 통해 실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로 말미암아 북간도는 조선인 민족교육의 요람이 되었고, 또한 북간도 조선인들의 사상적 성장의 기초가 되었으며, 훗날 북간도 지역 독립운동과 항일운동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그는 지행합일(知行合一), 수기치인(修己治人)을 몸소 실천한 교육자였고 민본주의 사상과 민족주의 사상을 북간도 민족사회 결성에서 실천하고자 한 지도자였다. 결국 유언으로 남긴 “나의 행동이 곧 나의 유언이다.”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김약연의 삶은 교육에 대한 행동과 실천으로 대부분의 자취를 남겼다. 본 연구에서는 김약연의 생애와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그가 북간도 민족교육에 이바지한 구체적인 과정을 살피고 새롭게 그의 교육사상을 조명하면서 그 교육사적 의의를 밝혔다.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activities of Kim Yak Yeon, the pioneer of national education in North Kando, and the significance of his educational history. Kim Yak Yeon was the leader of the North Korean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He was a priest and a faithful Christian. However, His fundamental role is the pioneer of national education in North Kando. Kim Yak Yeon, as a Confucianist in the border area of North Kando where he moved to and became the backbone of North Kando society at that time, he also committed himself to achieve cultural development and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education. Thanks to his efforts, North Kando became the cradle of Korean national education, which also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mature thought of Korean people in North Kando,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later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anti-Japanese movement in North Kando. He is an educator made himself an example to realize the un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and the rule of self-cultivation. He is also a instructor to realize the thought of humanism and nationalism in the National Society of North Kando. As shown in his last words “my action is my last words , made it evident that majority of his life is centered in educational action and practice.

      • KCI등재

        보존과 전승의 방법: 연변지역 한민족 역사유적지의 스토리텔링개발 및 교육적 활용

        김해영 ( Jin Haiyi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1

        본 연구는 연변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민족 항일사적지 보존과 전승의 방법에 대한 성찰로써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통한 스토리텔링콘텐츠 개발 및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역사유적지 원형의 보존에 대한 강화와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전승은 역사유적지를 문화적 자원으로 살려내는 관건이다. 역사유적지는 과거의 산물이지만 그것을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알아차리고 화제로 활용할 때야만 생명력이 생성된다. 이 과정은 반드시 보다 타당한 개발과 적절한 교육구조가 뒷받침 되어야 하는데 그 원인은 사람들 사이에서 유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널리 보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연변은 과거 북간도라고 불리던 곳으로 19세기 이래 조선인들이 가장 많이 이주한 지역이기도 하며 현재 역시 조선족의 주요 집거지이다. 약 150년의 이주, 정착의 역사를 거쳐 오면서 조선족은 수많은 삶의 자취를 남겼고 이는 오늘날 유적지로 남아 조선족 역사의 산증인으로 되었다. 그것은 오늘날 조선족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가장 실증적인 원형이며 그 보존과 전승은 조선족의 역사를 재확인하고 지속시키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역사유적지는 존재 자체만으로도 가치 있는 것이겠지만 이제 우리는 그것의 가치를 더욱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변지역 한민족 역사유적지에 대한 보존과 전승의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콘텐츠를 교육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를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Korean nation`s Anti-Japanese historic sites preservation and inheritance method in Yanbian area, to put forward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and educational application by OSMU(One Source Multi Use). Enhance the prototype of the historic sites preservation and through active application of inheritance is the key to historical sites into cultural resources. The key to transform Historical sites to cultural resources is strengthening the prototype of the historic sites preservation and inheriting through positive applications. Historical sites is the product of the past, but it is only known by reality , the future and to form a subject, so that it can be created its unique vitality. This process must be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and appropriate education structure as the backing, it is well known in order to make the cultural heritage. Yanbian is the place called North Jiandao, it`s the most common place to migrate for Korean nationality since 19th century, and now is also the hub of Korean nationality. The Korean nationality have experienced 150 years history of migration, left behind the precious heritage, and that became the site of prove the Korean history. It is the most empirical prototype to identify the Korean identity consciousness, the preservation and inheritance is the recognition and effective basis for Korean history. The existence of the historic site is valuable in itself, but if the study can find various methodologies to maximize the value of it, this will be the icing on the cak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preservation and inheritance of Korea nation`s Anti-Japanese site methods in Yanbian area which named Story-telling, further demonstrated how to carry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problem by variety of cultural products which developed by Story-T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