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안군 사옥도 일대의 지형·지질경관 특성 및 활용방안

        김해경 ( Hai Gyoung Kim ),오강호 ( Kang Ho Oh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최근 들어 수 십 억년의 지질역사를 기록하고 있는 지질을 유산으로 간주하여 인류 공동의 지질유산으로서 보호하고 보존되어야할 대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네스코에서는 세계 문화 보존과 자연환경 보호 사업의 일환으로 지질공원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2년 자연공원법을 개정하면서 국가 지질공원제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이 제도에 의하면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독특한 경관이 우수한 지역을 보존할 뿐만 아니라 교육과 관광 사업을 할 수 있게 인증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국가 지질공원제도로 인해 각 지자체에서는 그 지역에 지형 및 지질경관이 분포하는 지질명소를 발굴하여 국가 지질공원으로의 인증을 신청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섬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전라남도에서는 섬의 경관, 생태, 역사, 문화 자원을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고 활용하여 여행객을 불러 모을 수 있도록 “가고 싶은 섬”가꾸기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가고 싶은 섬”가꾸기 사업의 측면이나 지질유산의 발굴과 보호 그리고 교육과 관광의 활용 면에서 전라남도에 분포하는 섬에 대한 지형 및 지질경관 조사의 필요성이 재기된다. 이 연구에서는 신안군 사옥도에 분포하는 공룡 및 새발자국화석 이외에 산출되는 식물화석 뿐만 아니라 독특한 지형 및 지질경관 특징을 조사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조사 및 분석 결과는 향후 지질관광 및 교육적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전라남도에서 시행하고 있는 “가고 싶은 섬”사업의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옥도 일대의 해안에서는 해식애, 파식대, 암석해안, 자갈해안, 갯벌해안, 해안타포니, 마린포트홀 등의 지형경관과 역암, 사암, 이암(셰일), 안산암, 응회암의 암석 그리고 단층, 층리, 점이층리, 사층리, 절리, 연흔, 건열, 화석과 같은 지질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이외에도 퇴적암층 내에서는 결핵체, 층내변형구조, 모수석 및 식물뿌리에 의한 풍화현상 등이 관찰된다. 특징적으로 사옥도 하탑마을 북측 해안에 분포하는 퇴적암 노두에서는 공룡발자국화석, 새발자국화석 그리고 식물화석이 발견되어 이 지역은 지질유산으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공룡발자국화석, 새발자국화석 및 식물화석은 지구의 지질역사와 자연경관을 접해보는 지질관광의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다양한 화석이외에 지층과 같은 퇴적암류, 단층 및 절리와 같은 지질구조 그리고 연흔, 건열, 점이층리와 같은 퇴적구조는 초등과학과 중등과학의 지질단원 그리고 고등학교 지구과학 Ⅰ, Ⅱ의 학습내용으로 소개된 지형 및 지질요소와 부합되는 지형 및 지질요소이다. 따라서 지구과학 교육적으로 야외지질 학습의 장소로서도 적합한 장소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지역의 지형 및 지질경관을 지질관광 및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하고 자세한 조사 및 연구 그리고 과학 교과의 단원에 적합한 야외 학습 활동지 및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geotourism and earth science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Saokdo Area of Shinan gun, Korea. For this study, geolog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in the geological outcrop as rocky coast and beach of Songdo and Saok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2) and Lee at. al.(2003), six types(sea cliff, wave-cut platform, marine tafoni, marine pothole, gravel beach, tidal mud-flat)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s and thirteen types(stratification, cross bedding, graded bedding, joint, ripple mark, mudcrack, fossil, andesite, tuff, conglomerate, sandstone, shale, fault) of geological landscapes are distributed in this study area. Especially, plant fossils, dinosaurs foot print fossils and bird foot print fossils distributed in sedimentary rocks of in this study area are geoheritage which is worth preserving. In addition, as various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of this study area correspond with the learning contents of geology presented in science text books. those landscapes are worthy in the basic materials for geotourism and earth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 KCI등재

        벚꽃을 통해 본 근대 행락문화의 해석

        김해경 ( Hai Gyoung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4

        조경분야에서 식물은 생태적·외형적 특징뿐만 아니라 설계자의 의도와 이용자 행태의 매개체 역할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식물에 대한 연구는 생태 특성과 재배 환경에 집중되어있고, 식물을 통한 시대상 분석은 희소하다. 벚나무의 경우 현재는 보편화된 수종이지만, 일제강점기라는 도입배경으로만 설명된다. 따라서 벚나무로 인해서 변하게 된 전퉁적인 행락문화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벚나무를 연대기적 시선으로 도입과 확산, 정착 과정과 상징 의미의 변천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왕벚나무는 1907년 도쿄와 오사카에서 3년생 묘목 1,500본을 최초로 수입하여 남산 왜성대 공원에 식재하였다. 이후 조선의 전통공간·근대공원·신작로에 식재하였는데, 식재의 증가 배경에는 총독부의 적극적인 지원하에 묘목을 양육하여 판매한 것에도 기인한다. 벚나무 확산으로 말미암아 왕벚나무는 제주도가 원산지라는 것에 대한 논쟁이 발생했다. 둘째, 벚나무가 대규모로 식재된 공간은 벚꽃 명소가 되었고, 당시 매체의 적극적인 홍보로 관앵과 야앵이 경성의 상춘문화로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관앵과 야앵이 보편화된 행락문화가 되었지만, 벚나무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태도는 구분된 명칭 사용으로 표출되었다. 벚꽃·앵·사쿠라가 혼재되었고, 밤벚꽃놀이도 요자쿠라 아닌 야앵·밤벚꽃놀이를 사용하였다. 혼재된 벚꽃에 대한 단어 사용의 이면에는 벚꽃놀이를 저급한 문화로 보는 시선도 공존했다. 넷째, 벚꽃이 식재된 조선의 상징공간은 위락공간화 되어 소비되는 공간으로 변모했다. 벚꽃놀이는 연예 행사·영화 상영·레뷰걸의 공연과 함께 진행되었고, 입장료만 내면 누구든지 즐길 수 있었기 때문이다. 기존 전통적인 행락문화의 계급성은 벚꽃놀이 공간에서 와해되어 무질서한 모습이 문제 시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벚꽃(벚나무)는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시기를 거치면서 전통적인 행락문화를 변화시키는 변이점이 되었고, 더불어 현재의 일상적인 상춘문화로 정착되었다. In landscape architecture, pla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lizing the intention of the architect and user-behavior as well as an ecology and appearance of the space for them. However, it is true that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nts, their cultivation environment and symbolic meanings in traditional terms, while relatively few for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each period through plants. For this, cherry trees that we often see around are selected and their introduction, propagation, development and symbolism from the view of chronicle are studied and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ly, three-year seedlings of 1,500 pieces of cherry tree from Osaka and Tokyo were planted for the first time in Oieseongdae, Narnsan Park, Seoul. Since then, they had been widely planted at traditional sites, modem parks, newly-constructed roads for street trees, and for thi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un had actively supported by its direct cultivation and selling of cherry trees. The spread of cherry trees planted raised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Prunus yedoensis is originated from Jeju Island. Secondly, such massive and artificial planting of them had become attractions over the time and mass media at that time also had actively promoted it. And such trend made the day and night picnic under the cherry blossom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es of enjoying spring in Seoul. Thirdly, although general people enjoyed cherry blossoms, but they had dual view and attitude for cherry trees. which were well expressed in their use of them: for example, cherry blossoms, aeng and sakura were used altogether for same meaning, but night aeng or night picnic under cherry blossoms were especially used instead of vojakura when mentioning just pleasure, which meant some saw night enjoying cherry blossoms a low culture. Fourth, symbolic space of Chosun had been transformed into the space for enjoyment and consumption. Anyone who paid entrance fee could enjoy performance of revugirl, cinema and entertainment along with enjoying cherry blossoms. The still-existing strict diffrentiation of enjoyment culture by social status, class and ethnicity was dismantled from that trend and brought about a kind of disorder. From this, we could find that cherry blossoms ha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hange of traditional enjoyment culture ov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become a popular spring enjoyment.

      • KCI등재

        용산 총독관저 정원의 조경사적 의의

        김해경 ( Hai Gyoung Kim ),유주은 ( Joo Eun Y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조영된 용산 총독관저와 그 정원에 관한 연구이다. 네오바로크풍의 건물과 정원이 계획되었는데, 이때 작성된 설계도면은 기존과는 달리 정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용산 총독관저 정원설계도면의 해석과·신문기사·관련 문헌을 통한 분석으로 도출한 조경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산 총독관저 정원이 근대시기에 조영된 최초의 서양식 정원으로서의 가능성이다. 건물과 함께 정원이 1909년에 완성되어 1911년 조영된 덕수궁 석조전 정원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 둘째, 당시 근대건축과 함께 도입된 정원 양식과 정원 구성요소를 알 수 있다. 건물의 중심과 정원 진입부의 기념비가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원구성요소가 배치되었는데, 시각적 중심이 되는 비스타(Vista)를 이루는 기념비, 바로크 정원에서 보이는 화단 형태, 축과 대칭으로 배치된 수공간, 화단 형태와 축을 강조한 배식 패턴이 이에 해당한다. 셋째, 서양정원문화의 전파이다. 서양식 문화인 가든파티 형식의 원유회가 열렸으며, 관저에서는 저녁시간대에 만찬과 의전 행사를 진행하였다. 넷째, 근대 조경도면으로의 사료적 가치이다. 도입 수종과 배식 패턴을 구분한 최초의 근대 조경도면으로 기존의 간략한 수목 심벌 또는 화단 형태의 표기에서 진일보한 표현이다. 부차적으로 지형 변형을 위한 현재 표고와 계획고, 수경요소의 배관, 상세 단면 등이 표기되어 있다. 향후 근대조경의 실질적인 분석을 위해서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분석으로 근대조경에 대한 연구의 폭이 확대되길 바라는 바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governor general`s official residence and its garden in Yongsan that we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al time. The garden design drawing was also made while planning such Neo-Baroque style building, and it contains particular information of the garden unlike the other existing landscape drawings. The content of garden translated and landscape historical value drawn out by analysis of garden drawings, press articles and literatures are as follows; First, such governor general`s official residence garden in Yongsan is likely to be the Korean first western style landscape form. For, from the point that it was completely constructed together with such official residential building in 1909, its construction time should be before that of the garden of Seokjojeon, Deoksu Palace, which was constructed in 1911. Second, it shows the garden style and garden planting factor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modern architecture then. Such garden planting factors are placed from the center axis of the garden that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uilding and monument as well. Such style and factors cover and show the flower bed appearing in Baroque style gardens, the monument that forms Vista playing the center of audience`s vision, water space that is placed symmetrically against the axis, planting pattern that emphasizes the plants` space, flower bed shape and axis, and what kinds of plants were introduced then. Third, it shows the using pattern of western style gardens. Western style garden parties used to take in place in this garden while official dinner and reception were held in the evening in the official residence. Fourth, it shows the historical value as a modern landscape drawing, which is the Korean first landscape drawing that shows the plants` names and planting techniques marking the current height and planned height for change of topography and water system as a water landscape factor. That is, this drawing has the value that it was upgraded from the other existing ones that expressed only simple plants` symbols or flower bed shapes. I, therefore, hope that the studies on the modern landscape would be getting wider by excavation of new historical records in the future.

      • KCI등재

        여수시 묘도 일대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김해경 ( Hai Gyoung Kim,)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4

        유네스코는 세계 도처에 분포하는 지질유산을 평가하여 세계 문화보존, 자연환경 보호의 목적과 지질다양성 보전과 교육 그리고 관광으로 이어져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세계지질공원 인증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자연공원법을 개정하여 국내에 분포하는 보존가치가 있는 지질유산을 평가하여 관광과 교육을 겸하는 지질관광을 통한 지역 경제발전과 환경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학계에서도 지질유산과 지질관광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이와 관련하여 전라남도에 분포하는 도서에 관한 지형 및 지질환경적인 측면 그리고 관광과 교육을 접목한 지질관광 측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여수시 묘도지역을 중심으로 이 일대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 경관의 특징을 조사 및 분석하고 지질관광 및 교육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묘도 일대지역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경관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지형)에 따른 지형경관 분석결과는 해안지형으로 분류되며 구체적으로는 해식애, 해안타포니, 자갈해안이 분포하여 3종류의 지형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지형 및 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의 항목을 기초로 하여 비교하면 연구지역에서는 일반 지형의 해안분류에서 해식애, 암석해안의 2종류 그리고 일반 지질이 분류에서 층리, 사층리, 점이층리, 결핵체, 역암, 사암, 이암, 셰일, 절리, 암맥, 안산암, 화강암 및 단층의 13종류로 총 15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이외에도 엽층리, 구상풍화 현상과 핵석 그리고 식물뿌리에 의한 풍화현상과 화강암이 풍화되어 풍화토가 분포하는 토양단면이 관찰된다. 전라남도 여수시 묘도 일대에 분포하는 다양한 지형 및 지질경관은 지구 역사의 변화과정을 기록하고 있으며 경관적가치 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내용을 광범위하고 포함하고 있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다양한 지형 및 지질경관 중에는 특히, 층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입자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점이층리, 변위가 수 cm인 정단층, 퇴적암을 관입한 두께가 약 1m 내외인 암맥, 다양한 유형의 해안 타포니 그리고 핵석의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구상풍화 현상을 관찰할 수있다. 이러한 지형 및 지질경관은 관광객을 위한 생태관광, 지질관광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뿐만 아니라 초, 중등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지형 및 지질을 관찰하고 탐구할 수 있는 야외체험 학습의 자료로서도 활용가치가 있다. 연구 지역 내에 분포한 다양한 지형 및 지질경관 중에 지질유산으로서 가치 여부의 판단은 보다 세부적이고 다각적인 전문가 조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um for geotourism and education by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Myodo Area, Yeosu city, Korea. For this study, geological survey was performed in the rocky coast and beach of Myodo and Weollaedong, Yeosu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2) and the categorization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03), three types (sea cliff, marine tafoni, gravel beach)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s and fifteen types(stratification, cross bedding, graded bedding, joint, dyke, andesite, granite, conglomerate, fault etc.) of geological landscapes are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various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graded as bedding, normal fault, marine tafoni and spheroidal weathering are distributed in this study area. Such landscapes are worthy in the basic resource for geotourism and education on earth science due to its value as scenery and historical records. More detailed geological investigation in this study area is needed to designate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as geoheritage which is worth preserving.

      • KCI등재

        고흥군 대서 남서 해안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김해경 ( Kim Hai-gyoung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2

        지질유산은 자연유산 중에서 특이성과 희귀성으로 인해 보존가치가 있는 지질기록이다. 유네스코에서는 이러한 지질유산의 보존과 활용 그리고 세계 문화보존 및 자연환경 보호의 목적으로 세계 지질공원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다양한 특징의 지형과 지질이 분포하여 보존 가치가 높은 지질유산을보유한 제주도가 세계 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으며 국내에서도 자연공원법이 제정되어 국가 지질공원 인증제도가 도입되었다. 국가 지질공원 인증제도에 의해 제주도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7개 지역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세계 지질공원 또는 국가 지질공원이 위치한 지역은 지질유산을 포함한 지질명소가 지역관광으로 연결되어 지역 경제의 활성화는 물론 지구과학 관련 교육적 자료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에서 지정한 천연기념물, 명승 그리고 국가지질공원에 분포하는 지질유산은 아니지만 국내 지질유산의 조사와 발굴의 측면에서 전국에 걸쳐 분포하는 독특하고 희소성 있는 지질유산에 대해 조사 및 기재 그리고 다양한 측면의 가치에 대해 논의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남서 해안에 위치한 지질노두에 분포한 독특하고 희귀한 지질유산을 조사하고 평가하여 지질관광 및 교육적 활용 또는 지질공원이나 지질탐방로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두었다.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안남리 신기마을 남서 측의 수문동 나루터에서 장선해변까지 북서 방향으로 약1.6km 해안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 경관의 특징을 조사하고 분류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문동 나루터에서 장선해변까지 해안에서는 해식애, 파식대, 암석해안, 자갈해안, 해안타포니 등의 지형경관과 역암, 사암, 이암, 셰일, 화강암, 편마암, 유문암의 암석 그리고 단층, 부정합, 층리, 점이층리, 사층리, 절리, 화석과 같은 지질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특징적으로 연구지역에서는 편마암과 퇴적암사이의 부정합, 화강암의 관입구조, 화강암과 편마암을 관입한 석영 맥, 퇴적암층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변위를 보여주는 단층그리고 셰일 층에서 산출되는 보존이 양호한 식물화석은 보존해야할 지질유산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할 수 있다. 원마도와 구형도가 양호한 자갈이 분포하는 자갈해안, 대부분 규암 역으로 구성된 층리가 발달한 역암층과 단층, 부정합, 관입구조, 구상풍화 현상과 핵석 및 식물화석은 지구의 역사와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관찰하는 지질관광의 자료로서도 가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지형과 지질경관 현상은 초등학교와 중학교과학과 지질단원, 고등학교의 선택과목인 지구과학 Ⅰ, Ⅱ의 학습내용과 매우 연관성이 있는 지형 및 지질요소로서 지구과학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 있는 야외지질 학습 자료라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the southeast area of Daeseo, Goheung-gun, Korea, an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the earth science education and geotourism. The geological survey was performed in about the 1.6km coast in the northwest direction from the Sumudong ferry to the Jangsun coa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sea cliff, wave-cut platform, marine tafoni, gravel beach and geological landscapes of stratification, cross bedding, graded bedding, joint, dyke, vein, fault, unconformity, sedimentary rocks(conglomerate, sandstone, shale), granite, gneiss, rhyolite and so on were found in the study area.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from conglomerate, sea cliff, unconformity between sedimentary rocks and gneiss, fault, granite intrusion structure, quartz vein, spheroidal weathering, corestone and plant fossils from the landscapes of this study area are fit for geotourism and are useful geological learning materials. Characteristically, fault in sedimentary rocks, unconformity, granite intrusion structure and plant fossil sites should be assigned as geoheritage. Such sites should be preserved and need to be protected from natural and human causes. Since the 400m length geological observation trail was installed along the coast from the northwest direction of the Sumudong ferry, this area is recommended as the site for outdoor geological learning and geotourism.

      • KCI등재

        해안의 노두에서 야외지질학습코스의 개발과 교수-학습 전략 -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김해경 ( Kim Hai-gyoung ),오강호 ( Oh Kang-ho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학습활동은 실제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과학 수업에 적극 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그리고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 지질영역의 야외 지질학습은 교실이나 실험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자연현상을 직접 관찰할 수있어서 매유 유용하며 실제 야외 학습활동을 실시한 결과 야외학습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과 과학에 대한 흥미에 긍정적인 변화,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학업성취도에 향상을 가져왔음을 여러 연구자에 의해 밝혀졌다. 따라서 장소에 대한 접근성과 안정성의 문제 등을 고려하여 명확한 지질현상이 분포하고 학생들이 관찰 활동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 공간이 있는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 및 개발된 야외지질학습장에서 야외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전략을 세울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야외 지질 학습활동에 적합한 장소를 대상으로 야외 지질학습장을 선정하여 답사 코스를 개발하고 이 지역에서 야외 탐구활동이 가능하도록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포시내에서 약 5km 정도 떨어진 지역으로 허사도와 고하도 해안 노두에서 3개의 야외지질 학습코스를 개발하였다. 이들 코스에서는 지층과 퇴적암, 단층, 사층리, 연흔의 퇴적구조와 관입구조 그리고 반암, 유문암, 화산유리 등이 분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Orion(1989)의 3단계의 야외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학교 급별로 3개의 야외 지질학습 코스에서의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준비단계에서는 이들 지역을 소개하는 활동과 기본적인 지질 개념에 대한 지식습득 활동, 야외 학습 단계에서는 개발된 활동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노두에서 직접 관찰을 통한 탐구 및 문제해결 활동 그리고 정리단계에서는 야외에서 얻어진 경험과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추론을 하는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야외지질학습 코스에서는 다양한 지질현상이 분포할 뿐만 아니라 지질현상이 뚜렷하고 목포 시내에서 1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어서 접근성이 양호하며 학생들이 관찰활동을 하는데 비교적 안전한 지역이다. 학교 급별로 제안한 교수-학습 전략을 이용하여 야외지질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지질학습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에서는 개발된 야외지질학습 코스를 활용한 교수-학습 전략을 학교 급별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제안한 교수-학습 전략에 따른 실제적인 야외지질학습 활동이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차후 구체적으로 야외지질학습 활동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분석 및 수정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eological field courses, and provide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the coastal outcrops of Heosado, Gohado, Mokpo c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contents of geological units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Science textbooks from middle schools and earth science Ⅰ, Ⅱ textbooks used in high school education were used for the basi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eveloped geological field courses in this study are located in the coast of Heosado and Gohado which is about 5km away from the downtown area of Mokpo city. The geological diversities distributed in three field courses are stratum, sedimentary rocks, rhyolite, porphyry, volcanic glass, fault, cross bedding, ripple and so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n these field cours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ree stage model suggested by Orion(1989). In the preparatory unit, teachers introduced geographic information on field courses, and basic geological concepts related to the study area. As for the field trip unit, students participated on observation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that were developed by teachers. In the summary unit, teachers led students to deduce comprehensively on the geological process and history of this area based on the previous observation held in the classroom. The developed geological field courses in the coast of Heosado, Gohado is convenient and safe for observation activity. It takes around 10 minutes by car from the downtown of Mokpo city to these field courses. Thus, students from any education level can easil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activity suggested in this study and gain knowledge in geology.

      • KCI등재

        전라남도 득량만 북측 해안에 분포하는 지질노두의 지질유산적 가치

        김해경 ( Kim Hai-gyoung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지질유산은 규모, 특이성, 희귀성을 지닌 지질기록으로 보존가치와 과학적인 연구, 교육, 아름다움, 문화의 발전 등에서 가치를 지니므로 보존해야할 대상이다. 이러한 지질유산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국가 지질공원(geopark) 그리고 유네스코에서는 세계 지질공원 인증의 활동이나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2년 자연공원법이 제정된 이후, 2012년 국내 처음으로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울릉도·독도 국가지질공원에서부터 최근 2016년 12월 강원고생대 국가지질공원까지 총 8곳이 국가 지질공원으로 인증되어 지질유산적 가치가 있는 지질 노두들이 제도적으로 보호되고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각 지역에 분포하는 지질 노두들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에서부터 발굴 그리고 지질학적인 검증과 재조명, 관리를 위한 자료의 구축의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최근 여러 연구에 의하면 지형을 포함하여 국내에 분포하는 지질유산의 조사항목과 평가항목의 기준 및 지질유산을 평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최종 국가 지질공원 내지는 세계 지질공원의 인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지질유산의 가치를 지닌 지질기록의 조사와 발굴의 측면에서 전국에 걸쳐 분포하는 독특하고 희소성 있는 지질기록에 대한 조사, 기재 그리고 가치를 논의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득량 만 북측에 위치한 고흥군 북서 측 해안에 분포하는 지질노두에 대해 독특하고 희귀한 지질기록을 조사하고 평가하여 지질유산으로서 가치를 논의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흥군 북서 측에 위치한 약 1.2km 길이의 해안의 지질노두에서 다양한 지질기록이 조사되었다. 이 중에서 5개 지점에 분포하는 편마암과 퇴적암과의 부정합 관계, 퇴적암 층에서의 단층, 편마암과 화강암에서의 구상풍화 현상 및 편마암을 관입한 관입구조(산성 및 중성암맥)의 지질기록은 보존되어야 할 지질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지질기록을 조형성 등(2014)의 지질 노두 평가표를 참고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노두 발달상태의 대표성 및 희소성으로 인해 학술적, 교육적 가치는 ⅠC 그리고 지형·경관적 가치는 Ⅱ등급으로 우수한 편이다. 위의 평가와 세부평가를 바탕으로 최종 평가 등급은 2등급의“보존가치가 높음”내지 3등급의“보존가치가 있음”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지질 노두들은 보존가치가 높으므로 훼손 방지와 더불어 보존 및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geoheritage values, and describe geological records in the geological outcrops distributed in the north coast of Deungnyangman, Jeollanam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below. Various geological records are distributed in the geological outcrops of about 1.2km coast of this study area. The area shows unconformity that involves a substantial break or gap in geological record, and meets with a fracture caused by spheroidal weathering and the intrusion of acidic and intermediate dykes in the 5 sites of this study area The explanations on geological records of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unconformity of this study area is a nonconformity developed between sedimentary rocks and older metamorphic rock. The fault (about 2m displacement) showed in this area is mainly a normal fault developed in sedimentary rocks. The phenomenon of spheroidal weathering, which is a product of chemical weathering is developed in the outcrops of igneous and gneiss. The acidic and intermediate dykes around 3m to 5m in width are developed in the outcrops of gneiss. As for the geological records of these 5 sites, the values of academy, education, geomorphology and landscape were evaluated as excellent. This is due to the representativeness, scarcity and diversity of these geological outcrops. As this study indicates, these 5 sites have high value as geoheritages and thus, plan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n these geological outcrop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여수시 적금도의 지형·지질경관 특성 및 활용방안

        김해경 ( Kim Hai-gyoung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1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좁은 국토 면적에 다양한 지질시대의 암석과 여러 종류의 암석이 분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지질현상, 지질구조뿐만 아니라 긴 시간의 풍화와 침식작용의 결과인 지형과 지질이 분포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는 지구과학의 학술적 측면에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질명소를 조사 및 평가하여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함으로서 지형과 지질유산을 보전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이를 관광 및 교육에 활용함으로서 지역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 국가지질공원 제도에 대해 각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주민들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여러 연구기관 및 연구자들은 보존가치가 있는 지형 및 지질유산의 조사, 발굴 및 가치 평가 활동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동안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에 대한 조사가 계속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다양한 지형과 지질경관을 지닌 약 1,969개의(김준, 2008) 섬이 부속되어 있는 전라남도는 보다 자세한 조사와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최근 연륙교로 연결되어 접근이 용이한 여수시 적금도의 지형과 지질경관을 조사하고 평가함으로써 앞으로 국가적 차원의 지질유산 선정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지질관광 및 교육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금도에는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지형)(국립생태원, 2019)에 따른 지형경관은 주로 해안지형으로 분류되며 해식애, 파식대지, 해식와, 타포니, 마린포트홀, 자갈해안, 모래해안으로 7종류의 지형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지형 및 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의 항목(이수재 등, 2003)을 기준으로 하여 지형 및 지질을 분류하면 일반 지형의 해안분류에서 해식애, 파식대지, 암석해안 그리고 일반 지질의 층리, 역암, 사암, 이암, 주상절리, 암맥, 화산암, 단층, 연흔, 공룡발자국화석의 13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의 암회색 이암 또는 셰일의 층리면에서는 공룡발자국화석이 발견되므로 앞으로 정밀조사에 의해 보존이 양호한 발자국화석이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연구지역에서 관찰되는 해식애, 자갈해안, 해식와, 타포니와 같은 지형경관 그리고 역암, 사암, 이암과 같은 퇴적암, 층리가 발달한 지층, 단층뿐만 아니라 특징적으로 관입암과 같은 용암, 주상절리, 연흔 그리고 공룡발자국화석과 같은 지질현상은 초등과학 지질단원에서 소개되는 주요 학습내용과 일치한다. 따라서 연구지역은 교실 또는 실험실과 같은 제한된 장소가 아닌 야외의 자연환경에서 직접 관찰하며 학습할 수 있는 야외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야외의 학습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들 지질현상을 사진, 동영상 또는 VR자료로 재구성하여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Jukkeumdo, a research area, is an island in Hwajeong-myeon, Yeosu-city. Jukkeumdo has an area of about 0.78㎢, and the coastline is about 9km long. Jukkeumdo lies approximately in the north-south direction. Yeungnam-myeon, Goheung-gun is located about 1.2km west of Jukkeumdo, and both sides are connected by the Palyeong bridge. Nangdo is located in the southwest of Jukkeumdo, and the two islands are connected by the Jukkeumdo bridge. In this study,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Jukkeumdo were investigated and evalua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mainly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of Jukkeumdo.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s materials for the selection of geological heritage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the basis data for geotourism and educational util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on the coast of Jukkeumdo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he NIE(2019),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of Jukkeumdo is classified as coastal terrain, specifically seven types of sea cliffs, wave-cut platforms, tafoni, marine potholes, notches, gravel beaches, and sand beach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Lee etc.(2003), there are 13 type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cluding sea cliffs, wave-cut platforms, rocky coast, stratifications, conglomerates, sandstones, mudstones, columnar joints, dykes, volcanic rocks, faults, ripple marks and dinosaur footprint fossils. In particular, poorly preserved dinosaur footprint fossils are found on the layers of dark gray shale in this area.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inosaur footprint fossils will be found in good preservation in the future by detailed exploration. Geological phenomena observed in the study area, such as sea cliffs, gravel coasts and tafoni, as well as sedimentary rocks, dykes, columnar joints, faults, ripple marks, and dinosaur footprint fossils, are consistent with the main learning contents of the geology unit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herefore, the research area can be used as an outdoor geology learning area where students can directly observe and experience geological phenomena in outdoor natural environments. In addition, various geological phenomena distributed in the research area can be used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classroom classes by taking photographs, making videos, or gathering VR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