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근로자 괜찮은 일자리 결정요인 연구

        김항구,이수용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cent jobs for disabled work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lead to decent jobs by utilizing decent job concepts and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their characteristics. To this end, we used data from the 5th to 8th year of the survey on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First, the determinants of decent jobs for disabled workers are as follows: personal factors (gender, age, disability type, health status, chronic illness, basic living supply and spouse living together), human capital factors (education, qualifications), job factors(business scale, status of workers, aptitud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decent job movements by the fixed effect model, it is analyzed that the probability of moving to a decent job is higher when the job type is the regular job. 본 연구는 괜찮은 일자리 개념을 활용하여 장애인근로자들의 괜찮은 일자리 결정과 괜찮은 일자리로의 이동 요인을 규명하고, 그 특성에 맞는 정책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5∼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근로자들의 괜찮은 일자리 결정요인은 개인적요인(성별, 연령, 장애유형, 건강상태, 만성질병, 기초생활수급, 배우자 동거여부), 인적자본요인(학력, 자격증), 일자리요인(사업체규모, 종사상지위, 적성부합)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괜찮은 일자리 이동 결정요인을 고정효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일자리 형태가 상용직일 경우 괜찮은 일자리로 이동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滄江 金澤榮의 歷史敍述

        김항구 제주대학교 1985 논문집 Vol.22 No.2

        Kim Taek-yoˇng(1850-1927) was one of the famous historians who met with the severest reversal and the bittest trials in Korean history. In reference to the domestic situatin of that period, the Korean society was in the throes of the break down of feudalism and the movement into modern society, and in view of outside circumstances it was also suffering from the armed aggression of Japan as well as other strong powers and from the loss of national rights attendant to it. Kim Taek-yoˇng, who was a prominent writer as well as an outstanding historian, wrote many Korean history books to inspire a consciousness of sovereign independence and to conserve the national culture through his works. The masterpieces among his works are 'Yoˇksachipyak'(歷史輯略), 'Hansakyung'(한사계) , and 'Hankukyoˇktaesosa'(韓國歷史小史) , They cover, respectively, the ancient period to Koryo, Chosun, and the ancient period to Chosun. 'Hansakyung' and 'Hankukyoˇktaesosa' were written and published in China where he stayed for a while as a political refugee. His works, which seem to be influenced by 'Silhak'(實學) of late Chosun,still show not only many traditional elements but also partial modern characteristics. It may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Kim Taek-yoˇng was then a figure in the period of transition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中學校 國史科 敎育課程의 變遷

        김항구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1987 敎員敎育 Vol.3 No.1

        해방 이후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각급학교 국사과 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우리 나라 국사 교육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보다 나은 미래를 지향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일차적으로 중학교 국사과 교육 과정의 변천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고찰하는 한편 교육 과정의 변천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여 본 이상의 글에서 언급한 바를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함으로써 결론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日本語における機能動詞結合の使用效果について

        김항구 韓國日本語文學會 2008 日本語文學 Vol.39 No.-

        動詞的な事柄の名詞的な表現としての機能動詞結合は、韓日兩語はもちろんドイツ語やフランス語などのさまざまな言語において硏究されており、それらが必ずしも一致した結果を見せていないとしても、言語普遍的な現象であると考えることができる。機能動詞は、動作名詞がいくら動詞的な意味內容を表すのであっても、單獨では述語になり得ないという、名詞の形態·統語的制限を補うために付け加えられる文法的な要素である。そのため、機能動詞結合が使われている文や表現を、本稿では「名詞的表現」、つまり、名詞が文の述部の意味的な核を成している表現として捉えている。本稿は、機能動詞結合が持っている文法的な役割という觀点から離れ、動作を表すのに、なぜ動詞を使わずに名詞的表現を選ぶようになるのかという、より根本的な疑問に關する考察である。したがって、本稿では、機能動詞自體が持っている文法的な役割よりは、動詞と動作名詞の違いや連用修飾と連體修飾の違いなどのほうに、より重点がおかれている。本稿で行なった調査の結果、單純動詞(動詞表現)の代わりに機能動詞結合(名詞的表現)が選ばれる理由として、1)言語表現における經濟性の追求、2)修飾成分の構造上の空白(structural gap)を埋める動き、が密接に關わっ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表現の經濟性の追求は、しばしば言語變化の要因としてもあげられる言語普遍的な現象であり、日本語においても機能動詞結合の使用の原因になっている。たとえば、機能動詞結合を使用することによって、二つの文で表される事象が一つの文におさまるようになったり、連體修飾と連用修飾が混ざっていたものが動作名詞の使用によって簡潔になったりするのである。修飾成分の構造上の空白とは、形態的には修飾成分になりうるものの中に、意味的な條件によって連體修飾と連用修飾の一方が欠けている場合があり、これを構造上の空白と呼んでいる。この空白によって連體修飾成分としてのみ使われる語からの修飾を受けるためには、被修飾語は名詞でなければならない。ここで動詞を動作名詞に變えなければならない必要性が生じる。機能動詞結合は、このような空白を補い、より豊かな表現を可能にする裝置としても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